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조건(Cho, G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6

        1944년 1월 20일 일본은 한인 학병 약 4,000명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학병 동원 규모는 자료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조선 주둔 일본군 측 자료에는 3,893명, ‘제국의회 설명자료’와 학병동지회 자료에는 4,385명으로 나타난다. 동원된 학병들은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일대에 배치되었는데, 이들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일본군 입영 초기, 혹은 부대 배치 이후 적극적으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특히 중국지역에 배치된 한인 학병들의 경우 개인, 혹은 단체로 일본군 부대를 탈출한 후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사례가 많았다. 지금까지 학병들의 탈출 관련 기록은 자신들이 기록한 회고나 증언을 통해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일본군이 직접 제작한 부대 명부에도 이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지금까지 일본군 명부에서 확인한 탈출 학병들은 총 40명이다. 학병들의 기록과 일본군 명부 내용을 통해 이들이 당시 감행했던 항일 투쟁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병들은 탈출 지역에 따라 국민당의 중앙군이나 공산당 팔로군 측에 인계되었다가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항일 투쟁에 참여하였다. 국민당 중앙군에 인계된 탈출 학병들은 이후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항일독립운동을 전쟁하고 해방 이후 남한 사회의 주도층으로 성장하였다. 그런데 탈출 학병들은 자신들의 이념적 지향과 관계없이 탈출한 지역에 따라 항일 투쟁의 방략과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해방된 이후에도 자신들의 신변에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 점은 학병들의 항일 투쟁이 이들의 일본군 탈출에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학병 항일투쟁을 온전히 조명하기 위해서는 해방 이후 이들이 처한 또 다른 이념적 상황에 관계없이 일제 말기 침략전쟁에 동원되어야 했던 속박에서 벗어나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활동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안 된다. Japan forcibly mobilized approximately 4,000 student soldiers from Korea on January 20, 1944. There was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obilized student soldiers depending on data and the number is estimated as 3,893 according to the Japanese army and 4,385 according to the data of "Explaining material of imperial parliament" and comrade party of student soldiers. The mobilized student soldiers were dispatched in China and Japan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but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rule movement aggressively after being enlisted early in Japanese army or after being dispatched in the army. In particular in case of student soldiers dispatched in China, there were some cases of participating in independence movement individually or as a group after escaping from Japanese army. The record that student soldiers escaped from the army was known through their memoirs or testimony. But the same contents were contained in the list of the army the Japanese army made. So far the student soldiers escaping from the army which were confirmed in the list of Japanese army amounted to 40. We can confirm the reality of anti-Japanese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y the student soldiers through the record of student soldiers and the list by Japanese army. Meanwhile, the student solders escaping from Japanese army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rule movement through each channel after being transferred to National Revolutionary Army of Kuomintang of China or People"s Liberation Army of Communist Party of China depending on the areas. The student soldiers transferred to National Revolutionary Army of National Party of China were included in Korean Liberation Army to participate into anti-Japanese rule movement and grow to become the leading people of South Korea.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trategy and nature of anti-Japanese movement depending on the areas regardless of ideology of student soldiers. And after the liberation, it has impact on their personal identity. What is noticeable is that the struggle of student soldiers was from the escape from Japanese army. To cast light on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student soldiers, we need to identify in detail the activities of making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by freeing from the restraint of mobilizing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regardless of different ideology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육 해군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혜석,김정은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6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below.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rmy and navy soldiers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factor? Second,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career development(level of decisiveness of career, identity in career, action of career preparation) and adjustment in military? Third, what are the influences that career development of army and navy soldiers can effect on their adjustment in milita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differences among the background factor of army and navy soldiers are highest in combat soldier at army and technical service area at navy. (p>.001). Many of them have medium quality of family circumstances but navy soldiers's are lather better than army soldiers's. (p<.01). Army soldiers are usually share their trouble with friends or family and navy soldiers do with their successor soldier and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001). Second,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quality of career development(level of decisiveness of career, identity in career, action of career preparation) and adjustment in military, most of army and navy soldiers showed medium quality of career development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their adjustment in militar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quality of care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in military(p>.001) Third, It turned out that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effect on adjustment in military(p<.01, p<.001). These conclusions suggest tha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to make them policy to help the army and navy soldier's better adjustment in military, and there should be non-military private counselors to help individual counsel access for older adolescent army and navy soldiers.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육 해군 병사들의 인구사회적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육 해군 병사의 진로발달(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수준의 차이는 있는가? 셋째, 육 해군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 해군 병사의 배경변인의 차이는 육군의 경우 전투병과, 해군의 경우 기술병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가정형편은 육 해군 모두 보통이 가장 많았으나 해군의 경우 가정형편이 넉넉한 경우가 육군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고민을 상담하는 대상에 대해 육군의 경우는 군대 밖의 친구나 가족, 해군의 경우 동료나 후임병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육 해군 병사의 진로발달수준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육 해군 모두 진로발달은 중간정도의 수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군 생활 적응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진로발달 수준에 따라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진로발달의 모든 하위요인이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이와 같은 결과는 육 해군 병사들의 군 생활에 대한 원활한 적응을 위해서는 진로에 관한 프로그램 개입을 정책화하고 지원함으로써 육 해군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함의를 말 할 수 있으며, 청소년 후기인 육, 해군 병사들의 개별적인 상담접근을 담당할 전문적인 민간 상담원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후보

        삼국시대의 군사제도

        김종수 육군군사연구소 2011 군사연구 Vol.- No.131

        The chief rulers of the three kingdom, Goguryo, Baekche, Shilla, were kings. The military of Goguryo could be moved only by the order of the king. If someone moved the military without the order of king, he was a rebel against the king. And the military of Goguryo were divided into two units, inner army(central army) and outer army(regional army) since the reign of Sindae (新大王). Inner army which stationed in Kinae(機內) took charge of guarding of kings and defending of the capital. The military power of outer army which stationed in regions was inferior to that of inner army. While the inner army were composed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peasants who worked in fields and were enlisted by compulsory draft. The regional army were organized by three orders, 'Daesung(大城)-Jaesung(諸城)-Sung(城)'. The regional officials of each order were subjected to the higher ranking officials. Baekche was a small country subjected to Mahan in 1st century B.C.. It set up four districts in the reign of Onjo(溫祚王). The immigrants who included many soldiers were stationed in north-east districts to defend against the foreign enemies. The indigenous people who were composed of ex-Mahan people were stationed in west-south districts to devote themselves to farming. As central army and regional army in the reign of Goi(古爾王) were formed,the initial military system of Baekche was reorganized. As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carried out, from four districts system in early period to four districts in central and the institution of Damro(檐魯) in countries since the reign of Goi, then to four districts in central and the institution of 'Bang-Gun-Sung' in the countries in the period of Sabi, the military system of Baekche was reorganized. The division into the central army and regional army were carried out since the reign of Goi. While the central army were divided into five units, the regional army were divided into the army of Bang, Gun, Sung. Shilla was founded by the union of six districts in the region of Jinhan. While the army of each district were composed of about 1,000 persons in the early period, the numbers of soldiers were increased as the active conquest was carried out. The reason of increase of soldiers was supposed to the inclusion of conquered soldiers of small countries. In other words Shilla organized the conquered small countries into regional district, Gun(郡), and mobilized the army of Gun together with the soldiers of six districts. So the military system of Shilla was divided into inner army and outer army. While inner army were composed of the soldiers of six districts, outer army were composed of the soldiers of regional army. The organization of military in the period of Isagym(尼師今), which wa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institution of six units, was changed into the institution of two units. Then the institution of two units reorganized into single line of command in the period of middle archaic period. The King of Bupheung(法興王) reshuffled the system of two units in which the Maripgan(麻立干) and king of Galmoon(葛文王)co-managed the two units into the great king system in which the king command the whole soldiers of two units. Then the system of two units was reorganized into the Daedang(大幢).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최고 통수권자는 왕이었다. 고구려의 군대는 왕명에의해서만 동원될 수 있었고, 왕의 승인 없이 군대를 움직이는 것은 반역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고구려의 군사제도는 신대왕 이후 내병과 외병으로 분리·운영되었다. 내병은 기내(機內)에 주둔하면서 국왕의 호위와 수도의 경비·방위 등을 담당하였고, 외병은 각 지방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외병의 개별 군사력은 내병에 비할 바가 못 되었다. 그리고 내병은 직업 군인인 무사층과 생산 노동에 종사하면서 징병제에 따라 징발된 농민층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고구려의 지방군 체계는‘대성-제성-성’의 3단계로 조직되었고, 각 단계의 지방관들은 상하복속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방군 체제는 조선전기의 진관체제와 유사하였다. 백제는 기원전 1세기에 마한의 한 소국으로 출발하였다. 백제는 온조왕 대에 4부를 설치하였는데, 동·북부에 무사집단인 유이민을 집중 배치하여 국방을 담당하게 하고, 서·남부는 농사를 짓는 토착 마한인을 거주시켜 식량 생산에 주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백제 초기의 군사제도는 고이왕 대에 이르러 중앙군과 지방군이 형성되면서 새롭게 정비된다. 즉 백제의 통치체제는 고이왕대 이후 중앙의 4부와 지방의 담로제로, 그리고 사비시대에 이르러 중앙의 5부제와 지방의 방-군-성 체제로 발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치체제의 정비와 발맞추어 군사조직도 정비되어 갔다. 고이왕대 이후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분화되었고, 사비시대에 이르면 중앙군은 5부제로, 지방군은 방-군-성제로 정비되었다. 신라는 진한 지역의 6개 부가 연합하여 건국되었다. 초기에 6부병은 대략 1,000명정도로 구성되었는데, 정복 전쟁이 활발하게 전개됨에 따라 군액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병력의 증강은 정복된 소국의 병력이 함께 동원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즉 신라는 정복한 소국을 군(郡)의 형태로 편제하고, 이러한 군의 병력을 6부병과 함께 전쟁에 동원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신라의 군사조직은 내병과 외병으로 분리되었다. 내병은 중앙군으로서 6부병을 가리키고, 외병은 군의 병력을 지칭하였다. 이사금 시기의 군사조직이 6부병제로 운영되었다면, 마립간 시기의 군사조직은 2부병제로 운영되었다. 이후 2부병제는 중고기에 들어와 일원적 지휘체계로 재편된다. 이것은 법흥왕 3년의 병부령 설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법흥왕은마립간과 갈문왕이 훼부와 사훼부를 공동 관리하는 2부병제를 재편하여 국왕이 2부병 모두를 통수하는 대왕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진흥왕 대에 들어서서 2부병은 다시 대당(大幢)으로 개편하게 된다.

      • KCI등재

        한국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의 호남지역 점령과정과 여수순천학도병

        임송자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7

        The time when student soldiers worked from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o 1951 April had rapid changes in the fighting line like the aggravation of the war situation and the formation of Nakdong River front, the recapture of Seoul by the Battle of Incheon, March to the north by the Republic of Korea Army and the United Nations Force, Chinese People’s Volunteers Force’s intervention and the January-Fourth Retreat since Korean People’s Army(조선인민군) began to invade the south. Therefore understanding mobil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soldiers for those days can contribute to comprehend the Korean War more widely. With that awareness, this paper looked into how student soldiers of Yosu and Suncheon were organiz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War. Also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Yi Yeong Gyu Unit advanced to Namw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rder No. 61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on July 21 and the student soldiers received the order for moving at night on July 22. This paper also explained Yi Yeong Gyu Unit which had retreated in the aggravated situation of Honam reion received the operation order No. 65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which ordered to block the passage between Hadong and Gurye, and the Battle of Hwagaejang took place to carry out that order. At the point, not only the student soldiers participated in the battle. The Battle of Hwagaejang was commanded by lieutenant colonel Yi Yeong Gyu and major Kim Pil Sang. Not only the student soldiers but also the force of Yi Yeong Gyu Unit, which had retreated to Gurye via Namwon and finally converged on Hwagaejang, and the force of police who had retreated from Gurye participated in the battle.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Making Myth’ about the student soldiers to evaluate them properly. We need to avoid excessive evaluation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170-180 student soldiers, who had little actual training, fought against around 1,000 of crack Korean People’s Army and saved the Republic of Korea in crisis.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nd local background where the student soldiers of Yosu and Suncheon were organized. After the Korean liberation, serious historical events like conflict between right wing and left wing, establishment of divided countries, Yosun incident and construction of anti-communism system occurred. There was deep conflic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in southern part of Jeonnam area. Further studies must be carried out to understand concretely how this historical context and local situation of Jeonnam’s southern part affected organization of the student soldiers. 한국전쟁 발발부터 1951년 4월까지 학도병이 활동한 시기는 조선인민군의 남침 개시 이래 전황의 악화와 낙동강 전선 형성, 인천상륙작전에 의한 서울 수복, 국군과 유엔군의 북진, 중공군의 개입과 1·4후퇴 등 전선의 변화 폭이 컸던 때였다. 따라서 이 시기 학도병의 동원과정과 활동상을 파악하는 것은 한국전쟁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국전쟁 초기 여수순천학도병의 조직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육군본부의 작전명령 제61호에 따라 21일 이영규부대가 남원으로 진출했으며, 22일 밤에는 학도병에게도 출동명령이 내려지게 되는 과정도 살펴보았다. 또한 호남지역의 전황이 계속 악화되는 와중에서 퇴각을 단행한 이영규부대에게 하동-구례간 통로를 봉쇄하라는 육군본부의 작전명령 제65호가 내려지고, 이를 지켜내기 위한 화개장전투가 벌어졌으며, 이때 학도병만이 전투에 참가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즉, 화개장전투는 이영규 중령, 김필상 소령이 지휘했으며, 학도병뿐만 아니라 남원을 거쳐 구례로 퇴각했다가 화개장으로 집결한 이영규부대의 병력, 그리고 구례에서 퇴각한 경찰병력이 참여하였다. 여수순천학도병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학도병에 대한 ‘신화 만들기’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실전훈련을 거의 받지 않은 170~180여 명의 학도병이 1,000여 명에 이르는 정예의 조선인민군에 맞서 싸워 절체절명의 대한민국을 구하였다는 서사구조에 기초한 과도한 평가를 지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수순천학도병이 조직되는 역사적, 지역적 배경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방 후 좌우대립과 분단국가 수립, 여순사건 발발과 반공체제 구축이라는 역사적 맥락과 좌우대립의 골이 깊었던 전남 동부지역의 지역적 상황이 학도병의 조직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전시켜야 한다.

      • KCI등재

        ‘연안’으로 간 학병들 ; 학병세대와 코뮤니즘

        노현주(Rho, Hyun-ju)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본고는 학병세대의 서사 중에서 일본군 병영에서 중국 공산군 지역으로 탈출했던 수기들을 고찰하였다. 중국 공산군 점령구로 탈출한 학병들은 조선의용군으로 편입되었다. 의용군이 된 학병들은 한국광복군이 된 학병들의 숫자와 비교하여 적지 않았고 44년부터 46년에 걸쳐 항일무장투쟁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병세대의 자유주의적 근대성과 의용군의 공산주의 노선이 갈등을 일으켰다. 학병들은 합리적 공론장을 원했고 조선의용군은 공산주의의 국제노선을 따르길 요구했다. 양측은 정치공동체가 통일성 있는 정체성을 구성하기위한 공동의 서사를 공유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고국을 향한 두 번째 탈출이 이어진다. 학병세대의 항일무장투쟁의 공로에도 불구하고 북한으로 귀국한 학병세대에게 감시와 투옥이 이어지자 월남을 선택하게 된다. 일제말기 조선의 최고 지식인집단에게 공산주의는 지식이었다. 지식으로서의 코뮤니즘이 현실화 될 때 나타나는 변수가 합리적 근대성을 거스를 때 내 · 외적 갈등이 일어났다. ‘연안’으로 갔던 학병들이 북한에서의 감시와 적대를 피해 월남한 후 남한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해나갈 때, 그들에게 주어진 공론장에서 정치적 자유주의를 주장함으로써 정치적 공동체의 공동의 서사를 구성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is a study for narratives of Student Soldier Generation especially of the student soldiers who escaped from Japanese troops to the territory of Chinese people’s army. The escaped student soldiers was incorporated to Korean Volunteer Army and the number of those soldiers was not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Independence Army of Korea. They had fought the front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from 1944 to 1946. During these struggles, conflicts emerged between the liberal modernity of student soldier and the communism of Korean volunteer army. The student soldiers wanted to make a rational ‘Public Sphere’, but Korean volunteer army aimed to follow the international policy of communism. Both could not share the narratives to a political community. Therefore, the student soldiers carried out the second escape toward their homeland. Although the student soldier’s contribution on anti-Japanese armed struggle, they were confronted surveillance and imprisonment in North Korea and decided to defect from it.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mmunism was the knowledge for Korean intellectuals. But the actualization of communism as a knowledge went against a rational modernity, it made a psychological conflict.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out of surveillance and hostility, The student soldiers of ‘Yun-An district’ performed the pivotal roles in South Korea. Also they contributed to build the united narratives of political community by asserting the political liberty at ‘Public Sphere’.

      • KCI등재

        군대 해산 과정에서의 서소문전투 연구

        성강현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8

        Joseon took some actions to modernize its army, but they had not worked as effectively as was expected under the intervention of China, Japan and Russia. It was because in the power balance of Russia and Japan, Emperor Gojong changed the name of his country from Joseon to Korean Empire and tried to enhance its military by strengthening its Siwidae(Royal Army), but Japan, after winning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reduced Siwidae and Jinwidae(Defense forces) of Korean Empire. The soldiers of Siwidae protested violently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pillage of sovereignty and disbanding the army. When Emperor Gojong was forced out of power, the soldiers of Siwidae deserted from barracks and fired Japanese police officers. And August 1, 1907 when the army was disbanded as a result of Jeongmi Treaty, Pak Seungwhan, the 1st battalion commander of the 1st regiment, kiled himself out of protest. This accident resulted in the armed uprising of the 1st battalions of the 1st and the 2nd regiment, and they fought street battles with Japanese army near the South Gate and Seoso Gate. Especially this battle has to be called Seoso Gate Battle after the last battle place, Seoso Gate. The armed uprising of Siwidae in Seoso Gate caused the armed uprising of Jinwidae. After that, the disbanded soldiers began to join patriotic soldiers and the struggle of the patriotic soldiers made progress militarily. Huh wi, the commander of patriotic soldiers since Eulmi battle, admitted the disbanded soldiers and fought fiercely against Japanese soldier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조선은 개항 이후 군대의 신식화에 앞장섰으나 청, 일, 러의 간섭으로 군사적 자주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 균형속에서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황제는 시위대를 강화하여 군사력을 증강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제국의 군대인 시위대와 진위대를 축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대한제국의 중앙군이었던 시위대는 국권피탈과 군대 해산에 맞서 격렬히 저항하였다. 1907년 고종이 강제퇴위를 당하자 일부 병력이 탈영하여 일본 경찰에 발포하는 등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어 정미7조약으로 1907년 8월 1일을 군대가 해산당하자 서소문 시위대의 제1연대 제1대대장 참령 박승환은 자결 순국으로 저항하였다. 이 소식은 제1연대 제1대대와 제2연대 제1대대의 무장봉기로 이어져 일본군과 남대문과 서소문 일대에서 시가전을 벌였다. 특히 시가전의 마지막은 서소문 시위대 병영에서 이루어져 이 전투의 명칭은 서소문전투로 명명되어야 한다. 서소문의 시위대 봉기는 지방의 진위대로 이어졌다. 이후 해산군인들은 의병에 가담하여 의병항쟁은 군사적으로 한 단계 발전하였다. 을미의병부터 활약한 의병장 허위는 해산군인들을 영입하여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한 대표적 의병장이었다.

      • KCI등재

        고대 동부 지중해 세계의 시민병·용병·상비(의무)병의 사회·정치적 의미 분석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7 No.-

        용병과 시민병은 존립 기반은 물론 지향하는 바, 즉 전쟁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있어서 서로 간에 상당한 괴리가 있다. 전자는 보수를 받기 위해 싸우는 것이고, 대의나 대상이 무엇인지 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안 되며 침략적, 호전적인 경우가 적지 않다. 더한 질곡은 용병의 발호가 그들 상호간의 끝없는 권력 투쟁과 갈등을 야기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반면 시민병은 전쟁을 직업으로 하지 않고 최소한 자신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싸우는 것이므로, 많은 경우 그 주요 목적이 불가피한 방어전에 그치므로 무력의 증강이나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 파커는 초기 참주와 후기 참주를 구분하여 전자는 개인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이나 후자는 영토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자가 아니라 후자에 대해서만 호전적(military) 혹은 군국주의(militarisn)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무력의 적용이라는 원리적 측면에서 볼 때 전자도 후자와 크게 다른 점이 없으며, 오히려 후자는 전자의 선례가 확대 적용된 것일 뿐이다. 참주의 호위병은 시민 출신이라 하더라도 시민병이라고 하기 어렵다. 군역의 대가로 참주로부터 보수를 지급 받는다면 방어를 스스로의 의무로 하는 시민병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만일 그들이 보수 없이 강제로 차출되었다고 한다면, 전제 왕권 하의 의무병과 같은 것이니 그도 역시 시민병인 것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기원전 4세기에 들어 마케도니아에서는 시민병이나 용병이 아닌 새로운 종류의 상비군이 조직되었다. 필리포스 2세의 군사개혁은 군사력을 강화하나 비싼 보수를 주어야 하는 용병이 아니라 다소간에 강제적으로 차출되는 의무병을 중심으로 하여 상비군을 조직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자유민과 예속민의 중간 지위에 있는 병사들로 전제적 왕권하에 있는 페르시아 인과 공통점이 없지 않다. 시민병, 용병, 그 외 강제 차출되는 상비군이 혼합되었던 것으로 상비군에게는 당연히, 용병은 경우에 따라, 무기 등이 국가에서 지급되었던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고대 그리스의 시민병을 오합지졸로 폄하하고 보수를 노리는 직업용병을 효율적인 조직과 전술을 가진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이 아니다. 권력과 영토의 확장을 꾀하는 전제적 왕권 하에서 강제적으로 차출되는 상비군은 민중의 자유를 억압하고 세금을 착취하는 것이었다. 특히 참주와 그 권력의 유지에 봉사하는 용병은 민주파와의 갈등은 물론 그들 간의 상호 충돌을 야기함으로써 사회를 맹목적으로 호전적, 침략적, 만성적인 전쟁과 분열의 상태로 몰아갈 위험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고대 그리스 용병의 횡행을 공급-수요의 원칙에 준하는 경제적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려는 현대적 해석은 전쟁을 부득이한 사회 현상으로 정당화하고, 또 권력과 재물을 지향한 인간 탐욕에 대한 반성을 무디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Mercenary soldiers of the Ancient Greece used to be hired by the Tyrants. Park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tyrants of the earlier and the later period, defining the former as a private bodyguard, and the latter as a force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he applied the term military or militarism just to the latter. In my opinion, however, both tyrants of each period do not have any great difference in the principle of exploiting military power for gaining power or territory, and the latter is an extended application of the former. The bodyguard of tyrants is not equal to citizen soldiers. The bodyguard used to get pay from tyrants. And, in case citizen soldiers become bodyguard of tyrants, they should not be regarded as citizen soldiers anymore but mercenary, as the former themselves used to be obligated to bear the expenses for weapon, without getting pay. In the 4th century a new kind of standing army in duty, different from citizen soldiers or mercenary, was created in Macedonia. The military innovation of Philippos II aimed at consolidating military power, by organizing standing army in duty by coercive conscription rather than mercenary for whom wages more or less should be paid. These Macedonian soldiers could be situated in the middle of free men and slaves, and they have commnon elements with the Persians under despotic ruler. Macedonian soldiers were of hybrid composition, that is, citizen soldiers, mercenary and the standing army by forced conscription, and among these standing army, and sometimes mercenary, too, used to be supplied with weapons by employer. Citizen soldiers should not be disparaged as a disorderly crowd, and mercenary aiming at rewards should not be positively appraised as a group efficiently organized and highly skilled. The former was not professional warriors, waging war mostly in inevitable cases for protecting their own lives and properties, while the latter was frequently to incur chronic war state and social conflict, even conflict among themselves. The standing army in duty under the despotic ruler of Macedonia or Persia, who aimed at power and territorial expansion could be sustained by oppressing poeple's freedom and imposing taxes.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n the point of supply and demand for the explosion of mercenary in the ancient Greece in the 4th centuury tended to justify the war waged by mercenary as an economically inevitable phenomenon, and nullify the reflection against human avarice towards unlimited power and estates.

      • KCI등재

        독일의 군인법제

        이재승 ( Jae Seung Le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一鑑法學 Vol.16 No.-

        The military has been regarded as an epicenter of human rights violations or oppressive militarism since Korea army was founded. Over 13,000 soldiers have been driven to the suspicious deaths in peacetime and a large part of deaths were officially manipulated as suicide or neglected by the military authority. The bereaved families of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uman rights movement group have continuously demanded that the army should establish the mechanism suitable for protecting soldiers` human rights. The previous reform governments hav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oldiers` life in the military with regard to the claim of civil society. In this context German soldier act and other legal institutions have been mentioned as a framework of reference for reform of the Korean military legal system for the past decade. This essay tries to present a general overview of the German legal institutions which are scheduled for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soldiers` human rights. This paper explains foremost the complexity of the modern history of German federal army and German military law after the World War Ⅱ. It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major principles of soldier act, leading cases on th soldier`s rights or duties, system of democratic control by the parliament, uniquely, defence commissioner, and competence of military criminal court, military discipline chamber and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In conclusion, contemporary German soldier Acts ar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human rights-friendly legal systems which are to be taken as a good model for reform of the military.

      • KCI등재

        육군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과 병사의 군 생활 적응 간 관계에서 부사관 리더십 역량의 매개효과

        김정현,김지현,김준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2

        본 연구는 육군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과 병사의 군 생활 적응 간 관계에서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부대에서 근무하는 육군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사관 299명, 병사 299명의 1:1 대응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상관 및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하였다(TLI=.910, CFI=.924, RMSEA=.079, SRMR=.062). 그 결과, 육군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이 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는 부사관 리더십 역량이 높을수록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부사관의 성역할 갈등이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부사관 리더십 역량을 강화시켜 성역할 갈등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사관이 성역할 갈등을 극복하고, 리더십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ship competencies among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s and the adjustment to the army environment of soldiers under their command. Data from individual meeting with 299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299 soldiers were examined, utilizing goodness-of-fit of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Result indicated that gender role conflicts of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significantly predicted adjustment of soldiers to the army environment. Specially, noncommissioned officers with a high degree of leadership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s on soldiers' adjustment. Additionally, gender role conflicts on the part of noncommissioned officers had a negative effects on soldiers'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role conflicts might be reduced by enhancing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육군병사들의 복무 수행 수준에 대한 자기평가와 간부평가의 차이 분석

        정병삼 ( Jung Byongsa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국방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병사들의 복무수준에 대한 자기평가와 간부평가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분대장 평가의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후방 지역에 근무하는 89개 소대 간부 및 병사 등 약 1,900명을 대상으로 육군 이메일 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의 내용은 체력, 주특기과제, 병기본과제, 정신전력, 조직 기여도 등 다섯 가지 항목이었고, 이메일을 받은 대상 중 37개 소대의 간부 및 병사 703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응답율은 약 37%였다. 회수된 데이터는 중다특성 중다방법 (Multitrait-Multimethod)을 적용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일원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했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와 간부평가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평가는 간부평가에 비해서 정적 편향(positive bias)이 있었다. 즉, 유의미한 방법효과가 있었다. 둘째, 분대장 평가는 병사들의 자기평가와 간부들의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병사들의 자기평가와 간부평가와 적절한 수준의 평가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병사들의 계급, 학력, 자아존중감, 기술행정 주특기 여부에 따라서 자기평가의 정적편향 점수의 평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육군 병사들에 대한 교육훈련 평가에 있어서 평가기준 및 관리의 정교화, 평가과정에 동료 평가자로서 분대장 평가의 반영 필요성, 병사 참여형 평가 가능성 등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Korea Army(ROKA) soldiers`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the soldiers` self-report and officers`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y conducting a survey to 1,900 enlisted men of 89 platoons located in the front line and rear area.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five performance items including physical fitness, general soldiering skills, technical skills, morale, and contribution to the platoon. Seven hundred and three enlisted men and leaders of 37 platoons responded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variate analysis model to test thre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like these: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OKA soldiers between the soldiers` self-report evaluation and officers` evaluation. Second, squad leaders` evaluation as peer evalu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oldiers` self-report evaluation and the officers` evaluation on the ROKA soldiers` job performance. Third, the soldiers` rank, academic background, self-esteem, and military expertis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ldiers self-evaluation and the officers` evaluation on the ROKA soldiers`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elaboration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rubrics of the soldiers` performance, necessity of peer evaluation, and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system for the ROKA sold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