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 융복합교육을 활용한 성서교육의 가능성 연구

        최은택(Eun-Taek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current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provide human life with crises as well as opportunities. One of the crises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ause errors or be used for crimes causing a lot of damages to human being.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place many human jobs. This might be a crucial issue since it can lead to new classifications between those who are able to work and those who are not. At the same time, however, beneficial opportunities can be given. In the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offer human life convenience. Thi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lso new jobs can be created. As such,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two-sided personality. It can be clearly argued that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lready arrived and it will bring about lasting and drastic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ore positive and hopeful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odel of biblic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is conducted as followed; This article, first of all, expounds the brief histor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era, thereby suggesting the way that the biblic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s in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epoch. This paper, also, introduces convergence education as a method of biblical education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suggests theological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point, this study purports potentiality of the biblical education targeting convergence values, and then posits its tasks for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build theological basis of the biblical education in accord with convergence value and propose of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by employ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컨버전스와 디자인 연구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Modern society has been represented in a digital civilization, even in real life digital is becoming the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Of course, there exist a positive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digital life at the same time, which brings a variety of effects on human life. And the technology that is based on humanism, such as universal design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se technologies have the goal of coordinating the opposing aspects of the digital life to which they can bring convenience to human life. Also the convergence or fusion i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the digital age as of now. This is because we want to create the technology for a better life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 with other sectors in all areas, including the design as well as engineering. As of now digital convergence has created a useful devices to life by a variety of ways. In other words, digital convergence is the fusion of media, contents and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 people-oriented thinking. This fusion phenomenon is taking place in every field, and it is not too different in design disciplines. This study is primarily to investigate about the digital related design through fusion appeared in the design field in this present digital convergence era. It discusses the transition and change in culture in the digital age, as well as changes in digital convergence and design. And finally discusses the types of convergence in current design which appears through the actual case studies. 현대사회는 디지털 문명으로 대변되고 있으며, 실제 생활 속에서도 디지털은 인간 삶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시에 존재하며, 인간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방향적인 측면을 조율해 인간 삶의 편의를 만들고자하는 목표로써 유니버설 디자인과 같은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서 대표적으로 중요시되는 것이 컨버전스 이다. 이는 공학뿐만이 아니라 디자인을 비롯한 전 분야에 걸쳐 타 분야와의 교류와 융합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위한 기술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 진행형으로써 디지털 컨버전스는 지금도 다양한 방식으로써 생활에 유용한 기기(器機)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인간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와 콘텐츠,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융합 현상은 각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 역시 다를 것이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 컨버전스로 대변되는 현 시대에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융합을 통한 디지털 관련 디자인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디지털 시대로의 전이와 문화의 변화와 디지털 컨버전스와 디자인의 변화를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 나타나고 있는 컨버전스 디자인의 형태에 대해서 논의하려 한다.

      • KCI등재

        Ethic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 Lee Kyung-hee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can see the ethical problems of biotechnology and characteristic of BT-ICT convergence product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centered on the paradigm shift from IT industry to ICT industry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as the issue of biotechnology ethic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we can see the main areas of interest and issues of bioethics, the ethical development process of clinical ethics related to bioethics,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Third, the principles and ethics of bioethics -the principles of bioethics of Hood`s P4 Medicine, Robert Merton`s CUDOS, M. F. Atiyah`s Responsibility, David B. Resnik - reveal the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that biotechnologists need as professionals. Fourth, as biotechnologists, aut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professionalism, and moral literacy and ethical personality to be possessed by biotechnologists.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에서 ‘인간’으로 향하는 교육

        장혜진,신서영,박창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framework of an era is the basi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education. What is the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contemporary era? The researcher intend to put the post-human era in that frame.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human age, which is being discussed, and then discuss the direction and value of educa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present age is condensed into two characteristics. First, human nature is threatened. This is due to the mov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upgrade the machine to human status according to the desire to go beyond human limits. And second, the rate of response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This means that large societies do not immediat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while individuals experience and accept change quickly. In this age change, 'knowledge' is used as 'the source of creative knowledge' rather than the object of consumption. Therefore, the role required in the realm of education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experience in the posthuman era and to promote thinking to understand the relevance between the realms. In conclusion, the direction and value of education that we should pursue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human', not as a machine, and we should end up using the creative knowledge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each domain as a subjective human. 한 시대의 틀은 곧 정치, 사회, 경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렇다면 ‘현대’ 시대를 설명하는 틀은 무엇인가? 논자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그 틀에 놓고자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포스트휴먼시대가 가진 특징을 살펴본 후 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 및 가치를 논의할 것이다. 먼저, 현 시대의 표상은 두 가지 특징으로 압축된다. 첫째, 인간의 본질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 넘고자 하는 욕망에 따라 기계를 인간의 지위로 격상시키고자 하는 과학기술 발달의 움직임에 기인한다. 그리고 둘째, 개인과 집단 간 반응 속도의 차이이다. 이것은 거대한 사회는 시대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반면, 개인은 빠르게 변화를 체험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지식’은 소비의 대상이 아닌 ‘창조적 지식의 원료’로서 활용되며 계속해서 재구성된다. 따라서 교육의 영역에 요구되는 역할은 포스트휴먼 시대에 대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각 영역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사고를 촉진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교육의 방향과 가치는 기계가 아닌 ‘인간’을 향해야 하며 주체적 인간으로서 각 영역 간의 융합을 통해 창조적 지식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감성시대의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3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age and the transition to the so called “digital emotion era” which is once again drawing a lot of public attention these days. We will als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design disciplines as well as the related case studies. The digital convergence or fusion i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the digital age as of now. This phenomenon is taking place in almost every field, and it is not too different in design disciplines. Finally, we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tents development in the emotion era through the fusion of these disciplines. In conclusion, the digital technology and design itself are indispensable to our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role of affective design that can stimulate human emotions is important. These possibilities can be achieved by the digital convergence of technologies and design disciplines. 최근 디지털 감성시대라는 말이 다시 한 번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감성의 시대라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을 결합한 콘텐츠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흐름은 디지털 시대의 특징과 감성시대로의 전이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과 이에 대한 사례조사를 하려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두 학문의 결합을 통한 감성시대에서의 콘텐츠 개발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디지털 기술이란 우리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감성 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과 디자인의 융합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라 하겠다.

      • KCI등재

        Ethic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이경희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can see the ethical problems of biotechnology and characteristic of BT-ICT convergence product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centered on the paradigm shift from IT industry to ICT industry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as the issue of biotechnology ethic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we can see the main areas of interest and issues of bioethics, the ethical development process of clinical ethics related to bioethics,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Third, the principles and ethics of bioethics - the principles of bioethics of Hood’s P4 Medicine, Robert Merton's CUDOS, M. F. Atiyah’s Responsibility, David B. Resnik - reveal the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that biotechnologists need as professionals. Fourth, as biotechnologists, aut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professionalism, and moral literacy and ethical personality to be possessed by biotechnologists.

      • KCI등재

        21세기 융합시대,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도희(Doh-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7

        본 연구는 21세기 융합시대가 활성화되면서, 과연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융합’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진단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즉, ‘융합’의 다양한 정의와 이해에도 불구하고, 과연 융합이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인식의 진단을 위하여, 융합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융합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이에, 30개의 융합관련 Q표본과 3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화 분석결과, 3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고,〈TypeⅠ〉은 36.03%, 〈TypeⅡ〉는 9.85%,〈TypeⅢ〉은 6.25%로 52.1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둘째, 〈TypeⅠ〉은 교직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 연구원 등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TypeⅡ〉는 연구원, 사회복지사, 대학강사 및 회사원 등 다양한 직종의 응답자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Type Ⅲ〉은 대학교수, 전문직 등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유형에서 강조하고 있는 Q-표본을 바탕으로, 〈TypeⅠ〉은 「소통기반형」,〈TypeⅡ〉는 「시너지형」, 〈TypeⅢ〉은 「무한가치형」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3개의 유형간에 일치문항으로는 ‘소통기반’, ‘공유가치지향’의 Q표본이 선정되었다. 따라서, 4차 산업 환경에서의 융합은 무엇보다 소통을 기반으로 한 공유가치창출을 목적으로 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diagnosing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what convergence we are thinking of as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era has been activated. In other words, despite the various definitions and understandings of Convergence, in order to diagnose the essential perception of what convergence really is, Q-methodology, a convergenc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ategorize the perception of convergence. For analysis, 30 fusion-related Q samples and 30 respondent P sampl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ypology analysis, three types were defined. 〈Type I〉was 36.03%,〈Type II〉was 9.85%, and 〈Type III〉was 6.25%, showing 52.13% of explanatory power. Second, in 〈Type I〉, the distribution of teaching staff, public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was high. 〈Type II〉 shows the distribution of respondents in various occupations such as Researcher, Social Worker, University Lecturer and office worker. In 〈TypeⅢ〉, the distribution of professor and professional was high. Third, based on the Q-sample emphasized in each type,〈Type I〉 was named 「Communication-based Type」, 〈Type II〉 「Synergy Type」, and〈Type III〉 「Infinite Value Type」. Fourth, Q samples of Communication Basis and Creation of Shared Value were selected as the matching questions among the three type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convergence in the 4th industrial environment should be aimed at shared value based on communication above all else.

      • KCI등재

        융복합 교양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 메타인지 행복학>의 개발 연구

        윤미영(Yoon Mi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코로나19는 세계와 인간 존재를 지탱해온 가치, 사상, 패러다임을 뒤흔들었다. 학교가 문을 닫고, 국경이 단절되고, 경제가 무너졌다.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생에게 코로나19라는고통의 시기를 도약대로 삼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슬기롭게 맞이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현실적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학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 즉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혼돈의 시대를 극복할 기준과 가치관 정립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교양교육 차원에서 강좌로 개발하여 실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모든 인류가 해결해나가야 하므로반드시 학제 간 융복합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강좌의 영역은 주제에 대해 학제적으로 다양하게 접근할 수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조건에 부합한 ‘융복합 교양교과목’으로써 구체적인 목적과 방향, 교과목 운영방안, 담당교수 및 주차별 상세 강의안을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다양한 분야의 학제적 접근과체험적 활동을 통해 코로나19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자극하고 나아가 의식적 전환과 실천적 행동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도록 그들의 잠재적 재능을 일깨워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이 융복합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타인지 행복학>은 교양교육의 적합한 교육을 위한 대안적 모델이 될 것이다. COVID-19 has disrupted the values, ideas and paradigms that have supported the world and human existence. Schools closed, borders cut, and the economy collaps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rona pandemic, it is a realistic task to present a direction to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the future so that they can wisely meet the post-corona era by using the time of COVID-19 as a jumping off poi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for college students to move forward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of COVID-19. It is a program for establishing standards and values to overcome the chaotic era of the corona pandemic, and has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t as a course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Since Corona 19 is a global problem and all mankind must solve,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s required. The field of this course has the optimal conditions for an interdisciplinary and diverse approach to the subject. As a ‘convergence liberal arts subject’ that meets these conditions, this study presented a detailed purpose and direction, course operation plan, professor in charge, and detailed lecture plan for each week. This course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in the contemporary task of COVID-19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and awakens their potential talents to bring about a change of consciousness and practical behavior. By inducing participation, this convergence curriculum will become an alternative model for appropriate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교양교육의 위상과 방향 -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과목 <자유정의진리>를 중심으로

        오연경,조재룡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 문명을 정초해 온 ‘인간’ 개념이 근본적인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전환적 시대에 교양교육은 인류 문명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차원의 인간성을 탐구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현실적 구현을 위해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방향성을 확보해야 한다. 첫째, 분과 학문의 정통성을 타자화하고 전수된 전문성을 학제적 네트워크 속에서 조망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제적·융합적 성격의 교양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자기반성적 성찰과 총체적 통찰을 내면화하는 태도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균형 및 긴장 관계를 구조화할 수 있도록 중핵 교육과정의 교양 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본 논문은 포스트휴먼 시대 교양교육의 위상에 대한 재조명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혁신적 교육 방법을 적용한 학제적 중핵 교양 과목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고려대학교의 공통교양 과목 <자유정의진리>의 실제를 살펴보고,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교양교육 혁신의 현실화 방안을 타진한다. In the posthuman era, the concept of “human,” on which modern civilization has been built, is faced with a call for a radical transformation. In a radical era,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xplore a new humanity of the posthuman era based on critical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realization of such liberal arts education must be made in the direction of three aspect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t liberal arts education so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make it possible to keep a distance from the legitimacy of disciplinary studies and to review the transmitted expertise in an interdisciplinary network.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innovative learning method so that learners can cultivate an attitude with which they internalize self-reflection and total insigh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re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structure the balance and tension between major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core curriculum that applies innova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based on a new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To this end, this thesis examines the practice of the common liberal arts class, Free·Justice·Truth of Korea University and explores the realization of liberal arts innovation in the posthuman era.

      • KCI등재

        진학계 고교를 위한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변자정 ( Byun Ja-jung ),홍후조 ( Hong Hoo-j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진학계 고등학교의 비예술전공자들의 보완적 예술교육에 관한 내용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과학기술과 예술 간의 융합교육을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시각에서 다루었다.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교의 과학기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학습에 대해 보완적인 예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 집단에게 필요한 과학-예술융합교육의 목표, 내용과 방법, 교육과정 운영 기준을 제시하는 가교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에 있었다. 연구자는 과학-예술융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융합교육에 대한 의미와 개념이 다양하고 폭넓게 자리 잡아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융합의 대상이 되는 교과교육 간의 핵심, 보완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융합교육을 위한 총론과 각론 간의 연계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범교과적인 다양한 주제의 소총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진학계비예술전공자 집단에게도 보완적이고 연계적인 과학-예술융합교육의 수요가 있으며, 교육계는 이에 관해 교육과정적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교육과정기준 개발은 과학-예술의 융합이라는 독립적인 새로운 교과교육으로서 기준개발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 범교과 학습이나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준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and it covered particularly science/technology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recently 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that present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curriculum operation standards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required by learner groups in need of complementary arts education for their learn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ose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cademic high schools. From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science arts convergence curriculum standards, the researcher dre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the meanings and concepts of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ttled diversely and wide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core and complementary domains of curricular education to be converged. Third, we need mini curriculum standards for various interdisciplinary themes that play articulating and complementary roles between generals and particular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non art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are also in need of complementary and articulating science arts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ircle of education needs to respond to the need through the curriculum. Fifth,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not for a new independent curricular education of science arts convergence but applicable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or integrated programs in various do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