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참여 관점에서 본 과학기술문화정책 분석 - 민주주의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is study analyzed cultural policy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from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ill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democratic perio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research examin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at each period. Authoritative administration realized cultural policy for S&T as s field subordinate to economic policy, so concentrated on fostering S&T climat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et up national understanding of S&T as core goal of cultural policy for S&T, so prepared the basis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Kim Dae-joong Administration established private lead and civil participation as basic principle of cultural policy for S&T, so rasi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Rho Moo-hyun Administration concentrated on policy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foster civil participation through creating S&T culture with people and expanding interaction between S&T and civil society, so innovat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eveloped cultural spread for S&T intensively, so weakened civil participation in S&T relatively. Eventually, civil participation in S&T often weakened but it has been developing generally. i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T and civil society is constructed, civil participation in S&T will develop remarkably. 이 연구는 한국의 민주주의 시기인 김영삼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의 과학기술문화정책 분석을 토대로 각 시기에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참여의 수준을 고찰한 것이다. 권위주의 정부는 과학기술문화정책을 경제정책의 하위 분야로 인식, 과학기술풍토 조성에 주력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과학기술문화정책의 핵심 목표로 과학기술의 국민이해 증진을 설정함으로써 시민 참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김대중 정부는 민간 주도와 시민 참여를 과학기술문화정책의 기본 원칙으로 전면화함으로써 시민참여 수준을 진일보시켰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이 참여하는 과학기술문화 창달과 과학기술과 시민 사회간 상호 작용의 확대를 통해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노력에 집중함으로써 시민참여 수준은 획기적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명박 정부는 과학기술문화확산의 측면을 집중 육성함으로써 시민참여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결국 시민참여는 시기별로 일부 측면에서 위축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분야와 사회의 소통 체계가 구축된다면 시민참여의 괄목할 만한 성장이 기대된다.

      •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의 민주적 정당성에 관한 연구

        김병수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경희법학 Vol.46 No.1

        Up to now, The judicature in Korea has been treated the special and professional possession of judicial officer. The people have not subjectively participated in trial and handled as the object of judicial process. Civil participation in judicature, not like the Legislation and the Administration, has not been good in demand of democratic justification. Therefore our government will put People’s Participation Law in Criminal Trial in operation to win back public confidence in judicial trial and to strengthen democratic principles in organizing the judicial bench.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that people firstly participate in criminal trial in history of Korea starts With expectation for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and the confidence of general people about criminal justice. It is necessary to valu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in operation. For the assessment of democratic policies 2 criterions are suggested according to Lincoln’s formula :governed by the people as input aspect and correctness of the substance as output side. In aspect of input,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has not substantially been governed by the people for not-Binding nature of the verdicts regardless of equal participation. And in aspect of output,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speed in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have been valued some time later. Jurors and peoples were satisfied with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But prosecutors were not satisfied with and appealed in the high rate. To solve the these problems :The Right to get People’s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be a constitutional right. The jury verdict be given binding effect. The Appeal of prosecution be limited. And White-Collar Crime be brought to compulsory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 KCI등재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정치

        이정진 ( Jeong Jin Lee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기억과 전망 Vol.17 No.-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s now growing in Korea. It has two reasons. The nature of indirect democracy that people`s participation are limited is the first reason. Political participation is possible through partisan activities, voting action, personal demonstration etc. Civil movements are some methods to exte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Second, The regional political parties does not represent the voice of citizen. The only interest of political parties is the victory of elections and the leader. of political parties think that without the nature of regional party system, the loyalty of regional residents wouldn`t be continued. So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doesn`t consider the opinion or the people. Civil society is able to suggest its opinion through the civil movement. Political participation by civil movements were enlarged since 1990s. Electoral participation of the Civil Action for 2000 General Election and Manifesto movements at the local e1ection in 2006 were famous examples of civic participation. The NGO`s activiti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supplement political panics` ir1dhiliry. Electoral participation by NGO`s movements help the people take a good choice. Bur the lack of constant interest from the grassroots the weak point of civil movement in Korea. There are a lot of leaders, activist, and staffs, but a few citizens participate in NGOs continuously. The civil movement without citizens is the important problem of NGOs, especially of big size NGO`s. The civil movement is a good alternative to indirect democracy. But the leaders and staffs have to effort to get more citizen`s support, Then NGOs and political parties have a good relationship and can support each other.

      • KCI등재

        일반논문 : 주민참여제고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통합창원시를 중심으로

        백형배 ( Hyung Bae Baek ),김필두 ( Pil Doo K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1

        통합시의 출현으로 인한 관할 면적의 확대, 상주인구 증가로 인해 지역 주민의 참여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즉 자치단체 간 통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극대화를 위해서는 권한이 강화된 통합시장에 대한 견제로서 주민참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자치단체 간 통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행정과 주민과의 심리적 거리의 격차를 좁히는 동시에 지역주민의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주민참여제도 모색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주민참여의 강조는 기본적으로 지방정부가 주민의 요구나 선호에 냉담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의 제도화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0년 5월 19일부터 5월 22일까지 통합 창원시의 주민참여 제고 방안과 실태 분석을 위해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창원, 마산, 진해시의 시민 각각 50명씩을 표본추출(유효표본수, 150명)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결과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제도에 관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행정정보공개제도, 주민 소송, 민원실 활용 등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아서 주민들은 지역사회의 공동체 의식이나 주인의식이 결여된 개인의 이익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 주민참여제도에 대한 설문결과,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을 부정적인 응답으로 간주한다면, 설문에서 제시한 16개 제도 중에서 13개 제도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역주민들이 현재 참여중인 제도는 민원실제도, 반상회, 주민투표, 설문조사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조례제정 및 개폐청구제도, 시민헌장제도, 주민참여예산제도, 주민감사청구제도 등에는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인 참여 활동 보다는 주어진 여건에 따라 수동적으로 의견을 표출하는 소극적인 참여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 창원시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향후 기본 방향은 민주성의 원칙, 자율성의 원칙(Autonomy), 공공성의 원칙, 경제성의 원칙 등 네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expansion of jurisdiction and increasing the resident population due to the advent of consolidated cities, it is concerned that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might be difficult. In other words,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may be needed as a check system of the enhanced consolidated market to get maximized benefit from integr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is research purposes based on the need of various civil-participation institutions that eliminate the alienation of local residents and narrow the gap to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because of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Fundamentally, emphasiz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involved that government indifferent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residents. To enabl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s important to institutionalized of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o analysis improv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integration city ``Changwo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Changwon, Masan and Jinhae. In 2010 may 19 to may 22, citizens of each in Changwon, Masan and Jinhae selected sample of 50(effective sample size, 150) peop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survey results, it tend to be think that the people of the community more important their personal interests than community spirit and ownership though high response rates for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preferred system, public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sidents claim, using the civil service utilities. The result of survey for functioned civil-participation systems, participating institutions of local residents appeared in order of civil service, neighborhood meeting, the inhabitants` vote, survey research. Also these are poor that the claim of ordinance revision and dismiss the court, citizen charter system, residents participation budget system, the claim of residents auditing. It is show that higher tendency of negative participation to express passive opinion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The basic direction for enable civil participation in consolidated ``Changwon`` should be designed to based on four principles-the principle of democratic, the principle of autonomy, the principle of public, the principle of economic.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n these days, the discourse on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is actively arising in Korea, while their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under way.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seems to always have to do with that of human right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growth of civil society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ocial extension of human rights. A lot of demands from civil society can be condensed into the expansion of human rights in the long run. And it is through the endeavors and struggles of civil society that the declarative and symbolic level of human rights has moved up to the institutional level of human rights. The rol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be important in the future, if we want to make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tied in a more positive manner. In this respect, participation-centered model of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a way of reflecting the struggle experiences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In that way, students can take part in a small-scale citizen's campaig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centered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of plunging oneself into the various and usual cases of violating human rights, and of making efforts to resolute the problems. It is educationally adequate to make good use of the major agents and examples of civil society as the subjects and contents,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Participation-centered model can be rather a human rights education movement and a citizen's campaign than a merely exceptional event. 최근 한국에서는 ‘시민사회’와 ‘인권’에 관한 담론 및 제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둘은 서로 관련이 깊다. 즉, 시민사회의 성장은 곧 인권의 신장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시민사회의 요구들 중 많은 부분이 결국 인권의 확대로 수렴되어 왔고, ‘선언적’, ‘상징적’ 수준의 인권이 ‘제도화’로까지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은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역사적 사실의 차원을 넘어 시민사회 성장과 인권 신장의 관계가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낳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의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발전을 ‘반영’한 것임과 동시에 시민사회의 발전도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학교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참여 및 성장의 경험을 충분히 담아낼 필요가 있다. 즉, 실제로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인권침해의 현장에 몸소 참여하여 그것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더욱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단순한 이벤트성 사회참여의 경험을 넘어 하나의 인권교육운동이자 시민운동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민참여재판 배심원들의 퍼블리시티 문제와 해결방안

        박호현 ( Park Ho-hyu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7 국제법무 Vol.9 No.1

        국민참여재판은 시민이 직접 사법절차에 참여하여 절차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사법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과 신뢰확보 및 실체적 진실발견이라는 목적을 위해 시행되었다. 그러나 국민참여재판이 민주성 내지 민주적 정당성을 가지는 긍정적 부분도 있지만 배심원 평결에 대한 신뢰성 문제, 배심원 선정의 절차적 문제, 비용 증대(시간적·경제적)문제, 배심원 평결의 기속력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국민참여재판이라는 사법절차의 시민참여 제도가 민주적 정당성과 시민에 대한 사법의 신뢰성 증대라는 부분에서는 많은 발전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체적 진실발견과 비용 증대(시간적·경제적) 등의 문제는 사법절차의 시민참여를 통해 더욱 눈여겨 지켜보아야 할 문제들이다. 그리고 영화나 매스미디어를 통해 시민들의 뇌리에 박혀있는 전관예우, 유전무죄·무전유죄의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배심원 평결의 신뢰성과 배심원 선정의 불공정성에 대한 우려도 추첨이라는 우연성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그러나 국민참여재판의 근본적 문제는 낮은 접수율과 높은 철회율 및 배제율에 있다. 그리고 높은 항소율과 배심원 평결의 기속력의 부재는 국민참여재판이 앞으로도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문제들보다 국민참여재판이 해결해야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재판전(前) 시민들이 텔레비전 내지 인터넷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재판절차에 대한 편견을 미리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증인출석과 증거제출을 통해 재판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배심원 내지는 재판관의 심증을 형성해 나가야 하는 재판절차에서 퍼블리시티라고 하는 시민들의 재판전(前) 편견은 상당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that people firstly participate in criminal trial in history of Korea starts With expectation for securing the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and for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and the confidence of general people about criminal justice. But, there are concerns as the credibility of jury verdict, the unfair selection of juror, the increase of expense, the non-binding nature of the verdicts. We should watch the development of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about the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the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and the confidence of general people about criminal justice and the increase of expense. But, it is positive that `the Privileges of Former Post` and `All mighty is the dollar` do not exist in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Concerns for the credibility of juror verdict and the unfair selection of juror proved to be unfounded. But the biggest problems are low-end receipt ratio and a high withdrawal and exclusion ratio. Due to high appeal ratio and advice effect of the jury ver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is being intensively criticized. The passive participation is discussed with directly-opposed judging the attendance rate of juror. But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s the most important is pretrial publicity. Through this, juror can have a prejudice. But trial consists of witness attendance and submission of evidence. These will make juror or judge`s conviction. So publicity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For this reason, this paper will show citizen participation`s necessity and publicity`s problems. Eventually, this paper will show publicity`s problems and publicity`s solution plan in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 KCI등재

        참여형태를 통해서 본 시민사회의 한일비교 - 정치적 참여로서의 시민운동과 사회적 참여로서의 시민활동 -

        정미애 ( Mi Ae Ju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2

        본 연구는 현재 한일 시민사회에서 나타나는 참여형태의 상이라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시민의 참여형태를 ``시민운동``과 ``시민활동``으로 대별하고, 한일 시민사회를 각각 시민운동이 활발한 한국 시민사회와 시민활동이 활발한 일본 시민사회로 대비시켜 비교를 시도한다. 특히 한일 시민사회의 특징을 서구의 신사회운동에 비추어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함으로써 일본의 시민사회가 신사회운동적 특징을 나타내는 반면, 한국의 시민사회는 여전히 신ㆍ구사회운동이 병존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사실에 주목하여, 시민활동, 사회적 참여와 같은 일본 시민사회의 특징은 구사회운동으로부터 신사회운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데서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한국 또한 그러한 변화의 경로를 밟아가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고는 한일 양국의 사회운동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조명하고, 시민사회의 참여형태 및 시민단체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civil societies of Korea and Japan through the concep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hese concepts can be equated to social movement and civil activ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ivil activity is its relationship with society. Most volunteers act for self-realization. On the other hand, social movement pursues a solution of social problems. Therefore, the shift from social movement to civil activity as in the case of Japanese civil society means the weakening of political factors. Above all, I try to compare both the Korean social movement and Japanese civil activity with the new social movement in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s a consequence of this research, though many Korean social activists often say that Japanese civil society is weak, it has been found that Japanese civil society isn`t weak, but it has been shifted from the old social movement based on class and ideology to a new social movement which pursues amenity. In contrast, the old and new social movements coexist in Korean civil society. Because social movements are a mirror of social structure, this means that social development in Korea is still progressing and changing.

      •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에 관한 헌법적 논의

        박호현 ( Park Ho H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국민참여재판은 사법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성과 민주적 정당성을 담보하기 위해 2008년 1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사법절차의 시민참여라는 절차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2012년까지 시범운영 기간을 두어 국민참여재판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기간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시범운영 기간 동안 국민참여재판의 근본적 문제들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민참여재판의 근본적 문제들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참여재판은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규정을 통해 사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민참여재판은 헌법상 명시하고 있는 국민의 기본권적 권리와 상충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첫째, 헌법 제27조가 규정하는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에서 법관에 배심원이 포함되는지 여부 둘째, 헌법에 규정된 재판청구권의 침해여부 셋째, 재판제도 자체의 침해여부 넷째, 국민참여재판 전(前) 여론이 집중된 사건(Publicity)과 표현의 자유 이러한 헌법적 관점에서 국민참여재판의 문제점을 밝히는 일은 향후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사항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민참여재판의 헌법적 논의를 바탕으로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국민참여재판이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성과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일이 될 것이며, 결국 시민사법을 완성하기 위한 토대로서 작용하게 될 것이다.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below, the jury) started to guarantee the fairness and the clearness of the judicial system and to secure democracy and democratical legitimacy by civil participation. However the demonstration period till 2012 made up for problems of the jury due to no experience of the civil participation progress in the judical system. Nonetheless the fundamental problems was not resolved during demonstration period. Therefore the paper will find fundamental problems of the jury which has been implemented in earnest since 2013, and suggest the activation plan of the jury. The jury has been proceeding through the law of the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jury trial. However the jury has conflicting parts with the people`s basic human rights which is stated by the constitutional law. First, whether a judge can be included as a juror Second, whether it is to violate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which is stated by the constitutional law Third, whether it is to violate trial system Forth, The case centralized by public opinion prior to the jury and freedom of expression To define the problems of the jury in the constitutional law is important to activate the jury henceforth. Thus, the paper discusses the activation plan of the jury based on the constitutional discourse of the jury. The jury will be significant to secure democracy and democratical legitimacy through civil participation, and be applied as the foundation to complete citizenry jurisdiction.

      • KCI등재

        검찰시민위원회의 의의와 역할 그리고 과제

        배미란 ( Bae¸ Mi-lan ) 법과사회이론학회 2021 법과 사회 Vol.- No.68

        검찰시민위원회 제도는 기소절차 상 시민참여를 보장하는 제도로서, 제도의 도입 그 자체는 우리 형사사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문제는 현행 제도 하에서는 시민의 참여 그 자체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현행 제도에서는 위원회는 검사의 요청에 의해서만 심의가 이루어지고, 검사는 위원회의 심의 의견을 존중할 뿐 기속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시민이 위원으로서 할 수 있는 역할이 매우 한정적이며, 사건관계인이자 시민이기도 한 피의자의 입장에서는 이 제도를 활용하기도 어렵다. 이처럼 검찰시민위원회가 시민참여제도라는 점을 내세우면서도 그 실질은 검사가 주도하는 전문가 자문형식을 유지한다면 이 제도는 올바른 제도로서 기능할 수 없다. 다만, 검찰시민위원회가 도입되어 꽤 시간이 흘렀으나, 그동안 소극적으로 운영되어 온 탓에 기소절차 상 시민참여나 검찰시민위원회 역시 시민들에게는 여전히 낯선 제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거나 참여를 의무 지우기보다는, 현 상황을 기소절차 상 시민참여의 과도기적 시기 내지 실험적 단계로 보고, 비록 통제의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우선적으로는 시민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힐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의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얻어낸 다수 시민의 참여와 관심이 결국 검찰 권한을 견제하는 힘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하나는 시민이 자율적,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되, 그 역할을 사건의 심의에 한정하지 않고, 홍보나 교육, 모니터링 등을 통해 검찰시민위원회와 형사사법에의 시민참여의 필요성을 몸소 느끼고, 또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검찰시민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대한 기속력을 인정해야 한다. 이는 단지 시민의 결정에 강제력을 부여 하겠다는 취지는 아니다. 이 제도가 진정한 의미의 시민참여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의견을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심도 있는 토의를 통해 의견을 하나로 모을 수 있어야 하며, 시민과 검찰의 의견이 하나로 좁혀지지 않았을 때에는 그에 대한 책임은 검찰이 지는 것이 옳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기소절차 상 시민참여와 관련한 법률을 마련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검찰시민위원회의 운영기관 및 운영방식, 업무 등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더 이상 검찰의 나무도장이나 거수기가 아닌, 그렇다고 검찰의 권한을 감시하고 통제하기만 하는 위원회도 아닌, 우리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을 시민과 검찰이 합심하여 올바르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검찰시민위원회 제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civic participation in the prosecutorial procedure of prosecution, to review if the current system accords with its purpose, and then to seek for the tasks for changes in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As the system to guarantee the civic participation in the prosecutorial procedure, the introduction of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our criminal justice. However, under the current system, it is not easy to practice the civic participation. For example, in the current system, the commission has a deliberation only by prosecutors’ request, and the prosecutors just respect the commission’s deliberated opinions without being bound by them. And the ordinary citizens who are not experts could play very limited roles as its member. In the position of suspect who is a citizen and a person involved in a case,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is system. Like this, if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maintains the form of expert advice led by prosecutors even when the civic participation system is emphasized, this system cannot function as a proper system. In order for this system to be fully settled down in our society, the citizens should be able to more easily approach the system, and eventually, many citizens’ participation and interest should be working as power to check the prosecutors’ authority. For this, two thing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First, the citizens should be able to autonomously and proactively participate in it. Without limiting the role to the deliberation of cases, they should be able to feel the necessity of civic participation in criminal justice and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through promotion, education, or monitoring, and then to inform it to outside. Second, the binding force of deliberated results of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should be recognized. This is not just to give the compelling force to citizens’ decisions. In order for this system to become a true civic participation system, the opinions should be gathered as one through in-depth discussion, instead of simply delivering their opinions. In case when the citizens and prosecutors cannot narrow down to a single opinion, the prosecutors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it. What should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for this change is to establish the law related to civic participation in the prosecutorial procedure. Concretely, it would be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operating agency, operating method, and work of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Lastly,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is neither a wooden stamp or yes man for prosecutors, nor the commission that just monitors and controls the prosecutors’ authority. It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the Civil Commission for the Control of Prosecutorial Power that could correctly solve the cases happening in our region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citizens and prosecutors.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Ⅱ: 사회적 자본과 시민참여 동학의 변화

        송경재 세종연구소 2010 국가전략 Vol.16 No.4

        본 논문은 한국의 신뢰와 호혜성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본의 특징이 시민참여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의 방법론은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2007년과 2010년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의 설문조사(survey) 자료를 바탕으로 계량적 방법론을 적용했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trust), 규범(norm) 형성의 수평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공공재(public goods)적인 사회속성이다. 사회적 자본 접근법은 신뢰와 협력의 호혜적인 규범이 시민참여와 민주적 거버넌스 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규명되면서 사회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자본 접근법에 천착하여 한국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과 시민참여간의 인과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다년간의 비교연구이다. 연구의 주된 질문은 한국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시민참여와의 인과성을 추적하여 어떤 요소가 시민참여와 인과성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했다. 나아가 2007년과 2010년 데이터를 교차 비교분석하여 최근 3년간의 한국 사회적 자본의 동학과 변화상을 시계열로 살펴보며 시민참여적인 함의를 추출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and civil participation in Korea.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used quantitative methods. The social capital refers to features of social organization such as network, norms, and trust that facilitat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for mutual benefit. Using the data in the study is the results of 2007 and 2010 survey conducted by Cent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of Kyung Hee University. This argument provides the important key in understanding the social capital and civil participation in Korea. First, component of social capital is formed various complex types, such as high generalized trust, stable reciprocal norms, and high civil participation. Second, I can see that social capital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ivil participation. Last, I analyze the problem of low government trus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