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마을공동체 조사지표를 활용한 마을공동체 회복력 평가지표 탐색

        현혜경,염미경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2 No.-

        Since 2000, various types of community planning have been carried out in most regions nationwide, with community planning projects being carried out in earnest, and the Jeju area has experienced the same process. However,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se community planning vary from time to time and region to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village communities in Jeju, and to select resiliency components of village communities and explore evaluation indicators by using the Jeju community survey items and indicators. In this paper, we wanted to analyze the survey items and changes in the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in Jeju, selects the elements of resilience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explore the evaluation index by using the changed village community survey items and indica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community resil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village community in Jeju area, especially the subject and the recording method. Changes in the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were seen by residents to become the main body of the survey, and the residents themselves were to discover and preserve the history and resources of the community, to place new values on i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village through joint efforts. This is the creation of a kind of village that seeks to restore communities for the lives and well-being of individual residents and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vey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resilie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to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community resilience of the region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2000년대 이후 전국 대부분의 지역들에서 마을만들기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마을만들기가 전개되어왔고 제주지역도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의 전개 양상은 시기마다 지역마다 다양하다. 이 논문에서는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여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도출된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를 활용하여 마을공동체의 회복력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평가지표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 제주지역 마을공동체 조사지표 변화, 특히 그 조사주체와 기록방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들이 마을공동체 조사의 주체가 되고 주민들 스스로 마을공동체의 역사와 자원을 발굴해 보존하며 여기에 새로운 가치를 입히고 마을의 문제를 공동의 노력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 변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주민 개개인의 삶과 행복을 위한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일종의 마을만들기이며 마을공동체 활성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으로 마을공동체 조사지표와 회복력 평가지표 간 관계성을 파악해내는 것은 물론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위해 지역 회복력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마을공동체 조사지표를 활용한 마을공동체 회복력 평가지표 탐색

        현혜경(Hyu Hye-kyung),염미경(Yeum Mi-gyeung)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3 No.-

        2000년대 이후 전국 대부분의 지역들에서 마을만들기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마을만들기가 전개되어왔고 제주지역도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의 전개 양상은 시기마다 지역마다 다양하다. 이 논문에서는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여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 변화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도출된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를 활용하여 마을공동체의 회복력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평가지표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 제주지역 마을공동체 조사지표 변화, 특히 그 조사주체와 기록방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들이 마을공동체 조사의 주체가 되고 주민들 스스로 마을공동체의 역사와 자원을 발굴해 보존하며 여기에 새로운 가치를 입히고 마을의 문제를 공동의 노력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마을공동체 조사항목과 지표 변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주민 개개인의 삶과 행복을 위한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일종의 마을만들기이며 마을공동체 활성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으로 마을공동체 조사지표와 회복력 평가지표 간 관계성을 파악해내는 것은 물론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위해 지역 회복력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ince 2000, various types of community planning have been carried out in most regions nationwide, with community planning projects being carried out in earnest, and the Jeju area has experienced the same process. However,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se community planning vary from time to time and region to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village communities in Jeju, and to select resiliency components of village communities and explore evaluation indicators by using the Jeju community survey items and indicators. In this paper, we wanted to analyze the survey items and changes in the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in Jeju, selects the elements of resilience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explore the evaluation index by using the changed village community survey items and indica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community resil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village community in Jeju area, especially the subject and the recording method. Changes in the survey items and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were seen by residents to become the main body of the survey, and the residents themselves were to discover and preserve the history and resources of the community, to place new values on i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village through joint efforts. This is the creation of a kind of village that seeks to restore communities for the lives and well-being of individual residents and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revitalize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vey indicator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resilie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to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community resilience of the region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 KCI등재

        제주도 남동사면의 산림식생구조와 해발고별 산림군집 및 개체군 분포 특성

        이정은 ( Jeong Eun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한라산 남동사면을 대상으로 해발에 따라 변화하는 산림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발 16m부터 1,565 m까지 100 m 간격으로 총 59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고, 클러스터 분석으로 군집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해발고별 수종 구성과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군집유형은 유형1 졸참나무군집(Quercus serrata community), 유형2 개서어나무군집(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유형3 서어나무군집(Carpinus laxiflora community), 유형4 소나무군집(Pinus densiflora community), 유형5 구상나무군집(Abies koreana community), 유형6 구실잣밤나무군집(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유형7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community)로 분류되었다. 해발고별 교목층의 중요치 분석 결과 100-600 m 까지는 구실잣밤나무와 붉가시나무, 700-800 m에서 서어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1,100-1,200 m에서 소나무, 1,500-1,600 m 구간에서 구상나무의 중요치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의 경우 해발 700-800 m, 1,200-1,300 m, 1,400-1,500 m에서 종다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생태계의 추이대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The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along elevational gradients on the southeastern part of Mt. Hallasan was studied.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with 59 quadrates located from 16 to 1,565 m with 100 m intervals. Community types were classifi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were analyzed along elevational gradients.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even, namely, type 1 Quercus serrata community, type 2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ype 3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type 4 Pinus densiflora community, type 5 Abies koreana community, type 6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type 7 Quercus acuta community. The species with a high importance value in tree layer in each elevational zone were C. sieboldii and Q. acuta at 100-600 m; C. laxiflora, Q. serrata, and C. tschonoskii at 700-800 m; P. densiflora at 1,100-1,200 m; and Abies koreana at 1,500-1,600 m. The species diversity indicated higher value at 700-800 m, 1,200-1,300 m and 1,400-1,500 m than at the other elevation.

      • KCI등재

        주민활동지표에 의한 경제형 마을만들기의 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

        조재준 ( Jaejun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2 여성경제연구 Vol.18 No.4

        경제형 마을만들기의 프로그램 논리를 구성하여 보면 공동체 활성화, 소득증가와 같은 최종 성과를 낳는 요인은 지속적인 주민활동이며, 따라서 주민활동의 지속은 경제형 마을만들기의 1차 산출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민의 공동체 활동이 빈번하고 참여범위가 넓고 장기간 지속될수록 공동체 활성화는 필연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고 마을만들기 성과를 주민 활동지표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제형 마을공동체가 실천공동체의 한 종류라는 사실에 착안하여 주민 활동을 호혜적 관여와 공동작업으로 분류하고 2개의 사례마을을 선정하여 각 활동의 질과 양을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주민 활동의 분석변수로는 활동 빈도, 주민참여범위, 지속기간과 같은 계량적 변수와 활동 동기, 주민만족도와 같은 정성적 변수를 함께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성과는 첫째. 사례 공동체에 대한 시험적 평가 결과 주민과 관계 공무원 등에 대한 인터뷰와 간단한 현장조사를 통해 마을만들기의 성과를 공동체적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마을만들기 공동체 유형을 비활성화 공동체, 경제형 공동체, 복지형 공동체, 활성화 공동체의 4가지로 구분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관점에서 마을만들기의 진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Resident-led community activities is the primary output of community building, and if resident activities continue stably, final results such as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income increase are deriv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community revitalization would inevitably occur as the community activities of the residents are frequent and, continue for a long time, and the range of resident participation is wide. In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mmunity of maeul-mandeulgi is a type of community of practice(CoP), resident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mutually reciprocal involvement and collaborative work,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ach activity are investigated and measured experimentally by selecting two case communities. As analysis variables of resident activity, quantitative variables such as activity frequency, resident participation range, and duration, and qualitative variables such as activity motive and resident satisfaction are us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trial evaluation of the case communities, it is understood that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building can be evaluated through interviews with several residents and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a brief field survey. And by link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reciprocal involvement and collaborative work, it is possible to set four types of community building: inactive community, economic community, welfare community, and activ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평가지표 개발

        송현종 ( Hyun Jong Song ),진기남 ( Ki Nam Jin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3 보건행정학회지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to test its validity. The modified logic model was used as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Using this model, four dimensions, eleven sub-dimensions, and forty-one individual indicators were developed. These evaluation indicators are superior in reflect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also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diverse programs. These indicators also emphasize the role of process evaluation, and the diversity of outcomes. To test content validity, survey method of experts in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field was conducted. Eleven in three expert groups(professionals, practitioner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policy makers) generally agreed with the validity of evaluation indicators. To examine criteria and construct validity, these indicators were used to evalu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conducted by the 18 Key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data came from the interview surveys of the main health promotion practitioner and 30 visitors from each center. The ranks of these eighteen Community Health Centers were computed from these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nking either by these indicators or by the existing indicators, which was developed by Technical Support and Evaluation Team for criteria valid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input, process and outcome dimension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valid to evaluate Community 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 It can be used both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for internal evaluation, and by the stakeholders for external evaluation.

      • KCI등재

        지역사회 보건사회지표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수준 관련 요인 분석

        박은옥,김민영,김지윤 지역사회간호학회 200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community health status and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and social indicators. Method: Data sources were reviewed and data for 10 categories, 75 indicators were collected. Community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factors were categorized, an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individual indicators were obtained and standardized scores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rough factor analysis of individual indicators by category using the scores and using the resultant factor coefficients as weights, indexes were calculated by are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 Each indicator was highly correlated with each index, and the index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bove 0.8 between community health index and population, education, housing, and economy, between population and education, housing and economy, between education and housing and economy, and between housing and economy, environment and industry. But multicollinearity was not found in the result. Significant factors on community health index were population, health personnel and facilities, education, housing and economy, and R-square were 92.4%. Conclusion: Health determinants such as population, health personnel and facilities, education, housing and economy could be influencing factors on community health in community level. Thes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intersectoral collaboration within a local government. Overall community health can be enhanced by intersectoral collaboration.

      • KCI등재

        고령친화 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표 개발

        김수영(Kim, Soo Young),장수지(Chang, Sujie),오찬옥(Oh, Chan-ohk),최성희(Choi, Sung-Hee)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고령자들이 노년기에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사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려는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가장 합리적인 대안은 고령자들이 거주하던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사는 것(aging in place)이다. 이를 위해 WHO에서는 고령친화도시의 가이드라인을 발표했고, 일부 외국도시들은 여기에 해당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지표를 추가하였다. 우리나라 선행연구에서도 WHO의 가이드라인 항목을 재구조화하여 특정 지역의 고령친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에 대응하여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타당성이 확보된 지표가 개발되고 여러 지역에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는 대부분 고령친화 지표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지표개발 절차가 충분하지 않아 확대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제한점을 고려하여 우리 사회에 적용가능한 고령친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논의로서, 고령자들의 세대간 연령통합을 위해 모든 세대가 더불어 사는 지역사회는 ‘공동체성’을 가져야 함을 제시했고, 노년학 이론에 근거한 지표영역을 도출하여 지표개발의 출발점이 되는 예비지표로 삼았다. 다음으로 노인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4개 상위영역, 9개 하위영역, 총 29개 지표가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AHP 분석을 통해 지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후속연구로는 노인을 포함한 공동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측정가능한 수준의 지표개발을 제안했고, 지표개발 과정에는 한국사회의 특성과 지역간 다양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for constructing an ideal community for people in late adulthood. One possible alternative is Aging-in-place(AIP), which has been a central issue in the recent gerontology area. WHO had established a guideline for AIP. In addition, several foreign cities created indicators that reflect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revious studies also restructured the WHO guidelines to evaluate elder-friendliness of a community. However, these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oretical background and adequate processes of developing indicator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output. In order to respond to aging society and to improve elder-friendliness of a community, elder-friendliness indicators with sufficient validity need to be developed.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develop indicators to evaluate elder-friendliness of our socie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suggest that communities with all ages should have 'community spirit' for age integration. Also, four categories of the elder-friendly community are derived, which is the basis of indicators. Second, thirty gerontologists contributed to develop an indicator of elder-friendliness of a region by using Delphi method. As a result, the indicator consisted of four major-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9 specific indicators. Finally, we established the priorities of the indicators by developing weight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reating more measurable indicators that can apply to members of community including the elderly.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regional diversity should be reflected in that process.

      • KCI등재

        청소년친화마을 지표개발 연구

        황옥경,홍승애,송미령,김젤나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4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youth-friendly community, based on UNICEF and a definition of research essential to establish a youth-friendly community are presented along with standards and indicators for e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xperts on youth using Delphi. A total of 219 experts on youth academic and field studies (e.g., youth ministry officials, youth organization field experts) participated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healthy youth growing into competent adults as a community model. In the end, feedback was collected from 50 final participants. Professionals in a total of five area with 27 subdivisions answered 90 questions. The final composition of the output selected the five concepts of ‘a fully healthy community’, ‘a community in which everyone is safe’, ‘learning to enjoy the community’, ‘other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nd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with 19, subdivisions and a total of 84 metrics. Theses results can be used to promote youth-friendly communit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evidence in this area. 본 연구는 청소년친화마을 추진을 위한 조성 기준 및 실천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지역사회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본 지표를 통해 청소년이 성장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환경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친화 환경 관련 연구문헌 및 정책을 분석하고, 청소년 관련 전문가(청소년 관련 부처 공무원, 청소년 관련 기관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총 2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중 50명의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조성 기준 및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누구나 건강한 마을’, ‘모두가 안전한 마을’, ‘배움을 누리는 마을’, ‘더불어 활동하는 마을’, ‘함께 참여하는 마을’의 5개 대 영역과 19개 19개 세부 영역의 총 84개 평가 지표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친화마을 조성 기준 및 추진체계 그리고 실행 방식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친화마을 추진 확산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평가지표 개발과 지원사업의 성과 분석 연구

        은난순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community activa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munity activation and changes in resident percep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s for community activation.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support project is analyzed using evaluation indicators. Third,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to revitalize the communit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Seongdonggu, Seoul, as a spatial range. 30 Multi-family Housings that received support projects and their residents were surveyed. The research methods were Delphi survey, field survey of 30 Multi-family Housings, interview of 74 resident leaders, and survey of 412 resi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community activation was derived from an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ing of 5 values and 54 items. (2)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verage of each indicators value, it was foun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3.8 points, ‘self-reliance’ 4.0 points, ‘sustainability’ 4.0 points, ‘Residence status’ 3.8 points, and ‘Neighborhood connectivity’ 3.4 points (5 points scale). (3) The policy tasks was proposed to secure support budget, expand community education for resident representatives, promote social consensus.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 활성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공동체 활성화의 효과와 주민인식 변화 등을 분석하며, 향후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평가지표 개발한다. 둘째, 평가지표를 통한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한다. 셋째, 후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및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 2012년도 이후 매년 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는 성동구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지원사업 대상 공동주택 30개 단지와 그 거주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델파이(Delphi) 조사, 30개 단지의 현장 조사와 주민리더 74명의 인터뷰, 주민 41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평가지표 체계’는 공동체 활성화의 5가지 가치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12가지 부문, 그리고 54개 항목의 평가지표 (정량지표 13개, 정성 평가지표 41개)가 도출되었다. (2) 공동체 활성화의 5가지 가치별로 각 지표값의 평균을 구해 본 결과, 공동체성 3.8점, 자립성 4.0점, 지속가능성 4.0점, 거주성 3.8점, 지역연계성 3.4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연계성은 다른 부문에 비해 평균값이 낮아 그 달성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성과를 더 높이기 위한 정책적 과제로는, 지원 예산 확보, 주민대표의 공동체 활성화 교육 확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 IoT, ICT기반 플랫폼 등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정보 제공 tool의 구축, 활동지원을 위한 관련 규정의 개정을 제안하는 바이다.

      •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 개발 연구

        김영주(Kim, Youngj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오늘날 도시는 1-2인 가구의 급증과 더불어 개인화와 가족해체현상, 계층간 불평등, 공동체 해체, 안전사고 급증 등 각종 사회 문제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시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정되고 만족스러운 커뮤니티의 형성이 중요한 요건으로 강조되고 있다. 삶의 질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받아온 연구주제이다. 그러나 삶의 질은 개념상 주관적 속성이 강하며, 이를 측정 평가하기 위한 기존 지표들 대부분이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체계가 부족한 상태에서 개발됨에 따라 다른 연구 분야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실용적이며 포괄적인 시각에서 객관적 근거를 토대로 다양한 커뮤니티 특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인디케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범주의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주민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문헌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 범주별로 주민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구성 분야와 차원, 세부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146개 예비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내용 및 구성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단계로 이메일을 통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명의 전문가들로부터 얻은 의견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중요도와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3단계에서는 타당성 검토를 거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거주성 관점에서 재배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해하기 어렵거나 의미가 중복되는 지표들은 삭제, 통합 또는 명칭을 변경하여 최종적으로 총 67개의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거주성이라는 관점에서 재배치시킨 결과 편리성, 쾌적성, 안전성, 보건성, 경제성의 5개 하위 영역 순으로 정리되었다. As a research issue, many researchers in various scientific filed have dealt with quality of life for a long time. Today’s urban life is suffering from divers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one or two household, imbalance among income brackets, breakup of community, and so on. It is emphasized that making safe and satisfactory community is the key answer for current urba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comprehensive community indicato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among urban residents. To perform this,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draw preliminary community indicators. Questionnaire survey for 32 professionals was executed through e-mail to testify content validity and applicability for 146 community indicators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 this process, some indicators that showed low importance score were deleted, integrated, changed the title, and rearranged in perspective of livability. Finally, total 67 community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In the view of livability, 67 community indicators could be rearranged into 5 categories composed of convenience, amenity, safety, healthiness, and economic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