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김정수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0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chool adjustment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meaning in life;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For this purpose, 532 adolescent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ree questionnaires; Stress Perceived by Adolescents Scale, Meaning in Life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stress, school adjustment, the presence of meaning and the search for meaning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trollabl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trollable stres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Second,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esence of meaning between controllabl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hows that the presence of meaning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the controllabl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meaning in that particular search was made for a variable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of controllabl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s of development about intervention programs of enhancing meaning in life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중년기 삶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우울의 매개효과

        최꽃닢,정봉교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personal meaning, spiritual meaning, and depression between life of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iddle aged. Personal meaning, spiritual meaning, stress, depression and life of satisfaction were measured from middle aged 332 peopl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structu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and spiritual meaning in the middle aged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tress and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 complete mediation model mediated through personal, spiritual meaning,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Direct effects of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were not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s personal, spiritual mean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Therefore, personal meaning and spiritual meaning help to find cope with positive aspect in stress situation and positive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Depression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tres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ersonal meaning and spiritual meaning for the individual suffering from depression due to stress. 본 연구는 중년기 삶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중년층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우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자료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및 변인들 간의 상관,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년층의 개인적 의미 및 영적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스트레스와 우울은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우울이 매개하는 완전매개모형이 확인되었다. 스트레스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우울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개인적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영적 의미와 우울의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따라서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 대처, 극복하도록 도움을 주며,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울은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 변인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토대로 스트레스로 우울을 겪고 있는 개인에게 개인적 의미나 영적 의미를 고취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하,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meaning in life has a mediating effect or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stress. 30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scales, an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aning in lif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negative life event stress and suicide id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daily hassles stress and suicide ideation,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meaning and spiritual meaning were tested respectively, and both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aise impaired meaning in life, especially spiritual meaning, may be suitable to individuals who face major negative life event stress, and preventive intervention to enhance meaning in life may be suitable to individuals experiencing minor daily hassles stress. 본 연구는 자살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밝혀진 스트레스를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로 구분하고 각각이 자살사고에 이르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가 각기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삶의 의미는 Mascaro와 Rosen(2006)의 제안에 따라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생활경험조사 질문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인생관점지표-체계, 영적 의미 척도, 그리고 자살사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 모두 매개효과를 보였다. 한편,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는 영적 의미만 유의미하였다.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는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 모두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개인에게는 영적 의미를 높여줄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개인에게는 삶의 의미를 고취시켜줄 수 있는 예방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적 및 영적 의미의 조절 효과

        이미선,오경자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가 조절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삶의 의미는 Mascaro와 Rosen(2006)의 제안에 따라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의 두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여, 두 변인이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10명(남자 87명, 여자 132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및 우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두 유형 중, 영적 의미만이 조절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영적 의미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낮은 집단보다 우울에 이르는 정도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s stress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meaning in life was classified into personal meaning and spiritual meaning as Mascaro and Rosen (2006) suggested. A total of 21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by completing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Life Regard Index-Framework, Spiritual Meaning Scale, and Depress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spiritual meaning, but not personal mean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s stress and depression. That is,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differs with the level of spiritual meaning. High level of spiritual meaning in life can buffer against the effect of life events stress on de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존감,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고태순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4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bu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Second,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Breaking analysis down to sub-factors fo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major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resence of meaning and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 by self-esteem and stress; academic adjustment by self-esteem, stress, and presence of mean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verall was affected by self-esteem, stress, and presence of meaning.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lower students’ stress levels and enhance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in order to encourage bette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존감, 삶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442부의 질문지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자존감 및 삶의 의미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자존감 및 삶의 의미는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의미발견과 스트레스,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과 스트레스,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과 의미발견, 스트레스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존감, 의미발견,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자존감 및 삶의 의미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트레스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성의 조절효과

        백지영,서수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ife stress, meaning in life, and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Meaning in life was measured by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Life stress, the Meaning in life, and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mplemented in 247 university student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life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jectiv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t interaction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between life stress and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presence of meaning, but not search for mean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t interaction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between presence of meaning and well-be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arch for meaning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in lif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levels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High presence-high Search’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lowest Subjective Wellbeing group was ‘low presence-high search’, and the lowest Psychological Wellbeing group was ‘low presence-low search’.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 were also discussed.

      •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상화(Han Sang Wha),홍혜영(Hong Hye 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3 통합치료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지각과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두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매개하는지를 확인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척도, 삶의 의미척도, 스트레스 지각척도를 실시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1986)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는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의미를 하위요인인 의미발견과 의미추구로 나누어 각각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모두 매개하는 설명력이 70%로 나타나 부분 매개함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 특히 의미추구보다 의미발견이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지각과의 관계에서 좀 더 분명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개인이 스스로 적극적으로 삶을 개진하고자하는 가치적 측면으로서의 삶의 의미가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를 밝히려고 시도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perceived stress, and if ‘searching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which are two subfactors of meaning of life, mediate the effect. For this study, a total of 258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rea were recruited and examined. Ego-Resilience Scale measurement, Purpose in Life test, Perceived Stress Scale measurement were done,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1986) framework for mediation analysis. Findings in this study showed that meaning of life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perceived stress. Furthermore, after dividing meaning of life into searching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both of the subfactors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with 0.70 R-squared value, and the mediation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vely, presence of meaning more strongly mediat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perceived stress than searching for meaning. This study will be a significant endeavor in discovering mediation effect of meaning of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erceived stress. Limitations of the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 KCI등재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이재영,전영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logotherapy on the daily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ense of the meaning of life. Senior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C city received a daily stress level test and the meaning of life test, whose daily stress scores above the average and their scores of meaning of life below the average were selected. Among them 16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8 and a control group of 8. and they receiv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which ran 9 sessions, once a week, each session 90 minutes long. The instruments including an adolescent stress scale and the meaning of life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Mann-Whitney U test to check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logotherapy did not yiel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daily stress. However, the PITR results showed a partial reduction in the stress.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logotherap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life, prov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improving the participants' sense of the meaning of life. Third, as the therapy program progressed, the participants were seen identifying and dealing with their stress positively, became purpose-oriented realizing the preciousness of people and their lives, and made voluntary efforts to make changes, all of which were indications of an improvement in their sense of the meaning of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logotherapy was partially effective in reducing the stress and in improving the meaning of life. 본 연구는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시의 K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 점수가 평균 이상이고 삶의 의미점수가 평균 이하인 대상을 선정하였다. 그 중 16명을 각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1회, 매회기 90분씩 총 9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일상 스트레스 척도, 삶의 의미 척도,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Mann-Whitney U Test로 집단 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Wilcoxon Sin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중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에서는 스트레스 감소의 효과를 보였다. 둘째, 삶의 의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삶의 의미 양상은 치료과정을 통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즉, 자신이 겪는 스트레스를 자각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해나가려는 변화를 보였고 사람과 삶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고 목적의식이 분명해졌으며 스스로 변화하고자 노력하는 등의 변화를 보여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삶의 의미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황은비,김향숙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2

        Stress experienced from military life are known to be a culture-specific factor of depression for Korean males in late adolesce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military life and depress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meaning in lif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military life stress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90 naval soldiers i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of al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catastrophizing and rumin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ggravated stress-induced depression. Second, moder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was also observed. Especially, presence of meaning reduced negative influence of stress on depress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mpl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meaning in life can be importantly considered to counsel soldiers with depression. Finally,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군 생활 스트레스는 후기 청소년기 한국 남성의 우울을 설명하는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군 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병사들이 모두 우울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라는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의 해군 병사 290명을 대상으로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 및 삶의 의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첫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특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반추와 파국화가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을 보다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특히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 중 의미 발견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인 병사에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방의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을 경감시키는 데 치료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직무 의미감, Big 5 성격유형, 직무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백유성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aningfulness of work, personality(Big 5 character-types) and job stress. To conduct such examination, the author (i) designated meaningfulness of work, personality(Big 5 character-types) and job stress as variables and (ii)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conducting preceding studies on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author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the residents in Kyoungsangbuk-do, 332 copies of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specially, (1)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2)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a negative effect on neuroticism. (3)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no effect on openness to experience. (4) the neuroticism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5) the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6)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no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whic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fulness of work and Big 5 character-types. Second, Big 5 character-types(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had statistically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is study have limitation in that was conducted based on cross-sectional design of research. Because, the mechanism of job stress is a dynamic process. 본 연구는 경북 북부지역 거주 직장인 332명을 대상으로 직무 의미감, Big 5 성격유형,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의미감은 Big 5 성격유형의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요인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가 의미감이 커질수록 개인이 지닌 성격특성 중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등이 강화된다고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 의미감은 신경증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직무 의미감이 커지면 직무수행으로 인한 긴장, 화냄, 낙담 등이 줄어들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직무 의미감은 성격특성 중 개방성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Big 5 성격유형 중 신경증 요인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신경증 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스트레스에 취약하다고 풀이할 수 있다. 다섯째, Big 5 성격유형 중 개방성 요인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개방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동일한 자극에도 개방성향이 낮은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