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제품체험유형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과 소비자 특성의 조절효과 - 온라인 블로그 마케팅 중심으로 -

        김은아,김태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온라인 구매 시 거래 위험을 낮추기 위해 타인의 댓글이나 구매후기 등의 신뢰도에 따라 태도와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 제품체험유형의 경우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과 소비자 특성에 따라 온라인 구전효과에서 있어서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소비자 제품체험유형(쾌락적 vs. 실용적)의 경우 온라인 구전정보(메시지, 리뷰어)특성과 소비자 특성(정보추구성향, 지각된 행동통제)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차이를 이원분산분석 실험(2 X 2 Within Factorial Design)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쾌락적 제품은 TV, 실용적 제품은 전자레인지로 선정되었고,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과 소비자 특성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해 온 동의성, 양면성, 전문성, 유사성 등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구전효과 검증을 위한 종속변수는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로 측정하였다. 소비자 제품체험유형에서 쾌락적 제품이 실용적 제품보다 통계적으로 온라인 구전정보(메시지, 리뷰어)특성, 그리고 소비자 특성(정보추구성향, 지각된 행동통제)의 주효과는 모두 정(+)의 관계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품체험유형과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 그리고 제품유형과 소비자 특성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은 즐거움을 제공받는 쾌락적 제품일수록 더 외부로부터 정보 수집 및 탐색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온라인 블로그 마케팅의 경우, 메시지는 장단점이나 중립적인 제품의 사용 후기를 제시하고, 전문가보다 타겟층과 비슷한 리뷰어를 적극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Consumers read comments and reviews and their reliability affects their attitude and purchas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WOM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nformation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in types of consumer product experience. It was examined that the difference of consumer reaction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nformation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rough 2X2 Within Factorial Design. TV was selected as a hedonic product; Microwave as a utilitarian product. Also, positiveness, double-sidedness, professionalism and similarity were selec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WOM information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Brand attitude and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All the main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nform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was turned out to be high in hedonic products. Also, the interactive effect of product typ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at of types of product experience and WOM information were statistically considered. Consumers more actively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hedonic products. Also, it is effective to post the pros and cons of the products and neutral reviews as well as to marker using reviewers than experts.

      • KCI등재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 유형별 소비관련 특성분석: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에 따른 유형분류에 의하여

        홍은실 ( Hong Eun-sil ),복미정 ( Bok Mi-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인 지식과 태도, 실천 간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개인 소비자의 지식과 태도, 실천의 수준이 다를 수 있다는 전제로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를 기준(특성)변인으로 하여 조사대상자들을 유형화하였다.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소에 따라 분류된 소비자유형별로 소비관련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소비자지식과 태도, 실천의 구조적 관계와 역할, 기능을 규명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소비자원의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 데이터에서 노년기 고유의 특성이 강한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20대~50대 소비자의 자료 1,481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Ward의 계보적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던컨의 다중비교검증, 교차분석(χ<sup>2</sup>)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 구성요인 가운데 태도 점수가 가장 높고, 지식, 실천 순이어서 소비자역량을 구성하는데 태도의 역할이 컸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태도와 실천의 상관은 지식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군집분석의 유형분류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드러나 태도와 실천이 하나의 특성으로 반영되어 유형화되었다. 태도와 실천의 밀접한 관련성과 행동(실천)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를 소비자역량의 구성요인에 따라 여섯 집단 즉, 역량이 우수한 편인 3집단과 역량이 부족한 3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소비자역량이 높은 순서대로 배열하면 ‘역량우수’ 집단, ‘태도·실천우수’ 집단, ‘지식우수’ 집단, ‘태도·실천부족’ 집단, ‘지식부족’ 집단, ‘역량부족’ 집단이며, 비율로 살펴보면 ‘지식우수’ 집단이 28.7%, ‘지식부족’ 집단이 22.9%로 가장 많으며, ‘역량우수’ 집단이 14.7%, ‘태도·실천우수’ 집단이 13%, ‘역량부족’ 집단이 12.4%, ‘태도·실천부족’ 집단이 8.4%를 차지하였다. 지식과 태도, 실천의 소비자역량이 모두 높은 집단을 소비자역량에서 이상적인 집단이라고 한다면 조사대상자의 85.3%는 소비자역량 강화를 위한 소비자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to improve consumption life conditions and strengthen consumer competencies in order to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To this end, using the data of the Korea Consumer Agency's ‘2018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Korea’, adul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consumer competence, and consumption-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1,481 data were performed using SAS to analyze Pearson's correlation, cluster analysis of Wards, chisquare analysis,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consumer competence of adult consumers, consumer attitude score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knowledge and practice, indicating that attitudes play a greater role in constructing consumer competence and relatively less practice.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and practices was very high compared to knowledge,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also revealed in the classification of cluster analyses, reflecting attitudes and practices as one characteristic. This confirms the importance of attitudes as a determinant of their close relevance and behavior. Second, The adult consumers surveyed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namely three groups with superior capabilities and three groups with insufficient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three components of consumer capabilities. Groups with superior capabilities explored consumer information a lot, evaluated financial status positively, was satisfied with consumer life, was confident as a consumer, and was well-equipped with consumer civic awareness and consumer protection legislation. Groups with insufficient capabilities had very low levels of consumer information exploration and have very negatively assessed financial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consumer life, confidence and knowledge as consumers, consumer citizenship in our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nsumer protection legal system.

      • KCI등재

        국내결혼중개서비스 이용소비자의 가입단계별 이용 특성 및 소비자만족도

        김민정 ( Kim Min Jeung ),곽민주 ( Gwak Min Joo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결혼중개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문제와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여 소비자가 질 높은 국내결혼중개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2년 이내에 국내 결혼중개서비스를 이용해 본 소비자 324명을 대상으로 이용 특성과 소비자만족도 수준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이용 전 특성에서는 지인(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37.7%로 가장 높았으며, 이용하기 전 가장 우려하는 점은 ‘개인정보 노출’(23.8%)이었다. 이용 시 특성에서는 업체를 선택한 이유로 ‘잘 알려진 업체이기 때문에’(44.8%)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많은 소비자가 조건이나 결혼 성공률보다는 브랜드의 명성을 보고 업체를 선택하고 있었다. 주요 상담방법으로 대면보다는 비대면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가입비는 119만원이었다. 이용 후 특성에서는 결혼 성공률(10.8%)이 매우 낮았으며, 개선사항으로 가입비 인하(30.2%), 약정 만남 횟수 증가(24.1%), 등록된 회원에 대한 검증체계 보완(23.5%)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하위 영역별 소비자만족도는 서비스의 다양성(3.49점) > 서비스의 신뢰성(3.37점)> 부가혜택 서비스(3.29점) > 서비스의 가격(3.25점)의 순으로 나타나 가격 만족도 수준이 가장 낮았다. 특히, 소비자만족도를 측정하는 15개 문항 중에서 ‘업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입비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적절하다’라는 문항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들은 가입비 대비 제공되는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이용 특성에 따른 소비자만족도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격이나 이상형 매칭 등과 같은 업체의 본질적인 서비스를 보고 업체를 선택한 소비자는 대체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높은 반면, 브랜드의 명성이나 이미지 등을 이유로 업체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상담방법에서는 대면상담을 이용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이 비대면상담을 이용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보다 높았다. 또한, 평균 가입비보다 낮은 비용을 지불한 소비자,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이 있는 소비자, 결혼에 성공한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의 만족도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결혼중개서비스의 하위 영역별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4개의 하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 여부이었으며, 이성과 3회 이상 만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모든 하위 영역의 소비자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내결혼중개서비스업체들은 소비자가 원하는 이상형을 소개받아 지속적인 만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다 정교한 매칭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nsumer issues and satisfaction with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and propose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provide consumers with quality marriage brokerage service.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24 consumers that used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within the last two years to figure out their usag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efore using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and found that the highest percentage(37.7%) of consumers obtained information from their acquaintances(family, friends, and colleagues) and that their biggest concern was “exposure of private information”(23.8%). As for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the use of the service, the highest proportion(44.8%) of them chose an agency for “broad recognition,” which indicates that many consumers chose an agency for its brand reputation rather than conditions or marriage success rates. They received counseling mainly in non-face to face method instead of face to face one. The average membership fee was 1,190,000 w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fter using marriage brokerage service and found that their marriage success rate was very low(10.8%). They said tha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including lower membership fees(30.2%), more meetings under contract(24.1%), and reinforced verification system for the registered members(23.5%).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consumer satisfaction with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by the subarea and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the highest in service diversity(3.49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service reliability(3.37), add-on service(3.29), and service fees(3.25) in the order.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st in prices. Of 15 items to measure consumer satisfaction, “The membership fees are proper for the service provided by the agency” scored the lowest points, which means that consum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for its fees. Third,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consumer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consumer satisfaction was overall high when consumers chose an agency for its essential services such as prices and matching of ideal types. When they chose an agency for its brand reputation or image,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low. The consumer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face to face counseling methods than non-face to face ones.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hen consumers paid less than the average membership fees, met with three spouse candidate or more, or succeeded in marriage. Finally, the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subareas of marriage brokerage service in the nation. The results show that meeting with three spouse candidates or mo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of the four subareas. Those who met with three spouse candidates or more recorded a high satisfaction level across all the subarea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marriage brokerage service providers in the nation to develop a more sophisticated matching program so that consumers can have their ideal types introduced to them and maintain meetings with them.

      • KCI등재

        채식주의 관련 소비자 특성의 차이 및 식물성 대체육 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현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0 No.1

        채식주의와 식물성 대체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채식 관련 연구는 건강, 영양학 관점에서 탐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채식 및 식물성 대체식품 소비의 의사결정 주체인 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채식 형태와 채식 동기에 따라 채식주의자를 구분하고, 이러한 구분에 기반한 소비자 집단 간의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식물성 대체육 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더불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과 소비행동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채식주의와 식물성 대체식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2년 식품 소비행태조사’에서 확보한 주 구입자와 성인가구원 설문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첫째, 채식 형태에 따른 소비자 집단, 즉 완전채식, 준채식, 간헐적채식 집단 간 여러 특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월평균 가구소득, 1인가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인적 특성 대부분에서도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둘째, 채식 동기에 따른 소비자 집단, 즉 건강지향, 다이어트지향, 환경/동물복지지향 채식 집단 간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월평균 가구소득, 1인가구를 포함하는 모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개인적 특성에서도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다수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셋째, 1인가구, 권익 역량, 책임의식 역량, 다이어트 관심도, 국산농산물 관심도, 친환경식품 관심도, 건강 상태, 채식 형태, 식물성 대체육의 의미에 대한 인지 여부가 소비자의 식물성 대체육 섭취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과 소비 행동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Despite growing interests in vegetarianism and plant-based alternatives among consumers, many studies on vegetarianism and plant-based alternatives have been conducted from health and nutritional perspectives. This study aims to concentrate on consumers themselves who are the primary decision-makers in adopting vegetarian diets and consuming plant-based alternatives. By categorizing vegetarian respondents based on the types of practicing vegetarianism and their motives for adopting vegetarian diets, this research seeks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among these consumer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intention to consume plant-based meat alternatives. To validate the research questions, we used data obtained from the “2022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s” conducted by the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and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of primary food purchasers and adult members in their households. The result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consumer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vegetarianism, namely strict vegetarian, vegetarian, semi-vegetarian groups. Notably, substantial distinctions were observed in many consumer characteristics among these group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in gender, age, residential area,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living in a single-person household. Additionally,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se groups. Secondly, among consumer groups based on their motives for adopting vegetarianism, that is health-oriented, diet-oriented, and environment/animal welfare-oriented vegetarian groups, the result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living in a single-person household. Further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se groups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such as living in a single-person household, competence in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competence in consumer responsibility, interest in dieting, interest in domestically grown produce, interest in eco-friendly foods, health status, types of vegetarianism,, and awareness of plant-based meat alternativ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intentions to consume plant-based meat alternatives.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to enhance consumers’ sustainable dietary practices and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중국 왕홍 라이브 방송특성과 패션제품 평가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가,이영숙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0

        본 연구는 왕홍 마케팅 라이브방송에 관심이 있는 중국 우한(武汉)지역의 여대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여 중국 왕홍 라이브방송특성과 패션제품 평가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우한시에 거주하는 4년제 여대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2023년 3월30일부터 4월15 일 기간 동안 총 370부를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351부가 최종 분석자료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제품 구매 시 패션제품에 대한 감정이 명확할수록 소 비자가 적극적으로 구매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패션제품 평가의 왕홍 라이브방송 특성에 대한 지각 정 도가 높을수록 패션제품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왕홍 라이브방송에 대한 지각 정도 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패션제품 평가 특성에 대한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왕홍 라이브방송의 정보성, 상호작용성, 신뢰성, 매 력성, 오락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패션제품 평가의 유용성, 신뢰성, 정 보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비자 태도의 지각 정도가 높읖수록 구매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왕홍 라이브방송특성과 패션제품 평가특성은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기업의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며 구매의 활성화로 이 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This study selects female college students in Wuhan (武汉), China, who are interested in live broadcasting of influencer marketing.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influencer live broadcasting characteristics and fashion product evaluation characteristic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370 copies were distributed online from March 30 to April 15, 2023, to consumers of four-year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Wuhan, China, and 35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earer the feeling of fashion products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consumers will actively purchase them.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live broadcasting in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Third, the higher the consumer's perception of influencer live broadcasting, the more positive the consumer's attitude was. Fourth, the higher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duct evaluation, the more positive the consumer's attitude was. Fifth, the information, interactivity,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ntertainment of influencer live broadcast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reliability, and informability of fashion product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eventh,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ption of consumer attitude,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fluencer's live broadcasting characteristics and fashion product evalu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m as marketing data for companies and lead to vitalization of purchases.

      • KCI등재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소비자 특성과 수용의도의 관계모형 검증: 무인 피트니스 센터 이용을 중심으로

        서재열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intentions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confirm the growth potential of the unmanned fitness center market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find marketing measures suitable for consume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500 people who continuously use the gym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itness community from August to September 2022. A total of 454 copies were collected, and all of them were encoded and used for research.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consumer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ease of use and usefulness, but relational consumer characteristics did not. Second, innovative consume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but relational consume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unmanned fitness cen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This means that consumer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roduction of unmanned Fitness centers, and marketing measures that can be appealed to consumers with innova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sough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여 소비자 특성과 수용의도의 관계모형을 검증하여 무인 피트니스센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소비자 특성에 맞는 마케팅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육관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500명을 인구로 정하고, 2022년 8월부터 9월까지 피트니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454부가 수집되었으며, 모두 암호화되어 연구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혁신적 소비자 특성은 사용 편의성과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적 소비자 특성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적 소비자 특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적 소비자 특성은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인휘트니스센터의 이용편의성과 유용성이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 피트니스센터 도입에 소비자 특성을 고려하고, 혁신적인 특성을 가진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소비자 특성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김신혜,이주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make them active in product planning and design for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differed among three groups about clothing shopping tendency. Secon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nd household inco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attitud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attitude toward environment - friendly behavior.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 toward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according to experience / non - experience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attitude toward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for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purchase experie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product planning and design direction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에 대한상품기획 및 디자인에 적극적인 활용이 될 수 있게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특성에따른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의 차이 연구에 목적을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쇼핑성향에 대하여 3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집단 간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비자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특성 중, 성별과 가계수입에서는 소비자의 태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태도에있어 친환경행동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 경험 유/무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지속가능한패션상품 인증마크 제품 구매 경험 유/무에 대한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상품 인증마크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비자 특성, 지각된 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농식품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이명관,박상혁,김연종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1

        After the 2020 Corona 19 pandemic, consumers' online consump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non-store online retail channels are showing high growth. In particular, social media is gaining its status as a social media market where direct transactions take place in the means of promoting companies' brands and products. In this study,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are different in choosing online shopping media such as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and SNS market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open social media and closed social media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We tried to find out what type of product is preferred in the selection of agri-food products. For this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erceived risk of consumers, and dietary lifestyl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online shopping media type and product selection.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When consumers purchase agri-food onlin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er perception risks, and detailed factors of dietary lifestyle in selecting shopping channels such as online shopping malls, open social media, and closed social media. Appeared to be. The consumers who choose the open SNS market ar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with lower household income, and higher in consumers seeking health and taste. Consumers who choose the closed SNS market were analyzed as consumers who live in rural areas and have a high degree of risk perception for delivery. Consumers who choos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hav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high personal income, and high consumers seeking taste and economy.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by providing a basis for judgment to farmers who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an online shopping medium suitable for their product characteristics. As a shopping channel for agri-food, social media is not a simple promotional channel, but a direct transaction.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s approached as a market that arises.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에 소비자들의 온라인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무점포 온라인 소매판매채널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을 알리는 홍보수단에서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SNS마켓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 달라진 소비자들의 행동변화가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과 폐쇄형 SNS마켓 등의 온라인 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농식품 제품 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유형의 제품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 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로 설정하여 온라인 구매채널 유형과 농식품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 폐쇄형 SNS마켓 등의 쇼핑채널을 선택하는데 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자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고, 가구소득이 낮으며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폐쇄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지방에 거주하며 배송에 대한 위험인지도가 높은 소비자들로 분석되었다. 기존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학력이 높고 개인소득이 높으며 맛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제품특성에 적합한 온라인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에게 판단의 단초를 제공하여 실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농식품 쇼핑채널로서 소셜미디어를 단순 홍보채널이 아닌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마켓으로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역량

        김정현 ( Jung Hyun Kim ),최현자 ( Hyun 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복잡해진 금융환경 하에서 금융소비자가 자생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소비자 재무관리역량에 주목하여, 체계적인 척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재무관리역량 실태를 조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소비자 재무관리역량 측정 척도를 이용하여 대규모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재무관리역량의 구성요인별 접수와 역량 총첨의 개략적 모습을 살펴보고, 개인의 특성, 재무적 특성,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재무관리역량 점수를 분석하였다. 전국 20세 이상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4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재무관리역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재무관리역량 총점은 100점 만점에 평균 63.14정을 나타내어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성요인별로는 지식역량 접수가 가장 높고 기능역량 점수가 가장 낮아 실천적 역량의 부족이 입증되었고, 하위영역별로는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영역의 역량 점수가 가장 높았고 노후설계 및 위험 관리에 관련된 역량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재무관리역량 수준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는 사람인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구성요인별 역량 점수 및 역량총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태도나 지식 등 인지적 측면의 역량은 서울 외 수도권과 중소도시/읍면부 거주자가 더 우수한 점수를 나타낸 반면, 기능역량은 서울시와 광역시 거주자들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서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재무적 특성과 재무관리역량 수준 간 관계를 고찰한 결과, 생활비 수준이 높을수록, 저축투자를 많이 할수록, 저축성향이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에 태도, 지식, 기능역량이 모두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금융자산 및 부동산이 많을수록, 소득 및 생활비 대비 금융자산이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 금융자산 대비 총부채액수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 그리고 투자성향지표와 유통성지표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기능역량이 우수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및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중~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만족도 점수에 따라 재무관리역량 수준에도 차이가 있어서 객관적·주관적 재무적 특성이 더 나은 사람들이 재무관리역량 수준도 더 우수하였다. 다섯째, 재무적 특성과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재무관리역량을 살펴본 결과들로부터, 소비자의 재무적 복지에 가장 긴밀한 연관이 있는 구성요인은 기능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실천적 역량에 초점을 둔 금융교육 및 정책의 고안, 재무관리에 있어서 부족한 역량을 보충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강조, 기능역량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원 및 인프라에의 접근성 확보, 재무적 복지 향상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재무관리역량 증진 필요성, 체계적으로 재무관리의 실천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의 고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inancial competency of Korean consumer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financi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To measure financial competenc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revious study was us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1,045 subjects, who were managing their own financial lives and aged 20 and over, were selec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competency of Korean consumers was not satisfactory. They scored 63.14 of 100 points on average. To be detailed, the highest score came from the knowledge component and the lowest point was obtained in the skill component, which indicates that they do not tend to make the use of their knowledge. As for the sub-categories, they showed the highest quality in managing their income and spending, while recording the lowest point in retirement planning and risk management.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financial competency found that consumers who were older-aged, male, with higher education, having job obtained higher scores in each component and total scores. By the location of residence, the scores for cognitive components such as the attitude and knowledge were shown higher among people living in small and mid-size city areas, while the point for the financial skills was recorded higher among people from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Third, the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consumer financial competency showed that the scores for the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were higher when living enpenses are higher, the amount of savings and investment is more, and the standard of propensity to save is met. Particularly, the financial skill was higher when the people own more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their financial assets meet certain requirements compared knowledgincome and living enpenses, their total debt amount knowledgfinancial assets meet certain requirement, and theedginvestment tendr the nd liquidity indices meet certain levels. Fourth, the satisfaction of Korean consumers with their living standards and financial circumstances were found to range from moderate to low. The satisfaction scores were also related to their financial competency and people with advanced financial characteristics showed higher competency to managing their financial affairs. Fifth, as for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t was the skill component that wa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consumer financial welfare. As developing the functional skill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help improve the welfare, focusing on making people act on real1ife will help when educating consumers on financial managemen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guidance for policy-making and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and enhance their financial welfare, and provide the foundation to produce sound, responsible and competent consumers in financial market.

      • KCI등재

        소비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성격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박수연(박사) ( Su Youn Park ),황진숙(교신저자,교수) ( Jin Sook Hw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였다. 소비자들의 사고와 가치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들 중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성격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패션/뷰티TV 미디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최종 631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성격특성 요인은 성실성, 모험성, 사교성, 민감성, 정감성 5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패션/뷰티TV 미디어 이용은 이용시간, 우연노출, 관심이용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소비자의 특성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패션/뷰티TV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용시간, 우연노출, 관심이용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종합해 볼 때 30대 연령에서 관심이 많았다. 끝으로 성격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용시간과 관심이용은 모험성에서 영향력이 나타났고, 우연노출은 사교성, 민감성, 모험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 중 모험성 성격은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시간이 높으며, 우연노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관심이용으로 까지 연결될 수 있는 성격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패션/뷰티 TV미디어의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소비자가 자신의 특성에 따라 제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구입방법, 구입매체 등의 신뢰도는 소비자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지표임에 틀림없다. 도출될 결과들은 소비자들의 특성이 패션/뷰티 TV미디어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예측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패션/뷰티 시장 세분화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표적고객 대상으로 성장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sumers``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characteristic analytical instrument on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It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raits, great influencers on their thinking and value view, exerted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In the research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 It was made up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for the consumers with experiences of using fashion/beauty TV media. Final data obtained from 631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five personality trait factors such as sincerity, adventurousness, sociability, sensitivity and warmth.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was set as the hours of use, accidental exposure and attentive use. Second, the consumers in their 30s had great interests in the hours of use, accidental exposure and attentive use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fashion/beauty TV media. The hours of use and attentive use had an effect on adventurousness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ir personality traits on the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of adventurous personality spent a high number of hours on fashion/beauty TV media and responded sensitively to accidental exposure which could lead to attentive use of the media. Fashion/beauty TV media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consumers. It is certain that in purchasing the produc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ir confidence in the method and media of purchase is a good indicator for estimating them.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elicited findings not only help estimate how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use of fashion/beauty TV media, but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segmented fashion/beauty market strateg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the growth potential within the target consumer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