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崔述의 저술에 나타난 孔?孟과 弟子들의 位相

        박준원(朴晙遠)(Park, Joon-Won) 대한중국학회 2015 중국학 Vol.52 No.-

        최술은 韓愈의 原道에 나오는 道統論을 인용하여, ‘공자가 堯-舜-禹-湯-文-武-周公-孔子로 이어지는 道統의 전수자’라는 절대적인 위상을 설정하고 있다. 맹자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春秋戰國時代를 거치며 亂世로 접어드는 혼란 속에서 孔子이후의 道統의 전수자로 孟子를 설정한 것이다. 최술은 ‘孔子를 존재할 수 있게 한’ 孔子의 弟子들에 대해서도 각별한 애정을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그는 공자의 弟子24人을 德과 功勞에 따라 顔子부터 子思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이들의 행적을 상세하게 고증하였다. 공자제자들의 위상을 순차적으로 설정하면서, 최술은 기존의 이른바 ‘孔門十哲’을 과감히 해체했다. 현재 成均館文 廟配享順位에 포함된 孔門十哲중에서 12. 子游, 13. 子夏, 14. 子張, 15. 宰我, 16. ?有5인이 10위권 밖으로 빼고, 8. 有子, 9. 原思, 10. 公西華, 11. 子賤4人을 이들보다 훨씬 앞선 순위에 배치시킨 것이다. 또한 최술은 孟子 의 내용을 정치하게 분석하여 孟子 에 등장하는 제자들의 행적을 추적하고 공과를 분류하였다. 그는 이들을 樂正子?公都子?屋廬子, 萬章?公孫丑?充虞과 같은 “수준 높은 제자[高第弟子]” 두 그룹, 陳臻?徐?과 같은 “차등의 제자그룹”, 그리고 陳代?彭更?咸丘蒙?桃應과 같은 “제자의 여부를 단정할 수 없는 그룹”까지 4등급으로 나누어 철저하게 고증하고 있다. Choisul(崔述)(1740-1816) is the historical research scholar in the Qing Dynasty. By writing Gosinrok(考信錄) known to be the best result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in the Qing Dynasty during his entire lifetime, he was evaluated to have made a new epoch in research on the ancient Chinese History. The status of Confucius and Mencius can be said to have been more firm in the moral philosophy genealogy of Confucian School. By the way, as presented by Hanyu in Dotongnon, the status of Confucius and Mencius was set separately and his view on the level and stage their disciples reached was also expressed in the above-mentioned Choisul’s writings. Citing Dotongnon(道統論) shown in Hanyu(韓愈)’s「Wondo(原道)」, Choisul set the absolute status of ‘Confucius is an initiator of Dotong(道統) leading to Yao(堯)- Shun(舜)-Wu(禹)-Tang (湯)-Mun(文)-Mu(武)-Jugong(周公)-Confucius(孔子). This is similar to the case of Mencius. In the chaos entering a turbulent age through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Mencius was set as an initiator of Dotong(道統) after Confucius. Choisul also showed great interest in writers and disciples of Confucius and Mencius who ‘made Confucius and Mencius.’ Hence, by sequentially arranging Confucius's 24 disciples and other 12 people from Anja(顔子) to Jasa(子思) depending on virtue and merit, he historically studied their achievements in detail. While setting the status of Confucius’s disciples, Choisul boldly disorganized existing so called ‘Gongmunsipchul(孔門十哲: Confucius’s excellent 10 disciples)’. Of ‘Gongmunsipchul(孔門十哲)’, he excluded 5 people of Jayu(子游), Jaha(子夏), Jajang(子張), Jaeah(宰我), Yeomyu(?有) to 12th ? 16th, outside the top 10 and arranged 4 people of Yuja(有子), Wonsa(原思), Gongseohwa(公西華), Jacheon(子賤) in 8th ? 11th, much more advanced ranking than them. In addition, he traced and classified the achievements of the disciples appearing in 《Mencius》and thoroughly studied by dividing them into four grades from ‘eminent disciples’ such as Akjeongja(樂正子), Gongsonchuk(公孫丑), Manjang(萬章) to the group unable to conclude whether they are disciples or not.

      • KCI등재

        儒家哲學의 발생과 王充의 孔孟비판

        丁海王(Jung, Hae-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2 No.-

        儒家사상의 원조인 孔子와 孟子의 사상은 중국문화사에서 종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사고의 초기의 발단을 대표한다. 중국문화사에서 종교적 사고는 감성적, 天 중심적 문화이며, 철학적 사고는 이성적, 인간 중심적 문화이다. 孔孟사상은 전자의 사고에 대해 후자의 사고를 발휘, 고양시킨 의의를 갖는다. 孔孟사상은 비록 철학적 사고의 대표였지만, 이후 전개된 정치상황의 영향으로 왜곡, 변질의 과정을 겪게 된다. 원래 儒家사상은 脫종교, 反종교를 기치로 하였지만, 漢王朝의 儒學은 도리어 종교적 사고로 회귀하였다. 왕조의 정치적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통치이념에 종교적 권위를 불어넣은 것이다. 王充은 이러한 종교적 성격의 儒學을 반대하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이러한 유학의 신비화 과정에 동원된 孔子, 孟子의 신격화도 반대하고 비판하였다. 게다가 王充은 단순히 孔子, 孟子의 신격화에만 반대한 것이 아니라, 孔子, 孟子 사상 자체와 孔子, 孟子 인물 자체도 검증하였다. 王充은 이러한 방법과 태도로 孔子, 孟子를 검증한 결과, 그들의 언행과 인격에 적지 않게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면서 그러한 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孔子와 孟子는 비록 종교적 사고를 극복하고 철학적 사고를 제창한 중국철학의 개창자이면서 유가철학의 원조이지만, 그들은 오히려 漢王朝의 종교적 통치이념수립에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사상자체도 철저히 철학적, 합리적 학문태도를 가진 王充에 의해서 다시금 학문적으로 검증되는 역설적 상황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as the progenitor of Confucianism, represent the beginning of philosophical thought against religious thought in the history of Chinese cul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culture, religious thought is emotional, Heaven-centric culture, on the other hand philosophical thought is rational, human-centric culture.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have significance for exhibition and enhancement of the latter against the former. Although the thoughts had been the representative of philosophical thought, they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istortion and transmutation out of the influence of the following political situation. Confucianism was originally the thought of assuming a definite attitude of de-religion and anti-religion, but Confucianism of Han dynasty had rather returned to religious thought. It means, in essence, that religious authority is inspired with in ruling ideology in order to intensify political authority of the dynasty. Wangchong had opposed and criticized the Confucianism having religious character like this. And at the same time he had also opposed and criticized the deifica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mobilized in the process of mystification of Confucianism. Besides, he not only had opposed just the deifica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but also had verified the thoughts themselves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the personalities themselves of Confucius and Mencius. He had verified Confucius and Mencius using the method and attitude like this, as a result he had thought he had discovered the substantial problems in their sayings and doings and their personalities, and he had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 problems. From this point of view, although Confucius and Mencius had been the progenitor of Chinese philosophy, particularly Confucianism, who had overcome religious thought and had advocated philosophical thought, they had rather been exploited in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ruling ideology of Han dynasty, furthermore it result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even their thoughts themselves had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again by Wangchong who had a thoroughly philosophical and rational attitude of studying.

      • KCI등재후보

        孔·孟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

        박동인(Park Dong-I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이 글의 목적은 孔 : 孟 禮法觀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차적으로(순자 예법관까지 고려한 표현) 先秦 儒家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漢代 이후 유가의 다양한 예법관을 살펴보기 위한 기준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賈誼를 거쳐 董仲舒에 의해 비로소 정착하게 되는 禮主法輔 구조의 연원을 이해할 수 있다. 여하튼 연구결과 공 : 맹의 예법관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禮 개념의 함의와 역할(=기능)에 관한 것인데, 공자는 이것을 사회 : 정치적인 등급제도와 나라를 다스리는 강령(道) 및 개인수양의 요체로서의 행위규범으로 풀고 있다. 이에 비해 맹자는 그것을 사람이 타고 나면서 갖추고 있는 선한 단서 중한 요소와 인간 내면의 仁義를 원활하게 드러내는 표현형식, 그리고 공자의 예론을 계승해 정치질서(=통치규범)와 군자가 행위의 표준으로 삼는 도덕준칙(=규범)이라 풀었다. 이것을 통해 볼 때 맹자는 공자의 예를 수용하면서 공자에게서는 외재적이었던 禮 개념을 인간 내성의 4가지 요소 중의 하나로 규정했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외재적인 예악전장제도의 성립근거를 확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외재적인 예악제도에 착념하지 않고, 오히려 내성에 근거한 도덕수양과 그것에 기반한 仁政을 강조했다. 둘째는 법 개념의 수용과 그것의 활용에 대한 것인데,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처벌규정’ 정도라 규정할 수 있다. 즉 禮를 어겼을 때,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직책 및 공적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처벌규정 이외의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기본적으로 西周 이래의 전통적인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부정적이기는 하지만 성문법으로서의 刑書에 대해 의식하고 있었다. 한편 맹자는 공자의 ‘처벌규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법가의 ‘法’의 존재를 보다 분명하게 인정하고 있다. 즉 성문적인 ‘法’도 ‘刑罰’도 인정했던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법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형벌을 대폭 축소할 것을 주장하고, 특히 이것을 운용할 주체로서의 才德을 겸비한 군자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 禮와 法이 공존하면서 각자 치국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사람은 荀子에게서 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비록 禮를 주로 法을 보조로 삼는 것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Then in the first place(an expression which make allowance for Xunzi’s the view on rite and law), there is to inquire the Confucianism of pre-Qin’s the view on rite and law. Go through this, we can secure a standard for look into the Confucianism’s a several view on rite and law after Han-dynasty. And we can understand an origin of the structure of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禮主法輔)’ which was settled down rely on Dong Zhong-Shu(董仲舒) pass through Jia-Yi(賈誼). Anywa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First, as relating to the concept of rite’s significant meaning(含意) and role(=function), Confucius interpreted them as the social and political rating system, the platform to govern the country, and code of conduct as the essence of personal discipline(=the cultivation of the mind of private). In comparison, Mencius interpreted them as an element of a good clue which was equipped that someone born, a form of expression that the benevolence and uprighteousness(仁義) of inner side of humankind come out smoothly, and the political order in succession to Confucius’s theory of rites and the moral standard that a man of virtue think as a standard of conduct. When viewed through this, Accepting Confucius’s theory of rites, Mencius stipulated that a rite’s concept which was extrinsic in Confucius changed as one kind of four good elements in human, and in doing so, we knew that a basis of establishment of li-yue-dian-zhang-zhi-du(禮樂典章制度) which was extrinsic secured. But he emphasized a moral discipline(道德修養) which based on good nature in human rather than concentrate upon extrinsical li-yue-zhi-du(禮樂制度). And he emphasized a policy of benevolence(仁政) which based on a moral discipline. Second, About an acceptance and use of the concept of law, Confucius’s view about the law can regulate as a meaning of ‘penalties’. In other words, When someone was broken rites, it is ‘penalties’ that punish him as considering the person’s identity or position, and achievements. Therefore, Confucius’s view of the law can say not much different the traditional viewpoint since western zhou dynasty(西周) basically. However, Even though he is negative for it(the law), he is conscious being of the book written penalty(刑書) as written law(成文法). On the other hand, Mencius has been more clearly recognized Legalist school’s presence of the law more than Confucius’s ‘penalties’. In other words, he recognize the law as written law and penalty(刑罰). But he has had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law. And he claimed that significantly reduce penalties.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role of man of virtue(君子) who is owned talent and virtue as the main agent to operate it. Therefore, although it was working the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 in the true sense, Xunzi(荀子) could was co-existed rite and law. And he used it as a tool to govern the country.

      • KCI등재

        Confucius’ Golden Rule and Its Reformulations by Mencius and Xunzi: Shu 恕, the Commonality-Premise, and Human Nature in Pre-Qin Confucianism

        ( Lee Junghwa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8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30

        本文主要目的是爲孔子和他的繼承人之間在“恕”方面發生重大的知識轉變,以及孟子與荀子的分岐,提供一個哲學說明。但在目前有關儒學黃金率和先秦儒學史的硏究中,這一問題仍未被充分檢驗。孔子提出了恕是一種最高級的道德原則與“仁之方”。他對黃金率的最早形成給予了極大的重視。此外,這一道德原則在《論語》中高度一致地表達出來。盡管如此,原來的表達方式很快就消失了,幷且在古代儒家經典中,此原來的表達方式被各種形式的重新表述全面取代。 關於這些問題,本硏究表明了以下幾點:黃金率一般是以人類共同性爲前提。近代時期反對黃金率的强加問題出現,不是由於其道德原則的內在缺陷,而是由早期近代從人類共同性到個人差異的前提轉變。同樣,根據人類共同觀點的變化,孔子和他的繼承人之間發生了劇烈的轉變。孟子與荀子對恕的觀念也有顯著差異,因爲關於孔子人性觀,他們之間存在著巨大分岐。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resent paper is to offer a philosophical account, first, as to a significant intellectual transition, which occurred between Confucius and his successors with regard to shu 恕, and, second, about the divergence between Mencius and Xunzi, both of which remain under-examined in current studies of the Confucian Golden Rule. Confucius proposed shu as a highest-order moral principle as well as “the method of [realizing] ren 仁,” thus conferring enormous weight on this, the earliest formulation of the Golden Rule in human history. He also expressed a conviction in the desirable consequences that the practice of this concise precept would generate. Additionally, this moral principle was expressed with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in the Analects. Nonetheless, the original shu formulation of Confucius quickly faded away, and it was replaced comprehensively with diverse forms of reformulation in the post-Confucius classics of ancient Confucianism. Concerning these issues, the present study shows the following: The Golden Rule in general, including shu, is grounded on the premise of human commonalities. The so-called imposition-problem, which constitutes the central idea of modernist objections to the Golden Rule, arises from the transition of the underlying premise from human commonalities to interpersonal differences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rather than its inherent defect or incompleteness as a moral principle. Likewise, a drastic transition in formulating shu occurred between Confucius and his successor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revailing views on human commonalities. Th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Mencius and Xunzi in reformulating shu also coincided with a great divergence between them in articulating Confucius’ view on human commonalities in the form of the metaphysical concept of human nature (xing 性)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후보

        중국 음식문화 속에서의 "孔孟食道"

        조영광,박기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7 No.4

        The theory-the doctrine of Confucius and Mencius was and objective existance in Chinese dietary culture history, but it was ignored in the last two thousand years. In addition, some people misunderstood Confucius' and Mencius' diet opinions, thoughts, theories and basic style in their diet experiences. Confucius' diet experience and Mencius' diet experience were alike, and Mencius' experience carried on Confuius' and theirs were the same in some sections. They all stay their diet standard to their stomach and don't persue good meal. They all thought resolving people's diet was important for a country and for the politic problems. Mencius succeeded Confucius' diet thoughts and put them to the theories-diet principle, diet standard, and diet morality. This paper deeply discusses theory, developing history condition and the affection and position in Chinese diet history of the doctrine of Confucius and Mencius.

      • KCI등재

        공맹(孔孟)이 제안하는 행복의 길 - 행복관의 분석과 그 현대적 적용을 중심으로 -

        김형중 ( Kim Hyeong-j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오늘날 행복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특히 행복은 종종 우리 삶의 궁극적 목표로 간주됨으로써 행복을 추구할 권리는 우리의 존엄과 가치를 지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은 전세계의 국가들 사이에서 그다지 행복하지 않는 나라에 속한다. 상당한 경제성장, 최근의 열성적인 행복 추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사회의 행복지수는 올라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 사회의 문제 상황에 대해 공자와 맹자라면 행복에 관한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가지는 한계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한 현실성 있는 대안의 모색이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현재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행복` 개념의 다양성을 통시적 접근으로 검토하고 현재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주류적 의미를 바탕으로 공자와 맹자의 행복관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사회가 여전히 불행한 이유나 조건,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적합한 대안을 공자와 맹자가 어떻게 제시할 수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것은 국가, 사회, 개인의 차원에서 논의될 것인데, 경제적 불평등의 완화를 통한 평등한 행복, 사회적 연대의 상실을 극복하는 함께하는 행복, 쾌락적 행복 추구에서 벗어나 자아의 성숙을 이루는 행복의 추구로 다루어질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at why our society is currently still not happy despite the frenzy of happiness, and if Confucius and Mencius are living in today whether they suggest any way of happiness. The paper made from very basic perspectives such as this, the discussion will proceed as follow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I review an existing research on the happiness of the Confucius and Mencius. Second I throughly analyses the conditions and pursuit of happiness in Korea. Based on this, I will discuss that if Confucius and Mencius is here in korean society, what they will suggest. Particularly, the concept of `Happiness` has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e condition of happiness also may vary from time.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analyze and distinguish the concept and condition of happiness. Based on this, the classical east thinkers discussed what is happy and they will say how we are happy in the modern world. I think this approach is reasonable.

      • KCI등재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논어(論語)』론 -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을 중심으로 -

        정일균 ( Jeong Il Gyun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60

        이 논문은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에서 표명된 박세당(朴世堂)의 경학사상(經學思想)을 특히 ‘『논어(論語)』의 주요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과 ‘『논어사변록』에 나타난 경전해석태도’를 중심으로 일별하였다. 이를 전제로 『논어사변록』에서 박세당이 보여주고 있는 경학사상의 특징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학문방법론과 관련하여 수사학(洙泗學) 본연의 ‘구체적 실천성’과 ‘능동적 작위성’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특히 ‘『논어』의 주요개념’, 즉 ‘인(仁)’, ‘경(敬)’, ‘중(中)·용(庸)’, ‘학(學)’ 및 ‘정(政)’ 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에서 공통적으로 관철되고 있는바, 이는 곧 당시 조선 학계가 어느덧 노정하기 시작했던 하나의 경향성, 즉 비근하고 절실한 실천은 외면한 채 멀고 심오한 논리에만 매달리는 ‘엽등(躐等)의 폐단’과 아울러 한편으로 인간의 내면적 수양의 문제에다 일차적으로 초점을 맞춤으로써 은연중 이러한 경향성을 조장했던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②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자신의 ‘경전해석태도’를 개진·천명하는 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곧 ㉠ 그의 경학사상이 정주성리학의 세계관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적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서 ‘대안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단계에까지는 여전히 진전되지 못하고 있었음을 함축하고 있다. ㉡ 그럼에도 그가 자신의 경학세계의 기본방향을 ‘수사학의 지향’으로 정립하는 가운데 일련의 독자적인 경전해석태도를 천명·실천함으로써 당시 조선사회에서 어느덧 교조화의 양상을 보이던 노론(老論)의 주자도통주의(朱子道統主義)에 심대한 균열을 야기했다는 맥락에서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이단적 사상가의 한 명이었음을 증언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③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자신의 경학적 입장과 관련하여 무조건 주자학을 비판·거부하는 것으로 일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경학적 입장은 결코 ‘반주자학(反朱子學)’에 있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요(堯)·순(舜) 이래 전수된바 ‘수사(洙泗)의 가르침’, 즉 ‘공맹(孔孟)의 본지’을 추구한다는 나름의 학문적 문제의식을 수미일관 견지함으로써 특히 정주성리학 역시 상대화하는 가운데 이를 독자적 입장에서 취사선택하는 안목과 역량을 보여준 바 있다. 이로써 그는 조선후기 ‘탈주자학적(脫朱子學的) 경학’의 흐름을 선도했던 실로 예외적인 사상적 거장 가운데 한 명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re examined briefly, centering around ‘his original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which are expressed especially in his Noneosabyeonrok(『論語思辨錄』, the Records of Prudent Meditation and Precise Distinct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On the assumption of thi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ppearing in his Noneosabyeonrok are as follows: ①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Confucian learning, Park Se-dang emphasized ‘concrete practice’ and ‘positive action’ which were deemed to be inherent in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consistently. His stand above mentioned is carried out commonly in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such as ‘In(仁, Ren, humaneness or humanity)’, ‘Gyeong(敬, Jing, reverence)’, ‘Jungyong(中庸, Zhongyong, the mean in common practice)’, ‘Hak(學, Xue, learning)’ and ‘Jeong(政, Zheng, politics)’. And his aforementioned interpretations implied criticisms on the one hand against the tendencies of Confucian learning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toward holding on to esoteric principles whole-heartedly while neglecting familiar and urgent practices,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Cheng(程)-Zhu(朱) school which had fostered the above-stated tendencies implicitly through emphasizing the inner cultivation of the mind above all. ② Concerning the contents composition of his Noneosabyeonrok, Park Se-dang layed emphasis on explaining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This fact does mean not only that hi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was not yet advanced to the phase of build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through the full-scale dismantl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that of the Cheng-Zhu school, but also that in spite of this he was one of rare heretical Confucian thinkers at his time because he gave rise to serious dama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safeguarded dogmatically by Noron(老論, the Old Doctrine faction) through his emphasis on the spirit of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and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③ In connection with his position to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Park Se-dang didn’t criticize and reject that of the Cheng-Zhu school unconditionally and mechanically in his Noneosabyeonrok. In this sense, he wasn’t an all-out antagonist to the Cheng-Zhu school nor a Confucian scholar insisting upon ‘Anti Neo-Confucianism’ at all. He rather was one of initiative and great Confucian thinkers who had led the way to ‘Post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孔孟思想이 지닌 體育의 道 -忠 ․ 恕, 爲己之學 ․ 爲人之學-

        주동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Confucius(孔子) said, ‘Do(道) not be far from people.’ JungYong(中庸) wrote that ‘ChungSeo(忠恕) is not far from Do(道)’. The idea of ChungSeo(忠恕) is a social conscience for the social community, and is also the Do(道) for the personally disciplined. The idea of ChungSeo(忠恕思想) is like the ‘Golden Pule(黃金律)’ of Western thought that ‘Do not want to give it to others should not be done to others’. It is fun when we play sports, and it is fun when we watch sports. Confucius & Mencius(孔孟)’s The way(Do) of study is Chung-Seo(忠恕)’s Do(道). And Chung-Seo(忠恕)’s Do(道) is the sum of ‘WiKiJiHak(爲己之學-A faithful study of oneself)’ and ‘WiInJiHak(爲人之學-A study to show to others)’. This is, first of all, ‘Study for oneself(忠)’, then ‘Going into society and respecting others(恕)’. This is the ‘Do(道) of Physical Education’ of Confucius & Mencius. If we train physical education with Confucius & Mencius(孔孟)'s ideas of ‘Chung-Seo(忠-恕)’ and ‘WiKiJiHak (爲己之學)-WiInJiHak(爲人之學)’, we can guarante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ing events’ which are more honorable and more human.

      • KCI등재

        孔 ․ 孟에 내재된 武道 사상

        당수언,남덕현,오세용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중국의 유학의 대표인 공자와 맹자사상에 내제된 무도사상을 함축적으로 파악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공자와 맹자의 무도사상을 각각 정리하면 공자는 인간이 내면의 자각을 통해 사회공동의 책임과 의무를 실천할 수 있는‘절제된 용기’의 함양을 강조했고 맹자는 사회 윤리 의식과 사회 규범을 준수하려는 마음과 몸의 혼연일체의 의지로‘호연지기’함양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자와 맹자의 공통적 무도사상은 단순히 힘만 행사하는 단순한 용맹을 넘어서 사회에 이로움을 줄 수 있는 용맹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사상은 절제적 마음가짐의‘인(仁)’과 함께 사회의 질서에 조화된‘예(禮)’와‘의(義)’에 준하여 꾸준한 배움을 통해 자신을 수련하는 자세를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following research lay its purpose on studying implicational meaning inherent on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 of China. Confucius emphasized this inner awakening, human society to implement thos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y of the cultivation of‘Featuring the courage’. Mencius emphasized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and willingness to comply with the social norms, enhancing emphasis will of the will of the body. Confucius and Mencius's common dance ideas are mere gallantry beyond simply exercised his power can bring benefits to societ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urage. This idea is mind set position to steady yourself through the learnin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mind transformation factor of social harmony‘仁’and the social order factors‘禮’and‘義’

      • KCI등재

        공맹자사상과 내면의 상처의 치유

        권기성 ( Key Seong Kwan ) 한국행정사학회 2009 韓國行政史學誌 Vol.25 No.-

        본 연구는 공맹사상이 한국인의 내면의 세계를 형성하고, 내면의 상처를 형성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론과 현실을 분석하고 체계화하고자 하였으며 치유사례들을 중심으로 상처가 형성된 공맹사상의 영향과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는 기법의 실제적 과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맹 사상은 인간다운 인간을 만드는데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론상의 문제로 공맹사상에 의한 삶의 과정에서 내면의 세계에 많은 상처가 만들어진 것 또한 현실임을 알 수 있었다. 공맹사상의 본질인 사랑으로 치유하며 전문 치유상담, 심리치료의 기법 및 기독 상담의 방법을 통하여 내면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음의 상처가 치유됨으로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 능력을 발휘하는 삶을 만들고,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how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s affected the formation of inner-mind world and the wounded heart of Korean people, and what the techniques of inner-healing are. And we analyse the theory and practice, and proposed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wounded heart of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s and substantial process of applying the techniques of inner healing, focused on the cases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s made the lot of wounds in inner mind would of Korean people though they contributed to build the humanistic man, that the inner wounded heart can be healed through the Love which is called as IN, the essence of Confucius and Mencius` thoughts and through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chniques of psychological therapy and christian counseling, and that everyone can live a happy and humanistic life, a life which can fully exart his/her own ability, and make happy and healthy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