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앤틱 소비의 옥시덴탈리즘 해석

        황성희(Hwang, Sung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이글은 서구 앤틱의 온라인 소비에서 나타나는 옥시덴탈리즘의 내용과 의미를 해석한 것이다. 한국에서 서구 앤틱 소비는 1990년대 중반 이태원을 중심으로 '앤틱붐'을 경험했다. 당시 이태원의 앤틱가구거리는 서구 앤틱 소비의 중심지 역할을 했었다. 이태원의 성공에 이어 온라인에서도 앤틱 소비와 담론이 활발해졌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온라인은 서구 앤틱 소비의 또 다른 중심지가 되었고 그에 따라 서구에 대한 인식과 의미도 변화해 갔다. 서구의 수공예성에 대한 향수적 소비는 온라인에서 서구 앤틱 소비의 주된 흐름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의 한국의 근대성에 대한 성찰과 세계체제에서의 한국의 위치, 온라인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온라인의 서구 앤틱 소비는 이미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삶 전반에 걸쳐 여전히 수공예적 방식이 관철되던 19세기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의 수공예적 세계를 동경하는 것에 기반 한다. 이러한 향수성은 서구의 근대를 도입했으면서도 자국의 수공예적 전통을 이어온 일본과는 달리 서구적 근대의 길을 따르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공예성에 대해 부정해왔던 한국적 근대에 대해 성찰하게 만든다. 그리고 한국의 근대에 대한 성찰은 그 모델인 서구의 근대에 대한 성찰로 이어진다. 따라서 온라인 앤틱 소비의 향수적 옥시덴탈리즘은 여전히 서구 추종적인 맥락을 공유하면서도 서구를 성찰하고 서구와 대비되어 폄하되었던 한국적 수공예성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는 복합적인 면모를 지닌다. 따라서 향수적 옥시덴탈리즘은 그 복고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본질은 더 나은 삶을 구현하려는 미래에 대한 비전이다. 온라인 앤틱 소비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의미 소비는 세계체제 안에서 한국의 위상이 변화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국의 위상 변화로 한국의 앤틱 소비자들은 서구를 인식하고 재현하는 데 있어 일본의 중재 역할을 거치지 않고, 현대의 서구 근대성을 성찰하며 보다 글로벌한 감각과 의식을 가지며 앤틱을 소비하게 되었다. 이것은 또한 온라인의 특징인 유희성과 연계성(connectedness)이 앤틱의 오프라인 소비에서보다 더 강화되기 때문에 온라인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occidentalism shown in the consumption of Western antique, especially in online system. There was a boom of Western antique during the mid 1990s. At the time, 'Itaewon street of antique furniture' was the center for the Western antique consumption in Korea. This boom stimulated and opened the way to online consumption. Since mid 2000s the online consumption became another major circuit for the consumption of Western antique. But the meaning for the consumption of Western antique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Nostalgic consumption of Western crafts emerged as a major trend in Western antique consumption. These changes reflect the introspection about present modernity, the change of Korean position in the world 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ystem. The online consumption of Western antique is based on a dream for the world of handcrafts in the 19th century of Europe, or that of America. It is a soul-searching critique to the Westernized modernity which Korea tried very hard to follow. It is also a self-reflection on Western bourgeois modernity. The online antique consumption is an expression of soul-searching for an alternative modernity with more humane face. In spite that it is a retrospect, the essence of this nostalgia is a vision about the future for a humane world. This consumption also reflects the change of Korean position in the world order. Because of the change of Korean position, Korean antique consumers consume the antiques from more global consciousness by ignoring the mediating role of Japan and by criticizing Korean modernity and the present Western modernity. It also reflects online system because joyfulness and connectedness, characteristics of online, are expressed and emphasized more than in the offline consumption of Western antiques.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강숙녀(Sook Nyeo Kang),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사람들은 오래된 옛 물건을 통하여 과거를 동경하고 향수를 느끼게 된다. 특히 앤틱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경험하게 하는 실용품으로 대량생산 체계의 획일성과 단순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오래된 물품에서 오는 친숙한 느낌의 심리적 안정과 수공예 작품에서 얻는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생활예술품이다. 앤틱에 대한 동경은 단순히 앤틱 물품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것에서 벗어나 앤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디자인한 것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패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니트웨어에서도 그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점에 착안하여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 특성의 고찰과 미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를 고찰하여 니트웨어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더불어 이를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앤틱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현대 해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의 앤틱 이미지와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앤틱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효과이다. 연구 방법은 우선 2005년 이후 국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 가운데 앤틱 이미지가 표현된 작품을 선별하고, 그 작품들을 중심으로 앤틱 이미지의 조형성 및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의 조형표현은 형태, 소재, 색채, 표현기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앤틱이미지의 유형은 레트로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클래식 이미지, 컨트리 이미지로 대표되었다.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앤틱 이미지의 미적 특성은 역사성, 복합성, 향수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 표면의 텍스타일 장식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People have a thirst for the past and feel the nostalgia through old objects. Especially, an antique, which is a useful reminder of the past at present, satiates the psychologically friendly stability imbedded in old articles and the artful desire from handicraft works by avoiding uniformity and simplicity in mass production. This trend is found in the fashion industry via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ntique in the modern sense out of simple collection and housing of antiques. In the same context, multifaced image expressions are also found in the knitwear. With this idea, the necessity for research is required to examine the specific expression type and analyze the esthetic characteristic regarding the antique image given in the knitwear. Therefore, this study would aim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features of knitwear designs through review over antique image found in them and giving assistance to development of them. The study herein looks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antique and then analyzes the knitwear antique images introduced in overseas collections since 2005. The mainly covered range for study i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esthetic effect of antique image expressed in the knitwear. For the research method, works revealing the antique image were selected among the knitwear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 occasions since 2005. Based on this, the antique image`s formativeness and esthetic feature in them were analyzed. In regard to research material, such vehicles were used as information data base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network browsing on the internet, related books, and printed publications as well as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a result, the antique image`s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knitwear could be classified as form, material,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antique image could be classified as retro image, romantic image, classic image, and country image, The antique design could be characterized in the form of historic feature, complexity, and nostalgia. Results and contents from this study would help to have the organized theories in understanding the textile decoration characteristic about the surface of modern knitwea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available for extension of interpretation scope of the development of new knitwear design and costume culture.

      • KCI등재

        존 루터의 플루트, 하프시코드 그리고 현악앙상블을 위한 작품 『Suite Antique』분석 및 연주 방향

        추상희 ( Sanghee Ch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작곡가 존 루터의 플루트, 하프시코드 그리고 현악앙상블을 위한 작품 『Suite Antique』를 분석하여, 플루트 연주자들이 작품을 이해하고 연주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루터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생애·작곡기법을 알아본 후, 이를 작품 『Suite Antique 』에 적용하여 음악적 특징·작곡기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품에는 단순하고 서정적 주제선율이 다양한 변화·반복을 거쳐 통일성을 주어, 이는 대중음악이 대중들에게 다가가는 ‘대중음악 어법’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클래식임에도 쉽게 청중들에게 다가가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교회선법, 장·단조의 혼용, 복잡한 리듬과 박자의 사용은 ‘순수음악 어법’을 활용한 것으로 작품에 풍부함과 표현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어, 루터 작품이 연주하기 까다로운 음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작품 『Suite Antique』는 전통 음악양식을 따르면서도 대중과 소통하는 음악으로 연주효과는 크지만, 연주자에게 상당히 까다로운 부분이 있어 철저한 준비와 연습이 필요한 곡이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hn Rutter’s work Suite Antique for flute, harpsichord and string ensembles, thereby helping flute players understand and play.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utter’s life and composition styles, and applied to the work Suite Antique to analyz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techniques. As a result, the work Suite Antique has a simple and lyrical theme melody that gives the song uniformity through various changes and reversals, which is in line with the ‘popular musical language.’ Even though it was a classic, it was playing the role of easily approaching the audience like pop music. Second, the combination of church mode, and the major/minor key, and the use of complex rhythms and irregular beats using ‘pure musical language’, has given the richness of music and diversity of expression, confirming that Rutter's work is a tricky piece of music to play. In conclusion, Rutter’s work Suite Antique is a piece of music that follows traditional music styles but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and has great performance effects, but it requires thorough preparation and practice for the performer because it has a very tricky part.

      • KCI등재후보

        元代 杭州의 美術品 市場과 新安船의 古器物

        김영미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90

        This paper focuses on antiq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eramic wares discovered in the Sinan shipwreck. First, I selected antiques among the findings from Sinan shipwreck, th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se objects had been loaded, as well as the paths used for transporting them, with reference to the trends of the Hangzhou art market of Yuan (元, 1271~1368) Dynasty China, and to observe how Japanese demand for Chinese ceramics reflected the antiquities found in the Sina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ramics and other antiquities carried in the Sinan vessel,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ncient art market, customers’ tastes and their selection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ancient ceramic items found in the Sinan shipwreck were in small quantities of just one or two pieces each. They are thought to have been purchased at the art market in Hangzhou, rather than having been ordered in advance. They are dated from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南宋, 1127~1279)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 and they display some traces of abrasion due to having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been placed in wooden boxes specially made for these kinds of objects and that they were stored in their own special place for transportation on the Sinan vessel. Secondly, the retro trend of the Song (宋, 9601~1279) Dynasty continued well through the early Yuan Dynasty. As society stabilized, the demand for antiques such as paintings, ceramics, bronze works, and jade works had increased in the Hangzhou art market, and counterfeit antiques were also prevalent. The ancient ceramics among the Sinan's cargo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official-ware style ceramics produced in response to the retro trend that prevailed from the late Southern Song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as well as to the vogue for Chinese objects introduced to Japan (唐物趣味) which had spread in Japan during that period. Thirdly, it is presumed that there were three routes via which the antique ceramic wares flowed into the Hangzhou art market. Firstly, objects handed down by upper class families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were disbursed into the market as demand for art objects rapidly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when society and politics were stabilizing. Secondly, ceramics that had been buried in dugouts for safekeeping during the wars from Southern Song until the beginning of the Yuan period appeared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on a large scale, as society and the economy of the Yuan Dynasty were stabilizing. Finally, as the society of Sichuan Province collapsed due to the wars, massive numbers of people were displaced into different regions including Hangzhou, and among them there must have been antique traders selling ceramics. Fourthly, several written sources attest to the fact that demand for antiques had been increasing in Japan. Referring to records on Song Dynasty ceramics in Hōjō Sadatoki jū san-kaiki (北條貞時十三回忌, Twelf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ōjō Sadatoki, 1323) and Butsunichian Kōmotsu mokuroku (佛日庵公物目錄, Catalog of Objects in Butsunichian) from Butsunichian, sub-temple of Engaku-ji Temple (圓覺寺) in Kamakura, written by a Buddhist monk named Hosei (法淸) in 1363,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Japanese people who then frequented Hangzhou were also exposed to the retro trend and the circulation of antiques. And this must have permeated into the lives of the upper classes in Japan. Further study of the selective reception of Japan toward art works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in the Yuan Dynasty is to be elaborated in the future. 본고는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古器物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신안선에 실린 고기물을 선정하고, 이 고기물들이 신안선에 실렸던 배경과 이동경로를 元代 杭州 미술품 시장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의 중국도자기 수요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를 비롯한 고기물을 대상으로 당시 고미술품 시장의 역사적 배경과 수요자의 취향과 선택, 그리고 유통경로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성과와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안선의 고기물 도자기는 사전에 주문 제작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1~2개의 소량으로 발견되었는데, 항저우 미술품 시장의 현장에서 구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시기적으로는 남송 말~원 초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 생긴 거친 마모흔이 남아 있었다. 이러한 기물들은 신안선에 선적될 당시 나무상자를 이용하여 특별하게 포장되었으며, 특별한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송대의 복고풍의 유행은 원 초까지 이어졌다. 사회가 안정되면서부터 항저우의 미술품 시장에는 회화, 도자기, 청동기, 옥기 등 고기물의 수요가 많아졌으며, 고기물을 비롯해서 이전의 미술품을 모방해서 만든 것도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선에 실렸던 고기물 도자기는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唐物趣味와 함께 중국의 남송 말에서 원초에 일었던 복고풍의 유행으로 생산된 관요풍 도자기의 유행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이들 고기물이 항저우 미술품 시장으로 유입된 경로는 세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항저우에 거주하던 남송 시기 상류층 집안에서 전해져 내려온 것이 원 초 정치와 사회가 점차 안정을 되찾은 후, 미술품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장으로 유통된 것이며, 또 하나는 남송 시기부터 원 초까지의 전란을 피해 중국 전역의 움집에 묻혔던 도자기가 원의 사회와 경제가 안정되자 항저우의 미술시장에 대거 등장한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전란으로 인해 쓰촨지역 사회가 붕괴되고 다량의 인구가 항저우를 비롯한 각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이며, 그 중에는 도자기를 팔았던 古器物常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넷째, 일본에서 고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사실은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 입증이 되고 있 다. 1323년의 『北條貞時十三回忌』와 1363년에 法淸이라는 승려가 작성한 가마쿠라 圓覺寺의 佛日庵의 『佛日庵公物目錄』에 기록된 송대 도자기에 대한 기록을 통해 볼 때 당시 항저우를 자주 왕래하던 일본인들도 중국의 복고풍이나 고기물에 대한 흐름을 분명 체감하였으며 일본 상류층의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었을 것이다. 원대 항저우 미술시장의 예술품을 대하는 일본의 선택적인 수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 놓는다.

      • KCI등재후보

        동래학춤에 담긴 풍격(風格)의 미(美)

        강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3

        Dongraehak dance is a type of dutbaegi dance in Dongrae area and it reflects the behavior of a crane and unique topography of Dongnae. This study shows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by analyzing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by three aspects, which are suggested in Twenty-four Poems made by Sagongdo(837∼908).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are clear, antique, which are introduced in Twenty-four Poem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aesthetics through linear motion in clear, swaggering motion in antique and a bamboo basket motion in antique. The following can be known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First,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is a beauty of clear oriented a classical scholar. It can be seen in a classical scholar with linear motion. Second, it is a beauty of antique soaring up to the sky. It can be seen in soaring behavior of swaggering motion. Third, it is a beauty of proud loneliness of a crane dance. It contains a proud loneliness of a crane, and gentility by rising above the world. A bamboo basket motion shows dignified figure of a crane which does not have a hair outofplace. The study determines that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Dongraehak dance is reflected in the motion of Dongraehak dance as clear, antique and proud of loneliness. Also, this classifies a beauty of motion oriented a classical scholar, soaring behavior and a figure like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rising above the world and suggests each aspect. 동래학춤은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학의 거동과 동래 지역의 독특한 지형 등이 춤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사공도(837∼908)가 지은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에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풍격의 미의 양상들을 제시해 보았다.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이십사시품』에서 소개된 충담(沖澹), 표일(飄逸), 고고(高古)로 들 수 있다. 또한 충담에서는 일자 사위(一字사위)를, 표일에서는 활갯짓 뜀사위(날음새), 고고(高古)에서는 소쿠리 사위를 통해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는 선비를 지향하는 충담의미이다. 일자사위에서 보이는 선비의 모습에서 춤담의 풍격 미를 볼 수 있다. 둘째, 하늘을 비상하는 표일(飄逸)의 미이다. 활갯짓 뜀사위(날음새)에서 볼 수 있는데 표연히 허공을 향해 날아가는 모습에서 풍격을 표일에서 볼 수 있다. 셋째, 고고한 학춤의 고고(高古)의 미이다. 학의 고고한 자태를 풍격있게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세속을 초월하여 고상하고 고풍스러움이 있다. 큰 소쿠리를 받히고 있는 무태(舞態)를 하고 걸어가는 춤사위는 흐트러짐 없는 학의 고고하고 기품있는 모습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래학춤의 풍격의 미를 충담, 표일, 고고(高古)의 미학 범주로 구분하여 동래학춤의 춤사위에 반영되어 있음을 밝혔다. 첫째, 선비를 지향하는 몸짓의 아름다움 둘째, 허공을 향해 날아가는 자태 셋째, 흐트러짐이 없이 속세를 초월하는 신선다운 풍격을 분류하고 각각의 양상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인회와 댄디즘의 두 양상 : 이태준의 상고주의와 박태원의 고현학

        안숙원(Ahn, Sook Wo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본고는 1930년대 구인회 멤버인 상허 이태준의 상고주의와 구보 박태원의 고현학을 댄디즘의 상호텍스트성에서 검토한 것이다. 두 작가는 한국현대문학사에서 흔히 형식주의자로 일컬어지지만 그들의 미학원리 가운데 하나가 댄디즘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댄디즘은 19C 대도시의 문화적 산물로서 부르주아사회의 속물성을 비판하고자 한 아방가르드인데 이태준의 상고주의와과 박태원의 고현학에서도 그러한 댄디기질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초점대상 차원에서 이태준의 상고주의는 내적 투시로, 박태원의 고현학은 외적 조망으로 일컫기로 하겠다. 우선 상허의 상고주의는 노인문제의 빈번한 형상화와 고완품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는데, 전자는 다시 월하노인이나 과거엔 당당한 삶을 살았던 노인의 불우한 현재를 연민으로 바라본다는 점이고, 후자는 아버지의 연적처럼 정감이 깃든 고완품에 매료되는 태도이다. 그러나 상허의 상고주의는 엘리어트의 창작원리인 전통론과는 다르며 모더니티의 타자로서 그의 댄디적 취향에 불과하다. 그 점을 뒷받침하는 예로 「달밤」과 『사상의 월야』 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박태원의 고현학을 외적 조망이라고 한 것은 구보가 서울 거리를 배회하며 관찰하고 듣는 도시적 삶의 양태가 초점대상인 까닭이다. 구보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그 대표작으로 이는 거리를 걸어다니는 행위 자체가 한 편의 소설이 되는 메타픽션이기도 하다. 구보의 창작방법론 탐구는 세태소설 『천변풍경』의 영화적 기법으로 이어지는데 이 작품은 걸어다니는 작가 대신 카메라 앵글로 서울 청계천 하층민들의 1년을 몽타주한 카메라의 고현학이다. 끈질기게 고현학을 추구하던 구보는 점차 형식충동에서 유희충동으로 변모해 간다. 유희성 또한 댄디의 중요한 자질이고 보면 구보의 언어유희, 패러디, 아이러니, 유머와 세태소설에 재현된 수다스러운 언어의 폭풍우 등으로 재현되어 있다. 이태준과 박태원 두 사람이 댄디적 풍모를 공통적으로 가졌지만 상허가 취향으로서의 상고주의라면, 구보의 고현학은 소설방법론이었다는 점이 차이라고 하겠다. I have examined here Yi, Tae-Jun’s taste in antique and Park, Tae- won’s Modernology as an intertextuality of Dandyism. Yi, Tae-Jun(1904~?) and Park, Tae-Won(1909~1986) were famous writers in the 1930s. Both of them were in Guinhoe(9 members of literary meeting persuited modernism), they tried to establish a form of the short-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That’s why they were formalists. Their writing techniques were more excellent than others at that times. In addition, they were dandies. Dandyism was a kind of avant- garde culture of the metropolitan in 19C. Dandy cared of their appearance (fashion, hair style, taste……) to criticize snobs of the bourgeois class. Dandy presented male identity-crisis by female narcissism and sexual fixation, too. They were idle and weak persons, loved a street woman. I’ve tried to point out Yi and Park had a dandyism. First, Yi focused on sensitive, delicate language style and pathos of the common people. He wrote pretty fine works, “Moonlit”, “Raven”, “Stone Bridge”, etc. Especially he predicted gerontology as a deprived Gappy class without filial piety of descendants in the modern capitalism society. One of his well-made short stories, “Bokdeokbang”(means a house agency) showed it. Yi also was a tradition-oriented writer. However, he was different from T. S. Eliot who asked the poet to give up his individuality and subject to his national tradition. Yi’s favorite things were antique- taste to appreciate old calligraphies and paintings, ceramics and to plant an orchid like a yangban scholar (ēlite) in the Joseon Dynasty. He would listen to the sound of rain drops on the leaves of a Japanese banana plant, opening the window of this house. We can call him a dandy. Second, Park empathized the form than the content of a text like Yi Tae-Jun. Park’s dandyism was expressed by Modernology which the writers had observed, analized, and wrote the urban everyday-life in the city, M. de Certeau named it ‘walking discourse’. At that time those works consisted of meta-fictions. Actually, Park felt ennui and depressed through his modernology. Park’s famous meta-fiction, One day of the writer, Gubo is a walking discourse. Gubo of the text rembled with a notebook and a stick similar to Chaplin on the street all day long in Seoul. And Park loved humor, carnival trickster as nimble as breaking a bamboo. He had started at the form experiment of his text, but he reached to the language game.

      • KCI등재후보

        고티에의 『미라의 발 Le Pied de momie』 : ‘영원한 화강암의 전설’을 창조하기

        전광호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5 No.-

        Un pied de momie, la matière dont Gautier tire une nouvelle va dans le sens du courant du 19e siècle où le milieu bourgeois français portait une vive curiosité pour l’Égypte antique. L’Égypte, meême contemporain, demeure pour eux un pays merveilleux où le quotidien se meêle au fantastique comme dans Mille et Une Nuits. Gautier conçoit ses “interminables légendes de granit” sous le titre de : Le Pied de momie ; dans cette nouvelle un monde merveilleux et un monde légendaire se superposent. Or le choix des personnages, une jeune princesse d’Égypte antique et son pied découpé, tous les deux momies, se combine à la narration d’un conte de fées plutoôt que celle d’une histoire d’horreur ; leur dispute et l’intervention du héros dans cette dispute, entre autres, favorisant l’ambiance féerique. Le conte hoffmannien s’achève au moment où le héros demande au pharaon Hermonthis la main de sa fille princesse, malgré la différence de leur aâge, qui est de trente siècles. L’apparition, chez le héros, d’une petite momie et puis, son voyage avec elle en Égypte antique toute réanimée évoquent l’idée de régénération. Cette aspiration à l’éternité, à l’instar du personnage Faust, affecte ainsi la création d’une Égypte légendaire souterrain. Dans le thème du mariage entre deux représentants réel et légendaire, le héros et la princesse Hermonthis s’incarne, nous semble-t-il, le reêve de Gautier d’harmoniser ces deux mondes réel et fantastique. Gautier fournit divers mécanismes pour maintenir les tensions du conte ; il ouvre la scène avec un intérieur obscur hoffmannien du magasin de bric-à-brac, façon d’inciter curiosité et peur ; il introduit des odeurs d'antiseptiques poussant ainsi le héros à entrer dans un monde fantastique ; le héros revenu dans le réel retrouve le meême objet qu’il a vu dans son expérience fantastique, ce qui bouleverse le lecteur habitué aux lois naturelles. En somme Le Pied de momie fonctionne en passerelle où le réel et le fantastique se communiquent. C’est là une des subtilités gautieriennes que le lecteur peut apprécier.

      • KCI등재

        Goryeo Celadon as Antique-ness: The Identity of Korean Celadon During Japanese Imperialism

        허보윤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3

        The significance and the consumption of material culture of the past have always been driven by certain social entities. The uncovered past cultural relics were used by the upper social class as effective tools to differentiate their wealth and social power, to rationalize the order of social hierarchy or to enlighten the lower social class. In this process, the complexity and concrete reality of the past is distorted into the simple and abstract beauty. The past is selected and packaged in a new discretionary context in the interest of powerful entities. This way, material culture of the past is rediscovered with a newly valued perception in a context entire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aning. Goryeo celadon is definitely material culture of the past existed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technology of those times, it was remarkable state of the art product. But in the modern age, it was recognized as a cultural representative aligned to the concept of Oriental culture conceived by the West and as a colonial Korean local culture complying with Japanese imperial ambition. The ideology forming the basis of local culture was ‘antiqueness.’ In the Goryeo celadon, the Japanese collectors instilled various principles of ‘antiqueness’ such as distancing new span of time and spac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cultural recognition and emphasis on artistic skill. Goryeo celadon was material culture of the past in the colonial era to satisfy the imperial taste for antiqueness.

      • KCI등재

        新安船 出水 倣古銅器의 기형과 용도

        김성아(Kim, Sung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29

        新安船은 1323년 출항한 元代 무역선으로 浙江省 寧波에서 일본 하카다(博多)로 향하던 중 신안 앞바다에서 침몰하였다. 여기에서는 14세기 사회·경제·문화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물들이 출수되었다. 출수유물은 대부분 도자유물이나 금속유물도 다양한 종류가 포함되었다. 특히 이 중 중국 宋代에 시작되어 크게 유행한 倣古銅器가 포함되어 주목된다. 夏商周 三代의 청동기를 모방한 방고동기는 송대 들어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당대 동아시아 문화사조를 대표하는 중요한 공예품으로 후대까지 크게 유행한다. 방고동기는 송대 황실과 함께 문인들 사이에서도 크게 유행하며 지방에서는 중앙의 양식을 모방한 듯한 방고동기를 私鑄造할 정도로 확산되었고, 이는 고려나 일본에까지 전해져 문인귀족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신안선에서도 방고동기가 출수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신안선 방고동기의 기형과 유형을 분석한 결과 여러 가지 청동기 기형중 한정된 기형만이 출수되어 이가 특정한 용도로 수출된 물품임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방고동기의 기형은 크게 병과 향로가 출수되었다. 그런데 이들은 같은 기형내에서 통일된 유형을 찾기가 어려우며 매우 다양한 형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전체적으로 주조수준이 높지 않고 기물 에 공기집이 나타나 이가 사주조된 방고동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기형의 원형은 송대 방고기물 도설인 『宣和博古圖』에서 찾을 수 있는 것들이 있지만 이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고 문양이나 세부표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향로 중에는 명대의 도설인 『宣德?器圖譜』에 나타난 향로와 매우 유사한 것들이 존재하여 주목된다. 기물의 세부적인 특징 중에는 송대에 보이지 않는 새로운 특징이 나타나고 이가 명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신안선 방고동기는 당시 민간에서 유행한 고동기 양식을 모방해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하여 신안선의 방고동기는 각각 다른 공방에서 사주조되어 수급된 것으로 당시 민간에서 유행한 방고동기 양식을 반영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신안선 방고동기의 용도를 수요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목간의 明文을 통해 신안선은 공무역과 사무역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무역선으로 물품의 수요자는 東福寺와 유력한 귀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수요자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방고동기는 동복사라는 사찰의 공양구와 문인문화와 관련한 용도로 주문한 것으로 추정된다. 먼저 방고동기가 동복사의 수요품일 경우 향화공양을 위한 공양구로 사용하였을 것이다.불교 공양에서 향과 꽃을 공양하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이때 사용하는 기형이 바로 향로와 화병이다. 특히 관이병 중에는 동일한 형식으로 세트를 이루는 듯한 기물이 발견되어 이가 五具足을 구성하는 기물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방고동기의 주문자가 개인 수요자들일 경우 송대 사대부들 사이에서 시작된 문인문화와 관련한 기물로 추정된다. 송대 문인들에게 향은 필수적인 기호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송대 가구 배치의 구조가 변화하면서 화병은 서가를 장식하는 필수적인 장식품으로 인식되었다. 이와 함께 문인귀족들은 방고동기를 감상하고 즐기기 위해 수집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 현상은 원대에 이어 동아시아 전체로 확산되어 신안선에서 방고동기형 향로와 화병이 출수되는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 正倉院 所藏 ‘赤漆文欟木㕑子’의 접합기법

        김미라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관광연구소 2008 文化藝術觀光硏究 Vol.1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showing a way to understand the Korean antique furniture, of which knowledge and study have been limited to the on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What is worse moreover is to have been considered that the ones before the late Chosun Dynasty are impossible to be studied. It's due to very few remains, which still affect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antique furniture. That's why the author selected the indirect way of studying them on the basis of studying the remains in possession of Shosoin Museum in Japan. Even the author has the regrets not to survey actually "Jukchilmoonkwanmokjuja"(赤漆文?木?子), which is well-known due to the study performed in Japan, she is able to complete the dissertation making the interview with prof. 小泉和子, who was very famous for the specialist of the Japanese antique furniture, and referring to the advanced study of the remains in Shosoin Museum that had been accomplished by a number of the prominent scholar for the Japanese antique furniture including prof. Koaumi(小泉和子), who were all designat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What is to learn from them is to be found out what the nails of iron was mainly used for the joints of the antique furniture. So was they for "Jukchilmoonkwanmokjuja"(赤漆文?木?子), of which the joints skill was assumed to be transferred to Japan around AD 7 century. And those skill was found in the furniture of the Koryo Dynasty, showing the distinction from those one of the Chosun Dynasty, which has finally disclosed a fallacy that the joints skill for the Korean antique furniture is only used with the nails of w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