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退溪) 『성학십도(聖學十圖)』와 생태주의(生態主義) 교육원이(敎育原理) : 상(上) 5도(圖)를 중심(中心)으로

        이인철(In Choul Lee) 퇴계학부산연구원 2010 퇴계학논총 Vol.16 No.-

        현대사회는 자본주의라는 사상적 토대위에 과학문명이 지배하는 사회이다. 서구중심의 과학문명은 인간 근원적 욕구를 정당하며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고, 인간의 욕구충족을 위해 과학을 도구로 이용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인간 욕구는 무한한 것임에 비하여 과학발달로 인한 물질문명의 발달은 유한적이다. 또한 개발의 대상으로만 생각된 환경은 한 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닌 다가올 미래세대의 것이기도 하다.여기서 우리 인간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자연과 환경을 단순히 야만으로 간주하여 무분별하게 파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우리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존재임을 인식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일방적인 수탈자가 아닌 자연환경과 상생하는 관계임을 자각해야 한다. 이처럼 생태계가 위기에 처한 현시점에서 학문과 교육의 영역도 생태주의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생태주의 교육철학의 요청이 필수적이며, 그 방향 모색과 실천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우리는 그 해법을 서구중심주의 관점이 아닌 우리의 전통적인 사상에서 찾아보아야 한다. 한국의 전통사상은 아름답고도 심원한 생태적 지혜를 간단없이 보여준다. 그 사유는 시적(詩的)이자 미학적(美學的)이며, 협소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인간과 자연, 인간과 만물이 근원적으로 동일한 존재로서 이른바 "생생지리(生生之理: 하늘이 인(人)과 물(物)을 끊임없이 낳은 이치)에 따라 생명의 율동을 구가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 생각의 움직임은 도구적이거나 조작적 이성(理性)에 익숙한 우리 현대인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울정도로 심오하고 근원적이다. 흔히 유학은 인본주의 또는 인간중심주의적 성향을 지닌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중심이라 함은"인간만이 최고"라는 개념이 아니라, 천지자연의 활동에 인간행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중기 성리학자인 퇴계(退溪)는 중국의 성리학을 조선에 정착시켜 독창적인 경지로 끌어올린 사상가이다. 退溪는 다양하게 해석된다. 성리철학 특히 이기철학에서 이(理)우위를 주장한 근엄한 사상가요,자연 속에서 자연을 벗 삼아 작시(作詩)하는 시인이요, 제자의 상황과 근기(根器)를 잘 헤아려 이끌어주는 스승이며, 가족에게는 그저 평범한 촌로(村老)일 뿐이다. 그의 사상은 자연 속에서 완성된 것이며, 자연을 통해 심성을 수양한다는 기본구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따라서 본고에서는 퇴계 노년의 저작인 성학십도(聖學十圖) 중에서 상(上) 5도(圖)를 중심으로 여태껏 간과해 왔던 퇴계의 생태주의 교육원리를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대동(大同)의 원리와 몰입(沒入)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자연도 인간도 홀로 행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해야만 한다. Modern society having its ideological roots in Capitalism is an information society dominated by technology and science. The scientific evolution first started in Western countries has made it justifiable for human beings to pursue their underlying desires.Technology and science has also been used as a tool to satisfy the needs. The problem raised here is that while their needs are infinite,the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ed by technology and science is finite,and thus a "paradigm shift" toward environment is required. Human beings should realize the fact that environment that has long become the subject of exploitation and abuse for humans is not only existing for current generation but also for upcoming one; and that environment should be regarded as an living organism which has enormous effects on humans' lives. In order to bring about such a"paradigm shift", human beings should have much interests in environment surrounding us and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It is not the relation in which one unilaterally takes advantage of the other but the relation through which both mankind and environment co-exist, helping out each other. For these, we need an ecological approach. The concept borrowed from ecology would help u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mentioned above. At the time of the ecological crisis human beings are in, the attention to ecology should be paid in both academic and educational area.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s well. Hence, this paper attempts to seek a solution to the problem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through Toegye's philosophy, not from Western philosophy.Korean Confucianism embraces profound ecological knowledge. The way of thinking and the language used in the philosophy are poetic and aesthetic. Based on the theory of SaengSaengGiRi(生生之理 ; the principles of nature where all things are born and are being bred),Korean Confucius philosophy emphasizes that humans and things considered as one in the fundamental root are enjoying each other the"movement of life". The principles of nature, of SangSangGiRi(生生之理), are too profound for contemporaries who are so much accustomed to an articulative reason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nature also exist beyond the domain of the human understanding. It is commonly spoken that Confucianism has such a human-centered philosophy.However, what human-centeredness means here is not to say that humans are the most precious beings, but it means that human behaviors have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in the universe.Toegye is considered as a master of neo-Confucianism. He had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of China to Korea, and led it originally to take roots in Korean humanities. His philosophy is being as diversly interpreted as his fame and achievements. Toegye himself is also evaluated as various figures; as a grave philosopher putting his emphasis on Li over Ch'i in neo-Confucionism, especially in Li Ch'i philosophy; as a poet writing poems holding communion with nature; as a teacher who understands the situation his students are in and leads them to on the right path in life, taking consideration of their traits; and as an ordinary village senior to his family. In addition, Toegey formulated the system of his thought by what he acquired in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completed his philosophy.This paper has sought the ecological education presented at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especially in top 5diagrams. So far, the ecology paradigm has been neglected in studying Toegye's philosophy. With a new approach,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rinciples of Great Harmony(大同) and immersion(沒入) in Toegye's philosophy and reached a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surrounded by nature should try to find a way to co-exist with nature.

      • KCI등재

        제28회 퇴계학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 단본청원(端本淸源)의 치평관(治平觀)과 퇴계 시의 진락(眞樂)

        정경주 ( Kyeong Ju Jung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이 글은 퇴계선생의 학술 사상에서 세계 평화를 구현하는 방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퇴계는 평생 학문에 종사하였는데, 그 언론과 저술은 일찍이 요순(堯舜)과 공맹(孔孟)을 조술(祖述)하는 유가의 학문 범위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 퇴계의 학문 종지는 주자의 학술을 계승하였으며, 주자의 학문 규모는 『대학(大學)』을 골간으로 하였다. 『대학』에서는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의 근본이 수신제가(修身齊家)에 있고, 수신제가의 근본이 성의 (誠意) 정심(正心)에 있다고 하였으니, 그것은 곧 인간의 도덕성을 함양하여야만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학문 신념의 체계이다. 퇴계는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거기에 관여하는 인간 개개인의 도덕성을 함양하여, 개인의 욕망을 절제하고 천리(天理)에 순응하는 삶의 진락(眞樂)을 체득하여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은 『大學』의 학문 이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퇴계 만년의 저술인 「성학십도(聖學十圖)」와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를 비롯한 여러 저술에 나타나는 ‘단본청원(端本淸源)’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퇴계의 저술에 보이는 단본청원의 사상 개념을 그 용례를 검토하여 밝히고, 그것이 세계평화를 위한 퇴계의 전망임을 부연하여 설명하였다. Toegye[退溪] Li-hwang[李滉] was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thought it was able to make world peace through the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But any specific reference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specific comments on world peace does not appear in Li-hwang``s writings. This essay was written for investigating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The cont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principle of Toegye Li-hwang``s academic ideas are well summarized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聖學十圖], that dedicated to a young king newly ascended the throne.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based on one of the confucian texts, The Great-Learning[大學]. The essence of the Great-Learning is that through self-cultivation one can bring order and harmony to one``s mind, personal life, family, state and the world as a whole. Toegye had pointed out the ultimate goal of The Great-Learning depends on rectifying person``s mind[正心] and making the thoughts sincere[誠意]. According to the explanatory notes of Zhu-Xi[朱熹], to rectify one``s mind and to make one``s thoughts sincere, there are required to follow the principle of nature and abstaining from one``s desire. Therefore, Li-hwang demanded upon scholars to a practice of ascetic life and to learn a real pleasure[眞樂]. Therefore, he was convinced that the real world peace is realizing inner peace of mind in the human individuals.

      • KCI등재

        퇴계(退溪)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있어서 심(心)의 구조

        김봉건(Bong Kun Kim) 퇴계학부산연구원 2010 퇴계학논총 Vol.16 No.-

        聖學十圖 는 만년의 退溪가 儒學의 大要를 10개의 圖와 圖說에 집약시킨것이다. 聖學十圖 찬술의 직접적인 목적은 조선의 14번째 왕 宣祖가 어린나이로 즉위하여 퇴계에게 經筵을 부탁하자 당시 퇴계는 68세의 노령이라 이저작물로써 經筵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었다. "聖學十圖를올리는 상소문(進聖學十圖箚)"에는 어린 왕이 聖君이 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배어있다. 聖學十圖 는 퇴계의 독창적인 사상만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성리학 전반의 주요 사상 내용들을 정리한 것에 가깝다. 퇴계는 이것을 왕으로 하여금 늘 곁에 두고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단순화시킨 것이다. 각 圖의 찬술 방식은 대개는 先儒들의 그림을 차용하였고, 때로는 자신이 도안한 그림을 곁들였다. 그리고 각 그림의 하단에 先儒의 說을 게재하여 그림의 원래의 뜻을 나타내었고,, 또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설명하였다. 聖學十圖 의 전체적인 내용 구조는 크게 보아 전반부인 제1-5도에서 天道에 근본하여 人倫을 밝히고, 나아가 修己治人의 의미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후반부인 제6-10도에서는 인간 心性의 구조와 근원을 규명하고 인심을 천리에 맞추어 갈 수 있는 방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聖學十圖 全篇은 天道와 人道가 상응하는 "天人相應"의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구체적으로는 주제 별로 몇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 「天命道」와 제2 「西銘圖」는 天道와 人道의 待對이다. 또 제3 「小學圖」와 제4 「大學圖」는 각각 인간 사회에서의 修己와 治人의 道를 待對시킨 것이다. 제5 「白鹿洞規圖」에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를 나타내었고, 제6 「心統性情圖」에서는 心의 구조를 논하였다. 그리고 제7 「仁說圖」와 제8 「心學圖」는 心의 본질을 논하였고 제9 「敬齋箴圖」와 제10 「夙興夜寐箴圖」에서는 人心을 天理에 맞추는 工夫를 논하였다. 이와 같이 보면 聖學十圖 는 방대한 儒學의 大要를 心論의 구조로 재정리한 학술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Ten Pictures of the Holy Sage(聖學十圖) is a work containing ten pieces of pictures and the commentaries of them by which T·oegye(退溪) has sketched the main subject of the Confucianism. T·oegye wrote it in order to teach the 14th king of Cho-sun(朝鮮) dynasty to be the greatest ruler who must govern a country by the Confucian political thought. But it may be thought that this book shows an essential conception of the cosmic an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This book, as we have mentioned, contains ten picture and the commentaries of them. The 1st five pictures explain an ethics on the basis of the cosmic logos, and suppose a method of the self-edification and the governing a country. And the last five elucidate the structure of human nature and present the way that one ought to adjust his own desire to the cosmic logos. In this respects, it might said be that this book repres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smic logos and the human ethos.

      • KCI등재

        퇴계문학(退溪文學)의 지각논(知覺論) 수용(受容) 연구(硏究)

        김병권 ( Kim Byeong-kwe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退溪學論叢 Vol.28 No.-

        退溪의 詩에서 대부분의 소재는 물이 흐르고, 꽃이 피며, 바람이 불고, 새가 나는 자연이다. 이런 退溪의 시를 어떻게 읽고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退溪가 시를 창작한 경험에 근거하여 해결해야 한다. 退溪는 도산서당 주변의 자연과 사물이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았으며, 이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이 내용은 마음이 즐거움을 知覺하였다는 뜻이다. 이 지각은 退溪가 시를 지었던 중요한 동기이면서 의미 있는 창작 경험이다. 그래서 退溪의 시를 知覺論의 관점에서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먼저 마음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마음의 전체가 지극히 虛하고 고요하여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 설명은 간단한 말로써 표현하고 있지만 그 뜻은 예사롭지 않다. 마음이 허하고 고요하다는 말은 마음의 구조이고, 사물을 비춘다는 말은 마음의 기능이다. 그래서 마음은 사물을 지각하는 주체이다. 다음으로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학문에서 理를 탐구하는 일이 중요하며, 理가 밝으면 책을 읽든, 일을 만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음을 강조한다, 그래서 즐거움의 본질은 사물 자체의 아름다움일 수 있으나, 그 사물을 사유하고 지각한 理라고 보아야 한다. 사물에 내재한 理가 지각의 대상이다. 마지막으로 마음이 어떻게 사물의 理를 있는 대로 지각할 수 있는가? 退溪는 마음에 만약 어떤 사물이 달라붙으면 虛明하고 靜一한 기상을 가질 수가 없다고 하였다. 마음에 달라붙은 사물은 물욕을 비유한 것이다. 물욕으로 혼탁해진 마음을 깨끗하고 또렷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욕을 버려야 한다. 물욕을 버리는 한 방법이 敬이다. 敬을 유지하면 욕심은 줄어들고 이치는 맑아진다. 그래서 持敬은 사물을 있는 대로 보고 그 理를 지각하도록 마음을 성찰하는 방법이다. 退溪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은 자연과 사물에서 지각한 理이며, 退溪는 이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시에서 표현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理를 지각한 학문은 體이고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은 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음이 사물을 지각한 학문과 문학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따라서 退溪가 도산서당에서 자연의 이치를 지각하고 그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시에 표현했던 창작 경험은 『陶山雜詠』의 시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고 믿는다. A main theme in Toegye`s poems is the nature with water flowing, wind blowing, and birds flying. How should we read and feel Toegye`s poems? This question should be addressed based on Toegye`s experiences of creating poems. Toegye stated that he created poems to share his experience of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that was derived from the nature around Dosanseodang(陶 山書堂). This indicates that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was perceived in Toegye`s mind, which, importantly, motivated him to create poems. Thus, Toegye`s poem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perspective of a theory of perception. First, what is the mind? Toegye profoundly considered the mind as entirely empty and calm in a similar way that a mirror reflects things. The mind described as empty and calm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mind, while the mind portrayed as reflective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mind. In this respect, the mind is the main agent of perceiving things. Next, what is the pleasure that naturally occurs to the mind? Toegy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Li(理) in study because if people perceive Li(理), they will not have any obstacles in their way. Although the pleasure may simply be derived from the beauty of things, more profoundly, it may also be Li(理) on grounds of contemplating and perceiving things the way they are. Last, how can the mind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Toegye believed that if things are attached to the mind, the mind no longer has the spirit of brightness and calmness. These things attached to the mind are worldly desires. To make the mind clear and lucid, worldly desires should be discarded. When Jing(敬) is maintained, Li(理) becomes clear and worldly desires decrease. Thus, to maintaining Jing(敬) is to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In all, in his poems Toegye expressed Li(理) that he perceived from the nature, which was the pleasure itself that naturally occurred to his mind. Essentially, Toegye`s studies concerned the way in which he perceived Li(理), and such perception of Li(理) was also expressed in his literacy work. Thus, it seems that Toegye`s studies and literature did not comprise two different areas, but centered around a single theme of perceiving Li(理).

      • KCI등재

        퇴계 시의 자연 사상

        김봉건 퇴계학부산연구원 2007 퇴계학논총 Vol.13 No.-

        퇴계는 소박하게 자연을 사랑했다. 그는 산수를 사랑했고 자연물과 대화를 나누는가 하면 자연을 세속에서 얻은 병의 치유처로 여겼다. 퇴계는 또한 그가 처한 주위의 산수가 선계(仙界)로 통하는 길이라는 생각을 했다. 뿐만 아니라 어떨 때는 주위의 산수를 바로 선계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퇴계는 또한 자연과 산수를 소박하게 즐기면서도 이러한 현상적인 자연과 산수를 넘어선 근원자인 천도(天道)를 잊지 않는다. 퇴계의 시에서는 생생불식(生生不息)하는 천지자연의 생의를 읊은 시가 많다. 그리고 이 천지의 생의는 곧 음양(陰陽)과 건곤(乾坤)의 이치로 구체적으로 사사물물의 운행에 작용한다는 취지의 시도 많다. 그의 시에서는 또 이러한 초월적인 우주의 원리는 각개 사물의 내면에 구유되고 있다는 내재관적인 사유(思惟)도 있다. 퇴계의 시에서 재삼 확인되는 것은 그는 역시 도학자이고 철학자라는 사실이다 . 그는 산수를 대하면서도 자신의 도학 수련과 덕성함양에 주안점을 두는 자세가 시종 흐트러지지 않는다. 흔히들 도학자는 자칫 정서적인 면이 결여된 것처럼 여겨지지만, 원래 유교에서는 시교(詩敎)라는 것이 있어서 인간의 정서를 순화(純化)·징련(澄하는 예술적 자질의 함양을 중시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 시에 나) . 練타난 그의 면모는 고도로 승화된 정서적 감성을 지니면서도 자기성찰과 천도(天道)에의 합치에 진력하는 투철한 이성의 소유자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그는 이와 같이 자연과 합치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단순히 주자학도(朱子學徒)를 넘어 그 자신 사해동포(四海同胞)의 포용심과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대 우주관을 지닌 웅혼한 사상가로 되어 갔던 것이다. T'oegye liked the nature ingenuously. He liked a naural scenery and had a talk with natural objects. He regarded the natural world as the clinic to cure an illness that man takes in the trivialities of life. And he thought that natural world is not only the way to the fairyland, but also is in itself the fairyland. In Chosun, confucians rejected the taocian thought entirely. T'oegye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who studied and taught the confucian thought in Chosun at 16th century. But he praised the taocian fairyland freely. It means that he was not a radical confucian to be absorbed in the economy and the ethics but a aestheticist to glorify the beauty of natural world. T'oegye did not only admire a natural scenery for its beauty, but also studied the logos of cosmos beyond it. In confucianism the logos of cosmos is "the will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生 意). There is a sentence in Yi-ching: the greatest virtue of Heaven and Earth is the generation(天地之大德曰生). This sentence means that the logos of cosmos is the basis of the world. There are many poems in which T'oegye praises the will of Heaven and Earth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 ceaseless and to affect the movement of all things in its principles operating the universe: "Yin-yang"(陰陽) and "the Heavenly and the Earthy"(乾坤). But in some poems he manifested an immanence theory that all things had already the principles in it. In this viewpoint, multiple is the nature to be expressed in the poems T'oegye has composed. His poems clarify him to be a confucian philosophist. He cultivates his mind and body admiring mountain and river. It is important in the confucianism that a confucian philosophist has to train aesthetic aptitude to purify his passion. For this training the confucian students have to learn poeticizing. T'oegye poeticized also mountain and river in this meaning. He does not have only a feeling to purify all things, but also a reason to reflect himself and to direct his efforts to know the logos of cosmos and submit to it. In this respect he was not mere a student of Chu-xi(朱熹). Instead he developed into a great philosophist who has a cosmopolitan tolerance and a cosmological view to assert conformity of cosmos and man.

      • KCI등재

        기획논문 : 퇴계학과 퇴계학파 ; 퇴계(退溪) 문학(文學)의 학문적(學問的) 지향(志向) 연구(硏究)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4 No.-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은 주자학을 계승한 성리학이라고 평가된다. 그리고 그의 학문은 시를 창작한 연원이 되었고, 많은 작품에서 그것을 읽을 수 있다. 퇴계의 학문은 파급력을 가지면서 퇴계학파라는 큰 맥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퇴계는 학문이 이(理)를 다함을 귀하게 여겼으며, 학문의 방법은 주자학을 계승하였고, 학문의 목적은 이치를 궁구하고 본성을 다하여 천명에 이르는 데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퇴계학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만 한정되지 않고 일본, 대만, 중국, 그리고 미국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퇴계는 길가의 풀 한 포기나 산 속에 있는 옹달샘이나 우물에서도 자연의 이치를 발견하였으며, 자신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물고기나 솔개를 통해서 자연의 이치를 사색하고 사람이 지녀야 할 본성을 탐구하였다, 이처럼 퇴계는 자연을 통찰하여 그 이치를 탐구한 즐거움을 여러 시 작품에서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시 작품들이 도산서당에서 학문을 연구면서 지었던 시들을 모은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퇴계에게 학문과 문학은 둘이 아니었음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퇴계의 문학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퇴계학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퇴계는 스스로 지향했던 학문을 문학 창작에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Toegye Yi Hwang`s scholarship has been evaluated as Neo-Confucianism in succession to the doctrines of Chu-tzu. Chu-tzu`s scholarship was a crucial source for Toegye to create his poems, as shown in a wide range of his work. As Toegye`s scholarship gained a considerable academic influence, the Toegye school was formed as one of the main schools during Chosun Dynasty. Toegye valued to pursue the natural law and followed Chu-tzu`s scholarly methods. For Toegye, a primary goal for scholarship was to achieve reasoning, seek the human nature, and aspire to the heavenly mandate. Research on Toegye has not only been diffusing in Korea, but also been widespread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Japan, Taiwan, China, and the US. Toegye discovered the order of nature through one clump of grass on the street and a spring in the mountain, exploring his values that he attempted to follow. He also contemplated the order of nature and sought to the human nature through fishes and kites. Toegye`s Dosanjobyoung included his representative poems that he create in the pursuit of scholarship in the Dosanjobyoung. Thus, for Toegye, scholarship and literature merged together. Toegye`s literature has substantial research values by itself. By extension, studies will need to aim for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oegye Study. Finally, researchers should explore how Toegye expressed his thoughts in the process of his creation of literary work.

      • KCI등재

        기획논문 : 퇴계학과 퇴계학파 ; 류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常變通攷)』 편찬(編纂)과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예학(禮學) 전통(傳統)

        이성혜 ( Seong Hea Lee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4 No.-

        이 논문은 東巖 柳長源(1724-1796)이 편찬한 『상변통고』를 분석하여 류장원의 예학에 대한 사유와 퇴계학파의 예학 전통, 그리고 <상변통고>의 의미를 간략하게 규명한 것이다. 퇴계학파의 일원이자 李象靖의 제자인 류장원은 평생을 處士로 經學과 禮學의 학문에 몰두하고 후학들을 지도하는 講學에만 매진하였다. 안동 수곡 류씨인 그는 퇴계학파의 學風과 鄕風, 家風 속에 수립된 경학과 예학의 학문 전통을 이어 받아 『상변통고』를 편찬했다. <상변통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성과는 壹책의 제목에서부터 ‘家禮’ 혹은 ‘四禮’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났다는 점. 二變禮를 통한 시의성을 제시하였다는 점. ③鄕禮, 學校禮, 國恤禮를 추가하여 예학의 본의, 곧 예를 통한 이상사회를 이룩하고자 하는 사유를 넣었다는 점. 四학문적 당파성을 넘어 회통하려는 의도로 노론과 소론의 예설을 다수 인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점으로 인해 <상변통고>는 영남 남인을 넘어 조선 후기 예학계에 중요한 한 획을 그었으며, 예학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결론적으로, <상변통고>가 이룬 성과는 당시까지 이루어진 예학의 성과를 집대성하였으며, ‘常’만의 경직성이 아니라 ‘變’을 통한 시의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당파를 초월한 순수한 학문적 會通을 모색하고, 유가의 예학적 이상을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gam Ryu Jang-won`s (1724-1796) 『SangbyeonTonggo』, briefly determining his ideas of yehak, the tradition of yehak from the Toegye school and the very meaning of 『SangbyeonTonggo』. Ryu Jang-won was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and a disciple of Lee Sang-jeong. He spent all his life in studying yehak and gyeonghak as a retired scholar and devoted himself to teaching younger scholars throughout his life. From the Andong Sugok Ryu clan, Ryu Jang-won succeeded the traditions of yehak and gyeonghak, which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academic, regional and family traditions of the Toegye school and, accordingly, compiled 『SangbyeonTonggo』.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r achievements of 『SangbyeonTonggo』 were ①going beyond conventional principles of garye or sarye, as suggested by its title, ②accepting variations in courtesy, or byeonrye to comply with its contemporary times, ③ deepening speculation on the very intent of yehak, that is, realizing the ideal society based on courtesy, by adding hyangrye, hakgyorye and gukhyulrye and ④quoting many theories of courtesy from the Noron and the Soron parties to come true a nonpartisan harmony between the different academic circles. Thus, it is recognized that 『SangbyeonTonggo』 made an important epoch in the circles of yehak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just staying as an outcome by the Nam-in faction of Yeongnam region and that it was a new breakthrough of yehak. In conclusion, the most representative achievements of 『SangbyeonTonggo』 were that it compiled accomplishments related to yehak which had been made before the compilation, that it complied with its contemporary times not by sticking to permanency in courtesy, or sang, but by accepting variations in courtesy, or byeon and that it sought to realize a nonpartisan purity and harmony in academics and further the Confucian ideal of yehak.

      • KCI등재

        퇴계시(退溪詩)에 나타난 학주자(學朱子) 정신(精神) 연구(硏究)

        이정화 ( Lee Jeong-hwa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29 No.-

        배움이란 끝이 없으며 평생 계속해야 할 사업으로 인식한 것이 退溪가 朱子의 가르침을 통해 전수한 학문 정신의 핵심이다. 퇴계는 주자의 학문 정신을 본받아 聖學의 완성에 정진하기 위해 독실하게 공부한 학자였다. 말할 때와 침묵할 때, 움직일 때와 멈출 때, 사양할 때와 받을 때, 가질 때와 줄 때, 벼슬할 때와 물러날 때마다 퇴계는 『朱子大全』를 통해서 궁구한 주자의 가르침에 입각해 행하였던 것이다. 퇴계의 공부는 학문의 이치를 몸소 체득해가는 깨달음의 공부였다. 퇴계의 난숙한 학문은 口耳之學으로는 미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存心」 시에서 퇴계는 주자의 가르침을 상기하여 성학을 실천하려는 생각에 자신의 굳은 의지를 표출하게 된다. 「示諸友」 시에 등장하는 臥雲庵과 觀善齋는 주자가 학문을 강론하던 공간인데, 퇴계는 이 두 공간을 제재로 삼아 주자의 가르침을 일깨우고 있다. 儒者의 공부는 생활 속의 실천적 삶으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시의 要諦이다. 「觀朱子大全書~」 시는 시공을 초월하여 항상 주자를 스승으로 받들고 싶은 퇴계의 간절한 심정을 표출하고 있다. 주자를 존모한 퇴계는 眞樂의 경지를 山水之樂에서 체득하였음을 시화하기도 한다. 「玩樂齋」 시는 주렴계에서 주자로 계승되는 道學의 연원을 궁구하여 그 이치를 깨닫는 즐거움이 바로 시공을 뛰어넘는 학문의 즐거움이요 진정한 기쁨임을 나타내고 있다. 「吟詩」에서는 시를 지으려는 사람일수록 배속의 속되고 지저분한 훈혈 같은 것을 깨끗이 씻어내야 함을 알 수 있는데, 속기를 제거해야 한다는 주자의 가르침을 일깨우고 있다. 「三月三日 用晦庵先生一字韻」 시는 山水에서 講學하며 지냈던 주자의 학문 정신을 되새기며, 산수에서 성학을 궁구하는 것이야말로 자신에게 진정한 樂을 가져다주는 가장 큰 動因임을 보여주고 있다. 퇴계시에는 고요히 은거하는 幽人의 마음이 표출되어 있으니, 이는 武夷山에서 隱者로 살았던 주자의 산수취향과도 심정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보인것이다. 군자의 介潔한 마음을 상징하기도 하는 매화는 주자와 퇴계 모두 자신의 시정신을 투사하는 매개체로 사랑받은 자연물이다. 주자와 퇴계는 산수자연 속에서 幽人으로 살아가면서 聖學을 講究하고 그 이치를 터득하였다는점에서 상통하고 있다. 「天光雲影臺」 시에 나타난 감탄의 어조는 幽人에게 다가오는 感興의 순간을 각인시킨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퇴계는 幽人의 삶이 제공하는 혜택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은 天理에 대한 깊은 사유와 깨달음임을 알 수 있다. 「次韻金舜擧學諭~」 시에 형상화된 학주자 정신은 幽人의 마음으로 우주만물에 대한 이치를 궁구하여 마침내 天理의 體用을 깨달았다는 데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It is important that Toegye`s mind is constantly learning and practicing. Toegye thought that hurried study was pointless, and thought steady study was successful. This view stems from the knowledge learned from Ju Ja, and he recognized Ju Ja`s scholarly spirit as invaluable value. Toegye revealed that he studied passionately and studied ju ja`s teachings. Toegye depicted the study of enlightenment and emphasize his efforts. He liked to live in a quiet place and liked the space of mountains and rivers. Toegye realized his epiphany while reading, and expressed his enlightenment. Poetry is the very man. Poetry acts as a discipline to control minds and purify minds. The Poetry of Toegye include a sense of enlightenment, a sense of stability, a sense of loyalty, respect for Ju Ja, and a fondness for reading. Also, The Poetry of Toegye provide the right feeling, provide deep reflection, and are the potential strength of the mind.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 KCI등재

        제31회(第31回) 퇴계학국제학술대회(退溪學國際學術大會) 발표논문(發表論文) : <천운대(天雲臺)>에 표현한 궁리진성(窮理盡性)의 즐거움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3 퇴계학논총 Vol.22 No.-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 선생은 「도산잡영병기(陶山雜詠竝記)」에서 스스로 산책했던 공간의 산수(山水)가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아서 이것을 기록하여 시(詩)를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래서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린 작품들에서 자연이 퇴계에게 주었던 즐거움의 본질을 밝힐 필요가 있다. 퇴계는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기 전에 그 공간에 있는 고요한 샘을 보면서 몽괘(蒙卦)를 완상하였다.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려 있는 <몽천(蒙泉)>이라는 작품에서는 몽괘의 상(象)을 따르고, 시중(時中)을 감히 잊지 말고 더욱 더 과행육덕(果行育德)을 생각한다고 표현하였다. 그리고 <천연대(天淵臺)>에서는 하루 종일 거기에 앉아서 명상한 후에 마음의 눈이 열려 명성(明誠)을 외운다고 표현하였다. <천연대>의 소재인 천연대가 퇴계의 마음에 스스로 즐거움을 준 것은 궁리진성(窮理盡性)하여 천명(天命)에 도달하기 위해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사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이해한다. 이러한 내용을 볼 때에 퇴계에게 자연은 일차적으로 사색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차적으로 마음의 이치를 깨닫는 방편이 되었고, 삼차적으로 마음을 깨닫는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창작의 동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학자로서 교육자이며 문학가이었던 퇴계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 믿는다. 이 연구는 <천운대>에서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가 퇴계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Toegye Lee Hwang(退溪李滉, 1501~1570) stated that what made him write poems was a great pleasure that he felt when he strolled along the nature around him.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ce of his pleasure that he felt from the nature by analyzing Toegye`s poetry, Dosanjapyoung(.陶山雜詠.). Toegye appreciated Mongwae(蒙卦), gazing at a calm spring water on which Dosanseodang(陶山書堂) was built later. In Mongcheon(<蒙泉>), one of the works in Dosanjapyoung, he wrote that he followed patterns of Mongwae, thought of practicing virtue in a decisive manner(果行育德). Also, in Cheonyeondae(<天淵臺>), he stated that he recited Myeongseong(明誠) after having meditation all day long and opening his mind`s eye. Toegye was able to take a heartfelt pleasure itself by deliberating principles and fulfilling nature(窮理 盡性), and contemplating reaching Man-Heaven Unity. In this regard, for Toegye, nature was an object of meditation. He realized the laws of nature through meditation, and then,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practice the laws of nature in his poems. This perspective will be of use to explain the world of Toegye`s works. In sum, by analyzing Cheonundae(<天雲臺>),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 heartfelt pleasure that Cheongwangunyoungdae(天光雲影臺) offered to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