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3

        현대사회는 개체의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심각한 가치 갈등을 겪고 있다. 다양성 속에 갈등이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면, 합리적인 가치판단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금까지 가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가치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가치판단의 정당화 방안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으며,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을 구체화하였다. 가치판단은 평가대상에 대한 가치의 척도를 규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평가적 추론은 합리적 근거에 따라 판단하는 인지적 가치교육인 가치탐구에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가치탐구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의의는 사실적 근거와 가치 원리에 기초한 합리성의 추구를 통해 가치판단의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데 있다. 이에 논쟁문제학습의 특징을 논쟁문제의 구체화, 가치의 계열화, 이성적 합의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분하여 현대적인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serious value conflicts as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expands. If conflict is a necessary and universal phenomenon in diversity, it is most important to have reasonable ability to judge value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model to justify value judgment. First, the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erms of paradigm shifts in value education. Next, I discussed theoretically the justification method of value judgment and embodied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justification model of value judgment. Value judgment is about defining value scales for the object of evaluation. Such evaluative reasoning can be found in cognitive value education based on rational evidence, a way of which is value inquiry.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value inquiry is to secure the justification of value judgment in our pursuit of rationality based on factual basis and value principle. Accordingly, a process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an be seperated as a clarification of controversial problems, a sequencing of values, and a creating rational consensus, and can be proposed as a method of value education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존중의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박해용(Park, Hae-Y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공동체의 가치가 손실되어 가는 현대사회는 사람에 대한 존중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사람에 대한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정립하기 위하여 존중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한다.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이유는 존중이 사람의 감정적 정서와 이성적 규범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존중이 모든 덕의 도덕적 가치의 토대가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존중은 감정으로서 정서적 측면에서 작동하며, 동시에 사람과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상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존중은 다른 덕들의 충실성을 담보하며, 다른 도덕규범에 비하여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도덕의 활성화에 더욱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적 근원 가치로서의 존중 개념이 새롭게 논의되어야 한다. 존중을 도덕의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기획은 두 가지 영역에서 논의된다; 존중의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 상호 인정과 존중의 관계. 본 논문은,①흄과 칸트가 수행한 존중의 특성을 종합 연구하여 존중이 갖는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을 입증하며, ② 존중 개념은 악셀 호네트의 상호 인정의 도덕형식을 더욱 유의미하게 만들기 때문에 상호 인정 보다 더 근원적 도덕 가치임을 논증한다. 그러므로 존중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존중은 일방통행적 존중이 아니라 상호 인정적 존중이어야 할 것을 강조하며, 존중은 타자에 대한 존중과 자신에 대한 존중이 반드시 결합되어야 함을 확인한다. 또한 존중은 존중의 대상에게 유익함을 줄뿐만 아니라 존중하는 사람의 품성을 고양시킨다는 것을 역설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존중은 가장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주장이 입증된다. Modern society which suffers a loss of community value, is demanding a respect for human. This thesis deeply introspect on respect, to establish respect for human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reason asserting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is that respect include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at the same time, also respect is considered to form the basis of moral value of all virtues. Respect performs as an emotion on sentimental aspect and let human relation organized rationally. Therefore respect guarantees the fidelity of other virtues and can contribute a valuable share to ethical vitalization compared to other moral standards. Thus there is need to rediscuss the concept of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study on the planning for respect as original moral value can be discussed in two area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relationship between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This thesis, ① demonstrates the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by complex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spect done by Hume and Kant, ② proves concept of respect is more original moral value that makes Axel Honneth"s ethic form of mutual recognition more meaningful. Hence, respect has principle ethical meaning that exercise absolute influence on other"s thoughts and acts. This thesis, emphasizes that respect is mutual recognitive respect rather than one sided respect, and confirms that respect has to combine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neself. Furthermore, assenting with emphasis that respect gives benefit to the object of respect and enhance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ho respects. By this discussion, it is proved that respect has the most original moral value.

      • KCI등재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이론에 따른 넛지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창출 요인분석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In modern society, the design area has been expanded to the public domain realizing the social values, and contributes to the solutions of social problems. As the design fulfill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goals is used throughout the overall national affairs such as services and policies, the nudge design from a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is actively proposed to induce the user action. In this study, it was tried to find a theory that can determine the implicit information in the nudge design in the bounded rationality theory of Herbert A. Simon. The bounded rationality theory is a theory of finding a satisfactory solution with an intuition of experiences and personal feelings rather than making the optimum alternatives and decisions through a logical process or explicit reasoning when humans make decisions. In this study, I looked at the perspective of bounded rationality theory, on which the nudge is based, and define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nudge design and bounded rationality. Accordingly, the bounded rationality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by understanding only the behavioral structure of people in nudge design that leads to correct decision making, and by persuading them indirect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dge design is based on the bounded rationality theory. Second, for user's correct choice, the focus should be on emotional satisfaction rather than logical analysis in the field of design. Third, in order to continuously create new social values, it should be communicated in a natural situation not under the pressure of someone else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solving problems. Comprehensively, the true nature of social value creation is the induction of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a nudge design is required as a basis for motivating behavior, and the designers should study the design for human psychology and behavior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nature of society by expanding these implications into a broad framework,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essence of design. 현대 사회에서 디자인 영역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의 영역으로 확대하여 사회문제 해결 방안에 일조한다. 사회적책임과 목표를 실천하는 디자인이 서비스, 정책 등의 국정 전반에 활용됨에 따라 행동경제학 관점의 넛지디자인(Nudge Design)이 사용자의 행동 유도를 위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넛지디자인에서 내제된 함축적 정보를 규명할 수 있는 이론을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의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이론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한적 합리성이론은 인간이 의사결정을 할 때 최적의 대안과 결정을 논리적인 과정이나 명백한 추론으로 결정짓기보다 경험과 개인적인느낌의 직관으로 만족스러운 해결을 찾는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넛지가 기반하고 있는 제한적 합리성 이론 관점을살펴보았고 넛지디자인과 제한적 합리성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정하였다. 이에 제한적 합리성은 올바른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넛지디자인에서 사람들의 행동구조를 파악, 우회적 설득을 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넛지디자인은 제한적 합리성 이론에 근거한다. 둘째, 사용자의올바른 선택을 위해 디자인 분야에서는 논리적 분석보다 감성적 만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 누군가의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으로 소통하여야 한다. 종합적으로 사회적 가치창출의 실체는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유도, 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기초로써 넛지디자인이 필요하며, 디자이너들은 앞으로 인간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디자인을 연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함의는 큰 틀로 확장하여본 연구가 사회의 공공성 향상에 기여하고 디자인의 본질을 숙고하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문학 : 허생전의 목적 합리적 담론 분석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3 퇴계학논총 Vol.21 No.-

        이 연구의 대상 작품은 <허생전>이다. 허생(許生)이라는 이름에서 허(許)는 ‘나아가다, 일으키다, 허락하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그리고 허생의 글 읽기는 무엇인가 일을 일으키기 위한 준비과정이다. 이러한 명명과 허생의 행위는 작품의 구성과 가치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허생은 글 읽기를 좋아하고, 집에서 나간 후로 도둑들을 설득하여 찾아간 해외의 빈 섬에서 새로운 이상세계를 건설한다. 이러한 행위는 이름의 뜻을 실현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름의 뜻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다른 인물들과 대립하면서 가치 합리적 행위를 부정하고 목적 합리적 행위를 지향한다. 가치 합리적 행위는 중세의 가치를 유지하려는 보수적 담론이며, 목적 합리적 행위는 새로운 질서를 지향한 진보적인 담론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허생의 목적 합리적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탐구하는 연구는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eosaengjeon. In the name of Heosaeng (許生), Heo means advancing, evoking, and allowing. This meaning is a crucial clue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and meaning of Heosaengjeon. Heosaeng likes reading. After leaving his home, he reforms thieves and moves to an overseas vacancy island with them to construct a new ideal world. These actions illustrate his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his name. While fulfilling the meaning of his name, Heosaeng is in conflict with other characters, denies an action for value rationality, and aims at an action for instrumental rationality. Heosaeng`s actions manifest the realization of Myeongmyeongdeog(明明德, illustrating the clear character), Sinmin(新民, renovating the people), and Jieojiseon (止於至善, abiding in the highest good), which are the Three Doctrines(三綱領) in The Great Learning(大學). His actions for instrumental rationality in accordance with these three principles reveal a critical discourse against administrators` actions for value rationality by virtue of their ostentation in economic policies and engagement of talent at that time. Heosaengjeon is a discourse of the minority whose members sought Shilsagushi (實事求是, seeking truth from facts) with actions for instrumental rationality, criticizing a ideological discourse with actions for value rationality in the medieval times. One of the literary values of Heosaengjeon is that its realistic discourse with actions for instrumental rationality became a foundation for Korea`s inevitable movement toward modernity to keep pac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East Asia.

      • KCI등재

        과표현실화가 주택관련 재산세의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

        허등용 ( Deung-yong Heo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8 재정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가구특성별 재산세 추정을 통해 과표현실화가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보유세 인상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과표현실화 방안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의 폐지하는 방안(시나리오1), 공시가격에 대한 실거래가반영률을 100%로 하는 방안(시나리오2),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안(시나리오3)으로 구분하며, 가구특성은 가구주 연령ㆍ가구원 수ㆍ주택유형ㆍ지역으로 구분한다. 분석자료로는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와 장래가구추계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수정된 Mankiw-Weil 모형으로 가구특성별 주거면적(주택수요) 추정 후, 여기에 전용면적당 가격을 추정하여 곱하는 방식으로 가구특성별 주택가격을 산정한다. 주택가격에 실거래가반영률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과표를 산정하고 여기에 세율을 곱하여 가구특성별 재산세액을 산정한다. 지역별 재산세 세수는 가구특성별 재산세액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별 가구 수를 곱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과표현실화 전과 후에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과표현실화가 재산세 세부담 및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정부의 과표현실화 정책 방향의 우선순위가 담세력이 높을수록 세부담을 높이는 것과 보다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충하는 것에 있다면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과 광역시 등 지방세 세수가 풍부한 지역에서 더 크게 세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지역 간 세수 격차가 심화 될 수 있다. 반면, 우선순위가 납세자 간의 조세 불형평성 해소와 장기적인 재산세 세수증대 등에 있다면 실거래가반영률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담세력이 낮은 납세자의 세부담이 더욱 크게 증가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행 누진세율체계로 인해 정부는 더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보할 수 있으나, 납세자 간 조세 불형평성 및 지역 간 세수 격차는 심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rationaliz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base on the tax burd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estim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property tax increase. This paper provides three options of the rationalization: abolishing fair market value ration(Scenario1), reflecting 100% market value on housing declared value ratio(Scenario2) and applying the two methods at the same time(Scenario3).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re classified into the age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type of housing and the region in this study. Korea Housing Survey and Household Projection data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proces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estimate the housing demand through the modified Mankiw-Weil model and the price per unit area by the characteristic, then calculate the housing price through multiplying the demand by the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calculate the tax base through multiplying both housing declared value ratio and fair market value ratio by the housing price; calculate the tax amount by the characteristic through multiplying the base by corresponding tax rate to the base; calculate housing property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multiplying the tax amount by the number of household in eac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adding them up; and finally simulate the effect of the rationalization on the housing property tax amount and revenue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rational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1 option if it intends to increase the burden to the taxpayers who seem to have more taxable capacity and to raise more tax revenue. The regional tax revenue gap, however, can be deepen in this case because the revenue will increase more in regions where the local tax revenue is relatively rich such as capital area and metropolitan cit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2 option if it intends to eliminate tax unfairness among taxpayers, to increase long-term tax revenue without widening the tax revenue gap between regions. However, in this case, the tax burden of taxpayers with relatively low taxable capacity may increase even mor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gressive property tax system can secure more property tax revenue when the rationalization is implemented, but the taxpayer unfairness and regional tax revenue gap can be more deepen due to the progressive system.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본소득의 윤리적 가치 및 경제적 합리성에 대한 정책적 재론

        서준교 ( Seo Joon-ky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5 No.1

        제4차 산업혁명은 경제, 산업,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불안감 또한 동반하고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의 무인자동화는 생산성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인적고용의 창출과 소멸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무인자동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기본소득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에도 첨예하게 대립하는 기본소득에 대한 찬반논쟁은 여러 한계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기본소득의 특성인 비차별적이고 무조건적인 소득의 보장은 노동과 생산에 따른 소득획득이라는 윤리적 가치 및 경제적 합리성에 상충한다는 비판적 논쟁에 가로막혀 있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를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한 잠재적 고용과 소득감소에 대응할 방안으로 기본소득의 도입을 제시함과 함께 기본소득의 보장에 대한 기존 그리고 잠재적 논쟁점을 분석하고 재론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제4차 산업혁명의 무인자동화에 따른 잠재적 경제 및 산업의 변화가 고용환경에 미칠 영향을 살펴본 후, 기본소득의 도입에 대한 기존의 노동과 생산 그리고 고용과 소득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 기반을 둔 윤리적 가치와 경제적 합리성에 대한 논쟁을 제4차 산업혁명의 무인자동화에 따른 인적고용 및 소득의 감소로 인한 잠재적 사회경제적 변화를 적용시켜 기본소득의 도입을 재론하도록 한다.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 prevailing factor in the economic, industrial and social aspects that i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IR). On the one hand, potential future key technologies are anticipated the change of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on the other hand, job losses and a further de-industrialization and socioeconomic changes are concerned. The current debate on the 4IR is a reflection of employees regarding ergonomics,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echnologies. This technological change will cause changes in work demands and more importantly, the substitu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utomations, for human resources. In order to take account of transforming socioeconomic changes led by the 4IR,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such the changes. However, as its main characteristics of nondiscriminatory and unconditional provision of incomes for all, the basic income has been brought deeply divided arguments, particularly in the ethical value and economic rationality. The study focuses on the reargument over the ethical value and economic rationality of the basic income in the socioeconomic changes led by the 4IR.

      • KCI등재

        환경과 생명의 위기에 대한 붓다와 맑스의 대화

        이도흠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89 No.-

        When we seek alternatives to the crises of the environment and life, Marxism has a dual significance. Marxism is the sharpest analytic tool among all ideas in criticizing the capitalist contradiction as the dominant and fundamental cause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On the other hand, nature seen in Marxism is nothing but an object on which humans create new value by working for their own purposes. Marxism does not escape anthropocentrism because it focuses on the instrumental value rather than on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Buddhism places more emphasis on life than any thoughts, and looks all life forms in nature not from anthropocentrism but from dependent origination. However, it does not see the power dynamics inherent in it. By combining these two thoughts, we synthesize them into the humanization of nature and the naturalization of human being. Its concrete expression might be 'ecological labor' 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ultimate goal should be Hwajaeng Buddhist ecological community. At this time, its premise must, first of all, be to acknowledge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to move away from the separation between spirit and body and to think in the mom as the integration of the mind and the body. It is also necessary to shift the human purpose toward nature to new rationality, which is an Hwajaeng Buddhist ecological rationality whose purpose is to communicate and coexist with all the life forms, overcoming the instrumental rationality. The postmodern alternative is to reform the society into an ecologically circulatory system that does not produce waste and pollution, under the paradigm of hwajaeng Buddhism. Fi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we must synthesize individual enlightenment and socio-cultural reform through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and solidarity. 환경과 생명의 위기에 대한 대안을 모색할 때, 맑시즘은 이중적이다. 환경 위기를 낳은 근본적이고 지배적 요인인 자본주의 모순을 비판할 때 맑시즘은 모든 사상 가운데 가장 예리한 분석 도구다. 반면에, 맑시즘은 자연의 본원적 가치보다는 그 도구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한다. 불교는 어느 사상보다 생명을 중시하는 원리를 품고 있으며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 모든 생명과 자연을 연기론으로 본다. 하지만, 거기에 내재되어 있는 권력을 인식하고 비판하거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이에 불교와 맑스를 종합하여 대안을 모색하면, 근본적으로는 자본주의 체제를 변혁하고, ‘자연의 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를 대대(待對)의 관계로 종합해야 한다. 이의 구체적인 표현은 ‘생태적 노동’이나 ‘지속가능한 발전’이며, 최종 목적지는 화쟁의 생태공동체다. 이때 먼저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 인간을 정신과 육체로 나눈 이분법에서 벗어나 몸으로 사유하는 것이다. 목적 지향적 합리성에서 벗어나 온 생명과 소통하고 상생하는 것 자체가 목적인 생태적이고 화쟁적인 합리성으로 전환해야 한다. 탈근대적인 대안은 화쟁의 패러다임 아래 이 사회를 생태론적 순환 시스템으로 개혁하는 것이다. 개인의 깨달음과 사회개혁과 문화개혁을 종합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가치 갈등 해결 수업모형의 한계와 그 개선 방안

        노희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2

        This paper tests about the teaching method for resolving values-conflicts projected according to a jurisprudential model which D. W. Oliver & J. P. Shaver invented. On the basis of this test, it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appropriate for the rational resolution of conflicts among values. The public controversy usually comes from these elements of disagreement over definition related with issue, factual assumption, and value judgement. D. W. Oliver & J. P. Shaver developed a general strategy for teaching in order to resolve this disagreement. But the teaching method for resolving value-conflict doesn't perfectly disclose the disagreement, although it may project on the basis of this strategy composed of 8 stages.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appropriate for and substantial in their teaching strategy. And it emphasizes that a socratic teaching is desirable in moral teaching, for the rational analysis and resolution of values-conflicts. 본 글은 올리버와 쉐이버의 법리적 모델에 근거하여 구안된 현행 가치 갈등 해결 수업모형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가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적합한 수업모형을 제안한다. 사회에서 발생하는 공적 논쟁은 보통 쟁점과 관련된 용어의 불일치, 가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실적 근거의 불일치, 가치 판단의 불일치 때문에 발생한다. 그들은 이러한 불일치들의 해결을 위해 8단계의 교수전략을 개발하고 있는데 현행 가치 갈등 해결 수업모형은 이러한 교수전략에 기초해 구안되었음에도 불일치의 해결 과정을 선명하게 드러내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올리버와 쉐이버의 8단계 교수전략을 충실히 구현할 수 있는 수업모형의 정립을 제안함과 아울러 가치 갈등을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는 소크라테스식 탐구 수업이 바람직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서남해 도서 연안 민간요법의 공유가치와 지식재산으로서 재발견

        박혜영 ( Park Hey-yeong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민간요법은 경험과학으로서 공동체 구성원 사이에 공유되어온 지식재산이자 공유자원이다. 민간요법은 서민들의 삶의 터전과 일상생활 속에서 자생해온 치료법으로, 질병의 발생에 대한 문화적 대응이자 치유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치병 경험과 약재의 판별, 약초의 채취 장소와 기술 및 제약 방법 등에 관한 지식은 교환가치를 지니는 일종의 지식재산(智識財産)으로서 전통과 내력을 갖고 있다. 이런 민간요법들은 한편으로 지극히 비전문적인 것, 위험한 것, 미신적인 것,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민간요법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기를 지나면서 양의학의 성장세에 위축되어왔으며, 한의학에 대한 대체의학으로 자리 잡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곤 했다. 이런 경향은 일제강점기에 특히 두드러졌는데, 조선의 의학은 유구한 전통에도 불구하고, 원시적인 의술로 치부되었으며, 귀신을 다루는 미신과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 또 식이요법을 비롯한 정신요법이나 장기요법과 같은 각종 치료법들이 합리적인 의술로 그 실제적 효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민간요법에 대한 이런 양가적 시선은 오늘날까지도 잔존해있다. 민간요법은 단순히 합리성이나 과학성의 척도로 그 성격을 규명하기 어렵다, `합리적`인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해온 각종 식이요법이나 물리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실증적 접근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인식과 치료 행위 일체를 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하고 인식의 층위와 그 의미를 해석해내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민간요법에 대한 폄하된 시각을 바로잡고, 주술치료를 비롯한 각종 임상치료 과정에 대한 문화적 해석과 생물문화자원의 한의약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 민간요법의 전승의 핵심인 전통지식의 가치를 포착하고, 국제사회에서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의 문제를 근거로 전통지식 보전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지식은 지식재산이자 재화나 다름없는 물적 가치를 지닌다.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 인식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하는 것은 도서 지역의 생물문화와 관련된 지역민의 지식재산권 확보에 달려있다. 여기에 도서연안 농어민들의 종자권 보호와 민간약재의 생산 및 채취권에 대한 규약을 강화하고 더불어 민간요법의 보유자에게도 나름의 권리와 혜택을 부여하여 지식재산권을 보장하려는 노력과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구전 및 행위로 세간에 전승되어온 민간요법의 경우 과학적으로 검증된 실질적인 임상효과와 더불어 예방의학적 차원의 건강유지와 생활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민간요법에 대한 학문적 검토 및 연구를 통해, 의료행위 기준을 마련하고, 세계 표준 선도 및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표준화 대응 협의체 마련 및 전담기구를 설립과 지원이 요구된다. 민간요법에 실제적인 효능을 입증시키고, 단순히 치료목적 뿐만 아니라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대체의학(代替醫學)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생물문화자원의 의약학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Folk remedies are an intellectual property and a shared resource that have been shared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as experiential sciences. Folk remedies are a natural remedy for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their daily lives, and a cultural countermeasure for the occurrence of diseases. The knowledge about the cure, the identification of herbs, the place and the technology of herb collec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has a tradition and history as a kind of intellectual property having exchange value. These folk remedies, on the other hand, were regarded as extremely unprofessional, dangerous, superstitious, and scientifically unreasonable and irrational. After the Korean War, the folk remedies have been depressed by the growth of Western medicine, and they have been regarded as insufficient to be an alternative medicine for Oriental medicine. This tendency was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which the medicine of Joseon was regarded as primitive medicine, despite the long tradition, and the superstition of dealing with ghosts. On the other hand, various therapies such as diet, psychotherapy and long-term therapy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medicine and for their practical efficacy. This ambivalent view toward folk remedies remains to this day.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cultural interpretation of various clinical treatment processes, including magic therapy and herbal medicine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cessary to correct the derogatory view of folk remedies.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folk remedies simply by the rationality or scientific criterion. Along with an empirical approach to various dietary and physical treatment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s “reasonable” treatm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action as cultural phenomena. Also,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a task of interpreting the layer of recognition and its meaning. This paper captures the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which is the core of folk therapy tradi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con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based on the issue of resource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knowledge has the same physical value as intellectual property and goods. Establishing a basis for the promotion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sources and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pends on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local islanders related to the bioculture of the island area.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provisions on the protection of the seed rights of coastal farmers and fishermen and on the production and harvesting rights of private medicines, as well as on secur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folk medicine owners by granting their rights and benefits. In the case of folk remedi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and acts, it is necessary to move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health maintenance and life improvement in the preventive medicine level, as well as to the practical clinical effects that are scientifically proven. Through academic review and research on folk remedi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medical practices, to establish and suppor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or global standardization and preemption.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clinical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eded to demonstrate practical efficacy of folk remedy and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medicine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s well as for therapeutic purposes.

      • KCI등재

        한국 개신교와 탈종교화 - 막스 베버의 합리화 개념을 중심으로

        임영빈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This study deals with Korean Protestantism in Korea, based on Max Weber’s explanation of value-rationality. Max Weber argues that Protestantism contributed to the rationalization of Western modern society by finishing the processes of disenchantment during the Reformation. Protestantism first played a role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 Western Protestants established schools, hospitals, and modern facilities in pre-modern Korean societ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otestantism of Korea has been related to rationalization in Korea. Protestants tried to reform pre-modern Korean socie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equality of all humans. They especially supported the rights of women and lower class. However, recently, Korean Protestants seems to be regarded as an irrational religious group in post-religious times. Furthermore, the attitudes of Korean Protestants toward the COVID-19 calamity have exacerbated the crisis of Korean Protestantism. This study argues that Korean Protestantism should restore its own value-rationality, in order to cope with the adversity of COVID-19 and to overcome the crisis of religion. 이 글에서는 한국 개신교를 베버의 가치합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베버는 종교개혁을 통해 탈주술화 과정이 완성되었다고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개신교가 근대 사회의 합리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개신교는 우리 사회 근대화 과정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구 개신교 선교사들은 학교, 병원, 근대 시설 건립을 통해 우리나라가 근대 사회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개신교는 이뿐만 아니라 전근대 조선 사회에서 당연시되던 여성과 노비 차별을 반대하며 평등 개념을 전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 개신교는 탈종교화 시대를 맞아 위기를 겪고 있는데 이는 개신교가 가진 합리성의 위기라고 볼 수 있다. 개신교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과 관련된 상황에 대처하는 태도는 과거 개신교가 보여주었던 합리성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베버의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 개신교가 서양 합리성 개념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현재 한국 개신교가 코로나 사태와 관련하여 여전히 그러한 합리성을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