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성보호법상 ‘대상’ 아동·청소년을 ‘피해’ 아동·청소년으로 변경하는 입법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찬걸 ( Park Chan-keol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7 少年保護硏究 Vol.30 No.4

        As prostitution targeting children·adolescents who are in the phase when sexual values are being established has a high probability to make them have negative values of sex after growth or hinder their normal social life, the state and society are in duty to protect them more legally·institutionally. Especially, in the present reality that children·adolescents lacking in cognitive abilityㆍjudging abilityㆍdefense ability as compared to the adults are easily exposed to the risk of prostitution in the negative environment such as spread of internet and smart phone, sexual prematurity of adolescents, expansion of the trend of sexual openness etc., appropriateness to minimize wrongdoing of wrongdoing children·adolescents and maximize their damage can be created. Thu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showing legislative movement to protect victimized children·adolescents faithfully from sex crimes and enable them to grown into healthy social members by abolishing regulations to place children·adolescents on protective disposition by including ‘children·adolescents’ who are the opposite party of prostitution as ‘victimized children·adolescents’ not as perpetrators, and establishing support centers for specialized and systematic support for victimized children·adolescents. The below will point out problems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main contents of such legislation bill, and finish discussion by suggesting a measure to raise the age of statutory rape and give prominence to the damage of wrongdoing children·adolescents as a rational application plan of the concept of wrongdoing children·adolescents as alternatives.

      • 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 추이: 1997년과 2005년 비교

        오경원,장명진,이나연,문진수,이종국,유명환,김영택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9

        Purpose: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urrent estimates of the prevalence and examine trend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Height and weight measurements from 183,159 (112,974 in 1997, 70,185 in 2005)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2 to 18 years were obtained via the 1997 and 2005 National Growth Survey.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defined as being at or above the 95th percentile of the gender-specific body mass index (BMI) for age in the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or a BMI of 25 or higher; overweight was defined as being at or above the 85th percentile to less than the 95th percentile BMI. Results:In 2005, 9.7% (11.3% for boys, 8.0% for girls) of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obese; 19.0% (19.7% for boys, 18.2% for girls) were overweight or obese. The overall prevalence of obesity increased from 5.8% in 1997 to 9.7% in 2005 (from 6.1% in 1997 to 11.3% in 2005 for boys and from 5.5% in 1997 to 8.0% in 2005 for girls); the increasing trend was most evident in boys, especially those aged 13-18 years. Conclusion: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eight-year period from 1997 to 2005.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make a priority of developing strategies to control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of increases in obesity are of considerable public health importance. (Korean J Pediatr 2008;51:950-955) Purpose: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urrent estimates of the prevalence and examine trend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Height and weight measurements from 183,159 (112,974 in 1997, 70,185 in 2005)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2 to 18 years were obtained via the 1997 and 2005 National Growth Survey.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defined as being at or above the 95th percentile of the gender-specific body mass index (BMI) for age in the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or a BMI of 25 or higher; overweight was defined as being at or above the 85th percentile to less than the 95th percentile BMI. Results:In 2005, 9.7% (11.3% for boys, 8.0% for girls) of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obese; 19.0% (19.7% for boys, 18.2% for girls) were overweight or obese. The overall prevalence of obesity increased from 5.8% in 1997 to 9.7% in 2005 (from 6.1% in 1997 to 11.3% in 2005 for boys and from 5.5% in 1997 to 8.0% in 2005 for girls); the increasing trend was most evident in boys, especially those aged 13-18 years. Conclusion: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eight-year period from 1997 to 2005.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make a priority of developing strategies to control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of increases in obesity are of considerable public health importance. (Korean J Pediatr 2008;51:950-955)

      • KCI등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소고 –독일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명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4

        본 논문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에 대해 포괄·통합적인 차원에서 규율하고 있는 법률이 있는지 혹은 해당 법률이, 그 기본적 토대를 가지고 향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주요법률로 개정될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주된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독일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해 하나의 통합법을 통하여 따로 규율하지는 않고 각각의 개별법을 통하여 일반인의 정신건강 범위와 원칙에 준하여 처리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건강과 관련해서는 주 법인 「학교법」 규정이 상당히 유의미하다. 독일은 우리나라의 「학교보건법」과 같은 단일의 법률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에 관한 규율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각 주가 제정한 「학교법」에서 정한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학교보건를 통하여 아동·청소년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인식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학교건강’에 대해 별도의 조항을 두어 규율하면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을 포함하는 의미에서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학교의사 임명, 건강검진의무실시 등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작센 주 학교법은 제3부 ‘학교의무’ 부분에서 제26조a 학교보건에 대해 규율하면서, 정신건강을 포함하는 의미에서의 아동·청소년 건강관리가 학교의 의무사항임을 명시하고 있다. 한편 이외에도 학부모의 아동·청소년 건강에 대한 의무도 강제되어 있다. 예컨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학교법」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입학건강검진 의무를 부모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이행하지 않는 경우, 질서위반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또한 작센주 「학교법」 에서도 학부모참여의무에 대한 강제사항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질서위반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학교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청소년의 건강상의 문제를 학교에 알리도록 부모의 의무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학교법」 에서는 학교장이 다른 아동·청소년이나 정신적 안전에 구체적 위험이 될 수 있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등교중지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해놓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법률에서 학부모의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사항에 대해 고지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등교중지에 관하여도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서만 이루어진다는 점등을 고려할 때, 실효적·유기적·체계적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하여 독일의 입법례는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겠다. 독일의 「학교법」입법례를 참고하여 우리의 「학교보건법」을 중심으로 하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에 관한 주요내용을 규율할 것을 제안해본다.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existence of comprehensive legal regulation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 for future amendments to key laws related to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is demographic. In Germany, mental healt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s not regulated through a unified law but is addressed individually through various laws, aligning with general principles of mental health for the general population. Notably, the German "School Law" provis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gulating the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nlike South Korea, where the "School Health Law" governs mental health promo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a single law, Germany addresses these aspects through each state's individually enacted "School Law," focusing on school health to prevent and detect disea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omptly. Germany includes provisions specifically regulating "school health," addressing mental health promo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health. This includes the appointment of a school physician and regulations for mandatory health examinations. For example, the Lower Saxony School Law, in Part 3 on "School Obligations," explicitly specifies the obligation of schools to manage the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mphasizing mental health. Moreover, German laws mandate parental responsibilities for child and adolescent health, such as compulsory health check-ups upon admission to school. Failure to comply with these obligations may result in penalties, such as fines. Additionally, German school laws grant school authorities the power to suspend attendanc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may pose a concrete risk to themselves or others due to mental health concerns. In contrast, South Korea lacks legal provisions requiring parental notification of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issues and restricts school suspensions primarily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Germany's legislative example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proposing effective, systematic regulations on mental health promo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ing on South Korea's "School Health Law."

      • 소아당뇨 아동-청소년의 그림을 통해 나타난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선현 ( Sun Hyun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특징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를 위해 분당 차병원의 ‘소아청소년 당뇨인의 날’ 행사에 참가한 12명의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12명의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에 재학중인 일반 아동-청소년 총 24명의 한정된 인원을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내가 좋아하는 운동>이라는 주제로 두 그룹 간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슬라우(Slough) 행복지수 척도와 행동가치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통계도구 Window SPSS win 12.0K의 독립표본t검정을 이용하여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을 주제로 한 과제화에서 나타나는 소재(운동 종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아당뇨 아동-청소년이 일반 아동-청소년 간 운동종목의 선호이유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아당뇨 아동-청소년과 일반 아동-청소년 간의 그림에 나타난 표현 인원수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슬라우(Slough) 행복지수 척도의 행복수준과 행복하다고 느끼는 시간의 비율에서 소아당뇨 아동-청소년들이 일반 아동-청소년에 비해 행복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paintings by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comparison analysis was done with general children-adolescents as the comparison group. 12 children-adolescents with childhood diabetes who participated in the ‘Da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of Bundang Cha Hospital, and 12 children-adolescents in elementary-middle school in the Seoul-Gyeonggi region were chosen for this study, being 24 subjects in total. A task painting of a theme as <My favorite exercise> was held to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lough happiness scale and behavior value evaluation scale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statistics tool Window SPSS win 12.0K was used based on collected data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enforc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following are study results. First, the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ials (sports event) that appeared in the task paintings based on exercise. Second, the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 why they favored the sports event shown in their painting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appearing in the paintings which were done by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and general children-adolescents. Fourth, according to the level of happiness and the rate of time they felt happy which were assessed by the Slough happiness index scale, the happiness index was lower in diabetic children-adolescents than general children-adolescents.

      • KCI등재

        아동·청소년인권 보호와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 연구

        박혜영(Park, Hye young)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文集 Vol.44 No.1

        인권은 보호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주체가 아동·청소년으로 바뀌면 그들에 대한 인권은 아직도 낯선 것이 현실이다. 각 법에서 어지럽게 정의된 아동과 청소년의 연령대처럼 말이다. 아동·청소년인권에 대해 국내적으로는 「헌법」이, 국제적으로는 「아동권리협약」이 근거규범이 된다. 「헌법」에서 아동·청소년은 부모에게 보호받는 자녀로, 학교에서 교육을 받아야하는 교육의 대상으로, 연소하여 특별히 보호가 필요한 근로자, 복지정책의 수혜자로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헌법해석의 확장을 통하여 ‘아동·청소년’도 국민으로 인간의 존엄을 가진 존재로, 일반적 인권의 속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며, 혼인과 가족생활의 중요한 구성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가는 아동·청소년이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예비하고 그들의 존엄의 가치가 실질적으로 행사될 수 있는 절차와 수단을 마련할 책임이 있음을 검토하였다. 「아동권리협약」은 북한을 포함하여 196개국이 가입한 국제조약으로서 기존 성인들에게만 있다고 여겼던 개별기본권을 ‘아동·청소년’도 누릴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였고, 정기적인 국가보고서 제출을 통해 각국의 아동·청소년인권 보호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마련하고 있다. 그래서 국내의 아동·청소년 관련 사법결정에 「아동권리협약」이 직접적 판단근거가 된다는 것은 그들의 독립적 주체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그들의 인권을 더욱 강화하여 보호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권 전반을 다루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아동·청소년 관련 결정례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결정례를 분석한 결과, 학교 밖보다 학교 내에서의 진정이 많았다. 판단 근거로는 「헌법」 제10조와 제12조, 「아동권리협약」 제3조 및 제19조를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례를 통하여 아동·청소년인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첫째,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학교의 권고수용률을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인권위원회법 제30조 제3항의 직권조사권과 제47조 피해자를 위한 법률구조 요청과 제48조 긴급구제 조치의 구조를 적극 인용할 것 둘째, 아동·청소년인권침해와 관련하여 판단기준의 제도화와 인권감수성의 정착의 필요성 셋째, 아동·청소년인권 인식의 강화를 위하여 교육과 관계기관의 협력체계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erception that human rights should be protected is generally accepted, but human rights to them are still unfamiliar when the subject turns into children·adolescents. Just like the age group of children·adolescents, defined by each law. The ‘Constitution’ on children·adolescent human rights domestically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CRC)’ internationally become the basis norm. In the Constitution, children·adolescents are defined as children protected by their parents, subject to education that requires education at schools, workers who need special protection after burning and receiving special protection, and beneficiaries of welfare policies. However,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adolescents’ are also citize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uman rights as beings with human dignity, and are important members of marriage and family life. The state also reviewed the responsibility of preparing the environment for ‘children·adolescents’ to grow as democratic citizens and providing procedures and means to ensure that the value of their dignity was practically exercised. The CRC is an international treaty signed by 196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which explicitly stipulates that ‘children·adolescents’ can enjoy individual basic rights that were previously thought to be only for adults. In addition, through regular submission of national reports, objective indicators for ‘protection of children·adolescents human rights’ in each country are being prepared. Therefore, the fact that the CRC is the basis for direct judgment in the judicial decisions related to ‘children·adolescents’ in Korea recognizes their independent subjectivity. And it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ir willingness to further strengthen and protect their human rights. In that light,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Korea s(=NHRC) petition on children·adolescents, which covers human rights in gener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tition cases, there were many cases related to school. As the basis norm, Article 10 and 12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s 3 and 19 of the CRC were most frequently cited. After analyzing the petition cases of the NHRC, I would like to propose three things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Rights of Children·Adolescents. First, A foundation should be provided to assess the school s recommended acceptance rate for the efficiency of the NHRCK s petition cases.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of ex officio” in Article 30(3) of the NHRC ACT, and Article 47, “Request for Legal Aid for Victims,” and Article 48, “Recommendation of Urgent Relief Measures,” should be cited. Second,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judgment standards and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relation to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children·adolescents. Thir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strengthen awareness of children· adolescents human rights, and a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Ⅰ

        최인재,모상현,강지현,김윤희,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드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국내ㆍ외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정책 및 법ㆍ제도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전국단위 대규모 조사 및 협동연구 등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타 연구 추진방법으로는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정책 개선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정책추진 주무부처와의 정책협의회를 통해 제안된 정책방안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아동ㆍ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실태파악을 위해 전국단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주요 문제점과 변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둘째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정책영역으로 기존의 정책 현황과 문제점 등을 분석함으로써 개선과제 및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은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법ㆍ제도영역으로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각종 법령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쟁점사항을 도출하였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관련법에 의한 정책추진 상의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현행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및 법ㆍ제도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선진 외국의 정책현황과 법ㆍ제도 관련 입법례 사례를 고찰하는 한편 FGI그룹 인터뷰와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관련 법ㆍ제도의 실질적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상의 연구내용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과 관련한 정책 및 법ㆍ제도 현황과 국내ㆍ외 사례에 대한 파악과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향후 필요한 정책과 법ㆍ제도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study understands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ur nation and has the purpose to prepare improvement policy by analyzing support policy and situ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to enhance mental health of children. The study method conducted the research with literature research, consultation meeting of experts, nationwide survey, and cooperation research and other study promotion method induce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xperts workshop for the policy impro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olicy plan was considered through policy meeting with government department promoting the policy. The study contents was performed by dividing to three areas. First,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Through this, the objective materials were acquired to understand the main problems and change degree in ou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Second, by analyzing the existing policy and problems in the policy are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improvement task and policy alternatives were prepared. At last, by analyzing diverse laws relat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systematically in the law and regulation areas of out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it induced issues and considered problems on the policy promotion by laws relat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To prepare improvement plan of law and regulation, and current enhancement poli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it investigated overseas policy and legislation cases relating to law and regulation and prepared actual improvement plan of relating law and regulation, and policy enhancing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reflecting field experts’ opinions and interview of FGI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bove research contents as the center and suggested result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urrent policy, law and regulation relat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And based on this, improvement plan in the aspect of future necessary policy, law and regul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아동·청소년 통합정책 개발 방향 - 법률과 정책 측면에서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

        박진규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통합과 융합이 새로운 추세이자 사회구성원들이 갖는 문제해결의 중요한 접근방식임을 인식하고, 아동과 청소년 부문에서의 새로운 통합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법률적인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청소년과 아동의 통합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의 분석과 비교에 의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 영역에서의 통합적 정책을 강구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이자 그 가능성에 있어서도 실현될 수 있는 바이다. 다변화하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 성장 과정 중에 청소년기만을 별도로 개념화하기가 쉽지 않고, ‘이것이 청소년이다‘라고 정의내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법률적 정책적 실효성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향후 인구변화 추이도 아동과 청소년 정책이 통합을 이루어내야 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둘째, 법률적인 통합을 이루어 내는 것이 훨씬 더 큰 파급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가능성도 높다 하겠다. 법률적 통합의 방안으로 현행의 아동복지법과 청소년복지지원법을 단일화하는 것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법률적인 통합보다는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는 아동과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통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는 것이 2008년도부터 시행 예정인 제4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08-2012)을 아동청소년정책기본계획(2008-2012)으로 수정하여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integrated polic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writer admitting that the integration is one of the current trends in every walk in this society. Especially this study is to focus on policy integration in lawful term and in policy-mak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ethodology of the approach adopted was the literature analysis. Som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ion of polic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s an un-avoidable trend and requirement in term of decrease in coherent pop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recent years. 2. The lawful integration is the most effective one and necessary one in field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example, the Welfare Act for Children and the Welfare Promotion Act for Adolescents can easily merged into one act, temporary Welfare Promotion Ac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 The integration in policy-making can be possib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the Master Plan for Adolescents for 2008-2012 can be easily modified into the Master Pla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2008-2012.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소년시’ 연구-장르 정착의 실패 요인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원종찬 ( Won Jong Ch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0

        소년시의 탄생―전개―소멸 과정은 한국 아동문학의 역사적 특수성을 비추는 거울이다. 해방 전 우리 아동문학은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모습을 드러냈다. 수많은 아동독자가 동요 창작을 일정 부분 담당하면서 이른바 황금기를 이끌어낸 것이다. 이들을 소년문예가라고 불렀는데, 십대 중후반의 소년문예가들은 소년시를 낳는다. 처음엔 자유율의 동시와 소년시가 장르 경쟁을 벌였다. 그런데 상황의 변화로 소년문예운동이 쇠퇴하자 아동독자의 연령대가 한층 낮아진다. 십대 중후반의 자기 목소리를 지닌 소년시는 동심동어로 발화하는 동시와 경쟁이 되지 않았으므로 독자투고란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한다. 마침내 아동 문학의 운문 장르는 정형률의 동요와 자유율의 동시로 정리된다. 소년시는 얼마간 계통을 이루긴 했으나 장르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소멸의 길로 접어든다. 해방 후 국민교육의 학제가 마련되면서 제도적으로 아동문학의 작가와 독자가 분리되기에 이른다. 이로써 작가와 독자 연령대의 비대칭성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적 아동문학 범주가 확립된다. 오늘날 아동문학은 성인 전문작가가 아이들에게 읽히기 위해 만들어낸 문학작품을 일컫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이는 근대 이후에 나타난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juveadolescents’ poems birth, development, and extinction reflect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Before the national liberati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not seen in other countries. A number of juvenile readers took part in creating children’s songs, contributing to the golden age. They were called juvenile literary artists. They gave a birth to adolescents’ poems so to speak. In the initial stage, adolescents’ poems and children’s poems of the free rhythm entered into competition. As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declined, the average age of readers became lower. Adolescents’ poems reflecting the voice of writers in their mid-teens could not compete with children’s poems represented with children’s voice. Thus, the former barely managed to maintain existence. Finally, the poetry genre of children’s literature resulted in children’s songs of the fixed rhythm and children’s poems of the free rhythm. Adolescents’ poems maintained the lineage for a while but ended up with extinction, failing to secure the status of a genre. As the educational system for nation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writers and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were separated institutionally. As a result, the category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was established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asymmetry in terms of age between writers and readers. Currently, the term ‘children’s literature’ indicates literary works that professional adult artists write for child readers. This is a global phenomenon that has developed since the modern age.

      • KCI등재후보

        청소년 자녀 교육을 위한 기독교 상담학적 조명

        전형준 ( Hyung Joon Jun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0 복음과 상담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기독교 상담 학적으로 조명하는데 있다. 청소년 자녀교육에 관한 성경적 관점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자녀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청소년의 발달상의 문제들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관점에서 가정의 의미,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 청소년 자녀교육을 위한 전략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부모들이 청소년 자녀들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교육관에 문제가 있으므로 부모교육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았다. 기독교 상담의 관점에서 가정은 기초적인 교육의 장이며, 신학적인 공동체, 사회적인 공동체, 구속의 공동체로서의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성경적인 관점에서 청소년의 특징과 이에 따른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청소년은 마음의 문제에 둔감함으로 부모는 자녀의 마음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양육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청소년 자녀양육을 위한 기독교 상담학적 전략에서 첫째, 계획이 있는 자녀양육을 할 것, 둘째, 지속적인 대화를 나눌 것, 셋째, 십대들을 회개로 이끌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1단계: 심사숙고, 2단계: 고백, 3단계; 서약, 4단계: 변화의 단계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후에 청소년 자녀교육을 위한 성경적 상담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desirable roles of parents for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Christian counseling. Having a biblical view of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is very important. In this respect, in this study, diverse studies of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were reviewed and strategies for the meaning of homes, a biblical understanding of adolescent, desirable roles of parents and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with the understanding of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and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it was known that, since problems are in parents’ distorted views of children and educational views, education of parents is indispensable. It was known that,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counselling, home is the stage of basic education and that the roles of homes are important as theological communities, social communities and communities for binding. From a biblical viewpoint,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roles of parents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could be also known. In this regard, it was also known that, since adolescents are insensitive to the problems of minds, parents should bring up their children focusing on changes in their children’s minds. As strategies for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Christian counseling, I proposed to first, bring up children with plans, second, continuously talk with children and third, lead teenagers to repentance. To this end, I suggested a direction to go as stage 1: reflection, stage 2: confessions, stage 3: vows and stage 4: changes. Studies attempting approaches to education of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biblical counseling should be continued hereafter.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빈곤가정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행복감의 관계

        신영미,권순범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ersonal life, emotions, and family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t also explored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on 415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1-19 years ol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 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KFHI) which is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for children. Results: First, the response rate for an increase in both peer-relationship anxiety and academic grade anxiety was much higher than that for a decrease in them. About a quarter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reported that physical threats from parents increased; however, the time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only stayed at home without adults had a greater decrease rather than increase. Second,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both academic anxiety and physical threats from parent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y remained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amount of time that only children and adolescents stayed at home without any adults decreased. Conclusions: To ensure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can take online classes effectively, that child abuse or domestic violence is reported promptly, and that the care gap of poor families in the institutional blind spot is addressed, specific and practical support needs to be sought and prepared from a policy perspectiv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빈곤가정 아동 · 청소년의 개인생활, 정서와 가족생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일상생활 변화가 빈곤가정 아동 ·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기아대책에서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11~19세 아동 · 청소년 415명을 대상으로기술통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확산 이후 빈곤가정 아동 · 청소년의 또래관계 불안 및 학업성적 불안이 증가한 경우가 많았다. 약 1/4의 아동 · 청소년에게 부모의 신체적 위협이 증가하였으며, 성인 없이 아동 · 청소년만 집에 있는 시간은 감소한 경우가 증가한 경우보다 많았다. 둘째, 학업성적 불안과 부모의 신체적 위협이 증가한 경우 아동 · 청소년의 행복감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성인 없이 집에 아동 · 청소년만 있는 시간이 감소한 경우 아동 · 청소년의 행복감은 증가하였다. 결론: 빈곤가정 아동 · 청소년이 효과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아동학대나 가정폭력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빈곤가정의 돌봄 공백에 대응하기 위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정책적으로 모색하고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