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8운동 이후 대안적 시민성의 철학적 성립기반으로서 보편적 권리화

        장혁준 이주사학회 2019 Homo Migrans Vol.2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making universal rights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alternative Citizenship since the Protests of 1968. The value of the Protests of 1968 was that it extended the scope of human beings to minority groups and sparked debate on alternative ways of life through social phenomenon of diversity and practical ways of solidarity. However, the so-called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concept, which discusses 'solidarity' at the level of collective rights is quite contradictory in that it imposes the obligation of solidarity on individuals and reverses human free wi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discussing citizenship in the realistic constraint called ‘Alienalization by spiritual migrations’ can be found in the concept of 'freedom'. 'Freedom' with personal attributes has the potential to create universality and publicity through the reciprocity of rights. This is because the collective attribute of pursuing universal freedom is inherent in the subjective right of individual freedom. Therefore, making universal rights as the essence of freedom is the manifestation of free will inherent in human nature.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ction plan as the foundation of philosophical formation of alternative citizenship. 본 연구는 68운동 이후 대안적 시민성의 철학적 성립기반으로서 보편적 권리화의 의의에 대해 논의한다. 68운동의 가치는 소수자집단 사람들에까지 인간의 범위를 확장하여 다양성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연대성이라는 실천적 방식을 통해 대안적 삶의 방식에 대한 정당성 논의를 촉발하였다는 데 있다. 그러나 이 운동 이후 다원적 관점을 수용하기 위해 ‘연대’를 집단적 권리 차원에서 논의하는 이른바 3세대 인권 개념은 개인에게 연대라는 의무를 부과하여 인간의 자유의지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모순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적 이주에 의한 이방인화’라는 현실적 제약조건 속에서 시민성을 논의하는 철학적 토대는 ‘자유’ 관념에서 발견할 수 있다. 개인 전유적 속성을 가진 ‘자유’는 권리의 상호성을 통해 보편성이 부여되고 공공성을 창출할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개인의 자유라는 주체적 권리에 이미 보편적 자유를 추구하는 집단적 속성이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유의 본질로서 보편적 권리화는 인간 본성에 내재한 자유의지의 발현이므로 대안적 시민성의 철학적 성립기반으로서 실천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탐구에서 가추적 사고의 의의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trace the position of inference as the inference skill and aims to find significance of abductive thinking in social inquiry. To construct an hypothesis in social studies inquiry instruction is what will make or break the inquiry. In this process of constructing an hypothesis, the abductive thinking plays a key role in the way that it helps the student to construct a creative and ampliative hypothesis. Although the abductive thinking is very importa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concrete arguments about abductive thinking, especially in social studies or social inquiry. At this, this writer pursues the position of inference in inquiry to determine significance of abductive thinking. Also I look deep into the significance of inference as a logic of inquiry through a study of inference as a thinking skill thinking and types of inference as well. This trace meaning and nature of the abduction as an explanatory hypothesis. As the result, this study find that the abductive thinking is the main factor as an explanatory hypothesis to construct an hypothesis in social inquiry. This can get a foothold to construct an hypothesis and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inquiry by leading the authentic inquiry process. 본 논문의 목적은 탐구에서 추론의 위치를 추론 기능을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사회탐구에서 가추적 사고의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사회과 탐구수업에서 학습자에게 가설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탐구의 성패를 좌우하는데, 이러한 가설 구성 과정에 있어서 가추적 사고는 보다 창조적이고 확장적인 설명적 가설을 구성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핵심적 사고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추적 사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가추적 사고에 관한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회과 혹은 사회탐구에서 더욱 등한시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사회탐구에서 가추적 사고의 의의를 밝히기 위해 먼저 탐구에서 추론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고기능으서 추론과 추론의 유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탐구논리로서 추론의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적 가설로서 가추의 의미와 성격을 밝혀 보았다. 필자가 밝혀본 바, 사회탐구에서 창조적이고 확장적인 가설 구성을 하는데 가추적 사고는 설명적 가설로서 작용한다. 이는 가설 구성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실제적인 탐구과정을 이끌어 성공적인 탐구를 수행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3

        현대사회는 개체의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심각한 가치 갈등을 겪고 있다. 다양성 속에 갈등이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면, 합리적인 가치판단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금까지 가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가치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가치판단의 정당화 방안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으며,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을 구체화하였다. 가치판단은 평가대상에 대한 가치의 척도를 규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평가적 추론은 합리적 근거에 따라 판단하는 인지적 가치교육인 가치탐구에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가치탐구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의의는 사실적 근거와 가치 원리에 기초한 합리성의 추구를 통해 가치판단의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데 있다. 이에 논쟁문제학습의 특징을 논쟁문제의 구체화, 가치의 계열화, 이성적 합의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분하여 현대적인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serious value conflicts as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expands. If conflict is a necessary and universal phenomenon in diversity, it is most important to have reasonable ability to judge value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model to justify value judgment. First, the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erms of paradigm shifts in value education. Next, I discussed theoretically the justification method of value judgment and embodied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justification model of value judgment. Value judgment is about defining value scales for the object of evaluation. Such evaluative reasoning can be found in cognitive value education based on rational evidence, a way of which is value inquiry.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value inquiry is to secure the justification of value judgment in our pursuit of rationality based on factual basis and value principle. Accordingly, a process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an be seperated as a clarification of controversial problems, a sequencing of values, and a creating rational consensus, and can be proposed as a method of value education in modern society.

      • 비법정시설의 설치 ·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장혁준,고은정,이은진,장기태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6 No.-

        첨단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를 접목한 다양한 교통안전 보조시설(일명 ‘비법정시설’)의 상용 운영 사례 증가했다. 현재는 안전성과 통일성 확보를 위해 도로교통법 상 규정된 교통안전시설만 허용 중이다. 관련 시설물의 증가로 인해 통일성을 유지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 증가하여 비법정시설 운영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교통 산업 발전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 수립하였다. 방안 수립을 위해 국내 관련법규를 확인하여 비법정시설의 정의 및 필요성 정립했으며, 국내 비법정시설 설치 사례 검토했다. 또한,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심의 절차와 현황을 검토했다. 이를 통해 비법정시설의 수요 및 개발 증가로 인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비법정시설의 설치 및 운영 가이드라인 활용 방안 제시하여 국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인류의 이방인화에 따른 대안적 시민성의 논리적 근거 모색: 21세기 국제이주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migration patterns of the 21st century to clarify the contemporary and social challenges of today's social studies in charge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find out directions for alternative citizenship through this process. As the new social changes enable everyday access to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eans, the scale of migrants and refugees is increasing, and their forms appear to be mixed migration, and migration issues are intertwined with racial, religiou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the meantime, immigrants have been thoroughly treated as aliens because they did not share the culture of the social group, and furthermore ‘Alienalization of Humankind’ is expanding in transnational reality that carry out spiritual migra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ultural acculturation, in other words intercultural and transcultural perspectives that involve interaction and interpenetration. Today’s culture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s rather than being already constituted within society, and has attributes of cultural equality and fluidity. This is based on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the smallest cultural unit, and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cultural construction. With this in mind, new citizens can seek alternative ways at the individual level, which is not a fixed and collective culture centered on territory, but an entity that creates a liquid culture based on cultural diversity and equality among cultures. This viewpoint can provide logical grounds for transforming the top-down citizenship that embraces the culture of a specific group into a bottom-up citizenship that individuals actively form their own cultures.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국제이주 양상을 분석하여 오늘날 시민성교육울 담당하는 사회과가 해결해야 할 시대적․사회적 과제를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해 대안적 시민성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새로운 사회변동으로 교통과 통신 수단에 대한 일상적 접근이 가능해 지면서, 이주민과 난민의 규모는 폭증하고 그 형태는 혼합 이주의 양상을 보이며, 이주 문제는 인종․종교․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서로 얽혀있다. 그동안 이주자들은 사회 집단의 문화를 공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철저히 이방인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나아가 정신적 이주를 감행하는 탈국경적 현실 속에서 전면적인 ‘인류의 이방인화’는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접변 개념의 확장, 즉 상호작용과 상호침투를 내포하는 상호문화와 초문화적 관점이 적극 도입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문화라는 것은 사회 내에 이미 구성되어 있다기보다 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등가성과 유동성이라는 속성은 가진다. 이는 가장 작은 문화 단위인 개인의 주체성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연구자는 개인의 문화적 구성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다면, 새로운 시민성은 영토 중심의 고정적․집단적 문화에서 벗어나,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 간의 등가성을 토대로 유동적인 문화를 창조하는 주체인 개인 차원에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특정 집단의 문화를 수용하는 하향식 시민성을 개인 스스로 여러 문화를 접하면서 적극적으로 문화를 구성하는 상향식 시민성으로 전환하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래그머티즘 인식론을 통한 시민성 개념화의 가능성과 한계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3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citizenship through pragmatism epistemology. Pragmatism epistemology, the mainstream and dominant notion of American society, has an ameliorative dynamic that embraces social phenomena because of its living philosophical nature. Through the ideological flow of major pragmatists,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the truth through inquiry methods as a whole. Furthermore, the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fallibility of the truth and consensus about it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of pragmatism as scientific, democratic, and pluralistic, it is judged that pragmatism epistemology shows a significant matching possibility with citizenship. However,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not a causal relationship but rather an elective affinity that acts as a synergistic fact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le pragmatism has a clear significance as a basis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citizenship, in that it reveals the overall social consciousness of American society, it also neglects the social contexts.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inherent limits of an ideological deterministic approach. 본 논문의 목적은 프래그머티즘 인식론을 통한 시민성 개념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는 데 있다. 미국사회의 주류적․지배적 관념인 프래그머티즘 인식론은 그 생활철학적 성격으로 인하여, 여러 사회현상을 담아내는 개량적 역동성을 지닌다. 주요 프래그머티스트들의 사상적 흐름을 통해, 이들이 전반적으로 탐구적 방법을 통한 진리의 확장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나아가 진리의 오류가능성과 이에 대한 합의가능성을 고려하여, 탐구에 공동체성과 연대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주의․민주주의․다원주의로 프래그머티즘의 유형을 범주화한 결과, 프래그머티즘 인식론은 시민성에 상당 부분 정합가능성을 보인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 둘의 관계는 인과관계라기보다 상황에 따라 서로에게 상승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선택적 친화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프래그머티즘 인식론은 미국사회의 전반적 사회의식을 잘 드러낸다는 점에서, 시민성 개념화의 토대로서 분명한 의의가 있지만, 동시에 인간이 처한 사회적 맥락을 등한시하는 관념결정론적 접근의 본질적 한계를 보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