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나연,이선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wo hundred thirty five teachers and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at early childhood setting in Seoul and Gueng-gi provinc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including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teaching 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 develop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skills are crucial and necessary. Thus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 and provid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is need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35명과 이들이 담당하는 만 3, 4, 5세 유아 2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보육교사들에게 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담당 유아의 놀이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회귀분석과 Sobel 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 간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놀이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뿐만 아니라 놀이교수효능감 또한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나연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박물관은 대표적인 유산 설명 기관이다. 유산 해석 분야가 근대적 관점에서 포용적 관점으로 변화하면서, 박물관 역시 포용성을 핵심 가치로 두고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유산 해석이란, ‘문화유산의 다수 가치를 인식하고 특정 의도에 따라 대표 가치(들)를 선택하는 활동’이며, 유산 설명은 ‘유산 해석의 결과로 도출된 문화유산의 대표적 가치(들)를 공식화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무리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계획된 문화유산 정보, 즉 잘 이루어진 유산 해석이 있더라도, 대중과의 소통인 유산 설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한 유산 해석이 완성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그만큼 유산 설명은 유산 해석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유산이 올바른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포용적인 유산 해석을 전제로 한 유산 설명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박물관이 공공 문화 교육 기관으로서 그간 어떠한 유산 해석과 설명의 방식을 택하고, 발전해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산 해석과 설명의 정의를 심도 있게 다루고, 이에 따른 박물관 내 유산 설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문화유산 해석 연구의 통시적 발전과유산 해석(interpretation)의 개념
이나연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3
Even though research on heritage interpretation has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actual concept of such interpretation has not been clear. In The ICOMOS Charter for the Interpretation andPres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which is a leading international standard of heritage management, thedefinition of heritage interpretation is still vague. Also, defining its concept is tricky because it is based on the'situation,' which could change at any moment. Therefore it seems that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ly onthe social function of heritage interpretation. Since socio-philosophy research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inheritage studies, the concept of heritage interpretation needs to be precise. Therefore, this paper looks at researchhistory chronologically, divides its social role into two different branches, and finally reifies the definition of theconcept. Two social values of heritage interpretation can be distinguished as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and'inclusive interpretation.'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directs studies into conveying heritage's value to the publicas measured by a few experts. It is an educational and communicative role. Inclusive heritage interpretation focuseson seeking comprehensive recognition of diverse values and finds ways to promote reconciliation among multiplestakeholders of heritage. Even though these two functions have developed in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it isapparent that both have been generated in an unclear, overlapping, and complicated context. The concept of heritage interpretation is too complex to simplify as 'interpretation' itself. This paper definessuch interpretation as 'all activiti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value creation of heritage.' Two social values relate to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they all have a common recognition of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Thisis used to establish a collective identity in society. Howe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conceptualize inclusive heritageinterpretation as 're-interpretation' because it denies modern heritage interpretation and identifies new negotiatedvalue.
이나연,김창숙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news articles posted on the portal site NAVER in South Korea have become tabloidized. Tabloidization is defined as th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quality press adopts the sensational characteristics of tabloid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abloid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ree characteristics of tabloid journalism: news topics of tabloids, sensationalism, and news production practices. A content analysis of 1,317 news published by 14 newspaper companies and news agencies that have a total of more than three million subscriptions on the portal site NAVER showed that 29.9% of news articles dealt with tabloid topics, such as crime, scandals, and celebrities. With regard to news content, more than 60% of news included sensational components. In terms of news gathering practices, an analysis original reporting, which was determined by examining whether each news article was composed by the wires, other news media, or individuals’ social media postings without their own verification, showed that only 37.2% of news stories were based on original reporting. 이 연구는 국내 14개 주요 언론사가 네이버 포털에 제공한 기사 1,317건을 분석해 ‘타블로이드화’의 정도를 검증했다. 선행연구에 따라 이 연구는 ‘타블로이드화’를 주요 언론도 타블로이드의 속성을 보이는 현상으로 정의했으며, 타블로이드화를 검증하기 위한 타블로이드의 주요 속성을 1) 타블로이드 저널리즘의 기사 주제(topic) 증가, 2) 기사 내용 및 제시 방식의 선정성 그리고 3) 취재 관행의 퇴보 등으로 보았다. 주요 언론사가 네이버에 게재한 1,317건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1) 기사 주제의 경우 29.9%가 타블로이드 저널리즘의 주제였으며 2) 기사 내용 및 제시 방식의 선정성은 기사 제목과 내용에서 각각 61.5%, 26.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 관행의 퇴보를 분석한 결과 자체 취재에 의한 기사는 37.2%에 불과하고 타 언론사의 기사를 활용하거나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한 기사가 38.1%였다. 한편, 타블로이드 주제인 기사가 제목과 내용, 취재 관행 면에서 비(非)타블로이드 주제의 기사보다 선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털을 통한 뉴스 이용이 보편화한 미디어 환경에서 주요 언론의 타블로이드화가 민주주의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의 여성 기자는 왜 언론인이 되었을까?: 충족된 동기, 직무 스트레스와 직업 만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나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8 No.3
이 연구는 한국 여성 기자를 대상으로 기자직 지망 동기와 충족,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업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자직 지망 동기를 총 11개 문항으로 구성해 한국여성기자협회 소속 여성 기자 693명(응답율 47.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동기의 유형은 ‘공익 기여’, ‘전문직 보상’, ‘기자직 업무 매력’ 등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경력과 무관하게 한국의 여성 기자가 기자직을 지망한 동기는 공익 기여, 기자직 업무 매력, 전문직 보상 등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여성 기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1) 과중한 업무 2) 온라인 환경 부담 3) 부당한 뉴스룸 문화 4) 동료 관계 부담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기 중에서는 공익 기여만이 정적 관계였다. 동기의 충족은 경력별로 차이를 보여 10년 이상 집단에서는 기자직 업무 매력과 전문직 보상의 충족이 만족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으나, 10년 미만 집단에서는 공익 기여도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였다.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부정적 뉴스룸 문화’만이 직업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d what motivates Korean women to enter the news business and to what extent they perceive as fulfilled their motivations to become professional journalists.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ir perceptions of motivation fulfillment were associated with their level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measured eleven items that motivated Korean women to become professional journalists and analyzed responses from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Female Journalist Association, the most authoritative and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women journalists.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motivation: public interest, social recognition, and attractiveness of the work. Regardless of their generation,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for being journalists was “public interest.” However, among the three types of motivation, only social recognition and attractiveness of the work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 journalists’ job satisfaction. Among four types of job stress – workload, online environment, newsroom culture, and colleague relations – Korean women journalists were the most stressed by their workloads. Only the newsroom cultur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Korean women journalists were stressed by their workloads within a negative newsroom culture, the les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