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서양의 문화 번역론 비교 연구 - 루쉰(魯迅)과 베르만(A. Berman), 베르만과 루쉰

        조재룡 한국비교문학회 2009 比較文學 Vol.0 No.48

        Transl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natural and effective ways of cultural exchange for a long time. Served as the best tool and even evidence of not only identifying each nation's "language-culture" but also helping understand the idea of "language-culture" of other countries in the eyes of each own nation, transl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wide-ranging study of both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requiring comprehensive research for various discourse about cultural translation. There has been growing movement in the study of discourse in different fields and different nations. When it comes to the methodology, value, and ethics of translation, Lu Xun and Berman have many things in common in their claims. In particular, they created sensation when they insisted on seeing other unfamiliar culture with full respect as it is in the aspect of methodology. On Lu Xun's part, during the era of the modernization in China, he concerned over the domestication and Chinazation in translation, standing firmly by the method of translation called 'the hard translation' which was he strongly believed the only way to reform the old Chinese and change it into modern language by accepting new sentence structure and new words which had not existed in the old frame of Chinese grammar structure. Lu Xun's hard translation didn't mean the literal translation with the word for word method, but the fidelity to original texts with 'exotic nuance.' While Berman criticized acrimoniously 'ethnocentric translation,' 'hypertext translation' and 'platonic translation.' Instead, he suggested 'ethical translation,' 'poetic translation' and 'thinking translation,' which had sent shock waves to the French academic circles in the 1980s. Berman presented the method of translation called 'Translation-Of-The-Letters' in order to conduct the three types of translation he had asserted mentioned above, which is the method that respects text for 'its original value' in translating it, never meaning 'the literal translation' just like Lu Xun's hard translation. Although Lu Xun and Berman lived in the different cultural areas, their study in terms of the methodology sounds very similar. That is because they both thought translation can be used as a way to respect others' cultures and, in turns, trigge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보들레르 산문시 「마드무아젤 비스투리」의 출판거절 문제 - 텍스트의 외설성과 사실주의의 비교연구

        조재룡,김지현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0 No.53

        La difficulté de compréhension de 「Mademoiselle Bistouri」, l'un des poèmes en prose les plus déconcertants de Baudelaire, se manifeste au moins sous un double aspect. En laissant de cô̂té de l'énigme de l'héroïne suspecte d'une conduite perverse qui reste inexpliquée jusqu'à la fin du poème, la narration elle-même de ce texte est déjà suffisamment elliptique et donc bien ambiguë. Par ailleurs, on ne trouve presque aucun indice dans ce texte, permettant de discerner l'intention du poète hors contexte. Par conséquent, les divers critiques littéraires abordent ce poème sous différents angles de lecture : tout en relevant la manifestation du fameux sadisme de Baudelaire, la fable religieuse traditionnelle, la trace de psychanalyse (“Mère-Phallique-Castratrice”, par exemple), le sarcasme politique radical, le fantasme, etc., la question que pose cette “Histoire extraordinaire” n'a pas encore trouvé sa réponse. Au premier abord, il paraît ne pas y avoir de consensus, mais les critiques s'accordent néanmoins sur le caractère “radical”, “bouleversant” et “scandaleux” du poème. La publication en a été refusée par trois fois dans une revue de son époque. En effet, ce texte n'a pu voir le jour que parce qu'il a fait partie des cinq pièces inédites du recueil publié à titre posthume aux Éditions Michel-Lévy. Et pourtant aucun témoignage valable ne peut justifier le refus de publication du poème, si ce n'est la bassesse du langage et, surtout, le scandaleux sadisme ou le caractère obscène du texte. Notre étude remet en cause ces deux jugements problématiques, en attribuant finalement la prétendue “obscénité” du texte au “réalisme grossier et offensant” pour son époque. Ce côté du “réalisme” constitue sans doute l'un des obstacles à sa publication. En effet, le réalisme que contient ce poème est une des raisons motivant ce refus et un facteur d'“offense à la morale publique” de cette époque. En somme, ce texte a été réfusé car il s'attarde trop sur la réalité de l'époque.

      • KCI등재

        Baudelaire et l’enjeu critique du poème en prose – A partir de la question de l’énonciation

        조재룡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Le vers et la prose ne sont pas antinomiques dans la pensée de Baudelaire. C’est Baudelaire qui a posé la problématique du poème en prose comme lieu d’abolition des oppositions à la lignée d’A. Rabbe et d’A. Bertrand. Les poèmes en prose de Baudelaire sont souvent comparés à la nouvelle, au récit, au fragment, à la maxime, etc., au point qu’il existe dans le poème en prose la trace narrative et tous les éléments structurants propres à l’univers du récit. A la différence des études généralisées, nous tentons d’examiner ces textes d’un point de vue rythmique et énonciatif qui dépasse la dimension de l’énoncé ou celle de la grammaire. La proposition d’H. Meschonnic nous permet d’aborder des textes tels que Une mort héroïque, Le Mauvais Vitrier et Assommons les Pauvres !, par l’angle rythmique qui ne se limite pas à la catégorie grammaticale, mais qui déclenche la subjectivation du discours par la réalisation de l’accentuation. Après les avoir analysés, nous pouvons conclure que l’allégorie du refus du vers dans Le Mauvais vitrier ne se montre qu’à la dimension de l’énonciation et que dans Assommons les pauvres ! la partie politique de Baudelaire après 1848 est remise en cause par l’organisation prosodique et rythmique. L’économie de la parole prend la figure d’une série d’accentuations prosodiques et rythmiques dans l’énonciation qui confère au texte une marque de subjectivité en dehors de tout plan d’énoncé. À chaque moment de la lecture, cette efficacité de la parole, réalisée par une organisation rythmique et prosodique soutenant une autre logique que celle du récit, oriente notre lecture vers une dimension de l’énonciation. Mis en œuvre par l’organisation de ses signifiants propres au discours, le rythme n’est pas un phénomène local caractérisé par les figures du discours comme la métaphore ou la métonymie, ni par la cadence, la périodicité et la régularité numérique qui ne relèvent que de l’expressivité esthétique. Porteur du sens, le rythme est indissociable de la signification des discours. Le rythme qui est le mode de signifier qui pose, à chaque instant, la question de la valeur du texte, est la marque de la subjectivité du discours, à savoir la marque de l’énonciation inventée par Benveniste. Quand Baudelaire a essayé “une prose poétique, musicale sans rythme et sans rime, assez souple et assez heurtée pour s’adapter aux mouvements lyriques de l’âme, aux ondulations de la rêverie, aux soubresauts de la conscience”, dans sa pensée, il y a une critique nécessaire qui doit inventer une nouvelle forme poétique capable d’annuler le dualisme entre le vers et la prose.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리듬 이론 연구:역사와 현황 (1) ― ‘리듬’의 출현에서 ‘신시논쟁’까지

        조재룡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2

        ‘Lideum’(rhythm) first appeared on Samgwang magazine in December 1919 with the English word “rhythm.” Suggesting “jeolju (節奏)” or “jeoldo (節度)” as its translation, the article defines the concept as “a passage or paragraph of poetic sentences.” A year later, Hyeon Cheol mentioned lideum again and consider it as what can “substitute” metrical rules of fixed verses in free or prose verse-writing. Becoming a center of controversy on “new poetry” in 1920-21, lideum became articulated as a new concept in the discussion of “free verse forms” without metrical rules. The introduction of free and prose verses led to the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rhythm but to confusion on the definition of it at the same time. French symbolist poetry pieces translated and introduced as a model of free verse was actually fixed verse forms. Poems translated by Kim Ok were fixed verses, however, through translation, they became based on “rhythmic qualities rathern than metrical ones.” For Ju Yohan, free verse is a new form of poetry that discards yul (meter) and un (rhyme) as well as becomes free from syllabic meter-related rules. In this sense, free verse is dominated by “natural rhythm” instead of meter and rhyme. Hwang Seokwoo, coining new words of yeongrul (靈律) and simryul (心律), defined rhythm as an expression of psychologically-inherent inspiration. In 1920s, rhythm as a blank concept became explored as 1) something that deals with the absence of given metrical rules in free verse, as 2) something that remains after getting rid of meter and rhyme-related rules from fixed verse, and as something that is a free nature. ‘리듬’은 1919년 12월 삼광 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영어 ‘Rhythm’을 병기하고 번역어로 ‘절주(節奏)’나 ‘절도(節度)’를 제시하면서 시의 리듬을 그 예로 들어 ‘시가(詩歌) 문장의 구절이나 단락’으로 개념을 정의한다. 일 년 후 ‘리듬’은 현철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자유시나 산문시에서 정형시의 율격에 해당되는 무엇을 ‘대치’할 등가의 개념처럼 인식되었다. 리듬은 1920~1921년 사이 자유시의 출현을 계기로 촉발된 ‘신시논쟁’의 중심으로 차지하였으며, ‘율격’을 갖추지 않은 ‘자유시형’을 논하면서 새로운 개념으로 불거져 나왔다. 자유시형과 산문시형의 등장은 리듬의 인식론적 전환을 이끌어낸 동시에 리듬 개념 정의의 혼란도 가중시켰다. ‘자유시’의 모델로 한국에 소개되고 번역된 프랑스 상징주의 작품들은 사실상 모두 정형시였다. 김억이 번역한 시들이 정형시였음에도, 번역을 통해 ‘운율적이 아니라 리듬적인 성질’에 기반하게 되었다. 주요한에게 자유시는 ‘율’과 ‘운’을 폐기하고, 음수율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의 모형이며, 자유시는 ‘율과 운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리듬’에 의해 지배된다. 황석우는 ‘영률(靈律)이나 ’심률(心律)’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리듬을 심리적으로 내재된 영감의 표출로 정의하였다. 1920년대에 접어들어 리듬은 첫째 ‘율격이 부재하는 자유시에서 율격의 부재를 ‘대처’할 무엇’, 둘째 정형시에서 ‘율’과 ‘운’을 덜어낸 무엇, 셋째 ‘시의 자유로운 [무엇]’처럼, 공란으로, 즉, 실체가 없는 실체에 의해 규명되어갔다.

      • 스팀터빈 복수기 진공 개선을 위한 AI-Big Data 품질기법 적용 연구

        허길영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발전소의 복합화력은 가스터빈에서 천연가스를 연료로 1차 전기를 생산하고, 배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스팀터빈에서 2차로 전기를 생산한다. 스팀터빈의 부속설비인 복수기는 진공을 형성하여 열역학적으로 재열사이클, 재생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어 플랜트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수기 진공도가 저하되면 진공계통이 누수되는지 점검하거나 CVP, CWP등의 펌프류를 점검하는 등 다양한 현장조치를 시행하게 된다. 증기터빈 진공저하시 신속한 대응은 Plant 효율 저하를 예방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I-Big Data 품질기법을 적용하여 진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인자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진공도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었다. SAS社의 JM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Big Data는 발전소에 구축되어 있는 PI 시스템에서 5분간격 Data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개의 X인자에 대해 진공도(Y)에 영향을 주는 7개 핵심인자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X인자들의 Y에 대한 기여도 분석으로 개선 순위를 구별했다. AI 기법을 통해 진공도(Y)에 대한 예측 모델을 수립하였고, 이상상황 발생시 특정 인자의 기여도 증가를 확인하여 참원인을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AI-Big Data 품질기법 분석을 기반으로 현장 밸브 포지션 조정결과, 진공도 1~3mmHg, 스팀터빈 출력 1~1.3MW 증가, CWP 소내전력 2amps 감소 효과를 이루었다. 에너지전환기의 급변하는 발전현장에서 AI-Big Data 품질기법은 발전소 신뢰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산문의 시학의 가능성 -말라르메의 «비평-시»의 관건들

        조재룡 프랑스학회 2005 프랑스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말라르메의 «비평-시»에서 드러난 “산문”과 “시(시구)”에 관한 사유를 점검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대한 평가 분석과 연구를 이해하고, 나아가 비판하는 지점에서 출발하여, 과연 말라르메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평자들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주장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담긴 사유가 전적으로 시구(vers)에 관한 승인과 선호를 지배적으로 표출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말라르메의 «비평-시»을 둘러싼 수용과 이해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이와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고리를 형성했다고 판단된 발레리를 위시로 발생한 서양 전통의 이분법(시와 산문, 시구와 산문)의 취약한 이론적 고리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어떠한 한 위력을 발휘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취약한 고리를 가장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다름 아닌 산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까닭은 18세기 이후 프랑스 문학사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산문의 개념이 전적으로 “부정성”을 통해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적인 개념들이 총체적이고 집약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바로 말라르메의 «비평-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비평-시»를 둘러싼 해석과 수용을 필히 점검해야하는 필연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비록 난해한 가능성(可讀性 lisibilité) 자체로 인하여 오해의 여지를 남김에도 불구하고,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19세기 중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탄생한 산문시와 자유시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조망한 일종의 비평적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말라르메가 «비평-시»에서 전개한 바 있는 “리듬”의 개념과 “시구”의 개념, “산문시”와 “자유시” 개념을 통해서 표출되며, 바로 이러한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말라르메의 시학은 정형시뿐만 아니라 산문의 시학 역시 제기하는(혹은 산문과 시학의 개념을 새롭게 설정하는) 중요한 시도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보들레르가 이론화하고 구체적인 적용을 바탕으로 선보인 산문시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하는 한 축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와 마찬가지로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등장한 자유시의 가치 또한 반영한 비판적 생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말라르메가 정형시를 시의 정체성으로 여기거나 율격과 도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시구를 선호하기보다는 오히려 문학적 담화와 텍스트 자체의 특수성과 개인화(individuation) 과정에 가치를 두었다는 사실, 나아가 시구 vs 산문의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산문의 시학”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드러내는 일종의 증거일 것이다.

      • 중역(重譯)과 근대의 모험: 횡단과 언어적 전환이라는 문제의식에 관하여

        조재룡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인문학 Vol.4 No.2

        Double-translation [the act of translating not from an original but from another translation of an original] resists ordinary penetration through appropriation, homogenization, or heterogenization of the “language-culture” (Henri Meschonnic) and taps the possibility for language to bring novelty. The double-translation of the so-called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as well as the literary works born from double-translation, make possible the overthrow of such dichotomies as transplantation versus creation and ruler versus rul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lashes, bendings, and adjustments induced by this process of double-translation, it led to such things as the transformation of literary genres and the design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Ultimately, all the questions surrounding the issue of double-translation force us to acknowledge that Korea’s modern knowledge -- up till now -- has been rooted in colonial subordination, since it all came through double-translation (from the colonizing Japanese). If the result of the simple and mechanical transplantation through double-translation is nothing other than Korea’s modern knowledge, this leads us to say that, because of this,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language are subordinated to the Japanese translation/assimilation of (Western) modernity. The recognition of double-translation, whether that double-translation process was conscious or not, presents itself as a sensitive issue, for the discussion has always been about being for or against double-translation. If double-translation is indeed an act of translation, it activates reiteration of the practices of reading-writing, which is also re-reading-re-writing, within the interdetermination of Meschonnic’s “language-culture” through diverse means such as hybridity, realignment, overlapping, invention, and creation. In the process, a step was being made, for instance, towards an identifica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Double-translation has acted as “mutable mobile” (Michael Cronin), repeatedly adding and withdrawing writings and cultural elements. Therefore, the question of modernity (literary and scientific) in Korea is the question of double-translation. Breaking away from the context of the primary production of knowledge (from within the West) and its later reception (via Japan) amounts to a language practice that invents its own identity’s historicity within (as well as through) alterity. All the diverse categories of “re-writing” can only assume a language practice linked either to separation or crossing. The “re-” of “re-writing” doesn’t just mean mere repetition, but implies an interpretation both subjective and secondary, which tells that the practice of re-writing is a product of re-reading, that is, a criticism of the original (because it could do nothing but disclose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ere lies the value of all the double-translations attempted by Ch’oe Namson. Through double-translation, he originated the syntactical structure of modern Korean language, fixed punctuation, and designed a new vocabulary. Today, the prospects of double-translation are different because the historical situation is different. Double-translation is no more at the source of a complex, but it is instead recognized as the “mark of the translator’s efforts” (Kim Hyun). The fact that translation studies stress the need to consult previous translations in order to enhance one’s own translation tells us that double-translation is no longer a taboo or a mis-translation.

      • KCI등재

        Victor Hugo et la traduction de Ch’oe Namson - la double-traduction et la trans-formation de l’ écriture moderne du coréen

        조재룡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2 통번역학연구 Vol.16 No.2

        역사적 맥락, 특정 시대나 그 시대의 지식들, 그것의 사유 가능성과 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선험적인 잣대(직역/의역 따위)에 의지해서, 항간에 선보인 번역 작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역뿐만 아니라, 번역에 있어서도 일반론을 상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타당하지도 않다. 중역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것인 바로 이 때문이다. 개화기 근대문명과 현대사상을 수용하는 과정이 일본어를 경유한 거개의 작품을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한국어의 실험과 근대 에크리튀르의 창출에 기여하였다는 관점에서 중역을 바라보고자 할 때, 수많은 서양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한 최남선의 작업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받을 만한 시대적 증거이자, 번역적 실천을 통해 근대 한국어의 틀을 만들어내고, 언어의 혁신을 도모한 예로 간주하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최남선이 위고의 「레 미제라블」을 번역한 것은 원본을 참조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본을 저본으로 삼은 것이었다. 그러나 번역의 과정에서 일본어 번역본의 모사나 모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근대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확립한 것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의 「레 미제라블」번역은 ‘구두점’의 체계적인 사용을 바탕으로 근대 개념어(메이지에 고안한)와 일본식의 그것에서 왔다고는 말할 수는 없을 단어들을 조사와 종결어미 역할을 주로 담당하는 조선식 구어와 혼합해 새로운 ‘서기체계(書記體系, 에크리튀르)를 만들어내었다. 주목해야할 것은 ‘革命’이나 ‘近代’, ‘社會’나 ‘體系’와 같은 일본식 근대 한자어 단어에 ‘自誓’, ‘倏忽’, ‘隱沒’, ‘靜穏’, ‘閒暇’, ‘憎怨’, ‘專恣’, ‘牢確’, ‘紛擾’, ‘說諭’ 등의 전통 한자들이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통사법과 닮은꼴인 문장의 구조 전반에 녹아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개화기 전후에 시도되었던 ‘중역’은 일방적으로 일본어를 차용해온 기계적이고 수동적인 행위가 아니라 근대 한국어의 에크리튀르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내었던 근본적인 수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역은 ‘그대로 차용하는 번역’이라는 통념과는 동떨어진, 글쓰기의 실험을 도모할 방법이었으며, 중역을 바라보는 관점은 문학과 문학사, 에크리튀르의 전환 언어와 타자에 드리워진 다양한 인식들이 갈라서고 대립하는 교차로를 형성한다. 서구의 근대사상이 유입되고 언문일치를 궁리해 나간, 개화기 이후 진문(眞文)의 중심이탈을 촉진시킨 에크리튀르의 실험이 중역을 통한 번안 작업에서 착수되었다는 사실은 부정될 수 없는 것이며, 최남선을 위시한 당시의 번역 작품들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 근대문학의 수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자와의 대응관계를 고민하면서, 이후 근대 한국어가 자율적이면서 독립적인 체계를 형성해나가는 데, 중역을 통해 최남선이 주도해나갔던 에크리튀르의 재배치 작업과 그것이 추동한 영향력과 효과는 한국어의변화와 형성을 설명해주는 근간이자 새로운 언어 문화적 전환기를 맞아 식민지 지식인이 자국어 상실의 위기를 맞아 취한 이데올로기적 저항의 징표로 볼 수 있다. 메이지 일본의 물질문명에서 받은 ‘충격의 경험’(벤야민) 속에서 중국과 유교라는 ‘유일무이한 현존성’, 즉 ‘아우라’의 파괴를 감내해야 했던 중인 출신의 지식 ...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