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문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 특성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

        최원수 ( Choe Won-soo ),권재경 ( Kwon Je-gyeu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신문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유형별 특성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브랜드 스톡에서 발표한 2008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를 대상으로 일정 비용 수준의 광고를 집행했던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각각 1편씩, 100편을 선정했고, 이를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의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첫째, 신문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유형별 특성은 제품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소비자들은 제품 그 자체의 내용 소개나 특징, 사용자들의 증언식 광고에서 높게 인식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개성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개성과 일치하는 브랜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성향에 맞추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성과 관계에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상징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심벌과 전통을 살펴 본 결과, 심벌, 전통 모두 아주 낮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아직 기업들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인식들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요소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유형에 따라서 광고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는 어떠한 차이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로 나타나는 신문광고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 중 슬로건은 조직, 문화로서의 아이덴티티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기업 내부 조직원들과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고, 빨리 인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슬로건이 필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징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제품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성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는 낮게 나타나 슬로건이 경쟁자와 분명한 차별성을 나타내는 커뮤니케이션 활용성이 적다라고 해석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로 신문광고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에 나타나는 캐릭터의 경우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로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캐릭터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낮은 지표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로고타입과 심벌은 기업의 이미지나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 로고타입의 경우는 모든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유형에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심벌은 상징과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는 높게 나타났지만, 나머지 유형인 제품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성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로고타입과 심벌의 경우에 기업들이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유형을 가장 중요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로 표현되는 광고모델에서는 유명인 모델은 신문광고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유명인을 모델로 하는 것은 필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나타나지 않았다. 전문가(Endorser) 모델은 광고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를 모델로 하여 광고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소구방법으로 대부분 낮게 나타나서, 광고의 신뢰성 확보차원에서 적극 보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일반인(General People) 모델은 일반인을 등장시킨 광고의 경우 모델을 통해 창출하고자 했던 브랜드의 사용자 이미지 뿐 만 아니라 포지셔닝 전략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조직, 문화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상징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제품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성으로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모두 대부분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에게 친근감을 주기 위한 캐릭터의 사용은 대체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분석한 표본의 제품범주가 한정되어져 있고 우리나라 신문광고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크게 소구할 수 있는 캐릭터가 드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기업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전략차원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차별화할 때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차별화전략의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ow to make theoretical background of brand identity strategy and strategy method wished to know effective brand identity strategy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constituent element of newspaper advertisement content analysis among components of brand ident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ummarizes like this: First, characteristics by type of brand identity that appear in newspaper advertisement is recognizing brand identity by product high in advertisement that consumers display contents introduction or characteristic of product itself and brand identity as symbol appeared very low. Also, constituent of brand identity as organization and culture appeared as is not high on the whole. Second, that visual communication constituent elements of advertisement is expressed by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ype of brand identity among newspaper advertisement visual communication constituent elements, slogan forms, appear much in identity as culture. As symbol, appeared low in brand identity, brand identity as product, brand identity as personality. Appeared as elements that appear in newspaper advertisement visual communication constituent elements of character are not high on the whole. Logotype is appearing mostly high in type of all brand identities and symbol appeared low. and appeared high in brand identity as system, culture, but appeared a little low in remainder type. Celebrity model is appearing much in newspaper advertisement in expressed advertisement model by brand identity type. and endorser model does endorser of field connected with product or service of advertisement. Appeared mostly low by method that give authoritativeness of advertisement. also, general people model appeared too mostly low.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direction of brand strategy method wished to know effective brand identity strategy by v isual communication constituent elements of newspaper advertisement content analysis among components of brand identity.

      • KCI등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 화장품 매장 공간을 중심으로-

        한야람,한석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가 종식된 이후 오프라인 쇼핑이 점차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장품 브랜드는 매장,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매장의 공간 디자인 등을 다시 고려하여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 매장공간에서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의 활용 현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과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와 어포던스 디자인의 정의를 충분히 이해하고, 어포던스 디자인은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정리한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특징과 어포던스 디자인의 유형을 분석하고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한국의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대한 어포던스 디자인의 시사점을 발견한다. 넷째, 종합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에 대한 제언을 제시한다. (결과) 분석 결과로서는 첫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감각적 어포던스의 평가가 가장 낮았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기능적 어포던스의 평가도 높지 않고 소비자들은 매장 공간의 기능성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갖게 되었다. 셋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매체성, 역사성, 작용성, 융합성, 복합성의 연관성도 비교적 작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화장품 매장 환경을 디자인할 때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기능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매장 공간의 물체나 인터페이스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품이나 시스템 내에서 기능적 상호작용이 합리적인 흐름과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상하는 방식으로 기능이 배치되고 조직되어 있어야 한다. 공간을 통해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작용하고, 상호작용하며 강한 인상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요소와 방법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end of the coronavirus, offline shopping is gradually recovering, leading to increased consumer interest in brand image and cosmetic stores. In order to meet consumer demands, cosmetic brands need to reconsider aspects such as store design, brand image design, and spatial design to adapt to new market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and contribu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and enhancing consumer confidence by examining the current usage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and their impact on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in South Korean cosmetic retail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First,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affordance design, summarizing the significant role of affordance design in shaping spatial brand identity. Seco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and deriving affordance design elements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ird, comprehensively analyzing cases of well-known Korean cosmetic brand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Fourth,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Results) As for the analysis results: First, among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e evaluation of sensory affordance was the lowest. Second,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affordance within the spatial brand identity affordance design types was also not high, and consumers have higher expectations regarding the functionality of store spaces. Third, the correlation of affordance design mediums such as materiality, historicity, actionability, integrability,, and multiplicativity within spatial brand identity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that can help build spatial brand identity and consumer confidence were presented. When designing a cosmetics store environment, various senses can be utilized to create a design that allows us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functions. It uses visual clues about the functions that objects or interfaces in the store space can perform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them. Additionally, functional interactions within a product or system can be designed to have a reasonable flow and structure. Functions must be laid out and organized in the way users expect. Through space, brands can act, interact, and provide strong impressions and experiences to consumers. Various elements and methods can be combined and the brand identity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in space. It is possible to combine various components and provide a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brand experience in space.

      • KCI등재

        패션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 확립 방안 모색을 위한 이미지컬러 성공사례분석

        한승희(Han Seung-Hee),김혜연(Kim Hye-Yeo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2

        정보와 트렌드의 범람으로 많은 브랜드들이 비슷한 이미지와 비슷한 색으로 기획되고 있어 브랜드들의 획일화가 우려되고 있는 현대 패션에, 소비자들을 차별화 시키고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브랜드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에 맞는 색채 기획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브랜드를 기억시킬 수 있는 컬러 아이덴티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의 색채 기획을 함에 있어, 브랜드의 시즌 색채 기획에 앞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컬러 기획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 확립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자 하며, 본 연구는 그를 위한 1차적 연구로, 이미지 컬러 기획에 성공을 했다고 보여지는 브랜드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색채가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하며, 나아가 컬러 아이덴티티 확립 방안을 모색, 제안함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Hermes(에르메스), Chanel(샤넬), Marni(마르니), Paul Smith(폴 스미스)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브랜드의 역사와 특징과 색채 이미지, 최근 컬렉션을 살펴본 후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 확립현황에 대해 분석 해 본 결과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기 위한 브랜드 이미지 컬러는 어느 한 요소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통해 표현되며, 소비자들에게 각인된다는 걸을 알 수 있었다. 패션브랜드라는 특성으로 인해 어느 한 색상으로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한 색조(뉘앙스)나 반복적인 패턴 등을 이미지 컬러로 표현하여 컬러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다. 점차 획일화 되어 가고 있는 패션 브랜드들 속에서 자신을 표현 할 수 있는 이미지 컬러 기획하여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고 나아가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확고히 하여 브랜드의 고부가가치를 형성 할 수 있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단순히 사례연구로 끝나지 않고 "브랜드의 컬러아이덴티티를 위한 이미지 컬러 기획의 실제"에 대한 연구가 후속 연구에 진행 된다면 획일화 되어가는 국내 패션 브랜드들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In contemporary fashion where uniformity of brands is concerned about as many brands have been planning similar images and similar color due to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trends, the color planning according to the brand identity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consumers and satisfy customers" needs, and to do this, color identity which reminds the brand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in association with the color identity establishment of fashion brand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mage color planning that can represent the brand identity prior to the season color planning of brands. As a primary research,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lors in forming a brand identity by analyzing the successful cases of brands in planning color images, and furthermore, it is to seek and propose measures to establish color identity. Hermes, Chanel, Marni, and Paul Smith were set as the object of analysis. When establishment status of brand color identity was analyzed after looking into the history, characteristics, color images, and recent collection of the br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brand image color to represent color identity of the brand is not reflected by one specific element, but is represented by all the elements that compose a brand, and it was identified that it is imprinted on consumers. The color identity of a brand could not only be represented by one specific color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so-called fashion brand, but color identity can be established by expressing certain hue(nuance) or repetitive pattern with image color as well.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color identy of a brand by planning the image color that can represent oneself in increasingly standardized fashion brands, and furthermore, high value of the brand will be able to form by fortifying the brand identity. If this study does not end simply as a case study, but continues in future studies about "the practice of color planning for color identity of a br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brand value of standardized domestic fashion brands can be increased and effective in highlighting image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고객참여형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최은미,유근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ed for customer-tailored products has increased and various networks have been formed due to customer participation, activating the data-based service platform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identity of a customer-participating online shopping mall brand applying the service design process. Build a service concept based on customer need discovery from the customer’s brand experience, that is, branding perspective. In particular, based on the core identity defined as the core value of the brand, not just the development of visual elements, the brand name, which is a linguistic identity element, and the visual identity system, which is a visual identity element, were developed consistently so that the brand image could be delivered to customers in a single voice.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first half of the literature study on brand identity and identity elements and service design process. Afterwards, brand identity was developed according to service design process. In other words, at the Discover stage, we identified customer needs and designed service characteristics, and at the Define stage, we proposed a direction for brand development around the customer’s Pain point. In the development stage, we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core identity, brand naming, and brand design, and in the delivery stage, we derived communication message and brand platform as 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brand identity elements developed earlie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service experience has been enhanc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rand identity so as to increase customer experience value as a service-based platform brand development, and the brand identity element has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 framework.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고객맞춤형 제품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고객의 참여로 인해 다양한 네트워크가형성되어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가활성화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고객참여형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아이덴티티 개발이다. 고객의 브랜드 경험, 즉 브랜딩관점에서 고객 니즈 발굴을 기반으로 서비스 컨셉을구축하고, 서비스 핵심 특성이 고객이 브랜드를 경험하는 모든 터치포인트에 전달될 수 있도록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여 이를 기반으로 언어적인 측면과시각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브랜드 경험 디자인을 하였다. 특히 브랜드 개발에 있어 단순히 시각 요소 개발이 아닌 브랜드의 핵심 가치로 정의되는 핵심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언어적인 아이덴티티 요소인브랜드 네이밍과 시각적인 아이덴티티 요소인 비주얼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일관성 있게 개발하여 고객들에게 하나의 목소리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될 수 있게하였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전반부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아이덴티티 요소,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였다. 즉, Discover단계에서는 고객 니즈를 파악하여 서비스 특성을 설계하였고, Define 단계에서는 고객 Pain point 를 중심으로 브랜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Develop 단계에서는 핵심 아이덴티티, 브랜드 네이밍, 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고 Deliver단계에서는앞서 개발 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방안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도출, 브랜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기반의플랫폼 브랜드 개발로서 고객의 경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해 서비스경험을 제고하였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요소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였다는 부분에의미가 있다.

      • KCI등재

        트랜스 브랜딩 관점으로 본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진화

        권승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4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brand experienc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e role of sustainable brand identity has emphasize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volution and potential of brand identity system based on the trans branding theory. It has a main purpose in conceptualizing and embodying the trans identity system(TIS) th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brand identity system. As a research method, first, it has conducted as a literature study on the concepts of trans branding, style management, 2F strategy and brand identity. Second, the TIS framework was built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s and operational definitions. Based on the core identity, extended identity, and participatory experience factors, the three criteria of trans identity system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es of mind identity(MI), visual identity(VI), and behavioral identity(BI). MI item corresponds to brand values ​​and brandnesss. VI item includes flexibility, component style and composition, and kinetics. BI item is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trans-action to construct the components of participatory experience levels and the items of experience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rand message, which is brand core value, is embodied as a method of systemizing trans symbol which is the main formative element by relating to VI system. This is not a simple and fragmentary logo system, but an organic and complex system that can generate flexibility, kinetics, and participation, allowing consumers to achieve holistic brand experience of brand response, engagement, and creation. 오늘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드 경험(brand experience)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sustainable brand identity)에 대한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화하는 브랜딩의 개념을 설명하는 트랜스 브랜딩(trans branding) 이론을 토대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진화와 그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트랜스 아이덴티티 시스템(TIS: Trans Identity System)을 개념화하고 구체화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트랜스 브랜딩과 스타일 매니지먼트, 2F 전략, 그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둘째, 개념 정리를 통한 결과를 토대로 TIS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핵심 아이덴티티와 확장 아이덴티티 그리고 참여적 경험요인을 추가하여,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세 가지 기준이 되는 정신적 아이덴티티(MI), 시각적 아이덴티티(VI), 행동적 아이덴티티(BI) 항목의 세부요소들을 구성하였다. MI 항목으로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다움을, VI 항목으로 유연성, 구성요소의 스타일과 구성, 운동성을 구성하였다. BI 항목으로는 Trans-action 개념과 접목시켜 참여적 경험 수준의 단계와 경험요인의 항목을 구성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MI의 변치 않는 가치인 브랜드 메시지는 VI 시스템으로 이동하여, 주요 조형요소인 Trans Symbol을 시스템화 하는 방법으로써 구체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순하고 단편적인 로고 시스템이 아니라 유연성, 운동성, 참여성을 일으킬 수 있는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체계로서, 이를 통해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반응과 관여, 창조라는 완성된 형태의 총체적 브랜드 경험을 이뤄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매스티지 가방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안소연,이지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가치 소비와 1인 미디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매스티지 가방 브랜드의 웹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매스티지 가방 브랜드 중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 브랜드를 선정하여 웹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웹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활용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매스티지 가방 브랜드의 웹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는 시각적 요소와 정보전달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웹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가 일관된 디자인에 의해 관리된 브랜드보다 일관성 없이 제품중심의 색상과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많았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주요 요소는 로고의 위치와 색상, 서체, 내비게이션의 위치 및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일관된 브랜드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내용의 디자인 요소가 노출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웹브랜드의 아이텐티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와 모바일앱에서 일관되게 웹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인지 할 수 있는 메뉴와 레이아웃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웹브랜드 매체의 특성에 맞는 1인 미디어에 적합한 시청각 요소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웹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과 디자인 요소와 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연구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eb brand identity design of masstige bag brand according to the rational consumption of consumers and the change of the one media age. The research method is to develop web site and mobile application among masstige bag brands and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web brand identity by selecting communication brands and present strategies for using web brand. As a result, web brand identity design elements of masstige bag brand consisted of visual elements and information transfer elements. Web brand identity design used product oriented colors and images more consistently than brands managed by consistent brand identity design. The key factors of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are the location of the logo, the color, the font, the position of the navigation, and the image are important factors. In order for the brand to deliver consistent brand information to consumers, it is important to expose the same design elements in both the website and the mobile application. Web brand needs to design a menu and a layout that can recognize the web brand identity consistently from the web site and the mobile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suitable for one person 's medi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brand medi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uide for designers who want to apply web brand identity to web site and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researchers who need to analyze design element and structure.

      • KCI등재

        부천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와 도시이미지와의 상관성 연구

        원선미,한백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브랜드 구축에서 훌륭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조건이다.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시 각적인 요소는 인간이 가진 다섯 가지 감각 중에서 가장 먼저, 가장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강력한 표현수단 이기 때문이다. 언어보다 상징적이고 브랜드를 기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브랜드 의 심벌마크나 슬로건, 캐릭터 등을 통해 브랜드로 인식되고 다양한 연상 이미지를 갖게 되며 특정 컬러를 통 해 감성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색채는 형태보다 먼저 지각되며 감정을 자극하고 연상적이고 차별화된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부천시가 사용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색채적용 에 대해 설문을 통해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도시’를 지향목표로 삼고 있는 부천시는 거주민에게는 비교적 긍정적 이미지를 주고 있으나 타도 시민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해서는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슬로건에 대한 인지도만 비교우위로 나타 났다. 셋째, 부천시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부천시가 지향하는 ‘문화 도시’이미지나 아이덴티티가 지향하는 형용사 이미지와의 상관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현재 지향하고 있는 ‘문화 도시’ 이미지를 타 지역민에게도 널리 알리는데 더욱 역점을 두 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를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 특히 색채가 주는 정체성과 연상의 역할에 대 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미지에 맞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색채 적용을 통해 글로벌화 시대에 맞는 경쟁력 있는 도시브랜드를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In building a brand, great identity design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condition. Visual element that makes up the identity is one of five senses of human being accepting fast and most information and it i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on. Identity design which is more symbolic than language and plays important role to remember brand is recognised as a brand and has a variety of images through symbol marks, slogans and characters of brand and it is a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color to evoke emotional responses. In particular, the color is perceived before form stimulates the emo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express suggestive and differentiated identity. Aa a result, I survey the color applied by current identity design of Bucheon city. Survey draws some signigicant results,First, “the city of culture” which is ultimate goal of Bucheon city is relatively accepted by residents but negatively accepted by nonresidents. Second, it shows comparative advantage of an awareness of slogan, regardless of residence, about identity design of Bucheon city. Third, it shows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color applied to identity design in Bucheon. It is analysed that there is the low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the city of culture” which is Buchien city-oriented and the adjective image which is identity-oriented. As a result, I suggest that Bucheon needs the emphasis policy to widely spread image of cultural city to nonresidents. For this purpose, Bucheon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dentity design, especially the identity and suggestive role of color. It should apply the suitable color which is matching the image of the city of culture to build the competitive brand of Bucheon city in an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공간을 매개로 한 브랜드 확장에 관한 연구 - 패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 중심으로 -

        조동우,이은정,이재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공간 마케팅, 공간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를 패션산업의 공간을 매개로한 브랜드 확장에 접목시키고 그 역할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패션 브랜드 확장에서 공간 아이덴티티는 확장의 효과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고찰하고 확장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모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상징화한 공간 아이덴티티는 소비자에게 모 브랜드 이미지 연상과 컨셉트 유사성에 대한 지각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확장공간을 통한 이미지 연상과 컨셉트 유사성은 차별화를 만든다는 가설은 동종 산업 군에서의 차별화를 의미하며 조사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 연상과 컨셉트 유사성은 브랜드 확장평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컨셉트 유사성이 이미지연상 보다 브랜드확장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치미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두 요소다 확장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검증 되었다. 넷째, 이미지 연상과 컨셉트 유사성은 확장 후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브랜드 컨셉트 유사성이 이미지 연상보다 브랜드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미지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이 검증되었다. 연구를 통해 공간을 매개로한 브랜드 확장에서 공간 아이덴티티는 모 브랜드의 이미지 연상과 컨셉트 유사성을 지각하게 하고 이는 차별화와 브랜드 확장평가에 긍정적 역할을 하며 이후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요소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공간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마케팅 요소임을 검증 시켜주었며 그 동안 경험적 또는 관행적으로 수행해온 공간 디자인 과정에 마케팅적 역할의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둔다. Brand extension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a space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ried to develop the rol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ntemplate that a space identity does have a role as the intermediation in brand extension and to examine whether it gives a positive influ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 of space identity is limited to color, shape, texture, logo and symbol, furniture, lighting, and graphic.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 space identity which symbolizes the brand identity of a certain brand has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s to remind the brand and recognize the similarity in concepts. Moreover, the hypothesis in which image association and concept similarity differentiates within the same industry has a positive influence according to the survey.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both the image association and the recognition of concept similar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but the similarity recognition has a greater impact. Through the research, it shows that the space identity in brand extension through space enhances the brand image associ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imilar concept. These 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and brand image improvement, and the case study of a certain brand substantiates it. Besides, it was corroborated that the space became a marketing elements that could effectively show the brand identity to its consum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for imparting a marketing role in space design which was previously done through experience and practice.

      • KCI등재

        스마트폰 기반 매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색채 활용에 관한 연구 - 비즈니스, 금융 분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홍지양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기업들의 차별화되고 고유한 브랜드 이미지 창출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다양한 매체들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영역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져 가고 있고 기업들은 온라인, 오프라인에서의 가능한 모든 커뮤니케이션 매체들을 통해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를 보이고자 한다. 혁신적인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인터넷과 함께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는 PC기반 웹과 함께 소비자와의 중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통로가 되었다.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일관성 있게 제시할 수 있는 시각적 구성 요소는 로고, 레이아웃, 서체, 색채 등 다양한 제시 요소가 있으나 색채는 감성적 측면에서 강력한 시각 디자인 요소로서 일관되게 기업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파악해 볼 때 PC기반 웹과 비교하여 여러가지 제한적 요소와 특성들을 지니고 있고, 이에 브랜드 색채 적용은 무엇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새롭게 떠오른 브랜드 소구 매체인 스마트폰 기반 매체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효과적 시각도구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는 색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색채, 스마트폰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 작업인 로고 색상을 중심으로 PC기반 웹사이트와 스마트 폰 기반 매체의 우수 색채 적용 사례를 선별,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화면의 색상 분석을 위한 레이아웃 구분 기준은 애플사의 아이폰 어플리케이션 레이아웃 가이드라인에 준한 Navigation bar, Content area, Tab bar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대해 Graphic, Text, Icon, Background로 시각적 구성요소를 다시 세분화하여 브랜드 색채을 포함한 활용색상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덴티티 관점에서의 브랜드 색채의 역할과 중요성을 검증하고, 스마트폰 기반 매체의 브랜드 색채에 대한 구체적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role of Brand Identity, which creates a company’s unique and distinct brand image, is continuously becoming more important. Areas of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media ar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ompanies are trying to show a consistent brand image through all communication areas available, both on-line and off-line. Digital media’s innovative techniques and the internet led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and various services provided through smart media, along with PC-based internet services, became an important path for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 elements of visual composition that provide a consistent image for a brand include logo, layout, font, and color, but from an emotional perspective, color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expressing a consistent image for a company as a powerful element of visual design. Also, in determining the features of the smartphone interface,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elements and features when compared to the PC-based web, and therefore, the use of color seem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Brand Identity.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use of color as an effective visual tool for Brand Identity in designing the interface for smartphone-based media, which has emerged as a new form of brand media. For this study, successful cases of using color on PC-based websites and smartphone-based media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Brand Identity and color, as well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the smartphone and color of the logo, which is the core operation of the Brand Identity. The standard for dividing the layout in order to analyze the color on the smartphone screen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colors for Navigation bar, Content area, Tab bar, major Text color, and Icon color used in Apple’s guidelines for application layout. Through this process, the role and the importance of the brand from an identity perspective have been verified, and a detailed application method related to the brand color of smartphone-based media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

        이주형 ( Lee Juhyeong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에 있어서 판매 매장의 공간디자인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최전선으로서 과거에 비해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브랜드가 우후죽순 범람하는 상황에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와 속성까지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브랜드의 생명과도 연결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산업으로서 매장의 공간디자인과 VMD는 타 유통분야보다 민감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 중인 화장품 브랜드의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을 기획함에 있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최종 결과물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브랜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포지셔닝,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의 이해를 위해 시대별 매장의 디자인 변천사를 조사하여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된 매장 디자인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매장디자인의 전략적 요소로 도입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디자인 대상인 에이지투웨니스의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셋째, 매장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숍 아이덴티티와 광고, 상품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VMD로 구분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이 완성되고 시공설치까지 완료된 매장에 대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점검하고 적용된 디자인 아이템 효과를 타진한다. (결과) 본 디자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에이지투웨니스의 매장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분석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매장에 적용하고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표현된 매장의 숍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판매매장의 주목적은 브랜드인지도 확보와 마켓쉐어 확보이다. 브랜드 고유의 철학과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이미지를 전달하기 쉽게 개발된 시각적 아이템이 효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게 되고 브랜드를 기억하게 되어 관심과 구매로 연결되어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를 고려한 매장디자인은 브랜드의 성과목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spatial design of brand shop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s the front-line of brand communication. In the market flooded with brands, delivering the brand image and attributes to consumers might be an important part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brand. Especially, as an industry in which image communication is important, the visual merchandizing design (VMD) and spatial design of shop for cosmetics brands are a sensitive area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area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as a guideline for a cosmetics department store design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final result after go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in case when planning a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of cosmetics brand on sale in online channel. (Methods) First, as a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rand, this study elucidates the evolved design direction following the change of consumption environment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brand identity, brand positioning, and brand communication, and then researching the history of design changes in each shop for understand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Second, this study develops a design item by setting up the design process for introducing the brand identity as a strategic element of shop design, and also analyzes the contents the brand aims to deliver through the analysis of brand ‘Age 20s’ as the subject of design. Third, this study reveals the design outcome by dividing it into shop identity representing the brand communication of shop, and VMD representing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 communication. Lastly, this study inspects the brand communication elements on the shop with completed design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s of applied design item. (Results) This design study proposed a shop design of Age 20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for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After applying the design item developed by brand analysis and design process to the shop,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s on the shop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represented through the design outcome. (Conclusions) The main purpose of shops is to secure brand awareness and market share.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visual i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easy delivery of brand image should repetitively deliver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image, which could lead to it getting embedded in the consumers’ memory, resulting in their increased interest and purchase, and increase in sales of the product. The shop design considering this psychology of consumer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goal of a br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