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 인(仁) 해석의 특징

        김영우(Young-woo Kim)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8

        본고에서는 수기(修己)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목민(牧民)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다산 정약용의 고심을 인(仁)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다산은 인(仁)의 문자적 의미를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각자 본분을 다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인(仁)의 실천은 상대방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자기수양[自修]에서 비롯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주자가 치인에 앞서 수기를 보다 근본적인 것으로 설정했던 것과 유사한 생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산은 인(仁)을 실천하기 위해 수기(修己)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면서도 수기가 성리학의 함양(涵養)과 같이 내면 위주의 수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다. 정약용은 성리학의 함양이 인륜 관계를 단절한 상황에서 내면의 완성을 이루는 잘못된 방법이라고 이해했던 것이다. 대신에 그는 구체적인 인륜 관계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려 솔선수범하는 서(恕)가 인(仁)을 실천하는 수기(修己)의 올바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수기는 인륜 관계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타인과의 관계를 떠난 수기는 다산에게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수기는 치인(治人)과 관련되어 의미가 있는 것이며 치인 또한 수기가 전제되어야 성취될 수 있는 것으로, 다산에게 수기와 치인은 어느 일방으로 포섭되는 것이 아니라 동등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산은 의(義)와 인(仁)을 각각 수기와 치인에 해당시키면서, 나를 선하게 하는 덕목인 의(義)와 타인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는 덕목인 인(仁)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라고 보았다. 인(仁)의 실천은 나의 선함에서 비롯하는 것이되 동시에 다른 사람을 헤아리는 마음과 함께 시작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다산은 인(仁)이 행위자 자신의 선이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실질적인 사랑의 행위로 드러나야 하다는 점에 새롭게 주목하였다. 개인의 선함을 추구하는 의(義)와 달리 인(仁)은 행위의 결과가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실현될 때 비로소 성립하는 덕(德)이라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목민관이 백성에 대해 인(仁)을 실천한다면 그 때의 인(仁)은 목민관의 행위 결과가 실제로 백성 삶의 개선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것까지를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인(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수기뿐 아니라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능력까지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군자의 학문은 수신(修身)이 반이고 목민(牧民)이 반이라고 한 다산의 주장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산 인(仁) 해석의 특징은 인(仁)을 마음의 차원에서 행위의 차원 내지 실천의 차원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기를 중심에 두는 유학의 기본 정신을 유지하면서도, 인(仁)의 실천이 개인 완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백성의 삶의 문제에 대한 실제적 해결까지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산 인(仁) 해석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lluminates on Tasan Chong Yag-yong's notion of 'benevolence' (ren, 仁), through which we will understand in more detail his wholehearted concern on the problem of guiding people (牧民) while upholding the value of cultivating oneself (修己). Tasan interprets 'ren' literally as doing one's best in the relation between two persons; however, it must be stressed that the practice of ren must not ask what other person will or should do, but spring out of cultivation of oneself. Although this may sound similar to Zhu Xi's notion of ren, which emphasized cultivation of oneself before governing others, Tasan's cultivation of self never meant nurturing of one's inner self (涵養) through quiet sitting etc. Instead, Tasan insists that a concrete practice of Reciprocity (恕) that puts oneself in the other's shoe in a humane relationship is the true way of practicing self cultivation that leads to Benevolence (ren). Self cultivation acquires meaning only in one's relationship to others -- in particular, in one's governing people (治人). Tasan allocates Righteousness (義) to self-cultivation and Benevolence (仁) to governance of people, believing that Righteousness, the virtue of making oneself good, and Benevolence, the virtue of loving others, are in a mutually supporting relationship. Moreover, Tasan newly addresses to the point that it is not sufficient for one to have a kind of inner virtue, in order to realize true Benevolence. Unlike Righteousness based on individual virtues, Benevolence requires a particular, concrete result of an action that benefits others. In order to realize Benevolence, one must not only be cultivated innately, but also be capable of dealing practical affairs professionally. In this vein we understand Tasan's famous statement that, in the ultimate aim of a Confucian gentleman, cultivation of self constitutes a half, and governance of people constitutes the other half. The special feature of Tasan's Benevolence is not limited to the point that ren that remained on the psychological level is being turned into face a new horizon of action and practice. Tasan's Benevolence maintains the basic Confucian spirit of assigning 'self-cultivation' the pride of place; however, it does not stop at actualization of oneself, but extends to actual solutions to daily problems and difficulties people face. This is the long-lasting impact and significance Tasan has contributed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Benevolence.

      • KCI등재

        仁과 義로 판단해본 直躬의 直

        김학용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The Zhigong[直躬] anecdote tells a story of a father being reported to the authorities by his son for stealing a sheep, and this story puts readers in a dilemma, causing a clash between social ethics and family ethics. This issue may not, however, be a dilemma according to Confucian logic. When one delves into the essence of the Zhigong issue, he or she would consider it as a clash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In such a case, the moral value of benevolence is superior to that of justice, which means that it is no ultimate dilemma. Zhigong's story clearly raises an "issue of benevolence" in that the son reported his father. When the son reported his father, it raised an issue of filial duty, which is the root of conducting benevolence. The issue of Zhigong is thus an "issue of benevolence." It is, at the same time, an "issue of justice" as the Zhi (truthfulness) of his name Zhigong seems to connote the meaning of justice. Since there had been few traditional interpretations connecting the truthfulness of Zhigong to justice, this study set a practical goal of finding those grounds. The investigato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ruthfulness and justice in the aspects of meanings in the dictionary and the reporting event, and found the strongest grounds for their correlations in『Chunqiu Zuoshizhuan(春秋左氏傳)』(14th year of Duke Zhao's reign in Lu). Shu Xiang[叔向], a grandee in Qin Dynasty who refused to cover up his brother's crime and handled it fairly, was praised by Confucius who said, "He is truthful! His action deserves the word meaning just and honest." This expression shows "correlations between truthfulness and justice." This deserves further attention as it was personally mentioned by Confucius. "Zhigong's dilemma" is a symbolic event showing that there are conflicts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as well. One may have a difficult time accepting the fact that the two most important values of Confucianism can clash, but it is rather normal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theory. Zhigong's story shows why benevolence is superior to justice in Confucianism.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ich of the differences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would help to resolve Zhigong's dilemma. Zhigong's issue is both an "issue of benevolence" and "that of justice." It is a clash between benevolence and justice. Zhigong made a foolish mistake, siding only with justice. One can make "Zhigong's foolish mistake" by putting justice too much ahead while neglecting benevolence, even if he or she does not go as far as reporting his or her parent. This is the message of Zhigong's story in 『Analects of Confucius 』. 양을 훔친 아버지를 고발한 직궁 이야기는 사회윤리와 가족윤리의 충돌을 불러일으키며 딜레마에 빠지게 만든다. 그러나 이 문제는 유가(儒家)의 논리로 보면 딜레마가 아닐 수 있다. 직궁 문제의 본질을 캐보면 인(仁)과 의(義)가 충돌하는 문제로 보이는데 이 경우 仁의 도덕적 가치가 義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궁극적인 딜레마는 아니다. 직궁 이야기는 아들이 자기 아버지를 고발한 점에서 ‘仁의 문제’임이 분명하다. 아버지에 대한 고발은 효(孝)의 문제를 낳고, 孝는 仁을 행하는 근본이라는 점에서 직궁의 문제는 ‘仁의 문제’가 된다. 그러면서도 이 문제는 ‘義의 문제’이기도 하다. 직궁의 직(直)에는 義의 의미가 내포돼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직궁의 直을 義와 연관시키는 해석은 거의 없기 때문에 그 근거를 찾아보는 게 본고의 실질적 목표다. 필자는 사전적 의미와 고발 사건의 측면에서 直과 義의 상관성을 확인해 봤다. 그러나 상관성의 가장 유력한 근거는 『춘추좌씨전』(노소공 14년)이다. 진(晉)나라 대부 숙향(叔向)이 자기 동생의 죄를 숨기지 않고 공정하게 처리한 데 대해, 공자(孔子)가 “義롭구다! 直이라 이를 만하다”고 평하는 내용이 나온다. ‘直과 義의 상관성’을 말해주는 표현이다. 공자(孔子) 자신의 언급이라는 점에서 더 주목할 만하다. ‘직궁의 딜레마’는 仁과 義의 사이에도 갈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유교의 가장 중요한 두 도덕 가치가 충돌할 수 있다는 사실은 선뜻 수긍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유교이론으로 보면 그게 오히려 정상이다. 직궁 이야기는 유교에서 義보다 仁을 왜 우위에 두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仁과 義의 어떤 차이점이 직궁의 딜레마를 해소시켜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직궁의 문제는 ‘仁의 문제’인 동시에 ‘義의 문제’다. 仁과 義가 충돌하는 문제다. 직궁은 義의 편만 들다가 우(愚)를 범했다. 부모에 대한 고발은 아니더라도 仁을 소홀히하고 義만 너무 앞세우면 ‘직궁의 愚’를 범하는 것이다. 『논어』 직궁 이야기가 전하는 메시지라고 본다.

      • KCI등재

        율곡의 ‘인도 실학(仁道 實學)’과 한국인의 삶의 문제

        이영경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율곡의 유학사상의 정체성이 인도(仁道) 실천의 충실함에 있다고 판단하면서, 그의 사상을 ‘인도 실학(仁道 實學)’이라고 새롭게 규정한다. 율곡의 인도 실학의 특성은 인격 형성, 인의(仁義) 실천, 안인(安人), 무실(務實) 지향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는 좋은 인격을 형성하고 가치있는 삶을 구현하려 한 실천 유학의 면모이다. 본 연구에서는 율곡의 인도 실학은 오늘날에도 그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실제적 의미를 갖는다는 입장에서, 인도 실학을 적용하여 현재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물질주의, 이기주의, 비(非)인간적 경쟁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인의(仁義)의 윤리 실천, 안인(安人)의 윤리 실천, 윤리교육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인도 실학의 가치를 우리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defines Yulgok's thought as 'Practicing benevolence discipline(仁道 實學)' because the identity of Yulgok's scholastic thought is thoroughly faithful to embody the value of benevolence. We clar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s 'Practicing benevolence discipline' can be summarized as character formation directionality, practice of benevolence & righteousness directionality, helping people directionality, and making efforts to result directionality. By utilizing Yulgok's 'Practicing benevolence discipline', this study sought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materialism, egoism, and inhuman competition that currently dominate the life of Koreans. Therefore, the main tenets of 'Practicing benevolence discipline', such as practicing the benevolence & righteousness, practicing the ethics of helping people, and reflecting on life through ethics education, were considered as the key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our lives.

      • KCI등재

        딜레마 해결의 관점에서 바라본 곡속장(觳觫章) : 인(仁)과 지(智)의 관계를 중심으로

        장원태(CHANG Wontae)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맹자』 「양혜왕상」 7은 동정심과 동정심의 확장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는 이 장에서 맹자는 이런 주제 말고도 또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맹자는 이 장에서 인 또는 동정심을 실천할 동기가 있지만, 동정심의 실천에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관해 논하고 있다. 이 장에서 맹자는 딜레마처럼 보이는 세 상황을 제시했다. 제선왕이 소를 살리려고 하는 일은 흔종과 양립하기 어렵고, 군자가 희생물에 대해 갖는 동정심은 희생제의와 육식과 양립하기 어렵고, 백성을 보호하는 일과 제선왕의 바람은 양립하기 어렵다. 이 상황 모두에서 행위자는 동정심을 느끼면서도 이를 그대로 실천할 때 다른 한쪽을 저버리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맹자는 딜레마를 해소하고 동정심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인술(仁術) 또는 인정(仁政)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맹자가 다른 곳에서 지혜를 거론했던 대목과 정확히 일치한다. 예컨대 인과 의의 실제를 알고 이를 저버리지 않도록 해 주는 지혜[智](「이루상」 27)나 통치자가 인한 마음을 가졌음에도 백성에게 은혜를 베푸는 데 실패하지 않고, 실제로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 수 있게 해 주는 지혜(「이루상」 1)에 상응한다. 이를 종합해 보면, 맹자는 이 장에서 인한 마음을 실천으로 옮길 때 만날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즉 인의 실천을 위한 맹자식의 실천적 지혜를 거론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Mencius 1A7 has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origination and the expansion of compassion. However, it seems Mengzi goes in deeper than the impulses of benevolence in this passage. He offers a circumstance where one has the motive to practice benevolence or compassion, but has difficulty putting it into action. The focus of this passage is how to overcome the obstacle and preserve one’s benevolence. This passage presents three dilemmatic situations. A. The King’s decision to save the bull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the consecration ceremony; B. The gentleman’s pity for the sacrificed animal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sacrificial rites or meat eating; C. Protection of one’s people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the King’s great ambition to rule all China. In all these circumstances it seems the person in question must discard one of two incompatible choices one of which is one’s compassion. However, Mengzi offers the craft of benevolence or benevolence government as a solution to the dilemma and a method for preserving one’s sense of compassion. His solution coincides exactly with other passages in the Mencius where Mengzi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wisdom. It corresponds, for example, to 4A27 where wisdom allows one to grasp the realities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not forgo them; or 4A1 where wisdom enables the ruler to show grace towards the people without fail through benevolence. All in all, it may be concluded that Mencius 1A7 is a passage illustrating Mengzi’s practical wisdom for overcoming obstacles and putting one’s benevolence into action.

      • KCI등재

        Marketing Environment and governance mechanisms: Focusing on Manufacturer’s Interfirm Benevolence

        Min-Jung Kim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0 No.1

        Purpose - Manufacturers in uncertain environments need to depend on governance mechanisms to reduce the inherent risk in these environment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which governance mechanisms a given manufacturers will develop in uncertain environments for managing the relationships with its vertical partner. This study explores how different governance mechanisms function under uncertain environmental circumstances. We also try to investigate the contextual effect of interfirm benevolence as moderat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provid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interfirm benevolence on which this research's propositions are predic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environmental uncertainty, governance mechanisms and interfirm benevolence will be discussed. Results - The expected results are as follows. Manufacturers in an uncertain environments rely on different governance mechanisms under conditions of high and low interfirm benevolence. In terms of role of interfirm benevolence, interfirm benevolenc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governance mechanisms can develop in an uncertain supply markets. Conclusions -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etween channel partners, particularly, this research offers that interfirm benevolence is a crucial competitive factor under environmental uncertainty situ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governance mechanism structure on performance in an uncertain environment and various level of interfirm benevolence.

      • KCI등재

        인(仁)원리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다문화사회 통합윤리로서 인(仁)을 중심으로-

        서은숙 ( Eun-sook Se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1

        본고는 현행 다문화교육 및 낮은 다문화수용성 등에서 발생하는 이민·다문화사회의 윤리적 문 제들 이를테면 문화 간 갈등, 편견, 차별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상호 배려와 관심, 사랑, 조화, 다문화수용성 제고, 상호이해, 인간존엄, 타인에 대한 사랑과 공경 등을 길러주기 위한 이민·다문 화사회의 통합윤리를 仁의 원리에 기초하여 탐색하였다. 이민·다문화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은 다 문화사회 통합을 위한 걸림돌이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통합윤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MIPEX에서 우리 사회의 이주자통합정책지수는 높은 편이 아니며, 특히 교육 및 차별금지 영역에 서 문제가 드러난다. 이에서 오늘날과 같은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과 선주민간의 바람직한 다문화사회 통합윤리를 仁의 원리에서 찾았으며, 이러한 仁의 원리에 근거한 다문화사회 통합윤리를 인간중심과 인간존엄에 두고, 그 내용은 사랑과 공경의 배려와, 공존, 조화, 반편견, 반차별의 상생으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仁의 실체는 효제와 충서, 극기복례, 예, 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서 상대방을 사랑하고 공경하며, 이를 통해 서로의 상 생과 공존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결국 모든 사람이 공평하고 평등하다는 인간중심, 인간존엄의 다 문화사회 통합윤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통합윤리는 인간중심과 인간존엄을 근간으로 모든 사람을 사랑과 공경으로 사랑한다는 배려의 통합윤리와, 공존, 조화, 반편견, 반차별의 상생의 통합윤리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Benevolence as a integration ethics of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MIPEX, Korea ranked 18 among 38 nations. Our multicultural society has some ethical problems in social integration especially at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of multucultural understanding. And we are in low multicultural sensitivity or acceptance, and our multicultural education is focused on immigrant based student not for all. And though our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have various education and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our society has some ethical problems. Hence, for the solving these problems, we need a integration ethics for multicultural integration. Herefrom, Confucian Benevolence can role in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as a integration ethics of multicultural society. Traditionally, Benevolence is based on two basic principle. One is human based theory by caring and love, the other is people-dignity based theory by harmony and anti-discrimination. Basically,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s method realization of Benevolence. Also, loyalty and commiseration, rites, harmony are also the elements of benevolence. The integration ethics of multicultural society is based on human centered and human dignity theory. As integration ethics of multicultural society, Filial Piety, etc. has meaning in that it is the root of all action, a method of realization of benevolence and the principle of caring, harmony, equality, coexistence. Benevolence is composed by two principles. One is love for others. Here, love means benevolence, caring, respect to others whatever he or she has culture, gender, race, age etc. The other is coexistence. This means harmony, equality, anti-bias, anti-discrimination whoever is anyone. 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bias, inequality. These can be a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as today.

      • KCI등재

        유가 ‘인(仁)’의 본래 의미와 실천론

        趙南旭 ( Cho Nam-uk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7 No.-

        우리 인간사회에서 ‘사람’이라는 이름을 떨칠 수 없는 한, 항상 ‘사람다운 삶’이 중시되기 마련이다. 공맹의 유가에서는 그러한 내용들을 ‘仁’이라는 용어로 담아 왔다. 즉 ‘仁’자는 유가 인생론의 키워드가 된 것이다. 그런데 그에 대한 공자의 발언은 일정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이라는 동질성을 가지면서도 때로는 개개인의 처지와 입장이 다른 경우가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공자 ‘仁說’의 내용들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결국 사람의 내면과 외면을 포괄하는 하나의 ‘人’자로, 즉 ‘사람다움’의 의미로 정리되기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을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仁’자의 용례를 따라 그 본래적 의미와 실천의 내용을 살피면서 그 논의의 폭을 넓혀보기 위하여 성리학계의 주자와 실학계의 다산까지 이어갔다. 그리고 오늘날에 있어서 그것이 가질 수 있는 의의에 대해서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악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자의 제자로서 선비[儒]다운 인격을 적극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부단히 ‘仁’에 대한 질문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로 말미암아 그 내용은 ‘正名’의 맥락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존엄성을 구현하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둘째, 여러 가지 덕행과 연계되는 형태의 공자 인설은 자사와 맹자에 이르러 ‘人[사람다움]’의 뜻으로 종합되었고, 특히 맹자에서 그 ‘仁’ 실천 가능성은 ‘德’으로 말해졌고 또 정치의 이상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공자가 안연에게 仁을 ‘克己復禮’로 말한 부분에서는 성리학과 실학의 견해가 같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주자는 ‘禮’란 천리에 근거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결국 仁은 천인합일의 길이 되는 것으로 보았으나, 다산은 그와 같은 ‘克己’ 중심의 인설을 특이한 경우로 분리시켰는데, 그 이유는 ‘仁’의 실제는 ‘二人’ 즉 사람들 상호 관계에서 형성된다는 입장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넷째, 비록 시대는 다르다 하더라도 유가에서 제시된 仁의 구현은 다문화의 오늘날에 있어서도 사람다운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에 적극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仁의 인생관은, 안으로는 자신의 인격을 제고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밖으로는 ‘다르기에 서로 존경한다[異則相敬 『禮記』]’는 말에 이를 정도의 사회적 공존의식을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the practical theory on the Confucian benevolence. And I worked for the searching of the contribution elements in our modern human society. Confuciu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decent living.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① ‘If the will be set on virtue, there will be no practice of wickedness.’ ② ‘To subdue one’s self and return to propriety, is perfect virtue.' ③ 'Not to do others as you would not wish done to yourself.' ④ 'Benevolence is to love all men.' ⑤ 'The practice elements of perfect virtue are gravity, generosity of soul, sincerity, earnestness, kindness.' ⑥ 'Benevolence is the characteristic element of humanity.' Therefore, the man of virtue will not seek to live at the expense of injuring the his virtue. He will even sacrifice their lives to preserve their virtue complete. In this way, the practice of perfect virtue is from a man himself. The modern significance on the theory of Confucian benevolence is as follows. In the point of individual side, the character of a man is to be cultivated by his treading in the ways of duty. and the treading those ways of duty is to be cultivated by the cherishing of benevolence. And in the point of social side, the man of perfect virtue, wishing to be established himself, seeks also to establish others. I think that the practice of perfect virtue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the peaceful coexistence in our every day life.

      • KCI등재

        유학의 인본적 리더쉽

        민황기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umanistic leadership of Confucianism. Based on humanistic world view and personality theory, Confucianism wanted to realize a harmonious community society with human moral life. Confucianism is a one-sided private structure called‘heaven’s will=human nature’that has a uniformity in the name of the heaven and the human. In particular, the term『golden mean』 refers to‘what the heaven commands as human nature’, which states that the heaven's principal principle and character as a moral subject are accepted as an internal‘human nature’ Therefore, human leadership is based on character, and it is a possible basis for any human being to become a leader. Confucianism's leadership is based on human self-reliance, and what comes from it is true leadership. Confucianism's leadership is feasible by overcoming his desires and finding fault with him. Overcoming your selfishness and returning to the example is that‘the virtue of your true self will be intact in my body,’which is a condition for securing a great leadership and a condition for a true leader. And looking back on yourself is a condition to secure a grand leadership, which is a way to save a desirable leader in terms of leadership. In the end, personality-based reception become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Confucianism's leadership. In this respect, Confucianism's theory of leadership is called human leadership. Confucianism's Leadership is the three virtues of Confucius, wisdom(知)·benevolence(仁)·courage(勇). Wisdom is a well-informed and wise thing that likes to learn. Benevolence is about building virtue and showing charity and being benevolent and benevolent. Courage refers to a person' and boldness. The three found‘to over a person’in knowing‘Received’if you know, as well as‘to govern the nation’to know that you can. Thus, the leadership of wisdom(知)·benevolence(仁)·courage(勇) is a virtue that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receive, but to govern others to govern the nation. And since it's Sincerity that does the wisdom(知)·benevolence(仁)·courage(勇), the practice of 'sincerity' gives us human leadership of wisdom(知)·benevolence(仁)·courage(勇), That is also the exercise of the five ethics(五倫) of human behavior as a fair human being to protec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lind, love of others, control of others, and treating others as examples benevolence(仁)·wisdom(知)·respect(敬) are key elements of leadership that can be a desirable leader. If you do something(benevolence(仁)·wisdom(知)·respect(敬)) that you don't get after you do it, you have to turn to yourself, and you have to return to the heavens. He speaks of the ultimate return of heaven and earth when he is well-mannered and well-behaved. 이 논문은 유학의 인본적 리더쉽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유학은 인본주의적(人本主義的) 세계관과 인성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도덕적 삶과 조화로운 공동체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유학은 ‘천명(天命)=성(性)’이라는 일원적 사유구조로 천·인(天·人)의 성명적(性命的)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중용』에서는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이른다.”라고 하여 하늘의 주재적 원리와 도덕적 주체로서의 특성은 그대로 내면적 ‘성’으로 수용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진정한 리더쉽은 인성(人性)에 기초하여 있는 것이며, 인간이면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는 가능 근거라 할 수 있다. 유학의 리더쉽은 인간의 주체적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고, 이로부터 우러나온 것이야말로 참다운 리더쉽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유학의 리더쉽은 욕망을 극복하며 모든 탓을 자기에게 찾음으로써 실현 가능한 것이다. ‘자기의 사욕을 극복해서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은 ‘본심의 덕이 내 몸에 온전하게 된다’는 것이므로, 이는 대자적 리더쉽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이 되며, 진정한 리더의 조건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돌이켜 찾는 것(求諸己)이야말로 대타적 리더쉽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이 되며, 이는 리더쉽의 조건으로 바람직한 리더를 구하는 길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인성을 바탕으로 하는 수신이 유학 리더쉽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유학의 리더쉽 이론은 ‘인본적 리더쉽’이라 할 수 있다. 유학 리더쉽은 공자의 지(知)·인(仁)·용(勇) 세 가지 덕목으로, 지는 배우기를 좋아하여 견식이 높고 지혜로운 것을 말하고, 인은 덕행을 쌓고 박애를 베풀어 어질고 자애로우며 인덕이 있는 것을 말하며, 용은 수치를 알아서 품성이 당차고 과감한 것을 말한다. 이 세 가지를 깨달으면 ‘수신(修身)’을 아는 것에서 ‘치인(治人)’을 아는 것은 물론, ‘치천하국가(治天下國家)’까지 알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인·용의 리더쉽은 ‘수신’은 물론 ‘치인’에서 ‘치천하국가’까지 가능하게 하는 덕목이 된다. 그리고 지·인·용을 행하는 것은 ‘성(誠)’이므로, ‘성’의 실천함을 통하여 인간의 지·인·용 리더쉽을 얻게 되고, 그것으로 또한 사람이 지켜야 할 떳떳한 인륜(人倫)으로서 인간의 사회관계에서의 행위 질서인 오륜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맹자에 따르면 애인(愛人)·치인(治人)·예인(禮人)의 인·지·경이 바람직한 리더가 될 수 있는 리더쉽의 핵심요소이다. 인(仁)·지(智)·경(敬)을 ‘행하고도 얻지 못하는〔不親, 不治, 不答〕 것이 있으면 모두 자신에게 돌이켜 찾아야 하니 자신이 바루어지면 천하가 돌아오는 것이다.’라고 하여 자신이 스스로 다스림이 더욱 치밀하여 몸이 바르게 되면 궁극적으로는 천하가 돌아오는 효험을 말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인(仁)의 개념에 대한 인권법적 접근 - 논어를 중심으로 -

        채형복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법학논고 Vol.- No.77

        Benevolence(仁) is the basic ideology and core concept for understanding Confucianism. In the Analects, Confucius puts forth the principle of humanity (人倫) as a principle to be followed in life, and takes benevolence as its ultimate goal. In a word, Benevolence is a core theme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Analects, and the noble man(君子) is the subject of its practice. Howev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not clearly revealed in the Analects, and Confucius never directly mentioned benevolence. In modern society, Confucianism is regarded as a pre-modern ideology. In particular, the lack of basic human rights is cited as the main basis for criticizing Confucianism. Human rights are a product of modern European political thought. Since Confucius was born and work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is also true that Confucianism does not contain human rights ideology in the modern sense. However, this position is too difficult to represent criticism of Confucianism. Rathe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ccept this criticism in orde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rights. In this paper, this pap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uman rights law, an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Human Rights-Confucianism is proposed. To this end, we examine the meaning of the noble man and the inferior man, who are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law practice of benevolence. And we consider the four practical methods of human rights;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悌), overcome selfishness and return to the rituals(克己復禮), do the hard work first, then take care of your own profit later(先難後得), and loyalty and forgiveness(忠恕). 인(仁)은 유학 혹은 유교를 이해하는 기본이념이자 핵심 개념이다. 논어에서 공자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리로 인륜(人倫)을 내세우며, 인(仁)을 그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한마디로 仁은 논어 전편을 관통하는 핵심주제이며, 그 실천 주체는 군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논어에는 정작 仁의 개념이 명료하게 드러나 있지 않으며, 공자도 仁에 대해 한 번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유교는 전근대적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기본적 인권의 부재는 유교를 비판하는 주된 근거로 원용되고 있다. 인권은 근대 유럽의 정치사상의 산물이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활동하였으므로 유교가 현대적 의미의 인권사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입장은 유교에 대한 비판을 대변하기에는 궁색하기 그지없다. 오히려 이 비판을 적극 수용하여 인권의 관점에서 유교가 가진 한계를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대 인권법적 관점에서 仁을 개념 정의하고, 인권유학의 성립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仁의 인권법적 실천 주체인 군자와 소인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 효제(孝悌), 극기복례(克己復禮)·선난후득(先難後得), 충서(忠恕)를 仁의 인권법적 실천방법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팀장의 하향온정이 팀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팀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

        심선아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The implementation of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impact on team-level innovation. The degree to which affective commitment p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and team innovation was investigate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5 teams in 47 firms and organizations in Korea. In order to avoid common method bias, two separate surveys were administered: one to team leaders and the other one to randomly chosen team members.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and team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this study provided support that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is effective tool in a Korean workplace because it encourages team members to challenge new environment so that they could find new way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new ways. Second this study was analyzed at a team-level while most of leadership researches at individual level. This study was analyzed at the appropriate level a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eam leaders.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e affective commitment mediated between team leader’s downward benevolence and team inno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given with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rroborations of evidence through longitudinal study and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팀제로 운영되는 기업 내 팀장의 하향온정이 팀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팀장의 하향온정과 팀 혁신성향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하향온정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팀장의 하향온정과 팀 혁신성향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47개의 기업에 소속된 총 125개의 팀을 대상으로, 팀당 표준화된 설문지를 2가지 종류로 구성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신뢰도를 높이고 동일측정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팀장 1명과 팀원 3명을 한 단위로 하여 얻어졌다. 팀장의 하향온정과 팀 혁신성향의 직접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팀장의 하향온정이 팀 혁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하여 검증하고자, 하향온정과 정서적 조직몰입을 동시에 투입한 결과 하향온정의 유의한 영향은 사라지고, 정서적 조직몰입은 유의하게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리더십 측정을 문화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리더십의 하향온정으로 측정하였다. 둘째, 연구의 분석을 팀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이 하향온정과 팀 혁신성향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