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明使 姜曰廣의 朝鮮 使行

        宋美玲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이 글은 17세기 전반 조선을 대하는 명의 태도와 요구를 관철시키는 방식을 天啓 6년(1626)에 사신으로 파견된 姜曰廣의 ??軒紀事?를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이 시기 명 조정이 주변국을 대하는 태도는 창업군주인 洪武帝의 대외인식과 연결되어 있다. 건국 초기 명조는 이상적인 질서가 갖춰야 하는 요건들을 정하고 그 내용을 채워냈고, 그것을 주변국가들과의 관계로까지 확대하였다. 이러한 틀에 따라, 명의 사신들은 조선의 제도와 문물이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와 연결된 것이고, 명과 뿌리가 같은 문화와 역사를 공 유한다는 인식을 반영한 평가들이 이어졌다. 이렇듯 문사와 예의에 대한 언급들은 명과 조선이 같은 프레임 안에 머물게 하는 장치였다. 이 프레임 은 홍무제가 예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구축하고자 한 이래 17 세기 전반까지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명의 사신들이 조선을 대하는 방식에는 일정한 패 턴이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이 때문에 강왈광을 비롯한 명의 사신들은, 조선의 제도, 문물, 문학적 소양을 평가하는 내용에서는 그 수준이 높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그 평가는 조선의 것이 중국의 것과 얼마나 비슷한 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준이었다. 이는 같은 틀 안에 있다는 점을 계속 강 조하는 것인데, 이것은 조선 측의 운신의 폭을 좁게 만드는 방식이었다. 조선 측이 ‘중화’를 닮기 위해 노력하고, 그 프레임 안에서 위상을 확인받으려는 시도가 명의 의도를 수용하게 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 KCI등재

        중국어 수사법 분류

        송미령 중국학연구회 2009 중국학연구 Vol.- No.49

        本論文主要是硏究現代漢語修辭格的分類。從陳望道那時起許多學者已開始了對 漢語修辭格的分類硏究, 但至今尙未出現能被衆人所認可的分類體系。因此, 本論文 將在總結前人分類成果的同時, 分析他們分類的問題所在, 幷以此爲基礎, 試圖建立 起合理的漢語修辭格分類體系。 具體地說, 在前人的硏究資料上, 本論文以陳望道、張弓的分類爲重點, 分析其優 點和不足。通過這些分析硏究, 本論文發現了漢語修辭格分類的三條原則, 卽, 第 一、修辭格標準的單一性原則, 第二、修辭格分類項目的包括性原則, 第三、分類項 目和屬于其子項目的修辭格之間的符合性原則。依据這三條原則, 本論文對二位學 者的分類進行了逐一的對照。陳望道將漢語修辭格分爲材料上的修辭格、意境上的 修辭格、詞語上的修辭格、章句上的修辭格, 但他的分類違背修辭格分類的三條原 則, 缺乏合理性; 張弓將漢語修辭格分爲描繪類修辭格、布置類修辭格、表達類修辭 格, 但他的分類違背分類項目和屬于其子項目的修辭格之間的符合性原則。本論文 在這些分析的基礎上, 重新歸納漢語修辭格的種類而提出了新的分類體系, 卽, 語義 上的修辭格、詞語上的修辭格、語法上的修辭格、表達方式上的修辭格。本論文期 望此硏究對修辭學的發展能有所裨益, 對擴大人們的思想交流也能有所幇助。

      • KCI등재

        현대중국어 비유의 체계와 성질 문제

        송미령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 중국어문학논집 Vol.- No.23

        3개 성분甲사물사상의 대상主體 乙사물다른 사물喩體매개체相似點喩詞

      • KCI등재

        古文運動의 수사학적 분석 ― 한유와 유종원을 중심으로

        송미령 중국어문학연구회 201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9

        This paper analysed Guwen movement that has been studied as a literary thought in terms of Rhetoric. First, Guwen movement emphasized that literary works was to clarify moral principles(道). This consciousness of 明道(Ming-dao) can be compared with the logos that prove the thesis of speech in Rhetoric. 明道 and logos lead the central context in literary works and reach the goals of edification and persuasion respectively. The elements have something in common.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logos pursues logical words and 明道 pursues moral words, Rhetoric seeks to speak well in speech and Guwen movement seeks good words in literary works . Guwen movement also asserted the necessity of 'moral discipline' in terms of internal manifestations. This is a view of identifying literary works with a person and can be connected with ethos, which refers to the speaker's character in Rhetoric. In Rhetoric,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and ethos is not as close as that of literary works and moral discipline in Guwen movement. In Guwen movement, the author's level of discipline and the quality of the sentence are the same, but in Rhetoric, the speaker's Ethos and speech quality are not necessarily identical. Guwen movement embodied the criticism of reality in literary works. It played an active role for social edification with the consciousness of '不平則鳴', which makes a sound if it is unstable. The criticism of reality in Guwen movement are in line with fathos, which appeals to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in Rhetoric seeks to change readers and audiences. The difference is that the criticism reality in Guwen movement seeks change based on morality, whereas the pathos in Rhetoric focus on change itself rather than morality.

      • KCI등재

        淸末 皇族의 官職 임용양상과 入仕경로

        송미령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50

        This paper examined the appointment of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in the Late Qing Period. Through the 18th century, the imperial family became the bureaucrats of the emperor. However,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various political changes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the princ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and politics.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how other imperial families were appointed bureaucrats during this period.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mperial family has been appointed chief of the Grand Secretariat, the Grand Council, the six board, the Lifan Yuan, and the Court of Censors. I plan to see how the imperial family have enter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how they became bureaucrats. In this study, from 1851 to 1911, I examined the career of the imperial family and personal background. At this time, the imperial family in major central government agencies were, in general, far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five lower banners than to the three upper banners. It was because they had received a low rating from the beginning on the rank system and fewer had a high rating. The holders of princely titles in the royal ranks entered the bureaucracy as members of the Imperial Guards or the Imperial Clan Court. But the imperial family who had not these titles became bureaucrats through the Imperial examination. As the population of the imperial family increased, the emperor was concerned about their livelihood and allowed them to take the Imperial examination. This was one way to prevent them from declining their economic position. Since the 19th centur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royal family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chiefs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Most of these offices were held by the Manchu people.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weight of seedling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has increased.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황족들이 내각, 군기처, 6부, 이번원, 도찰원 그리고 관제개편으로 변화된 중앙행정 조직에 진출한 양상과 그들이 처음 관료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경로를 분석하고 유형화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황족들이 관직에 나가는 주요 경로로 侍衛를 주목하고 언급하였으나, 이 글에서는 황족 개개인이 가지고 있던 배경에 따라서 다양한 경로를 거쳐 관료가 되었다는 점을 밝히고, 유형별로 보이는 특징을 정리할 계획이다. 咸豐원년(1851)부터 宣統 3년(1911) 책임내각이 출범하기 전까지 청대 중앙행정조직의 주요 기구라고 할 수 있는 內閣, 軍機處, 6部, 理藩院, 都察院의 최고 책임자인 大學士, 軍機大臣, 6부 尙書, 左都御史, 理藩院 尙書를 역임했던 황족의 관직 경력을 검토하였다. 보다 다양한 입사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내각의 協辦大學士, 內閣學士, 6부의 侍郞, 盛京 5부 侍郞까지 검토 범위를 확대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 청조는 여러 차례 관제를 개편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광서 27년(1901), 광서 29년(1903), 광서 32년(1906), 선통 2년(1910)에 단행된 개편으로 설치된 기구의 책임자들도 검토하였다. 또한, 함풍 10년(1860)에 설치되어 광서 27년까지 존속한 總理各國事務衙門의 대신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과정을 통해서 封爵을 가진 이들과 봉작이 없는 이들이 관료사회로 진출하는 통로에는 차이가 있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봉작있는 종실들은 대체로 侍衛處의 관직, 宗人府의 관직, 종인부외 宗室缺을 통해서 入仕하였다면, 봉작이 없는 이들은 과거시험을 거쳐 대체로 한림원 서길사로 진입하였다. 서길사로 선발되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부서의 종실결을 통해 진출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과거출신 여부, 非과거 출신자 중에서도 봉작 소유 여부에 따라서 관직생활의 시작점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음생으로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지만, 승진에 유리한 진사 신분을 획득하기 위해 과거에 응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종실의 경우, 개인이 가지고 있는 배경과 상황에 맞게 다양한 경로로 관직사회로 진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 대한민국 성장의 대지, 농업 · 농촌 70년의 성과와 새로운 도전

        송미령,문한필,김미복,성주인,임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

        ◦ 광복 이후 농업부문의 가장 괄목할만한 성과는 주곡인 쌀 자급을 달성하고, 다양한 먹거리 공급능력을 확보한 것이다. - 비록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농업의 위축은 불가피했지만 빈곤문제 해결, 노동력 공급, 물가안정 등 농업 · 농촌의 성장과 희생이 고도의 산업화와 도시화를 가능케 한 밑거름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경제성장에 따라 농산물 수요가 변화되고 노동의 기회비용도 상승해 소득탄력적이고 노동의 부가가치 생산성이 높은 농산물로 생산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생산변화를 통해 농업은 성장을 지속해 왔다. ◦ 지난 70년간 농촌도 역동적 변화를 거듭해 왔다.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농촌개발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전개했으며, 농촌 경제와 사회의 안정화를 위해 농외소득 증대, 생산기반 조성, 경제작물 확대, 농촌개발 정책 등이 추진되었다. - 하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젊고 생산성 높은 인구가 도시로 빠져나가 농촌인구는 감소하고 고령화되었다. - 최근 들어 귀농 · 귀촌 인구 및 고학력자들이 증가하는 추세로 반전되고 있다. 1차 산업 종사자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2 · 3차 산업 종사자가 증가하였다. 물리적 주거여건 또한 점차 도시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다. ◦ 이번 호에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성장의 대지로 결정적 역할을 수행해왔던 우리 농업 · 농촌의 변화를 일독해보고자 한다. - 주요 거시지표를 중심으로 양적 변화를 살펴보아 성과를 간추리고 향후 우리 농업 · 농촌의 새로운 도전과제를 도출한다. - 주요 거시지표 분석은 공식 통계자료에 바탕을 두었다. 인구주택총조사, 농업총조사, 국가통계포털 KOSIS, e-나라지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등을 주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광복 시점에 최대한 근접한 시점부터 2015년 현재에 가장 근접한 시점까지 가용한 통계자료를 활용했다. ◦ 비록 양적 자료에 국한되기는 하나, 우리 농가와 농촌 주민들의 삶의 변화를 그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국가 전체의 근대화 과정에서 성장의 근간이 되었던 우리 농업 · 농촌이 향후 70년 동안에도 새로운 의미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귀농 · 귀촌 증가 추세와 정책 과제

        송미령,성주인,김정섭,심재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

        ◦ 농림축산식품부 및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도 귀농 · 귀촌 가구는 총 44,586호로 2010년의 4,067호 대비 10배가량 증가 - 귀촌 가구 비율이 2012년 58.5%에서 2014년 75.1%로 늘어나는 등 전체적으로 귀농보다는 귀촌 가구가 크게 증가하는 양상 - 귀농 · 귀촌 가구당 인원도 2012년 1.75명에서 2014년 1.8명으로 증가 추세 ◦ 전반적으로 전 연령대에서 귀농 · 귀촌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60대 이상의 은퇴연령층보다는 30대 이하, 40대, 50대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남 - 도시 근교의 특정 지역이 우세했던 귀농 · 귀촌 목적지도 전국적으로 확대 ◦ 귀농 · 귀촌 추세가 최근처럼 지속될 경우 20년 후 농촌 인구는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가할 전망 - 향촌 인구이동이 최근의 추세대로 지속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2013년 930만 명(주민등록연앙인구 기준)인 농촌 인구는 2033년에는 95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중장년층 중심의 인구 유입으로는 농촌의 인구 감소를 부분적으로 늦출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농촌의 인구 기반을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인 농촌 인구는 감소 국면으로 반전될 가능성 ◦ 농촌이 갖는 가치와 내면적 풍성함 추구 등 ‘탈근대적 가치’에 기초한 농촌 이주현상은 선진국의 공통 트렌드임 - 농촌의 총량적 인구 증가 여부는 국가마다 약간 다른 양상이나, 농촌만의 가치를 추구하여 도시민들이 유입하는 현상은 공통적인 현상 - 또한 자연환경, 기후, 수자원, 문화 · 역사자원 등 어메니티를 갖춘 곳일수록 인구가 증가하는 등 지역별 여건 차이가 농촌 인구 변화에 중요하게 작용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 과제들을 제시 - 귀농인을 지역농업의 승계 인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중장기 프로그램 추진 - 교육훈련, 창업자본지원, 인턴십 등 젊은 귀농 · 귀촌인을 배려하는 전략 필요 -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교육, 문화 · 여가, 보건의료,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경제 분야 활동에 귀농 · 귀촌인 참여 확대 - 농촌 이주 도시민과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을 통합적으로 확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