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한국판 LDS(언어발달검사) 반응특성

        홍지헌 ( Ji Heon Hong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한국판 LDS(언어발달검사) 반응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와 재활의학과 등 3곳에 발달평가가 의뢰된 18개월에서 35개월 영유아 135명이며, 연구도구는 한국판 LDS(Language Development Survey),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 I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23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 점수는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의 인지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24-35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과 문장길이 점수는 Bayely 영유아 발달검사의 인지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18-23개월 영유아의 LDS 어휘력점수는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효과크기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4-35개월 영유아의 경우 언어발달지체집단이 LDS의 어휘력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는 중간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24-35개월 영유아의 LDS 문장길이점수에서 언어발달지체집단이 언어발달정상집단에 비해 유의 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으나, 효과크기는 낮은 수준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LDS와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언어발달지체집단과 언어발달정상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언어발달지체 영유아가 한국판 LDS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판 LDS의 언어발달지체 변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DS of toddlers suffering from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5 toddlers who were 18 to 35 months old. They were assessed at a child psychiatry clinic and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The K-BSID-II and the Korean LDS were used as the measuring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bulary scores and Mental scales of the 18 to 23 month old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e Vocabulary scores, Phrase length scores and Mental scales of the 24 to 35 months old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Vocabulary scores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toddlers with or without language delay who were in the 18 to 23 months old group. The Vocabulary scores and Phrase length scores of -the 24 to 35 months group suffering from language dela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language development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size of- Vocabulary scores was moderate compared to low Phrase length scores.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LDS as a very useful tool for assessing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toddlers.

      • KCI등재후보

        위험군 영아에 대한 발달 평가 - 미숙 위험아 집단, 만삭 위험아 집단과 일반 영아 집단을 중심으로-

        오명호,이인규,이희정,김선영 한국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3 No.1

        This study was desigen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groups; namely, 30 preterms at risk, 30 full-terms at risk, and 30 normal infant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based on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K-BSID-Ⅱ, 2004) and Korean Type Developmental Test for Infants and Toddlers(K-TDTIT, 2002).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quotients between the group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omains. As a result, there were shown different levels of achievements in 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K-BSID-Ⅱ; normal infan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Also, from the K-TDTIT, preterms at risk and full-terms at risk showed lower levels of development than normal infants in the cognitive-adaptive domain.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and mental developmental index from the K-BSID-Ⅱ. In the aspect of domains from the K-TDTIT, normal infa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very other domain except the fine motor domain though preterms at risk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same domain. Authors suggest that details of the developmental comparisons at risk infants can be found when institutional and social policy support would be more effective. 본 연구는 평균 연령 4.9개월의 일반아 30명, 미숙 위험아 30명 및 만삭 위험아 30명의 발달을 소아과 의사와 심리학자간 다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비교하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측정도구로는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2004)와 대한 소아과학회 발달검사 제정 소위원회에서 개발한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2002)를 사용하였다. 각 집단별 발달 지수의 차이와 각 영역별 싱관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 검사의 인지지수와 동작지수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의 인지-적응 영역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의 조대 운동, 미세 운동, 개인-사회성 및 언어 영역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인지-적응 영역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의 집단별 인지지수와 동작지수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의 하위 영역에서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아대상 추후연구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논의하였으며, 위험군 영아에 대한 조기 중재와 종단적 연구를 위한 행정적 및 정책적 차원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이유진,방희정,이순행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of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the Bayley-Ⅲ verifying its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analyze the items to obtain a base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ayley-Ⅲ.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was translated English into Korean by graduated students of development psychology and a primary research was completed with a consequence of elimination of 4 items, revision of 12 items, and supplement of 12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the item arrangement was a little different to the original scale's, as expec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984), test-retest reliability(.977) and inter-scorer reliability(.986) was showed a strong correlation(p< .01). Third, a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subtest of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correlation of .511 and Language subtest of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636(p< .05). 본 연구는 1세 16일부터 42개월 15일 된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본 연구의 1차 예비 검사를 시행하여 미국판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의 문항들 중 4 문항 삭제, 12문항 수정, 12개 보충문항을 첨가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모집된 영유아 257명의 검사 결과 중 온전하게 수집된 244명의 검사 결과만을 분석 대상 자료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분석 결과, 기존 문항 난이도와 한국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나타난 문항의 난이도는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몇몇 문항들은 다르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뢰도 분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측정의 표준오차, 검사-재검사 신뢰도, 채점자간 신뢰도 계수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 .01). 셋째, 문항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해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아동 언어평가 2가지와 상관을 보는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조복희,박혜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K-BSID-II)를 표준화하기 위해 서울/경인지역, 충청지역, 그리고 영호남지역에서 1,700명의 영유아에게 K-BSID-II를 실시하였다. 검사내용은 원 검사문항에 더해 예비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 2개,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문항 2개 그리고 인접 연령집단의 문항세트로부터 2~6개 문항을 차용하여 구성되었다. 미국의 원검사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한 수행만을 분석한 결과 한국 영유아는 인지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와 유사하였으나(M=99.71(SD=11.21)), 동작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보다 높은 경향(M=104.53 (SD=12.88))을 보였다.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간의 상관은 매우 높았으며(.99), 인지발달지수, 동작발달지수, 행동발달지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도 각각 .91, .98, 그리고 .99로 매우 높았다. 발달 지수에 대한 성차분석결과 일부연령집단에서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모두에서 여아의 수행이 높아 여아의 발달이 남아에 비해 빠른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분석결과 충청지역의 영유아가 다른 지역의 영유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평정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 α값이 연령집단에 따라 .92에서 .96사이로 매우 높았다. 행동평정척도에서도 남녀차이와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영유아의 발달 수준을 미국의 영유아와 비교할 수 있었으며, 성차, 지역차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As the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orm for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1,700 infants from Seoul and its vicinities, middle-, and south-regions of Korea were tested with the standardization version of the K-BSID-II. The test included two items developed through the pilot study and two newly developed items as well as extra two-six items from adjacent age group set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BSID-II. Korean infants showed a very similar Mental Developmental Index (M=99.71(SD=11.21)) to US counterparts but the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M=104.53 (SD=12.8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S norm s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I and PDI was very high (.99). There were high inter-scorer reliabilities for MDI(.91), PDI(.98), and BRS(.99). Gender difference was evidenced in both MDI and PDI at several age groups revealing the faster development among girl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revealing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section. There were high reliabilities of BSID-II Behavior Rating Scale(BRS) in all age groups(.92-.96). There were some factors of BRS showing gender as well as regional differences. Validity as well reliability analyse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지현,성현란 인지발달중재학회 20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영아용으로는 BAYLEY 영 유아 발달 검사, 유아용으로는 WPPSI 유아지능 검사, PPVT 그림어휘력 검사를 모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울산대학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5개 보육시설(국공립 1개소, 직장 4개소) 영유아 총 309명(남아: 161명, 여아: 148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 변인(성별, 연령, 출생순위) 중 성별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PPVT 백분위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BAYLEY 인지와 WPPSI 동작성이 높았으며, 첫째가 둘째보다 WPPSI 언어성과 WPPSI 총점 모두에서 평균 6점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변인(부모 연령, 부모 학력, 부모 직업, 소득) 중 부모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부학력이 높을수록 WPPSI 언어 성, WPPSI 총점이 높고, 모학력이 높을수록 WPPSI 언어성, WPPSI 총점, PPVT 백분위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 직업이 사무직 또는 전문직일수록 자영기능인이나 자영상인보다 WPPSI 언어성 과 WPPSI 총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높을수록 WPPSI 언어성, WPPSI 총점, PPVT 백 분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BAYLEY 동작을 제외한 모든 발달이 아동 및 부모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AYLEY 인지는 아동의 연령, WPPSI 언어성은 출생순위와 부학력, 부직 업, WPPSI 동작성은 아동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WPPSI 총점에서는 아동의 연령, 출생순위, 부학력, PPVT 백분위는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 연령은 영아기 발달보다는 유아기 발달에서 더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고, 출생 순위는 둘째보다 첫째일 때 유리하였다. 특히 어머니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중요한 변인이라고 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아버지 학력과 직업이 영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수용언어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심효진,방희정,이순행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of the Receptive Communication Scale of the Bayley-III and to obtain the base data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ayley-III. The original Receptive Communication Scale was translated English to Korean, and than inappropriate items for Korean children's were removed or modified, and new items were added. Participants were 246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1-42months in Seoul and the suburb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the item arrangement was nearly similar to the original scale's except for a few cases. And it was identified that additional new items could assess accurately Korean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984), test-retest reliability(.977) and inter-scorer reliability(.999) wa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Third, the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for adequateness of original items and modified or added items in this study. The 2 domestic language scales had high correlations with Bayley-III receptive language scale respectively. 본 연구는 한국판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3판의 수용 언어 척도를 제작하고, Bayley-III Receptive Communication Scale(Bayley, 2006)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 번역 및 역번역 작업과 더불어 한국어 문법 및 한국아동의 언어 발달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원척도 중 이와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검토, 수정, 보충문항을 제작하는 과정을 거쳤다. 서울 및 서울 근교의 1개월15일에서 42개월15일의 영유아 246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난이도 분석 결과, 기존의 문항 순서와 거의 비슷한 난이도 배열을 나타냈으나, 몇 개 문항의 경우 한국어와 영어 간 문법, 문화적 차이 등에 의하여 문항 난이도가 기존의 문항순서와 달라지기도 하였다. 추가한 보충문항이 척도에 포함된다면 한국 아동의 수용언어 발달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등을 확인한 결과, 미국의 원척도와 유사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우선 문항의 적절성에 대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고 국내에서 사용 중인 아동 언어평가 도구 두 가지를 추가로 실시하여 공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 아동의 인지기능 발달: 증례보고

        윤인진 ( Yoon In Jin ),이의균 ( Lee Eui Kyun ),서지원 ( Seo Ji Won ),정다빈 ( Jeong Da Bi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1

        목적: 본 증례는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로 진단 받은 아동의 인지기능 발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생후 15개월에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로 진단 받아 재활의학과로 의뢰되었고, 생후 15개월부터 45개월까지 본 기관과 다른 기관에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을 지속하여 받았다.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확인하기 위해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 28개월, 42개월에 시행된 덴버발달선별검사Ⅱ와 생후 33개월에 시행된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Ⅱ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덴버발달선별검사Ⅱ 결과, 개인사회성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에 정상, 38개월에 의심스러운 발달, 42개월에 정상을 보였고, 미세운동적응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 38개월, 42개월에 정상을 보였다. 언어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에 정상을 보였으나 26개월, 38개월, 42개월에는 의심스러운 발달을 보였다. 생후 33개월에 시행된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Ⅱ에서 정신 발달연령 26개월, 정신발달지수 78점으로 정신영역에서 약간 지연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를 통해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 아동에게서 인지기능 발달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 아동에게 운동기능을 위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발달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도 중요한 중재라는 것을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development on 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Ⅱ(SMAⅡ). Methods: The subject was diagnosed with SMAⅡ at 15 months and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From 15 to 45 months, he was participated in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at many institutions. He was evaluated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DDSTⅡ) at 15, 21, 26, 28, and 42 months and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at 33 months. Results: The results of personal-social on DDSTⅡ were normal at 15, 21, and 26 months, suspicious development at 38 months, and normal at 42 months. The results of fine motor-adaptive on DDSTⅡ were normal at all age. The results of language on DDSTⅡ were normal at 15 and 21 months, but suspicious development at 26, 38, and 42 months. The result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at 33 months was mildly delayed performance on mental scale. Conclusion: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cognitive developmental delay may occur in child with SMAⅡ. We suggest that not only evaluation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motor function but also cognitive development are important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SMAⅡ.

      • KCI등재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화 연구

        안소현,유은영,이순행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를 한국판(Korean-Bayley-Ⅲ; K-Bayley-Ⅲ) 으로 타당화하기 위하여 문항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16일에서 42개월 15일의 영유아 1,764명으로, 지역 및 성별, 모의 학 력에 따라서 층화 표집되었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 분석과 고전검사 이론을 통한 문항 통과율을 분석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분신뢰도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검 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살펴보았으며, 상호상관검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 총 72개의 문항은 원척도와 유사하 게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비교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문항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평정자간 일치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운동척도는 운동척도와는 높은 상호상관을 보인 반면 언어 척도와는 중간 정도의 상호상관을 보여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가 한국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을 평가하는데 타 당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verifi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gross motor scale of Korean version of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K-Bayley-Ⅲ) through item analyses, validity, and reliability evidence. Methods: Date were obtained from a stratified sample of 1,764 infants and toddlers divided into 17 age groups, 16 days through 42 months 15days old, who reflected key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national population. Result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ndicated that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Most baseline items showed a 90% pass rate. Secondly, Inter-item consistency showed excellent levels and items were highly reliable in terms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irdly, in terms of the construct validity, the Gross Motor Scale of K-Bayley-Ⅲ score reveal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Motor composite score but a significant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Language composite score, providing evidence of it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 In this study, K-Bayley-Ⅲ gross motor scale was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in Korean infants.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ing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이지연(Ji Yun Lee),김영태(Young Tae Kim),방희정(Hee Jeong Bang),이순행(Soon Ha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Bayley-III 표현언어척도를 한국형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한국어 발달 및 한국 문화 특성을 반영하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3판(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예비연구본을 제작하고, 문항분석 및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원문항 48개 외에 보충문항 8개를 추가 제작하여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예비연구본을 제작하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생후 16일~42개월 15일의 영유아 37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항난이도 및 월령별 문항통과율을 통해 문항분석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까지 적절히 구성되었으며,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은 문항은 재배치, 수정, 또는 삭제되고 대체되었다. 월령단계별 기저선 문항도 90%의 통과율을 보여 전반적으로 적절하였다. 둘째, 문항내적일관성 및 재검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내적일관성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재검사 및 검사자 간 신뢰도 모두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표현언어척도는 언어척도 및 운동척도와 각각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보여 구인타당도를 입증하였고, 기존의 언어검사도구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공인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는 국내 영유아의 표현언어발달을 측정하기에 양호한 검사로 확인되었다. 다만, 한국의 언어발달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몇몇 문항들은 문항 재배치 및 내용 수정이 요구되어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표준화본 마련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III (K-Bayley-III)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ifficulty of each item and examining whether the items are socio-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for assessing the expressive language skills of Korean you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48 original items and 8 additional items were translated, reviewed, modified, removed, or added to the latest version of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EC) scale and were used to assess the expressive language skills of 373 Korean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ages 16 days and 42 months, 15 day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Overall,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and those with inadequate difficulty levels were replaced, modified, or removed. Most baseline items showed a 90% pass rate. Inter-item consistency showed acceptable levels and items were highly reliable in terms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Items from the EC sca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Language scale, RC scale, and motor scales, and also demonstrated high levels of cont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could be used to assess the general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Items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were suggested to be replaced or modified in order to develop a final version of the standardized K-Bayley-III expressive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