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교육에서 누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가?

        권순황 광신대학교 2006 光神論壇 Vol.15 No.-

        첫째,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상호 유기적인 현상들을 질적 연구로 구명하는 것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요구하는 연구에서 질적 연구가 보다 많이 사용되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l 학년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교육관, 특수교육 이해 정도 및 특수아동 지원전략 등이 특수아동의 초등학교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본 연구의 주제를 같이하는 후속 연구로 통합학급 교사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재택·순회 교육의 치료 교육 지원 방안 연구

        권순황 국립특수교육원 2002 특수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재택·순회 교육의 치료 교육 지원 방안 연구로서 재택·순회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치료 교육 지원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서 재택·순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모든 교사이며 자료 처리에 있어서는 전집이 갖는 의의를 살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순회 교육은 담당교사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담당교사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된 구체적인 국가 수준의 지침이 필요하다. 둘째, 재택·순회 교육이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부모 요구와 현장 재택·순회 교사의 공통된 요구 사항인 치료교육 활동 강화를 위해 치료교육 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재택·순회 교육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수 담임 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복수 담임 제도로 팀을 이룰 경우는 반드시 교과담당 교사와 치료교육 교사가 함께 팀을 이루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in method for supporting therapeutic education for students enrolled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14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in Kyungsangnamdo, who were all of the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in Kyungsangnam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guide lines that reflecting teachers needs was needed for consuming difference which appeared by teachers thought. Second, posting therapeutic teacher is needed for enforcing therapeutic education on consumer-centered; carer and teacher for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Third, co-teacher system(including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rapeutic teacher) is needed for encouraging consumer-centered education in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짝 맺어주기 활동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과의 또래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권순황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역할이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의 또래 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자의 관찰과 관련 제보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재 보람초등학교에서 성공적으로 통합교육을 받는 6학년 영훈이의 1학년 때 담임교사였던 황 교사를 주요 제보자로 두었으며 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황 교사와 영훈이를 동시에 알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및 1학년 때 같은 반 학생들로부터 황 교사가 영훈이를 위해 지원했던 일들이 이후 영훈이와 자신들과의 관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관찰과 제보자의 면담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중재자로서 초등학교 1학년 때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역할은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과 또래관계를 맺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 때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장애아동과 '인기아동'과 짝 맺어주기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과의 또래 관계 형성에 긍정적이다. 따라서 '행동관리자'로서 초등학교 1학년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자기 반의 장애아동을 위해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들 중 장애아동에게 '인기아동'과 짝 맺어주기는 통합학급 내의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과의 또래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eachers' role of matching partner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in 1st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male child with severe emotion disturbed, his classmates from 1st grade to 6th grade, and his 1st grade teacher, miss Whang. a male child with severe emotion disturbed whose name is Younghoon and he is a student at Boram elementary school, 6th grade. Although some classmate at 1th grade is still classmates of him, but the others were not. The 1st grade classmates of Younghoon were still good friends and advocates of successlessly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hoon. From interviewing process, w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ole of intervener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in 1grade at elementary school has positive effects on matching partner. Second, the 1st grade teacher's role to a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 of between a child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his classmates Star is important to successlessly inclusive education. Because the 1st grade students accepted information more absorbable about their peer with disabilities than other grade.

      • 청각장애학생 공통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for the deaf student meets government require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is based on following phas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it executed a survey of curriculum chief teachers in hearing impaired schools. It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t the chalk face to figure out their demand on current curriculum. From those methods, current study drew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for the deaf students does not meet the government requirement from a developmental viewpoint. Second, the level of achievement on the curriculum is related to bo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 expertise. Finally, to overcome those deficiencies, the curriculum should be adjusted to deaf students' development level so that its fitness is improved.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공통교육과정이 국가수준의 요구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첫째, 우리나라 청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초등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3곳의 특수학교와 중학교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4곳의 특수학교 및 고등학교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13곳의 특수학교교육과정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전집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둘째, 국립특수교육원에서 2013년도 시각․청각․지체장애학생 교수․학습자료 개발 기초연구를 위한 포커스 그룹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청각장애 교사가 인지하는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교육과정은 특수학교에서 국가수준에서 요구하고 있는 공통교육과정이 운영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둘째, 청각장애교육과정은 청각장애학생의 인지발달수준과 교육환경 및 교사의 전문성과 관계가 있다. 셋째, 현행 청각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은 청각장애학생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공통교육과정을 수정 개발함으로서 적합성을 높여야 한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유치원 부적응 행동 개선을 위한 기능적 언어 중재 모형 개발

        권순황 광신대학교 2010 光神論壇 Vol.19 No.-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등으로 한국 주류 사회와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한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영유아기에 한국어와 전통적 한국 문화에 능숙하지 못한 외국인 부모의 양육으로 말미암아 한국 주류 사회의 문화 및 언어 습득에 곤란을 겪는다. 다문화 가정 아동은 일반적으로 또래 아동보다 언어 수행 능력이 지체되어(류현주. 2008; 이수정. 2008; 이영주. 2007) 성공적인 유치원 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어려움을 지니게 된다.

      • KCI등재후보

        비디오 녹화 자료를 활용한 자기 언어교정 활동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기능적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

        권순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 언 교정 활동이 수반장애가 없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기능적 언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기능적 말하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기능적 언어 사용 장면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후 아동과 교사가 직접 모니터 하면서 교정활동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대상은 수반장애가 없는 인공와우 이식 초등학교 1학년과 3학년 남학생 각 1명이며 본 연구의 기간은 2004년 11월 1일부터 2005년 3월 21일까지이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측정은 기능적 언어 행동의 횟수 증가와 정확한 발음횟수 두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횟수 증가는 아동이 의사소통에 참여한 횟수로 정확한 발음횟수는 정발음 비율(%)로 기록하였다.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녹화 자료를 활용한 자기언어 교정 활동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기능적 언어 행동의 참가 횟수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비디오 녹화 자료를 활용한 자기언어 교정 활동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정확한 발음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비디오 녹화자료를 활용한 자기 언어 교정 활동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기능적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 교육과정 적합성 고찰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culum had about five decades since the Education Department issued the first Special Schools Currculum in 1967.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half-century history. First, what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Korean deaf curriculum? Second, to what extent has the curriculum been appropriate? To answer those inquiries, the author first conducted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the deaf curriculum. In addition,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The results tell us that first, the deaf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in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till it faces endogenous demand for the betterment of deaf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exogenous demand for the reflection of the societal turbulences.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is directly related to its achievement standard. The balance between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is the key to raise the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문교부가 1967년 제1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을 공포한 이래 2015년의 현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약 반 세기가 흘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청각장애 교육과정 변천 역사를 중심으로 다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변천과정별 우리나라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공포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럼에도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내재적으로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력신장이 요구되며, 외재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청각장애학생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적정선을 고려한다.

      • KCI등재

        가정-학교 상호 협력 프로그램이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

        권순황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가정-학교 상호 협력 프로그램'이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B초등학교 1학년 남학생 1명이며 연구설계는 가정, 특수학급, 일반학급의 상황간 중다기초선으로 ABA 설계를 하였다. 측정은 말하기 행동이 발생하고 관찰되는 시점을 백분율로 수량화한 사건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교 상호 협력 프로그램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안정된 말하기 행동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가정-학교 상호 협력 프로그램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낯선 사람과 말하기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가 연계한 중재 프로그램은 선택적 함묵 아동을 성공적인 학교 생활로 이끌 수 있는 중재 전략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school based program on a selectively mute child's speaking behavior.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male child with selectively mute who was first grade elementary.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the intervention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me-school based program had an effects on improvement of on a selectively mute child's speaking behavior. Second, the home-school based program had an effects on prompt to swell a selectively mute child with expanding into hearer. Therefore, home-school based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successful schooling with a selectively mute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