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부진 프로그램, 수준별 이동수업 및 사교육이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남창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nge patterns in low-achieving adolescents' or LD at-risk adolescents' achievements (Korean and Ma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RLS) skill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se change patter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dataset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st scores of both Korean and Math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low-achieving,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hereas SRLS skills de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 Especially, low-achieving adolescents showed lower level of SRLS skills across the three year (from the middle school 1st grade to the high school 1st grad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1) between low-achieving and mid- or high-achieving adolescents, and 2) between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ith respect to their SRLS. Both SRLS and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the middle school 1st grade) and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In addition, controlling the initial status, neither private tutoring nor level-based cla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When private tutoring, level-based class, and low-achieving support had effects on SRLS,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저성취 혹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조절학습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의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저성취, 중성취, 고성취 집단에 관계없이 모두 국어 및 수학 과목의 성취수준이 중학교 기간 동안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에는 동료들에 비해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저성취와 중성취 학생 그리고 중성취와 고성취 학생 간에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년간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교육은 정적으로, 학습부진 프로그램은 오히려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치의 사교육 효과를 통제한 결과에 의하면, 사교육과 수준별 이동수업은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는 저성취 학생을 구별하는 데 양호한 수준의 도구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정애진 ( Aejin Jeong ),이길재 ( Kil Ja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3

        이 연구는 과학학습 부진을 겪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을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판(K-WISC-Ⅳ)을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과학학습 우수아집단 및 일반아 집단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과학학습 우수 집단의 FSIQ 는 통계적으로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언어이해 지표(VCI)에서는 과학학습 우수 집단과 일반 집단이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요인인 공통성(SI)에서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저조한 수행을 보였는데, 이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의 낮은 수준의 추상화 능력은 과학적 추론 능력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성 소검사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을 가려낼 수 있는 변별력 높은 소검사라고 판단되며, 낮은 수준의 언어 이해 능력, 추상화 능력 및 추론 능력은 과학학습 부진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작업기억 지표(WMI)에서 과학학습 우수 집단이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작업기억은 과학의 유추 문제의 해결 과정의 원활한 수행에 깊이 관여하여 과학 학업 성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ow science 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WISC-Ⅳ,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high science achieving and achieving students. The results showed us that high science achieving students scored higher than counterparts in FSIQ. Low science achieving students scored lower than high science achieving and achieving students in VCI. Especially low science achieving students scored lower than two groups in subtest SI. The low level of abstraction in low science achieving students is due to the lack of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Therefore subtest SI is considered as highly discriminating test for low science achieving group. Low levels in verbal comprehension, abstraction and reasoning ability are the major factors in poor school performance. High science achieving students scored more than achieving and low achieving students in WMI. Because the working memory is involved in scientific reasoning problem solving process, it is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cience achieved.

      • KCI등재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일대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박덕희(Park, Duck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일대일 학습공동체인, 학습꿈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프로그램의 연구 기간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이다. 연구 자료는 학업 저성취자 148명의 평균 평점과 참여 학생 166명 의 설문 결과이다. 또한 각 모둠이 제출한 146건의 교수 면담의 내용과 학업 저성취자들이 제출한 179건의 상담보고서가 포함된다. 연구 방법은 혼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평균 평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수 면담 관련 설문 조사를 분석하고 교수 면담 및 상담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효과 분석 결과, 첫째,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학업 저성취자의 학업성취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교수 면담을 통해 학업과 진로 및 정서적 지지 측 면에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저성취자는 상담을 통해 진로를 설계하고 학습전략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받고 심리적 안정을 얻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학습공동체가 고려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중도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one-to-one learning community, Hakseupkkumteo for students on low achievement. The study period of the program is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Study data are GPAs of 148 low achievers and survey results of 166 participants. Also it includes 146 cases of each group’s meeting with professors and 179 reports of the low achievers’ individual counseling. Study methods employed mixed-methods, the study compared the low achievers’ GPAs. Also it analyzed contents to groups’ meeting with professors on reports and to the low achievers’ individual counseling. Results showed the low achievers had increases in GPA(grade point average), and participants received help from meeting with professors in three aspects such as academic advising, career guidance, and psychology support. Similarly, the low achievers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got career planning, learning strategies, and psychology stability. Furthermore, the program will be considered as a way to support low achievers, and it will make contribution to increase a GPA and decrease dropout rates in consequence of giving positive aid to low achievers through expanding the program.

      • KCI등재

        지도 읽기에서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안구운동 차이

        김우리(金우리),신미경(愼美鏡),유용석(劉容碩)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지도를 활용한 위치 파악 능력과 위치 파악 시 안구운동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사회과 학습부진 학생 9명과 일반 학생 9명이었다. 두 집단 간 지도를 활용한 위치 파악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하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다양한 유형의 지도와 지도별로 위치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위치 파악 시 집단 간 안구운동에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안구운동 추적 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은 문항에 대해 구두로 답하였다. 분석 결과,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 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학생들은 대부분의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학습부진 학생들은 기준을 바꿔서 제시한 문항에서 오답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방위를 이용한 위치 파악 시 안구운동에서도 집단간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학생들에게 익숙한 지역이나 장소에서 총 고정시간과 고정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 학생들이 학습부진 학생들에 비해 고정시간이 짧고 고정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 장소를 찾기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답을 한 문항들에 대해서는 일반 학생들이 학습부진 학생들에 비해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visual search for map reading between low achievers in social studies and average achievers.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18 four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ine low achievers and nine average achievers. In order to compare the visual search capabilities for map reading between the two groups, tasks were designed to identify a target location based on instructions and the four cardinal points. During the tasks, the gaz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as recorded using an eye-tracking device, and the students’ answers were collected verb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isual search skills based on the for cardinal points. The average achievers scored on most of the questions, but low achievers scored low especially for questions involving reference locations. Next, eye-movement pattern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difference was most eminent in total fixation time and fixation frequency for familiar locations. The low achievers showed longer total fixation time and higher fixation frequency than the average achievers did. In addition, the time to first fixation showed that the low achievers identified the target location slower than the average achievers did.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고성취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유정,원성준,안효진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3

        Objectiv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students’ academic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We also examined if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exist between low- and high-achieving students. Method: Among 1,227 fifth-grade student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2012, 302 low-achieving students (bottom 24.6%) and 326 high-achieving students (top 26.6%) based on the T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 research purpose.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served as a pathway linking maternal attachment to students’ academic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 failure action were significant for low-achieving students. Conversely, the mediating effects of preferred task difficulty were significant in the high-achieving group. Results from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yielded one path from post failure action to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low-achieving group but not in the high-achieving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attachmen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results can be used to inform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low-achiev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저성취 학생의 성격강점 특성 및 유형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허유성(Heo, Yu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고성취 학생과 비교를 통해 저성취 학생의 성격강점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저성취 집단 내 성격강점에 따라 하위 유형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주요 변인들(학습활동, 또래관계, 교사·학생 관계, 성적, 자기조절학습)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성취 학생이 226명, 고성취 학생이 234명이다. 성격강점은 6개 영역, 24개 구성요소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t-검정,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계층적 군집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6개 영역 중 2개 영역(지성, 절제)과 24개 구성요소 중 10개에서 고성취 학생과 저성취 학생 간에 차이를 보였다. 모두 저성취 학생의 평균이 낮았다. 한편, 진실성, 겸손, 감사, 영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저성취 학생의 평균이 오히려 높았다. 성격강점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저성취 학생을 유형화하면 약 8%에 해당하는 보다 긍정적 성격강점을 지닌 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할 결과, 저성취 학생은 또래관계의 영향력이 컸고, 성격강점 중 신중함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성취 학생에게서는 학습활동의 영향력이 정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성격강점에서는 유머감각과 신중함이 정적으로, 학구열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low-achievi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strength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relativ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6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everal questionnaires. 226 students were low-achieving students and 234 were high- achieving students. The character strength was consisted of 6 areas and 24 sub-factor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learning activities, peer rel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 achievement level,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level were employed as criteria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results, 2 of 6 areas(wisdom and temperance) and 10 of 24 sub-factors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means of high-achiev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achievi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honesty, humility, gratitude, and spirituality were higher in low-achieving students although they we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sub-groups in low-achieving students about 8% showing more positive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lative effect analysis, prudence and peer rel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low-achievi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learning activities, humor, and prud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love of learning was negatively significant

      • KCI등재

        스스로를 저성취로 평가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국어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만족 방해요인

        허유성(Heo, Yu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성취수준에 따라 3집단으로 구분한 후 그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방해요인을 탐색하여 그 상대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학업 및 학교생활만족을 방해하는 요인을 자유기술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도출된 10가지 주요 방해요인을 바탕으로 저성취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방해요인 간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9월 중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11월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과 ‘과다한 취미 활동’,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유의미한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방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 ‘이해할 수 없는 수업’, ‘개별화되지 않은 교육’, ‘아버지의 부정적 태도’가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수업 분위기’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hindranc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low achieving students placed in academic high schools. At the preliminary study, we analyzed the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with 82 10th grad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open-ended responses. At the main study, a total of 397 low achieving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such as 10 key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low-low’, ‘low-middle’, and ‘low-high’.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too much time on hobbies’ were found as the critical hindrance variable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language arts. In school satisfaction,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lack of individualized learning’, ‘fathers’ negative attitudes’ were found as the negatively critical hindrance factors. On the contrary, ‘negative class climates’ was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 KCI등재

        Examining Common and Differential Influences of Factors on Low Reading Performers in PISA 2012 Results : Cases of Korea, Japan and Singapore

        ( Park Hyeyoung ),( Kim Junyeop ),( Kim Sungsook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5

        Along with writing and arithmetic, reading is essential for building learning competencies. Not only the accumulation of low reading achievements can adversely affect additional subject areas, but it can also prevent students from entering into higher education and impede future employment. As a whole, low reading achievements will deteriorate the quality of national education that may eventually deepen social inequalit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ffecting the reading achievement level in Korea, Japan and Singapore by utilizing the reading results of PISA 2012. We attempt to identify country-common and country-differential factors that result in low reading achievements in these three countries. All three countries are located in East Asia, and these countries are exam-oriented with a high priority on education. They also scored very highly on the PISA 2012 reading. However, the educational contexts placed in such diverse socio-cultural backgrounds inevitably resulted in discrepant factors for low reading achievements. Based on these outcomes,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there must be educational support for the “students vulnerable to low reading achievement”, who are equally affected by country-common factors. Also, school educational policy needs to support low reading achievers in Korea, Japan and Singapore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country-differential factors according to each country.

      • KCI등재

        환경변인이 미국 저소득 아동의 학업성취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혜원 한국아동권리학회 2004 아동과 권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electe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family structure, marital quality, maternal employment, child care experience, neighborhood problem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behavioral problem of American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child's gender, age, and early regular child care experi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w-incom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For low-income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child's age, and marital qua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From the study findings, the supportive and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or the optim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Especially, early child care service is beneficial for improving low-incom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increasing the marital quality of low-income parents since the result indicated that marital quality has a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아동의 학업성취와 문제행동이 가정환경의 질, 가족구조, 부모결혼관계의 질, 고용상태, 보육경험, 이웃환경문제 등과 같은 환경변인들과 어떻게 관련을 갖는 지를 규명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문제행동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아 저소득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저소득 아동의 학업성취에 대하여 가정환경의 질, 아동의 성별, 연령 및 보육경험이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소득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하여는 가정환경의 질, 아동의 연령, 그리고 부모의 결혼관계의 질이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소득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을 위하여 지지적인 가정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저소득 아동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보육 서비스를 통하여 조기에 지지적인 환경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결혼생활이 만족스러운가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 부모의 결혼관계의 질을 높여주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요청된다.

      • KCI등재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배병덕,이옥인,박은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gnitud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dependent variable, school level) and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time, intervention environ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Method: For this purpose, 2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including candidate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a-analysis program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alculated. Result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1.073, which was a very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and school leve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period (times), intervention time (minutes),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the meta-analysis, the actual useful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ontent and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독립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종속변인, 학교 급) 및 프로그램의 특성(중재 기간, 중재 시간, 중재 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 및 등재 후보지에 출판된 20편의 실험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메타분석 프로그램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를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차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7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 연구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 종속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및 학교 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특성인 중재 기간(회), 중재 시간(분), 중재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메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