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을 이용한 집단의사결정 계층화 분석과정(AHP)처리 방안에 대한 연구

        윤철호,최광돈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9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R을 이용하여 집단의사결정과 관련한 계층화 분석과정(AHP)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HP 개념 및 집단의사결정 분석절차들을 설명하고, AHP 분석을 위한 주요 함수들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예시 AHP 모형을 제시한 후 집단의사결정과 관련한 계층화 분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물로 AHP 분석을 위한R 함수들과 이를 이용한 집단의사결정 AHP 분석을 위한 R 스크립트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계층화 분석과정을 처음 접하는 연구자들에게는 AHP 분석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이며, 이미 AHP 분석에 익숙한 연구자나 실무자들에게는 R을 이용한 새로운 집단의사결정 AHP 분석방안제시를 통하여 기존의 도구보다 빠르고 유연하며, 확장 가능한 AHP 분석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to perfor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of group decision-making using the 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ained the AHP concept and the analysis procedures of the AHP, developed R functions for the AHP analysis, and demonstrated that the AHP analysis related to a group decision-making, which are carried out with an examples of an AHP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e R functions for AHP group decision-making analysis and the R script using an AHP analysis. This study will be a useful guide for researchers who are new to the AHP analysis and will provide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AHP with a faster, more flexible, and more scalable AHP analysis environment than traditional tools by presenting a new AHP method using R.

      • KCI등재

        분석적 계층화과정을 통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 중요도 연구: 경남지역중심으로

        염동문 ( Dong Moon Yeum ),이한우 ( Han Woo Lee ),홍정아 ( Jeong A H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의 중요도를 분석적 계층 화과정(AHP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분석적 계층화과정은 의사결정의 전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눈 후 이를 단계별로 분석·해석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이르도록 하는 과학적인 연구방법이다. 이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첫째, 장애 아전문어린이집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 상위영역에서 안전을 가장 중요시 여겼다. 둘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 하위영역에서는 보육환경, 어린이 집운영관리, 보육과정을 중요시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제4차 장애아전문어린 이집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에서는 상위영역에서는 안전, 하위영역에서는 보육환경, 어린이집운영관리, 보육과정 등에 대한 평가지표 내용에 대한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하며, 타 영역보다 점수를 차등화 시키는 개선된 정책을 마련해야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sabl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cognition on secondary accreditation standards’ importance and priority to give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The subject was 60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20 disabled child care centers at Gyeongnam. The author inspected again AHP questionnaires with 0.2 or more consistency ratio of answer to investigate 47 teachers’ materials. The findings were: First, importance and priority of upper level areas of the accreditation indexes wer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thought much of mutual reaction and teaching method, while teachers did safety. Second, importance and priority of lower level areas of the accreditation indexes were: Directo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much of child care support environment, whi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child care center environment. Third, all of disabl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workers thought much of not only safety and protection of disabled children but also teachers’ mutual reaction of accreditation indexes. The study gave empirical discussions and limitation for practical use of accreditation indexes at disabled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이화진,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curriculum for secretarial majors in colleges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criterion. To achieve this goal, previous researches were reviewed while the Delphi method was employed. The evaluation criteria draft was developed after reviewing related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nally established criteria. The first draft of the evaluation criteria consisting of 4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items and 45 evaluation indicators was created after reviewing related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raft and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three rounds of the Delphi survey were carried out on 21 expert panels including seven persons from each group of professors in secretarial majors, secretaries and curriculum evaluation expert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rounds: the first and the second were aimed at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reasonability of evaluation criteria; the third was designed to calculate the weight among confirmed evaluation criteria. In the final Delphi surve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introduc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Finally, the confirm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of secretarial majors in colleges consist of four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items and 38 evaluation indicators. Based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이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고 각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 구명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델파이 조사법을 사용하였다.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평가준거 초안을 구안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평가준거에 대한 타당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4개의 평가영역, 14개의 평가항목, 45개의 지표로 구성된 평가준거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평가준거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평가준거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서과 대학교수, 교육과정 평가 전문가, 현장 전문가인 현직 비서 7명씩 모두 21명의 해당 분야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는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준거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한 것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의견 일치도를 보인 항목을 수정하고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종합하는 과정을 거쳐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평가준거를 확정하고,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가준거에 대한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 사용된 조사 도구는 평가준거의 가중치 산정을 위하여 계층화 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최종 확정된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평가준거는 4개 평가영역, 14개 평가항목, 38개 평가지표로 구성되었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증거기반정책의 수단으로서 정책의사결정도구: AHP, 델파이, 비용편익분석 기법의 비교 분석

        이장범(Lee, Jangbum),김병조(Kim, Byeong Jo)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1

        정책결정자는 대규모의 예산과 인력, 시간이 소요되는 중요한 정책문제에 직면할 경우 개인의 주관적 편의를 지양하고 체계적이면서 객관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의사결정도구를 활용한다. 그러나 정책실무 및 연구에서 빈번하게 활용되는 AHP 분석, 델파이 기법,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의사결정도구들은 이를 활용하는 의사결정자의 주관성 개입 정도에 따라 잠재적 오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연구는 증거기반정책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증거의 견고성 모형의 5대 요소(i.e., 방법론적 적합성, 맥락화, 투명성, 재현가능성, 동의수준)를 분석틀로 삼아 주요 정책의사결정도구를 검토하고 이 도구의 활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의의 가능성과 잠재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정책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정책증거 생산 과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차 증거기반 정책의사결정 과정에서 제시된 정책증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정책증거 견고성 모형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책증거의 퀄리티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employ an array of decision tools to navigate important policy problems that requires substantial resources in terms of budgets, manpower, and time. These tools are designed to minimize subjective biases and facilitate a systematic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it has been noted that commonly utilized policy decision tools such as AHP, Delphi, and cost-benefit analysis may harbor inherent errors, contingent upon the degree of subjectivity involved on the part of decision makers. This study assesses the validity of policy decision tools through an evidence-based lens, which has recently garnered attention in the field of public policy. By evaluating five critical elements (i.e., methodological fit, contextualization, transparency, replicability, and consensus), we analyze the potential biases that may emerge when utilizing these tools. and suggest the need for policymakers to posses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licy evidence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a systematic and objective approach to policy decision-making. Our findings may serve as a fundamental basis for ascertaining the soundness and dependability of policy evidence presented withi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es.

      • KCI등재

        무용예술인의 진로정책에 관한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태혜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2 스포츠와 법 Vol.15 No.2

        The purpose of th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priority and relative importance of policy factors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of dance artists from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scholars and field workers related to dance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delphic surveys three times with a group of experts consisting of field experts and theorists including the members of govermental and dance organizations and scholars. Selected experts were given explanations abou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is study through emails and telephone calls, and then induc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25 experts who gave their consent to participation in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this syudy use the Delphic Hierarchy Process(DHP), which combined the Delphi technique and AHP, to measure the weighy of decision making hierarchy. Fro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sses were drawn conclusion as follows. First, for the justification of suggested policies, the Delphi technique which derives consensus among experts was utilized. The Delphi was took three times: the first and the second were for the review of appropriateness and reasonability; the third was for the development of weight among confirmed policies. The finally confirmed policies consist of 3 areas, 14 policy factors, and 39 specipic policy tasks. Second, as the result of weighting the 3 areas, government(59.4%), related danc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24.9%), and university and academic community were in order. Third, as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14 policy factors, highest priority was given to 'strenghten support system of dance organization'(28.5%). Fourth as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39 policy factors, highest priority was given to enlarg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dance company(19.0%) 본 연구는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정책 요소들을 추출하고, 요소별 정책추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를 대표할 수 있도록 전문성의 영역을 정부기관 및 유관단체, 학계, 무용예술인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해당되는 전문가 25명을 선정한 다음 이메일과 전화 통화를 통해 본 연구의 참여를 요청하였다. 연구방법은 델파이 기법과 계층화 분석법(AHP)을 결합한 ‘Delphic Hierarchy Process(DHP)'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적계층화과정(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방법을 이용하여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을 위한 정책요소의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용예술인을 위한 합리적인 진로계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3개 정책 영역, 14개 정책요소, 그리고 39개 세부정책으로 구성된 진로계발정책을 개발하였다. 둘째,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 정책 영역의 가중치는 정부 및 지자체가 59.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관기관 및 단체(24.9%), 대학 및 학계(1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가중치 순위는 진로계발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이 가장 중요함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셋째,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 정책 요소의 가중치는 ‘무용조직 및 지원체제 강화’가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이 항목이 다른 정책요소에 비하여 상대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무용재정 확대’(12.0%)와 ‘무용전문인력 양성’(12.0%), ‘교수-학습 환경 개선’(11.0%), ‘무용교육 제도화’(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예술인의 진로계발 정책 세부항목별 가중치는 전체 39개 세부항목 가운데 ‘전문무용단 설립확대’이 19.0%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무용기획자 양성’(10.0%), ‘무용예산 증액’(9.6%), ‘무용교육 정규화’(6.4%), ‘실무교육 강화’(6.3%)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 개발: 초점집단면접(FGI)과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의 활용

        이관용,구한민,이윤서,정민승,윤동근,김갑성 한국국토정보공사 2022 지적과 국토정보 Vol.52 No.2

        4차 산업혁명의 진전으로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건축물의 설비와 시스템에도 로봇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저자들은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다. 해당 지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되는 것이므로 업무용 건축물로 대상을 한정하고, 초점집단면접(FGI),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탐색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먼저 초점집단면접을 통하여 로봇 친화형 건축물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건축 요건을 운영 설비 및 체계의 적절성, 건축·로봇 운영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적절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다음, 분석적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전체 23개의 평가 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배점은 평균 4.4 그리고 최소 2.0, 최대 11.3의 범위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 공공서비스의 효율성과 정책우선순위 분석

        이은진(Eunjin Lee),문상호(Sangho Moon)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7 No.1

          As an effort to develop a better tool for assessing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s, a combinational method of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quantitative method)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We evaluated sequentially the relative efficiency of 16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s and policy priorities. Evidence from the DEA analysis revealed that only six local governments were efficient(37.5%)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indicating that more than half of the local governments under study were relatively inefficient. The result of the AHP analysis, which surveyed about policy priorities among local policy specialists, showed that members of the local governments need to build policy capacity for improving local competitiveness following the sequential order in areas of social welfare, regional development, local environment and local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AHP분석을 통한 민간임대주택 리츠 수익성의 중요 요인 분석

        이수정(Lee, Soojung),김호철(Kim, Hocheol)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임대주택 리츠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민간임대주택 리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민간임대주택 리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건설사, 시행사, 신탁사, 금융사 등에 근무하고 있는 실제 사업 참여자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HP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요인에서의 중요도는 정책적 요인, 지역적 요인, 개별 요인, 거시경제 요인 순이었다. 하위요인에서는 토지 위치, 세금 관련 정책, 대출 관련 정책, 임대에 대한 정책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민간임대주택 리츠가 리츠의 본질에 맞게 국민들이 투자할 수 있는 리츠로 발전하여 임대주택 공급의 한 축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첫째, 정부의 임대정책에 대한 일관성이 필요하고 둘째, 도심 역세권, 안정적인 택지 위주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운영수익 추구형으로 리츠 수익 구조의 변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factor for the profitability of REITs in private rental housing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A surve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re conducted on 80 actual participants working for construction companies, developers, trust companies, and financial companies currently conduct private rental housing REITs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the top factors was followed by policy factors, regional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macroeconomic factors. The lower factors were analyzed to be of high importance in the order of land location, tax-related policies, loan-related policies, rental policies, and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for private rental housing REITs to develop into listed REITs that match the essence of REITs and play a role in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First, the government’s consistency in rental policy; Second, a polic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targeting highly stable land;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ofit structure of REITs as it is a type of operating profit pursuit.

      • KCI등재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 기법을 활용한 재미 한글학교 학부모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태도 연구

        이정희(Jung Hee Lee) 한국학부모학회 2024 학부모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examination of parents' attitudes toward Korean language learning as a foundational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mong students in Korean language schools in America. In this research, parents' attitudes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heritage language were categorized into five main dimensions: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variables affecting Korean language acquisition, pedagogical the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t group assigned importance and priority rankings to the evaluation categories as follows: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pedagogical the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ables affecting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challenges encountered dur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versely, the parent group indic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variables affecting Korean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cquisition, pedagogical the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llenges encountered during Korean language learning. To further explo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t group and the parent group, a non-parametric test,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affecting Korean language acquisition" within the evaluation category. Further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wo internal motivation indicators, one external motivation indicator, and two communication strategy indicators,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overall evaluation category. 본 연구는 재미 한글학교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계승어 학습에 대한 태도를 분석적 계층화 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으로 분석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학부모 태도의 평가 범주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살핀 결과 학부모 집단에서는 ‘한국어 학습 동기’, ‘한국어 학습 변인’, ‘한국어 학습 환경’, ‘한국어 교수학적 이론’,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문가 집단에서는‘한국어 학습 동기’, ‘한국어 교수학적 이론’, ‘한국어 학습 환경’, ‘한국어 학습 변인’,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을 실시한 결과, 평가 범주에서는 ‘한국어 학습 변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지표에서는 평가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한국어 학습 동기’중 내적 동기 2개, 외적 동기 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수학적 이론’ 중에서는 의사소통 전략 2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주체로서 학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