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프린팅 교육용 DIY를 위한 델타 3D프린터에 관한 연구

        장중식 ( Jungsik Jang ),국연호 ( Younho Ku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서 개인 생산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3D 프린터에 대한 교육적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DIY 델타 프린터 개발 연구에 관한 내용이다. 현재 다양한 3D 프린터가 시장에 소개되면서 저비용으로 쉽게 구매할 수 있으나, 기술의 활용과 응용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는 단순한 사용만 국한된 3D 프린팅에서 벗어나 기술과 구조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의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DM 방식의 3D 프린터는 소재를 적층하여 사물을 제조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개인의 범위에서 신규제품이나 단종된 부품, 맞춤형 제품을 새롭게 제작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3D 프린터는 출력된 결과물만이 주목되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제품디자이너들의 역량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하드웨어의 구조와 구성을 이해하기 위한 마스터 조립의 경험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기술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생산수단의 특성이 반영한 디자인 구상이 가능할 것이다. 즉, 전통적인 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도 생산수단의 이해를 통해 제품디자인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것과 같이, 3D 프린터의 원리를 이해하면서 기술 특성이 반영된 혁신적인 디자인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DIY의 의의는 단순한 비용절감을 위한 자가조립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제어에 등에 이르는 전체적인 구성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을 바탕으로 교육을 전제로 한 DIY 델타형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기술이 접목된 디자인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researched and developed a Delta DIY printer for education. The role of 3D printe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examined to research and develop a 3D printer for education. Currently, you can purchase various 3D printers online. However, you do not understand the essential purpose of 3D printing if you simply use the printer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the system. 3D printing refers to the technology of producing objects by layering. Therefore, new products, discontinued parts, and customized goods can be produced easily. You may understand 3D printing simply by looking at the printed objects. Based on my experience, however, you can experience the essential aspect of products only when you comprehend all of the components and learn how to assemble them as a product designer. That is the only way to become a more advanced and creative designer who can create competitive products. As product designers analyze and resolve problems to complete a product, you can develop rather innovative products if you comprehend the principles of 3D printing. DIY means understanding the entire hardware, software, and controller, not just looking at the instructions to assemble.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will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ore of 3D print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elta DIY 3D printer for education.

      • KCI등재

        3D 프린터를 이용한 ‘석고 몰드 캐스팅’ 사례에 관한 연구 - 실용도자공예를 중심으로

        방창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3D 프린터는 21세기에 들어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메이커 운동의 핵심 장비이자 21세기 새로운 가내수공업의 시발점인 3D 프린터는 여전히 낮은 출력 속도와 한정된 필라멘트 재료로 대량생산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최근 도자 공예가들의 3D 프린터 사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하지 만 과거 공예사에서 지난하게 반복되어 온 공예의 경전과 새로운 기술과의 불협화음을 타계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석고 캐스팅’ 기법에 주목했다. 이에 세계 도자 공예분야에서 활발히 석고 기법을 개발해 작가만의 디자인에 적용하고 있는 도예가 토니 한센, 위베 반 간스베크, 제이드 크롬프톤, 류희도의 캐스팅 기법을 분석 한 후 효과적인 3D 모델링 방법과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최적의 슬립 캐스팅 방법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3D 프린터 와 공예의 융합을 위한 접점을 찾고자 했다. 3D printers, which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have become a key par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lthough 3D printers, the key equipment of the maker movement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new cottag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st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mass production with low output speed and limited filament materials, the use of 3D printers by ceramic craftsmen has recently increased exponentially. However, as part of a way to overcome the discord between craftsmanship and the new technology, which has been repeated over and over in the past in craft history, the study focused on the 'plaster mold casting’ technique using 3D printers. Therefore, after analyzing casting techniques of Tony Hansen, Webe van Gansbeck, Jade Crompton, and Ryu Hee-do, the potters who actively developed gypsum techniques in the world's ceramic crafts field and applied them to their own designs, I tried to find the point of convergence between 3D printers and ceramic crafts by presenting examples of effective 3D modeling methods and optimal slip casting methods using 3D printers.

      • KCI등재

        3D 프린터의 저작권 보호에 관한 고찰

        정연덕,박선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2

        3D 프린터의 대중화에 따라 개인이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많은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의 경우 저작권이 있는 대상물을 상업적 목적으로 디지털화하는 경우 3차원 도면의 불법 유통, 무단 변경 등의 저작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3D 프린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엇을 만들고 어떻게 활용할지에 관한 법의 보호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3D 프린터의 확산으로 예상되는각종 역기능(무기류 제조 방지, 저작권분쟁 등)을 예방하는 법령 마련도 시급하다. 이논문에서는 저작권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3D 프린터는 원하는 대상을 그대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복제의 문제가 가장 핵심적인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도 쉽게 3D 프린터를 사용하게 되면 개인이 비영리로 제품을 만드는 경우 저작권법 제30조(사적이용을 위한 복제)의 적용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3D 프린터의 활용과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CCL(Creative Commons License) 방식,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통한 제한을 검토하였다. 3D 프린터의 저작권 보호와 도면의 정당한 유통을 위하여는 DRM이나 기술적 보호조치가 의무화되는 유통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저작권이 없는 도면이나 개인이 자유롭게 공유하도록 개방한 도면의 경우에는 CCL과 같은 방식으로 도면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As 3D printer technology develops, various legal issues have been raised. Among various legal issues, I focus copyright issue related to utilizing of 3D print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3D printer's technology, everything visible can be replicated. It raise copyright problem. The 3D printing technology is very similar to copyright infringement in related to MP3 file sharing on the Internet. The long conflict between copyright music file-sharing and music industry can occur similarly in 3D printing industry. To utilizing 3D printer, CCL(Creative Commons License) method can be applied. Also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should be applied to limit the miss use of copyright. I suggest 3D printer drawings distribution platform which is mandatory to use DRM and technical protection measures for a fair distribution of copyright protection. In the case of free sharing non-copyrighted drawings between individuals, the distribution system will be allowed to use CCL.

      • KCI등재

        3D프린터를 활용한 건칠장신구 제작기법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본인작품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은진 ( Eun- Jin Kim ),안순주 ( Soon-joo Ah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 배경 오늘날 장신구가 단순히 장식적인 목적이 아닌 조형예술로써 부각되면서 다양한 물성의 소재가 연구되고, IT 산업의 발전으로 제작 기술 또한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기법인 옻칠의 건칠 제작 기법에 최첨단 산업인 3D 기술을 접목하여 그동안 수작업으로 제작돼 느린 공정의 한계를 넘어서고, 시간적으로나 경제적 측면에서 능률적인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디지털 첨단 기술에 아날로그적 감성을 더하여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건칠장신구의 과정에서 조형의 틀을 디자인하고 소지를 입히는 과정을 캐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D프린터를 사용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1) 건칠의 특성과 장점 단점을 서술하여 건칠 장신구의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3D프린터의 접목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한다. 2) 3D프린터를 건칠의 소지 제작에 도입시켜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연구한다. 3) 1)과 2) 두 가지 연구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들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작업과정을 제시한다. 4) 1),2),3) 연구를 토대로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건칠장신구를 제작한다. 연구결과 첫째, 건칠 제작을 위한 모형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수공으로 하기가 다소 까다로운 부분(작고 디테일한 예각의 표현)이 3D 소프트웨어의 작업으로 훨씬 섬세하게 표현 되었다. 둘째, 건칠 제작이 가지고 있는 장점인 가벼운 중량을 무게 측정을 통해 비교해 보니 3D프린터도 가벼운 중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셋째, 건칠 제작이 모형을 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0일~2주가량으로 다소 긴 시간인데 3D프린터는 1~2일만에 제작이 가능하였다. 또한 디자인을 컴퓨터가 저장하므로 똑같은 디자인이 가능하였다. 넷째, 건칠 기법과 3D프린터를 이용한 옻칠 장신구를 제작했을 때 심미적인 결과물을 도출해 내는 데 있어서 좀 더 섬세하고 디테일한 디자인이 빠른 시간에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금까지 수공예로만 제작된 옻칠의 건칠 기법에 현대 첨단 기술인 3D프린터를 접목한 장신구 제작을 통해서 예술과 제품의 두 가지를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 구현되었다. 이와 같이 3D프린터는 빠른 속도로 우리 생활에 가까이 와서 현실에 도입될 것이므로 3D프린터를 이용한 건칠장신구는 앞으로 더욱더 다양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연구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인 건칠과 3D프린터의 결합이 또 하나의 장르적 명칭으로 인식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앞으로도 옻칠과 3D프린터를 이용해 작업을 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에게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Background As accessories are not simply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but stand out as plastic arts, various kinds of materials have been studied. Furthermore, a revolution for production skills breaks ou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how to converge 3D technology that is a high-tech industry into a traditional technique, ‘dry-lacquer Exsiccata manufacturing technique of lacquer, overcome a limit of slow processes due to handwork, and efficiently manufacture accessories in time and economic terms. This also tried to contribute to a study on unique and innovative design by adding analog features into a digital high-tech technique. Methods This paper aimed to use a 3D printer using CAD software in designing a modeling frame for dry-lacquer exsiccata accessories and varnishing it with basis material. 1) Describe characters and strong and weak points of Gunchill exsiccate and help to understand dry-lacquer exsiccate accessories. Also, suggest reasons why the 3D printer is necessary to converge two techniques. 2) Study design process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3D printer into basis material production for dry-lacquer exsiccate. 3) Analyze results of 1) and 2) researches and suggest the best work process. 4) Produce unique and practical dry-lacquer exsiccate accessories based on 1), 2), and 3) researches. Result First, in producing a model for the production of dry-lacquer exsiccate, several details that were quite particular to be made by hand (make a small and detailed acute angle) were designed in much more delicate ways through 3D software. Second, in comparison to handwork by measuring the light weight of dry-lacquer exsiccate that’s a great merit, it figured out that it was possible to make a lighter-weight accessory using a 3D printer. Third, it used to take 10 days or 2 weeks to produce a model of dry-lacquer exsiccate by hand, but it just took one or two days to make it using the 3D printer. Also, it was possible to design the same thing because a computer saved the design. Last, it was assured that the dry-lacquerl exsiccate technique and 3D printer facilitated more delicate and detailed design for aesthetic lacquered accessories in less time than handwork. Conclusion This paper has implemented a significant alternative to satisfy both of arts and products through the production of accessories designed by the convergence of a modern high-tech technique, 3D printer, into a lacquering dry-lacquer exsiccate technique that has been designed only by hand so far. Likewise, as the 3D printer is introduced into our lives as soon as possible, the dry-lacquer exsiccate accessories made by the 3D printer will be researched in more diverse and unique ways further. As a result, there is a hope that the convergence of dry-lacquer exsiccate and a 3D printer will be regarded as one of generic titles and this paper will be a big help to designers who want to make art works using the lacquer and 3D printer.

      • KCI등재

        3D 프린터를 이용한 도자공예 제작에 관한 연구

        홍지수(Hong Ji S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3D프린터의 새로운 조형성과 생산성에 대한 도예계의 관심과 기대가 뜨겁다. 도자와 3D프린터가 결합한지 채 10여년이 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 도예가 및 관계 기관들이 무서운 속도로 3D프린터의 기술과 재료를 개발하고 많은 결과들을 만들고 있다. 이들의 기술적 진보와 성과를 공유하고 3D 프린터가 도자공예와 우리 삶에 가져올 영향과 미래를 고민하기 위한 전시 및 담론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3D프린터는 18세기 말 산업혁명이후 공예와 결합했던 수많은 기계생산수단의 계보를 잇고 있다. 본 연구는 최신 하이테크 생산기술인 3D프린터의 역량과 영향력이 지난 산업사회의 기계생산수단들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3D프린터와 도자공예 관계 맺기가 비교적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라는 점과 진화중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2장에서 3D프린터와 도자공예의 접목과 국내외 사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 3D프린터로 대표되는 디지털 제조방식과 도자공예의 융합이 갖는 의미와 3D프린터로 만든 공예품이 우리 삶에 미칠 영향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로서 3D프린터의 사용과 확산에 임할 공예가들이 가져야할 의식과 태도 즉, 기존 도자공예가 가진 철학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지키고 회복하면서도 도예가들이 새로운 디지털 제조방식을 어떻게 활용하고 발전시켜야 할지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D printer draws attention of the potter’s arts on new formativeness and productivity. It has passed 10 years at most since ceramic and a 3D printer was combined each other but ceramists, designer and institutions have developed materials and technologies of a 3D printer and they have presented many projects. Prohibitions and discussions of sharing progress and development of 3D printer and considering the effects of our future are actively under way. A 3D printer succeeds many machine tools which were combined with crafts after the end of 18th century. This study shows that a 3D printer of cutting edge technology is likely to influence our lives as well as potter’s arts which are very powerful indescribably. For that, the chapter 1 and 2 of this study look at integration of a 3D printer and craft as well as domestic and foreign cases while considering that the combination of a 3D printer and craft happens recently and is progressing. The chapter 3 attracts attention of modern craft discussion which have dealt with the meaning and changes which have been brought by the combination with machine tools and craft since the 18th century. On the basis of that, the study tries to observe, the meaning of integration between digital manufacturing ways and ceramic crafts, third, effect of crafts made by a 3D printer on our lives. Therefore, the study trie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about how ceramists use and develop new digital manufacturing ways while they keep and recover philosophical values and social roles in connection with the expansion of a 3D printer usage.

      • KCI등재

        3D 푸드 프린트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조형 콘셉트 제안 - 초콜릿 3D 프린터 개발 방향성 설정을 중심으로-

        조성주 ( Cho Sung Joo ),정의영 ( Jeong Ui Yeong ),박준홍 ( Park Ju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3D 푸드 프린터의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그에 알맞은 조형 콘셉트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푸드테크 분야의 3D 프린터의 특성을 잘 표현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된 초콜릿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총 3가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관련 문헌조사와 이론적 고찰로서 최근 5년 사이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그리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정의와 종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초콜릿을 주재료로 하는 3D 프린터의 내·외부 환경 요인들을 SWOT기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개발의 방향성 설정 지표를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종합하여 초콜릿 3D프린터의 개발 방향성을 설정하고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초콜릿 3D 프린터의 디자인 방향성은 여섯 가지로 첫째 기계적 이미지의 탈피, 둘째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셋째 시선을 끌 수 있는 조형요소 고려, 넷째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성, 다섯째 쉬운 사용방법의 전달, 여섯째 기능의 우수성 강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조형요소의 방향성은 다섯 가지로, 첫째 상/하 비대칭형, 둘째 라운드와 경사면 형태 활용에 의한 긴장감 조성, 셋째 고급소재의 적용, 넷째 기능의 시각적 표현, 다섯째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시장형성 단계에 있어 제품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방향과 조형 콘셉트 설정을 위해 진행되었으므로 많은 수의 소비자 조사를 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현재 초콜릿 3D 프린터는 본격적인 시장 출시를 앞둔 시기이므로 연구의 결과가 3D 푸드 프린터에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 방향성 설정에 새로운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design of 3D food printers and to present the appropriate formative concept.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set around chocolate 3D printers, which were frequently researche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3D printers in the food technology field, an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is a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view. In the past 5 years, we have reviewed foodtech-centered 3D printer prior studies, and analyz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tech-centered 3D printers and chocolate 3D printers.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3D printer using chocolate as the main material were analyzed(SWOT) and the direction setting indicators of product development were studied and established. Lastly, the third, by combining the research,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and proposed a new modeling concept based on consumer evaluati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six factors. The first, mechanical image, second provide new experiences to consumers, third consider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an draw attention., fourth luxurious image composition, fifth easy delivery of usage, sixth emphasis on excellence of function. The first up/down asymmetry, second round and the inclination by using the inclined shape, third appl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fourth function visual expression, and fifth intuitive interface com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ocolate 3D printers where product identity was not established and the formative concept in the stage of market formation.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of studies that failed to conduct a large number of consumer surveys. However, as the current chocolate 3D printer is about to enter the market in earnes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the 3D food printer and can be a new basic material for set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 KCI등재

        3D 푸드 프린터의 실과교육 활용 방안 탐색

        이성숙(Lee, Sung Su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3D 푸드 프린터의 실과교육 활용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조사를 통해 3D 프린팅의 원리 및 활용 사례, 3D 푸드 프린팅의 원리, 활용 사례, 재료, 관련 연구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3D 푸드 프린터가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우므로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일회용 주사기를 활용한 3D 푸드 프린팅 원리 학습 방안, 분자요리를 활용한 3D 푸드 프린팅 재료 학습 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 식생활영역에서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3D 푸드 프린터로 식품 디자인하기, 3D 푸드 프린터의 프린팅 원리 탐구하기,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 탐구하기, 토론하기 등이 가능하다. 3D 푸드 프린터가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우므로 3D 푸드 프린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였다. 일회용 주사기에 밀가루를 반죽하여 넣어 압출함으로써 3D 푸드 프린터의 적층원리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3D 과일 프린터는 분자요리 기법을 활용하는데, 과일을 진짜 과일과 유사한 맛과 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망고 주스를 구체화시켜 망고 맛 스파게티와 카나페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D 푸드 프린터의 활용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반면 교육 현장에서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3D 푸드 프린터 활용 수업의 기초 단계에서 적용가능 하도록 일회용 주사기를 활용하여 3D 푸드 프린터의 원리를 이해하고, 분자요리를 이용하여 3D 푸드 프린터의 재료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추후 여러 가지 재료로 푸드 잉크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안정적인 레시피 개발과 온도 유지와 출력량 조절 등 기술적인 접근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3D 푸드 펜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uti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3D food printer. A method to applicate 3D food printers of family life areas was presented. Since the 3D food printer is difficult to access in the educational field, a method of using a disposable syringe and a method of using molecular gastronomy was propo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Disposable syringes were used because 3D food printers are difficult to acces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was made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lamination of 3D food printers by kneading and extruding flour into a disposable syringe. The 3D fruit printer has a short shelf life and uses molecular cooking techniques. Mango juice was formulated so that the fruit can have a taste and aroma similar to that of real fruit, and mango-flavored spaghetti and canapes were ma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aterials of the 3D food printer. While the use of 3D food printers has educational value,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3D food printers using disposable syringes, and to help understand the ingredients of 3D food printers using molecular gastronom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ble recipe that can function as a food ink with various materials. I would like to develop a 3D food pen that can be easily used through technical approaches such as maintaining temperature and controlling output.

      • KCI등재후보

        3D Printer의 발전과 Design 트렌드에 관한 연구

        정도성,장중식,김관배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4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of 3D Printer and design trend,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n order to provide strategic reaction based on 3D printer in the domestic design area. For this purpose, 3D printer test object, which is developed along with recent new technologies, was set, and the test object was selected. It was followed by function analysis, performance and design image analysis. Then, 3D printer design and technical factors were extract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development of 3D printer products had various effects on product design development. New method direct transaction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s according to various product group clusters take wide attraction. E-lancer type product designers which were not existed in the past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focusing on small amount investors, and make production and supply. Such new paradigm would provide evolved concept setting and new production and supply method in design development in the coming age.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3D 프린터의 디자인 발전과 3D 프린터 디자인의 트렌드에 관한 연구로 향후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3D프린터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인 대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최근 신기술과 함께 개발되고 있는 3D 프린터 실험 대상을 설정하였고, 실험 대상을 선택한 후 기능성 분석과 성능, 3D 프린터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3D 프린터의 디자인과 기술적 요소를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후 3D 프린터 제품의 발전이 제품디자인 개발시 미치게 되는 영향 또한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양한 제품군집에 따르는 새로운 방식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 또한 최근에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에는 생각지 못했던 새로운 유형의 이랜서형 제품디자이너들은 소액의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디자이너 스스로가 생산과 공급에 나서게 되는 새로운 유형으로 향후 디자이너가 다가올 시대에 맞는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진화된 콘셉트 설정과 디자인된 제품의 생산 공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FDM 3D 프린터 출력물을 활용한 하이힐 디자인 개발

        이웅섭 ( Lee Woong-sub ),김선아 ( Kim Sun 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3D 프린터는 의료, 자동차, 건설, 기계, 액세서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패션 및 슈즈 산업 분야에서의 3D 프린터 활용은 매우 미비하고 활용되더라도 3D 프린터의 자체기술력을 홍보하거나 가상의 작품을 제작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3D 프린터는 3D로 디자인된 데이터를 실제 형태로 적층하여 출력 제조하는 인쇄 기자재이며, 소재와 적층 방식에 따라 압출 적층, 분말, 광경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기술은 FDM 방식으로 PLA와 ABS와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재료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FDM 출력방식의 3D 프린터로 제작한 Heel을 사용하여 하이힐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슈즈 산업 분야에 적합한 3D 프린터의 출력방식의 종류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활용한 슈즈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3D 프린터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하이힐과 같은 다양한 슈즈 디자인 샘플을 제작함에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새로운 시도의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며, 추후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은 미래 패션 산업에서 꼭 필요한 산업 기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on fashion and shoes industry is rarely seen. Even in few cases where the 3D printer is used, it is only used for advertising the technical skills of 3D printer. 3D printer is a printing device which produces an actual form from 3D designed data by stacking method. By the material used for printing and the type of stacking, it can be categorized into various kinds including Extrusion, Granular, and Light Polymerised. Among these technologies, the most popular is FDM method, which uses thermoplastics like PLA or ABS as its material. The researcher made High-Heel using heel made by 3D printer of FDM printing metho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suitable 3D printing method for shoes industry, to develop shoes using such method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Hence, the time and costs necessary for making design sample decrease, and the technology also offers opportunity for new attempts. The fus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fashion may be a vital technology in future fashion industry.

      • KCI우수등재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토목구조물의 3D 모델링 구성 및 활용방안

        박상미(Park, Sang Mi),김현승(Kim, Hyeon Seung),한선주(Han, Seon Ju),강인석(Kang, Leen Seok)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6

        최근 3D 프린터 기술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로, 건설 산업에서도 3D 프린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 교량, 건축물 등 구조물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3D 프린터를 활용한 목업 구조물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3D 프린터 기술을 건설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3D 모델이 필요하며, 설계단계에서 제작된 3D BIM데이터를 3D 프린터로 출력 시 3D 모델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설계단계의 3D BIM데이터는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출력 시 많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데이터의 3D 모델을 3D 프린터로 출력 시 발생하는 문제점 분석과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더불어 3D 프린터로 출력된 BIM모델의 실무적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Recently, 3D printer technolog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research papers are being conducted to utilize 3D prin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tu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nd buildings are being printed to 3D printers,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mock-up structures using 3D printers are being proposed. In order to utilize 3D printer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field, a 3D model is required, and the 3D BIM data produced at the design stage can be printed by a 3D printers, saving the cost and time of 3D model generation. However, 3D BIM data often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s for 3D printer output, causing many errors on output. In this paper, authors propose a problem analysis for 3D BIM model output to 3D printer and a method for reducing errors in 3D printing process of 3D BIM model.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al application of 3D model output from 3D pr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