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된 농업생명과학 내용 분석

        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criteria of analysis was the tehmatic areas, subareas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literacy. As a result of study,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criteria was set up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analysis was the first, the procedure to determin a mismatch between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nd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applied to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second,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from the first procedure.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not only in a certain number of subjects but also organized without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such as the sequence, the continuity, and the integration. Secon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ere provided without balance of the contents criter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literacy. Furthermore, a total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was not enough to meet the purpose of the agricultural education.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a future, the positive aspec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a future, more amount of the agricultural bio science contents should be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요 연구 방법인 문헌연구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 과목의 내용과 이에 의해 추출된 농업생명과학 내용이었고, 분석 준거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추출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 체제를, 추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하위요소 및 내용 체제를 사용하였다. 분석과정은 1차로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모든 내용을 농업생명과학의 내용과의 일치 여부 확인, 2차로 추출된 내용을 농업문해 체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내용이 일부 교과에만 제공되었을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목적과 특성에 근거하여 내용을 제시함에 따라 농업생명과학 내용 제시에 대한 교육과정의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농업생명과학 관련 내용이 매우 부족하게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농업문해의 내용영역 및 하위요소에 불균형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초등학생의 농업문해 수준을 높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래의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농업생명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반영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많은 교과에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분석

        전영빈 ( Young Been Jeon ),이영희 ( Young He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NOS)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출판된 통합과학 교과서 5종 모두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개념적 틀로는 과학적 소양 기반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Lee, 2013)을 활용하였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은 1. 과학지식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2. 과학적 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3. 과학적 사고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그리고 4.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이다. 분석은 2명의 분석자가 수행하였으며, 두 분석자간의 신뢰도는 Cohen’s kappa 계수 0.83 ~ 0.96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 값을 나타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의 본성(NOS) 4가지 측면 중에서 ‘과학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영역을 전반적으로 가장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통합과학 교과서 5개 출판사 전체 영역에서 ‘과학 탐구의 본성(범주 II)’의 분포가 평균 약 44 %로 나타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는 출판사에 상관없이 ‘과학탐구의 본성(범주 II)’을 가장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외 다른 측면의 과학의 본성(NOS) 부분은 출판사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통합과학 교과서들은 과학적 내용과 활동을 탐구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제시하면서 출판사별로 다소 다르게 과학의 본성(NOS)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 강조하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은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을 제외하고 모든 단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NOS) 단원별 분석 결과가 대부분의 단원에서 전체 교과서 분석 결과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에서만 범주 II의 ‘과학 탐구의 본성’ 영역 다음으로 ‘과학-기술-사회와 상호작용하는 과학의 본성 (STS)(범주 IV)’이 강조되고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 과학 교과서가 지난 교육과정에 비하여 비교적 다양하고 균형 있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증진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강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v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published by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ere analyz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four themes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Lee, 2013) based on scientific literacy. The four themes of the NOS are 1.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heme I), 2.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theme II), 3.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theme III), and 4.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The reliability of the textbooks analysis was measured between two coders by the Cohen’s kappa and resulted in between 0,83 and 0,96, which means the results of analysis was consistent and reliabl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emphasized on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devoting the contents over 40 % in the all five publishing companies’ textbooks. Second, while the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emphasized on the textbooks regardless of the publishing companies, other themes of the NOS were emphasized in different portions by the publishing companies. Thus, the focus among other three themes of the NOS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the publishing companies except that in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most emphasized o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Third, the presentation of the NOS was identified similarly across the topics of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except on topic 4. Environment and Energy. The theme IV,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was emphasized reasonably only in the topic of Environment and Energy of the textbooks. Finally, the presentation of the NOS in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more balanced among the four themes of the NOS with focus on the scientific inquiry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extbooks.

      • KCI등재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장정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by based on their types, units, and publishers. Moreov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textbook distribution i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eac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contained 23% decreased page-number and approximately 8% decreased inquiry activities. It is due to make a relaxation of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herea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reative scientific inquiry. The inquiry activities of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have increased the types of SA, IP and EX compared to those of the 2009 revised. The result indicated the consistency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hich pursues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inquiry. There are 22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Life ScienceⅡ in all textbooks. However,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LS2㉡~LS2㉤ provide not all the 17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try to restructure their textbooks for enhancing students’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것이다. 그러나 ID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이 이전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구조화된 탐구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에서 제시하고 있는 탐구활동 예시 22개가 교과서별 탐구활동 유형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2009 개정 생명과학Ⅱ에서는 탐구활동 예시 17개를 모두 제시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으며, 이는 LS2㉡~LS2㉤이다.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탐구활동의 빈도,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탐구활동 유형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수업 평가 일체화 연구

        권순황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본성에 맞춘 수업과 평가가 올바르게 편성 전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첫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의 과학과의 성격을 분석하고, 둘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학년군별 교과내용을 분석하며, 셋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3, 4학년군과 5, 6학년군의 교과를 교-수-평 일체화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이형빈(2015)의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은 유사하다. 둘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3, 4학년군과 5, 6학년군의 교과 내용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중복과 발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셋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교-수-평 일체화는 3, 4학년군과 5, 6학년군별 내용선정 및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모형 적용면에서 중복과 발전의 차별적이거나 위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단위시간별로 교-수-평 일체화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This study is built on the three following objectives to examine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e class-assessment alignment between the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This study employs the analytic framework suggested by Lee (2015)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in the science education for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fifth- and sixth-grade group. First, the nature of 2015 revised basic and science curriculums are homogeneous. Seco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content for the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the fifth- and sixth-grade group are ambiguous. This ambiguity leads to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redundancy and development. Thir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grade group and the fifth-and sixth-grade group in content selection and class model application. Therefor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lass-assessment is not likely to accommodate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Meanwhile, the curriculum by unit time might achiev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천주영(Joo-Young Chun),이성민(Seong-Min Lee),홍훈기(Hun-Gi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총론의 철학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마찬 가지로 성취기준이 특정 범주 및 개념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 및 과정중심평가의 방향과 충돌하므로 다양한 활동과 탐구가 가능 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5-6학년군 성취기준에서 상위인지가 3-4학년 군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므로 학년에 따른 인지과정 차원의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에 특정 서술어 사용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서술어가 ‘이해하다’ 인지과정에 속하므로 인지과정의 다변화를 위해 성취기준 서술어 사용의 다양화와 명료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행동’으로만 진술된 현재의 성취기준은 교사가 현장에서 ‘방법’ 측면을 재확인 및 고찰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므로 성취기준 제시 형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critical to implementing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s it has the ability to present the aims and goals of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cused on specific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concepts, lik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is conflicts with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activities and exploration. Second, meta-cognition in the 5-6 grade was less that it in 3-4 grade rather. Thus, the systematic stratifi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shall be considered. Third, becaus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description is hi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diversity the cognitive processes. Fourth, the curren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only by the ‘content+action’ form have difficulties requiring teachers to review and consider them in class. Therefore, it shall be reviewed for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Fifth, the 2015 revise curriculum is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so it needs to be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a more precis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cience.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차세대 과학 표준의 비교 분석 -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의 생태계 주제를 중심으로 -

        김은경,김재근,김흥태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2

        This study perform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vising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n ecosystem concepts in middle and high school courses. For this, learning contents on ecosystem i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NG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educational objectives derived from achievement standard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were compare and analyzed in terms of Bloom’s revised taxonomy, statement types, and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or inquiry skills. As a result,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ntained only contents about biodiversity in middle school, in particular, contents about matter circulation and energy flow in organism and ecosystem were not included in high school science. But NGSS dealt with overall contents about ecosystem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in a balanced way. Of knowledge dimension of Bloom’s revised taxonomy, conceptual knowledge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NGSS. O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 was mainly showed in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but NGSS presented various cognitive process.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had many content-focused and activity-focused statements, but NGSS had numerous performance-focused statements. On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or inquiry skills, ‘Collect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took up the highest percentage in Korea’s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Drawing Conclusions and Performing Evaluations’ did so in NGS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과학교육 목표 분석 -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중심으로 -

        김혜진(Hye-Jin Kim),김학성(Hak-Sung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learning goals of middle school second-year textbooks that reflect the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Using Klopfer s class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 goals, the contents of five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econd-year and the goals of learning extracted for exploratory and experimental activities were coded. The content feasibility of coded learning goals was secured by extracting them from the five kinds of science textbooks. In addition,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extracted learning goals through the Klopfer s class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 goals were verified for reliability among the analyses. Therefore,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objectives of exploration and experiment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were high in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s compared with the 2009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goals of exploration show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 the physical and chemical domains,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and operating functions are higher than the 2015 curriculum standards. The standard for 2015 curriculum is the regional categories of Klopfer, where all areas of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s, and earth sciences hav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ir learning objectiv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laces importance on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in all curricula, and the process of students organizing their own knowledge through the exploratory process. Operationa functions and even affective domains are addressed with importance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I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community of science, technology,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ety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Ⅰ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적합성

        김용춘,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3 Brain, Digital, & Learning Vol.13 No.1

        Curriculum is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 that present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emphasizes inqui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cience education. As a result, it presents inquiry activities. However, there is no analysis on whether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re appropriate for the unit. Therefore, in this study was analyzed whether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Life ScienceⅠ were appropriate. To this e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nnection network of concepts presen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curriculum and the main texts of the textbook. The results reveal that the most units included in Life Science I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re not well structured for learning life science concepts through the inquiry activities, as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and the main text are not well connecte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for each sub-uni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Life Science I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eed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distribute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by sub-unit so that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can be appropriate. And to add social issues and real life-related contents to the text of the textbook. In addition,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on the degree of students' understanding caused by the difference in concepts connecting between inquiry activities and main 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guidelines for future curriculum and textbook.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속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문지영(Jiyeong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첨단과학기술 반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속에서 첨단과학기술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첨단과학기술 주제별 빈도수와 서술 방식을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루어진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첨단과학기술을 정의하고, 각 이슈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첨단과학기술을 6개 그룹과 14개의 주요 이슈로 도출하였다. 첨단과학기술 서술범주는 기초, 원리, 이용, 영향, 직업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분류틀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및 선택 과목에 대해 성취기준과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첨단과학기술 주제와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고 서술된 방식을 분석하여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결과 첨단과학기술 이슈 중 생태계⋅친환경 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생명 그룹과 기타(공통) 그룹이 두 번째 높았다. 가장 낮은 빈도수로 나타난 것은 정보⋅통신 그룹과 운송⋅로봇 그룹이었다. 과목군 중에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서 가장 언급이 많이 되고 있었으며, 특히 생활과 과학 과목이 8건, 과학사 과목 3건으로 빈도수가 높았다. 첨단과학기술과 관련한 직업 내용은 중학교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구체적인 기술 사례로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인공지능과 정보 기술 발달로 나타나는 새로운 직업군이 소개되고 있었다. 또한, 서술범주 분석결과 이용, 원리, 사회적 영향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지만, 기초, 직업 서술범주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어, 첨단과학기술 서술방식이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되는 첨단과학기술의 범주가 다양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재해재난 대응책이나 원전의 안전성과 같은 사회인프라 그룹의 주제들은 적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 분야 내용을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첨단과학기술 주제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필요가 있다. 셋째, 구체적인 서술방식이 원리를 이해하거나 조사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므로, 실제로 첨단과학기술을 탐구하거나 실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modern society, which is continuously changing due to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ccelerated the changes in human life. In this study,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reflection of advanced science technology in the future revised curriculum, we investigate how the topic of advanced science technology appea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In this study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were defined base on the findings of the recent science and technology prediction survey and advanced science technology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ourteen major issues depending on their importance. Also,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re classified into five descriptive categories: basic, principle, usage, influence, and profession. The achievement goals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is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middle school science, high school science. Resul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ecology/eco friendly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issue. The topic groups with the lowest frequency were the transportation/robot group and the information/communication group. When examining topic groupings, the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were cited the most, particularly life science subjects with 8 cases and science history subjects with 3 cases.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content description category, the proportion of use, principle, and social impact was high, whereas the proportion of basic and profession description categories was small, confirming that the description method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was biased. Conclusions First it is vital to diversify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categories given in curricula and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non-biased contents of diverse sectors of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ose openly major advanced science technology topics. Third, it is required to deliver the class in a manner that may be adjusted in a variety of ways so that students can truly investigate or experiment with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의 수행평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유미현,심보경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4

        The talents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with the ability to cooperate and solve problems. In order to foster thi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core competencies and implemented happy learning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s. It is presented as a vision (Ministry of Education, 2015a). To accomplish this aim, the “curriculum-lesson-assessment” should be organically linked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inte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ing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subjects, to diagnose evaluations conducted in the field, and to suggest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ubject, unit, school, and performance assessment type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sub-items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ing criteria of 10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subjec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integrated science performance evaluation scoring criteria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the scientific exploration experiment performance evaluation scoring criteria were in the order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ppeared high. As sub-categories, 'logical thinking' was high in both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exploration experiments, ‘using various methods of expressing opinions' and 'collecting data through basic exploration functions' were high. The distribution of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ing standards differed by school, suggesting that teacher comprehension is required to educate a balanced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individual teachers' competencies and important part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unit, the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ing standards also show differences, especially in the case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This tendencies are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extbook exploration activities, so when teachers reorganize the curriculum, they analyze the core competencies of textbook inquiry activities an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essons and evaluation plans.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는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이다.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을 도입하고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의 구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15a).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교육과정-수업-평가’ 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학생 중심, 과정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삶과 연결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실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수행평가 채점기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진행되는 수행평가를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10개교의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수행평가 채점기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과 그 하위항목을 분석하여 과목별, 단원별, 학교별, 수행평가 유형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과학 수행평가 채점기준에는 핵심역량이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적 탐구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과학탐구실험 수행평가 채점기준에는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항목으로는 ‘논리적 사고하기’항목이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의사표현 방법 사용하기’, ‘기초탐구기능을 통한 자료 수집하기’ 가 높게 나타났다. 수행평가 채점기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분포가 학교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개별 교사의 역량과 교사의 중요도 인식에 따른 균형 있는 핵심역량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단원의 내용에 따라 수행평가 채점기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포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2단원에 치우쳐 있다. 이는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핵심역량의 분포와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므로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교과서의 탐구활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 수업과 평가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