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공공성 프레임의 역사적 유형

        조대엽(Cho, Dae Yop),홍성태(Hong, Sung Ta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亞細亞硏究 Vol.56 No.2

        The prime task of advancing the research on publicness is to approach it from middle-range theory. Middle-range theory of publicness enables researchers to study publicness with tangible concepts and measurement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aims develop indicators of publicness and examine how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publicness changes over tim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bove all, we classify publicness into three parts: the public citizenship in the political dimension, the public interest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the public openness in the communication dimension. Then, we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has been shaped by the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We use concept of ‘historical frame of publicness’ to describe how the publicness has been constructed and changed in modern Korean history. In Korean modern history, the historical frames of publicness has been constructed from ‘absolute publicness’, ‘national publicness’, and to ‘life publicness.’

      • KCI등재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성 인식유형 연구:Q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서호,김다솜,홍성우,배수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4 行政論叢 Vol.62 No.1

        This paper goes further than the previously discussed publicness discourse and seek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based on an individual’s subjective perception. Specifically, we aim to derive public interest implications for our society by targeting employees in public enterprises who can expect more public value than any other occupational groups, and typifying their perceived publicnes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Q methodology, which can quantitatively understand an individual’s subjectivity.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erception of publicness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hree types. Type 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procedural fairness’, Type I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deliberation’, and Type II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utilitarianism’. Respectively, each type of publicness emphasizes the process aspect, the reflection and deliberation aspect, and the public interest aspect in recognizing publicness. This typification exhibits different content properties from the discourse of publicness according to conceptual implications, thus allowing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orientation value of publicness that reflects an individual’s subjectivity and providing useful soci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ublic policy.

      • KCI등재

        ‘토라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아모스 선지자의 공공담론: 아모스 2장 6-7절의 재해석

        한규승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 discourses (prophetic ministrie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 Amos and to prove that his publicness was rooted in the publicness of the Torah, that is, the Covenant Code (Exod 20-23) and the Deuteronomic Code (Deut 12-26). For this, I traced the modern concept of publicness and then analyzed the public discourses of Amos on the basis of it. I analyzed the publicnes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with a focus on the three elements (populus, salus publica, Publizität), which constitute publicness on the basis of the publicness ideas of the two scholars—Rudolf Smend and Cho Han Sang. These three elements of publicness are found in the oracles of the four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For them populus was the free peasants of Israel in the land of inheritance, salus publica means the enjoyment of rest there, and Publizität refers to the publicly delivered oracles in the public places such as the city-gate square, the sanctuary, and the palaces. The prophets of Israel, especially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incessantly ran the risk of being endangered to suffer persecu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Torah-based publicness’ of the Yahwistic faith. The publicness of the Israelite prophets was embodied in the Torah-based publicness and it strikes root in the ‘theology of the land.’ This study touched the ‘theology of the land’ in the laws of the Torah, which is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e land for the ancient Israel meant more than an arable soil for securing food and connoted all the economic activities done on and for it. Thus the Torah-based publicness is the economic publicness that seeks to protect the God-given rights and life of the free peasants so that they may not be victimized for lack of economic injustice. The Torah-based publicness penetrates the public discourses of the prophets of Israel, specifically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Therefore, In order to interpret the public discourses of the 8th century B.C. Israelite prophets properly, a socio-scientific exegesis based on the ‘Torah-based publicness’ is needed. As such an example, I tried to do an intertextual exegesis on Amos 2:6-7 socio-scientifically on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us, in Amos 2:6 the preposition ‘ב’ is interpreted as “by means of” and thus the phrase ‘rWb[]B’ as “any practical action”(e;rgoj). Besides, though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that Amos 2:7c generally means sexual depravation in a family, I understood it to mean that a family faced the loss of hypothec economically, which was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free peasants of the time. In this way I tried to make it clear t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mos 2:6-7 was a public discourse of the prophet Amos which criticize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he 8th century B.C. Israel on the basis of the Torah-based publicness. Through this study, by illuminating the publicness of the Old Testament, which has been remarkably formed in the long historical proces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Torah, the activities of the prophets, and so forth, we come to notice that the Old Testament is the genuine text for the publicness of the church and Christian theology . 본 논문의 목적은 주전 8세기 이스라엘 예언자 아모스의 공공담론(예언 활동)을 탐구하여 이러한 공공성이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것임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적 공공성의 개념을 먼저 정립하고 이를 기초로 아모스 예언자의 공공담론을 분석하였다. 독일의 헌법학자 루돌프 스멘트와 법학자 조한상 등의 공공성 이론에 착안하여 공공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즉 인민, 공공복리, 공개성이라는 요소에 비추어 볼 때 주전 8세기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에게 인민은 약속의 땅에서 생존경제로 살아가던 자유농민들이며 공공복리는 약속의 땅에서 누리는 안식이며, 공개성은 예언자들의 공론의 장이 되었던 성문 앞 광장을 비롯한 궁중, 성소 중심의 예언 행위가 될 것이다. 이스라엘의 예언자들 특히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은 야웨 종교의 ‘토라적 공공성’을 지켜내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난을 자처한 인물들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공공성은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하며 ‘토라적 공공성’은 ‘땅신학’에 기초한다. 본 논문에서는 토라적 공공성의 알짬이 되는 토라 내 법전들의 ‘땅신학’을 고찰하였다. 땅은 단순히 토지를 넘어서는 것이며 토지 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을 환유한다. 따라서 토라적 공공성은 자유농민의 천부적 권리와 삶을 지켜내는 경제적 공공성이다. 이러한 토라적 공공성이 이스라엘 선지자들 특히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공공담론을 관통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주전 8세기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공공담론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사회과학적 주석이 필요하다. 그러한 예로서, 아모스 2장 6-7절에 대한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한 사회과학적 주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아모스 2장 6절의 베트(ב)를 “~을 수단삼아”로 해석하고 ‘바아부르’(rWb[]B;)를 “어떤 구체적인 행동”(e;rgoj)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2장 7c절을 전통적으로 성적 타락으로 해석하는 것과 달리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저당권 상실’ 상태에 처한 당시의 자유농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본문으로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이 본문이 전통적인 해석과 달리 ‘토라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비판하는 예언자 아모스의 공공담론이었다는 것을 더 분명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토라의 형성과 예언자들의 활동 등 오랜 역사적 과정에서 형성된 구약성경의 현저한 공공성을 조명하면서 구약성경이야말로 교회와 기독교 신학의 공공성의 진정한 텍스트임을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Healthcare: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Newspapers

        민혜숙,박유경,김창엽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3

        The traditional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has been blurred, and questions raised regarding how publicness could be conceptualized. The empirical study on the concept of publicness can reveal greatly diversified views on publicness, and help to reduce confusion over publicness. For the content analysis, 750 news articles of 8 national Korean newspapers were retrieved from the 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The articles were coded by the inductive category for the topic of the paragraph, the concept related to publicness, and the overall tone toward publicness. Publicness was addressed in a number of different issues, and diverse and specific statuses or ac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The most frequent concept was “government,” which represented the main agent of healthcare provision and the owner of institutions for “the vulnerable.” Issues of industrialization of healthcare/healthcare industry and reform of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mentioned publicness in a normative sense, which laid stress on “not-for-profit” service and the right of “universal access” to service for publicness. Articles of health/disease information or global health regarded “the population/public” as the main targets or beneficiaries of healthcare services. Occasionally, publicness was not related to specific concepts, being used unclearly or as a routine. The fulfillment of the specific actions or status may lead to the enhancement of publicness. However, publicness itself could not be reduced to the specific concepts suggested. The use of publicness in healthcare delivered only its normative sense without substantive meaning.

      • KCI등재후보

        공공성 유형화와 유형 간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및 조직효과성의 차이 분석 - 공적성, 공동체성,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

        김대건 충북연구원 2019 지역정책연구 Vol.30 No.1

        This study is attempted to make re-conceptulizaton and typology of ‘GongGongSung’ in Korean language that is ‘Pubic’ or ‘Publicness’ commonly used in English, and then to do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prove the usefulness of them. The debate in this study is to raise the problem that ‘Public or Publicness’do not fully reflect the meaning of GongGongSung, and then to propose the concept of ‘Publicness-Communityness’ for GongGongSung’that is reasonable to re-conceptualize ‘Publicness’ as the former ‘Gong’ and ‘Communityness’ as the latter ‘Gong’ of GongGongSung. Ba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this study is to classify ‘Publicness-Communityness(GongGongSung)’ into four types, and then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ooperation with local stakeholders, job achie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rnal job motivation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Publicness-Communityness(GongGongSung)’. To do analysis,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and verified. In results,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The more members who are highly aware of the ‘Publicness-Communityness(GongGongSung)’, the higher the cooperation with the local stakeholder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work accomplishment, and the job motivation. On the contrary, the members who perceive the ‘Publicness-Communityness (GongGongSung)’ as low have less cooperation with local stakehold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accomplishment, and job motiv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typology of ‘Publicness-Communityness(GongGongSung)’is useful for future studies to discuss about the ‘GongGongSung’ in Korean language through re-conceptualization of ‘Public or Publicness’ in English. Keywords_ Publicness-Communityness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공공성 개념을 재개념화하고 공공성을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재개념화된 공공성과 유형화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공성은 영어의 ‘Public’과 ‘Publicness’를 번역한 것인데, 이 언어들은 우리의 언어인 공공성 개념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논의의 출발점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공공성을 재개념화하여 공공가치와 공공성을 각 각 Public-Common Value와 Publicness-Communityness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재개념화된 공공성을 공적성과 공동체성으로 구분한 뒤 4개로 유형화하였다. 공공성 유형화별로 지역이해관계자와의 협력, 업무성취, 조직몰입,내재적 직무동기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공공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구성원일수록 지역의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조직몰입, 업무성취, 직무동기도 높았다. 정반대로 공공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는 구성원일수록 지역의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조직몰입, 업무성취, 직무동기도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공공성 재개념화와 유형화는 향후 공공성 연구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공공성을 우리의 언어에 기초하여 더 심도있는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공성은 위험수준을 낮추는가?

        구혜란(Koo, Hea Ra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한국사회정책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사회 위기의 근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공공성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재구성한 후, 공공성과 위험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공성을 공익성, 공정성, 공민성, 공개성 등 4개의 요소들의 총합으로 조작화하고 각 요소들과 관련된 지표들을 선별하여 OECD 국가들의 공공성 수준과 성격을 비교하였다. 또한 이를 위험관련 거시지표들과 연결하여 분석해봄으로써 공공성과 위험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공공성이 가장 높은 국가들은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국가들이며, 한국, 일본, 헝가리 등은 공공성이 매우 낮다. 2) OECD 국가들의 공공성은 참여적 공화주의, 배제적 공화주의, 포용적 자유주의, 배제적 자유주의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한국은 배제적 자유주의 공공성의 성격을 가진 국가로 분류되었다. 3) 참여적 공화주의 공공성의 성격을 가진 국가들의 위험수준이 가장 낮고 위험관리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배제적 자유주의 공공성의 성격을 가진 국가들의 위험수준이 가장 높고 위험관리역량이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한국사회의 공공성 성격을 특정 집단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참여기반을 공고히 하는 포용적이고 참여적인 공공성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국사회의 위험수준을 낮추고 사회 전반의 위험관리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와 투명성을 바탕으로 공공성의 수준을 높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publicness in OECD countries an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ness and risks. In order to do it, I construct a composite index of publicness consisting of four sub-dimensions; public values, social justice, democratic civicness, and public openness and compare the level of publicness across OECD countries. In addition, I identify four different types of publicness in OECD countri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ness types and public and private risk management capabil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publicness is the highest in the north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Norway, Sweden, and Finland, and the lowest in Korea, Japan, and Hungary. 2) there are four types of publicness found: participatory republican, government-centered republican, inclusive liberal, and exclusive liberal. Korea shar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exclusive liberal publicness. 3) countries representing the participatory republican publicness type show better capability to responding to a broad range of risks, while countries representing the exclusive liberal publicness type show poor capability.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publicness to become more participatory and more inclusive in Korea, in order to reduce risks. Trust and transparency may provide a firm basis for realizing publicness.

      • KCI등재

        순자 사상에서 공공성 탐색 연구

        정회원,김창진,배수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1 行政論叢 Vol.59 No.3

        본 연구는 공공성의 중요성이 대두된 우리 사회에 있어 유가 사상 중 순자 사상을 중심으로 공공성에 대한 모습을 탐색하고, 도출된 시사점을 통해 우리 사회의 공공성 논의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순자(荀子) 전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공공성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콘커(CONCOR) 분석을 활용하여 순자 사상에서 나타나는 공공성의 모습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순자 사상의 공공성은 정치적, 민본주의적, 명분론적, 관료자질, 사회윤리적(이론), 사회윤리적(실제), 관리적 공공성 등으로 도출되었다. 아울러, 추가 분석을 통해 정치적 공공성은 신념적 공공성과 권력적 공공성으로; 민본주의적 공공성은 대내적 사안과 대외적 사안으로; 명분론적 공공성은 제도적 명분과 절의적 명분으로; 사회윤리적 공공성(이론)은 규범적 공공성과 교육적 공공성으로; 관리적 공공성은 관료행태, 공직윤리, 인사관리, 계층성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순자 사상의 공공성 유형화 개념에 대한 이론적 함의 및 시사점과 함께, 관료제를 중심으로 공공성 유형에 대한 현대적 의의와 적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ness from the perspective of Xunzi’s philosophy and help understand current issues related to publicness in Korean society where a crisis and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has recently emerged. The study also tried to broaden and expand current discourses about publicness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It conducted a text network analysis on the entire texts of Xunzi and tried to examine the concepts and types of publicness. In addition, along with a CONCOR analysis, types of publicness was classified by using the word clusters appearing in the texts of Xunzi . Acco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ublicness in Xunzi's philosophy appears in the following eight types of publicness: (1) political, (2) democratic, (3) rationalistic, (4) bureaucratic, (5) social-ethical (theoretical), (7) social-ethical (actual), and (8) managerial. Most of all, publicness in Xunzi’s philosophy suggests a combination and harmony between individualistic moralism on one hand and legalism and institutionalism on the other hand, which can be employ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phenomena of publicness and find appropriate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publicnes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

        김재광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3 No.3

        In these days, cultural publicness and public diversity have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area of public law. The term of culture in the cultural state based on Constitutional Act of R.O.K takes diversity and publicness as essentials.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publicness in terms of various laws responding for formal, substantial and procedural cultural publicness. The core of formal cultural publicness are cultu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budget. The core of substantial cultural publicness are cultural participation, creation and education. The core of procedural cultural publicness are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formation provision. The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lso includes various laws such as laws about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e, and cultural city etc. The legal issues for cultural publicness and diversity was proposed below: First, in order to enhance both cultural publicness and cultural diversity, the effor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① cultural decentralization-strengthen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② realization of cultural publicness and diversity by distribution of legislative power were studied.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publicness, the legal issues like ① legal definition of cultural publicness, ② legal challenges against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③ operational challenges of the ‘day of culture’, ④ challenges on the copyright law to enhance cultural publicness were reviewed. Third, ① the general training to enhance the cultural diversity and manpower training, ②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cultural diversity, ③ promoting cultural city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④ relieving social conflicts through raising cultural diversity were proposed as the legal issue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오늘날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이 공법의 중요한 화두(話頭)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 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에 있어서 문화란 ‘자율성․개별성․고유성․다양성․개방성․창조성․공공성’을 그 본질적 속성으로 한다. 문화국가란 문화의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고, 국가의 적극적 과제로서 문화의 보호와 육성이 실현되는 국가를 말한다. 문화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국가가 반드시 존중하고 또 그 문화정책의 가치기준으로 삼아야 되는 양심의 자유(제19조), 종교의 자유(제20조), 학문과 예술의 자유(제22조) 등을 우리 헌법은 보장하고 있다. 문화국가원리는 국가의 문화정책과 불가분의 상호관계에 있다. 국가와 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국가는 문화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한편으로 또한 적극적으로 문화를 지원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기본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문화국가의 헌법적 과제로 대체로 ① 문화적 자율성의 보장, ② 문화의 보호․육성․진흥․전수, ③ 문화적 평등권의 보장을 들고 있다. 대부분의 현대국가는 문화현상의 자율성은 존중하면서도 문화국가를 위한 문화정책을 하나의 문화복지정책의 차원에서 파악하고, 모든 문화현상에 대해서 국민에게 균등한 참여기회를 보장해 주기 위해서 문화․교육단체의 조직과 활동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제와 간섭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문화국가의 본질상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국가개입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필연적으로 문화국가원리에 따른 국가개입의 원리적 한계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문화공공성을 형식적 문화공공성, 내용적 문화공공성, 과정적 문화공공성으로 유형화하여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법제들을 살펴보았다. 형식적 문화공공성은 문화행정조직과 문화행정예산을 핵심내용으로 하므로 문화행정조직제 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내용적 문화공공성은 문화 참여, 창작, 교육을 핵심내용으로 하므로 다양한 문화관련 법제들이 연구대상이 된다. 과정적 문화공공성은 문화 공론장의 형성의 전제조건으로서 참여, 정보의 공개 및 제공을 주요내용으로 하므로「행정절차법」, 「정보공개법」, 「공공데이타법」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한편 문화다양성도 「문화다양성법」, 다문화 관련 법제, 문화도시 관련 법제 등 다양한 법제들이 그 연구대상이 된다.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법적 과제로는 첫째,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서는 ① 문화분권 -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업 및 협력 강화, ② 입법권 분배를 통한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의 실질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로는 ①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존치 및 발전 방안, ② ‘문화가 있는 날’의 실질적 운영, ③ 민관협력을 통한 시민친화형 문화회관의 정립, ④ 문화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저작권제도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로 ①「문화다양성법」상 문화다양성 정의의 재검토 필요, ②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기반 조성 -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의 강화, ③ 문화도시 육성을 통한 문화다양성정책의 구체화, ④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문화다양성정책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지구화 시대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전지구적 공공성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의 함의

        김보람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4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idea of publicness discussed in the domestic dimension to the global dimension. In general, publicness is considered significantly as a public value that a society should pursue in order to ensure the public interes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e need to discuss publicness in a global society considering the public interest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tate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components(agency, interest, accessibility) of the publicness in the domestic and global society based on Benn & Gaus(1983)’s approach of publicness, and analyzes United Nations(UN) and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in terms of global publicness. In this study, ‘Global publicness’ means that the various agent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ake decisions and act to ensure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accessibility to the human right of all members in the global society. Also, this study shows some challenges of the SDGs to solve global problems and ensure the interest of global society through global cooperation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In order to cope with th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nsider multi-level interests in the global society and improve accessibility to activities, interaction, and information in the SDGs. The ‘Global Publicness’ approach can help the global society find ways to address glob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poverty, nuclear security and protectionism facing the world today. 일반적으로 공공성(publicness)은 하나의 사회 공동체로서 국가가 공공의 이익 실현을 위해 추구해야 하는 핵심 가치로 이해되고 있다. 전지구화(globalization) 시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공공의 이익 실현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전지구적 사회(global society)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enn & Gaus(1983)의 공공성 논의를 중심으로 공공성을 3가지 구성요소 -주체, 대상, 접근성-으로 나누어 국민국가와 전지구적 사회에서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 ‘전지구적 공공성(global publicness)’의 관점에서 유엔(UN)과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분석하였다. ‘전지구적 공공성’은 ‘국가를 포함한 전지구적 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사적 이해관계를 넘어 사회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기본권 영역의 내용적 접근성’과 이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절차적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지구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유엔과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의 측면에서 두 목표 모두 사회분야의 조직들이 전체 구성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개별조직으로는 환경분야의 조직이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이익대상의 측면에서 유엔의 경우 전지구적 공동체의 보편적 이익에 중점을 둔 반면, 한국의 경우는 국내 사회의 보편적 이익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접근성의 측면에서는 두 목표 모두 환경 관련 재화와 서비스 제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전지구적 문제해결과 이익실현에 있어 갖게 되는 현실적인 한계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사회, 특정국가 또는 특정집단, 전지구적 사회와 같이 다층적인 수준의 이익대상에 대한 체계적 균형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자원 접근성 중심의 현 체계에서 다양한 주체들의 활동 및 교류, 정보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통해 민주주의적 요소가 제도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는 점에 정책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브루클린 네이비 야드 산업단지의 공공성에 대한 연구 - 도시·건축적 대응을 중심으로 -

        윤준혁,이강준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4

        Semi-industrial zone is the area where manufacturing, residential, commercial zones are mixed. Despite of their potentials in that proximity to city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 lot of semi-industrial zones in Korea have converted to other uses due to many issues such as change of industry, increasing land price, real estate speculations. Recently,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solve their existing issues and develop them through a restoration of publicness. Now publicness is thought of as a key factor of regeneration in semi-industrial area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 of restoring publicness revealed in Brooklyn Navy Yard mainly focus on their urban contexts and architectural ways. Brooklyn Navy Yard, an exemplary case, is an industrial complex that has grown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through emphasizing publicness and it is evaluated as an advanced example of public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analysis of Navy Yard, this study was try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in the regeneration of semi-industrial area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eoul Government’s solutions, which are still in the conceptual stage. To analyze the publicness of the study subjects, framework and elements were derived by examining related theories and prior researches. Depending on this frame, the results of the publicness of the Navy Yard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ublicness as a public interest’ of the Navy Yard Development Corporation was identified in various ways of its operation methods and the usage of architecture space. Secondly, the ‘Publicness as an accessibility’ was identified in the opening of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s in Navy Yard. As a result, The publicness is analyzed to be related to five out of the eight factors of Navy Yard's success.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ublicness of the semi-industrial areas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ir success and prosperity. The publicness-restoring methods of Navy Yard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in semi-industrial areas in the future in Korea. However they are limited to be applied directly, so extensive and in-depth research in terms of their applicability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