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로드맵의 구축과 3Key 요소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패러다임 및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 연구

        문재호(Moon, Jae 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친환경로드맵상의 디자인패러다임의 변화요인은 1960~70년대 반전운동과 친환경운동의 태동기이고, 70년대는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성이 강조되고 ‘유엔환경회의’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그린소비자’의 등장, ‘지구의 날’이 지정되고 ‘디자이너의 책임의식’이 고취되었다. 1990년대는 국내외 환경규제법규의 강화와 시민환경단체의 운동, 기업의 친환경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친환경적 신?재생 소재개발과 친환경개발의 기업고착화 등이 전산업화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로드맵상의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은, 1960년대는 친환경의 개념과 디자인이 태동하는 시기로, Minster Fuller가 Geodesic dome을 설계하여 ‘친환경’이 대두되고, 1970년대는 친환경의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시기로서 친환경 디자이너의 출현으로 친환경 제품의 생산적 의미보다는 계몽적의미로서 부각되었다. 1980년대는 전쟁으로 삶의 질의 향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친환경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발전이 가장 느려진 시기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지속가능 원칙’이 정립되어 친환경디자인의 중요성과 환경문제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는 기능적, 미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개념과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의 개발로, 디자인사고가 전환되어 친환경디자인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Regarding the design paradigm change on eco-friendly roadmap, 1960s~70s was the birth period of anti-war movement and eco-friendly movement, and in 1970s energy efficiency was emphasized and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established. In 1980s there turned up green consumers, designated the earth day, and promoted the responsibility of designers. In 1990s, law on environmental restriction was strengthened in local & abroad, civic environmental organizations movement and development eco-friendly product by industry was proceeded. In 2000s, it has been carried out in all sectors of industries the eco-friendly new & renewable material development, firm fixation of corporate of eco-friendly development. Regarding product design modeling change element on the eco-friendly roadmap, the 1960s was the period of birth eco-friendly concept and design, in which the concept of eco-friendly was emerged by the construction of Geodesic dome by Minster Fuller. and in 1970s was an age eco-friendly was highlight as a social issue, and the appearance of eco-friendly designer was regarded as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stead of the meaning of eco-friendly goods production. he 1980s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of slow development in eco-design perspective, as it was focus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war. In 1990s, the principle of sustainability was settled down thu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and the endeavor for eco-friendly design was started, and in 2000s the thought was changed to the concept & eco-friendly design method development rather than access to functional, aesthetics view poi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design has been in progress in diverse ways.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 도입을 위한 제도화 연구

        송영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5

        (Background and Purpose) In 2022, the EU decided to ban the use of misleading environmental terms when demonstrat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a product or service. In Korea, the term “green” implies eco-friendly and is used in the context of green growth, green buildings, and green products based on legal definitions. Eco-friendly design—a concept similar to eco-design, green design—re-cycling design,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sustainable design are being discussed in academia and are being applied across industries. However, the ambiguity in the definitions of these concepts presents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systemization, including defining the common principles, standards, and processes for applying these concep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going eco-friendly and eco-friendly designs by examining major issue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green” in South Korea’s laws. Then, it proposes a plan to institutionalize eco-friendly designs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law.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in the scope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considered the definition of green concepts and eco-labels as set in various laws. First, it synthesized the use of the word “green” through examples in green-related laws, and then derived the concept of going eco-friendly by analyzing the direction and practical conditions of going green. Second, it examined the key elements of green certification and Korea’s Eco-Label. Third, it defined the standards and concepts related to going eco-friendly and eco-friendly design and suggested a way to institutionalize eco-friendly design tha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eco-labelling and certification system. (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that in many fields, the criteria for the eco-friendly design concept are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attributes, and a multidisciplinary design process. Second, eco-friendly design is a design that involves the use of eco-friendly technology and contributes toward environmental improvement, ,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damage. Third, eco-friendly design represents a fusion and convergence of fields connected to business such as marketing and product sales and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chemistry and energy science. Fourth, eco-friendly design should be approached as a method of applying the design process the is linked to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design, marketing,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Conclusions) The study’s results suggest that institutionalization of eco-friendly designs is expected to receive greater importance within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as it systemizes the design field as per the relevant legal provision. This study hopes to inspire further discussions regarding the eco-labelling certification to establish an eco-friendly design system that is optimized to achieve greater sustainabilit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while adher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 KCI등재후보

        환경 친화적 실내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강혜진(Kang Hye Jin),한석우(Han Suk W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21세기 들어서 가장 큰 이슈중의 하나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다. 이러한 관심은 모든 분야에 걸쳐 환경 친화적 연구가 진행되고 사회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제도적 법규가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인간과 자연의 지속가능한 공존의 문제에 관한 환경 친화적인 생태건축이라는 적용은 아직까지 제도적으로나 실질적으로 많은 변화를 찾아보기 힘들며 재료사용에 대한 단편적인 부분에 편중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디자인의 현실인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친환경 실내디자인의 방향과 요소들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실내디자인에서 환경 친화적 디자인 지침을 마련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범위는 첫째 현시대의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인식하며 환경 친화 디자인의 방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둘째 환경 친화 디자인 접근을 위해 기존의 문헌 조사를 통한 환경 친화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한다. 셋째 문헌을 바탕으로 실내건축의 환경 친화 적용요소를 추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넷째 분석 틀을 바탕으로 실내디자인 작품사례를 통하여 환경친화 요소를 분석하며 환경 친화적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한 환경 친화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1997년~ 2006년 동안 실내 디자인 작품을 선정하여 환경 친화적인 요소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환경 친화적인 실내건축 적용방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the 21st century is the interest in environment. Because of the interest eco-friendly strike over all fields are performed and systematic regulation concerned to environment is prepared in society.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however it is hard to find many changes in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ecological architecture concerned to continual co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form systematic or actual viewpoint and the application is overemphasized on the part of materia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ion and factor of eco-friendly interior design for which we have to search from the general viewpoint and establish the instruction of eco-friendly interior design by realizing the reality of interior design. The scop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or will recognize the confronted environmental problem and inspect the direction of eco-friendly design. Second for eco-friendly design access author will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eco-friendly design by surveying existing literatures Third author will establish the frame of analysis by extracting eco-friendly factors from interior field on the basis of literature. Fourth author will analyze eco-friendly factors in the examples of interior design works on the basis of the frame of analysis and suggest eco-friendly application method. The study method is to establish the frame of analysis by extracting eco-friendly factors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analyze eco-friendly factors by selecting interior design works from 1997 to 2006. Finally author will suggest guideline for applying eco-friendly interior.

      • KCI등재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에 의한 가구의 조형 변화요인 관계성 연구

        문재호(Moon, Jae Ho),김경희(Kim, Kyung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패러다임의 흐름에서 나타난 시대별 친환경 트랜드와 이에 따른 가구디자인의 변화 유형을 분석해 친환경과 가구디자인의 관계성을 연구함으로서, 현재와 미래의 생활환경의 창조자로서 현대 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고취할 자연자원이나 인공자원을 고갈시키지 않으면서 생태체계를 보호하는 실무접목의 차원에서 디자인사고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서론에서 현대의 디자인문제와 상황에 대한 논지를 통해 배경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에서는 일차적으로 시대별디자인패러다임의 시각화 맵을 구축하고 구축된 디자인패러다임 시각화 맵을 바탕으로 4가지 상관관계 요소 분석을 통해 친환경 개념의 대두요인을 추출 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시대별 가구디자인 조형양식의 변화 사례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 요인과 가구조형 변화요인을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친환경 인식과 친환경개념 태동기로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인식이나 표현은 극히 일부에서 보여 지고, 제품디자인에서 친환경 개념의 적용 보다는 계몽적 수준이었다. 또한 1970년대는 친환경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본격적으로 출현한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는 친환경 개념을 처음으로 적용시킨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의 메차도르(Mezzadro)의자가 생산되고, 프랑크 게리(Frank Gehry)는 위글 사이드체어(Wiggle Side Chair)를 선보인다. 당시 기능주의적 디자인에만 치중되었던 세계 디자인계에 혁신적 사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8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제안과 이에 따른 생산화가 이루어졌다. 미니멀리즘의 경향과 디지털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텔리젼트(intelligent)한 가구 등이 선보였으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치유를 위한 친환경 트랜드에 의한 친환경가구디자인이 제시되는 등 1980년 이후로는 의자에서 친환경 트랜드를 수용하는 디자인경향을 보였다. 1990년대~2010년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은 "지속가능 원칙"이 모든 디자인에 적용되어 활발한 상품화와 경제화를 이끌었던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도 친환경디자인이 강조되고 미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iodic eco-friendly trends and change patterns of furniture design in order to induce design thinking change of practical level while protecting ecosystem without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or artificial resources by the modern furniture design or designer as a current and future life environmental creator. As for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purpose is described through the contemporary design problems and conditions in the introduction. In the main bodies, the visualized map for periodic design paradigm is constructed and based on such design paradigm visualization map, 4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tract eco-friendly introduction factors. Based on such analyses, the conclus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periodic furniture design formative pattern change cases, eco-friendly paradigm introduction factors and furniture formative change factors. In the perception of eco-friendliness in the 1960s~1970s and the quickening period, th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co-friendly design were very limited, and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iness to product designs was nothing but enlightening. and, the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designers appeared extensively. Mezzadro chair was produced by Achille Castiglioni who adopted the eco-friendliness in furniture design for the first time, and Wiggle Side Chair was shown by Frank Gehry. They were praised as innovative cases in the global design industry that concentrated on functional design only. In 1980s, the mature period of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production accordingly. The trend of minimalism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oduced intelligent furniture and furniture design to cure eco-system appeared. Thus, various tendencies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ppeared after 1980s. The transition period of eco-friendly trend between 1990s and 2010s, Eco-friendliness was emphasized in furniture design and active endeavors have been made to solve futur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자연·인간의 상생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디자인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친환경경영 및 디자인방향성 연구

        김경희(Kim Kyunghee),최명식(Choi Myoungsi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21세기 디자인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는 생태적 인식을 통한 자연생태와 산업화의 상생 발전을 위한 에코 휴머니즘을 중심으로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정책에 중점을 두는 양상으로 변화 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본다면 자연과 인간의 상생적 영위를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친환경 경영전략'은 환경적 지속가능발전 사회적 지속가능발전 경제적 지속가능발전의 토대아래 각각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순차적 실현하여'기업의 기술개발의 발전'과'기업문화이미지 향상','기업성장'의 친환경 경영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영의 3가지의 운영목표를 이루기 위한 환경 친화적 디자인(Eco-friendly Design)의 접근방향은 친환경 경영아래 환경적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코의 효율적 생산(Eco-Efficiency)시스템 운영으로 환경 친화적 디자인이 수행되어야 한다 환경 친화적 디자인의 수행 요소들은 유해물질 저감 재활용가능성 향상 에너지 효율 향상 물질사용량 저감 환경 배출물 최적화 등을 통해 환경 친화적 디자인접근 요소의 실현을 통해 친환경 경영과 디자인의 목표달성을 이루고 궁극적인 자연과 인간의 상생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것이다. The changes in design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altered into something which puts its importance upon governmental policies related to eco-friendly designs with the focus on eco-humanism for the mutual advancement of nature and commerce. So we synthesize those research resul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for mutual life-giving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nd we can achieve eco-friendly management goals which are 'development of enterprises' technical development' 'improvement of enterprise cultural image' and '' under successively realization detail particulars of 'eco-friendly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chieving those three eco-friendly management goals there is a eco-friendly design direction. In this direction we need to carry out Eco-friendly designing under eco-friendly management through eco-efficiency system operation which is for environmental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realization of eco-friendly design access elements such as decreasing toxical substances rising recycling possibilit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decreasing material amount used and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emission Executing elements of eco-friendly design will achieve our goals of eco-friendly management and design.

      • KCI등재

        한·중 에코포장디자인 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

        온야,김은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sign elements of Korea-China eco-packaging by analyzing the actual definition of eco-packaging design that is still in the immature stage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existing packaging design in Korea have.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components of eco - packaging design were derived and the weight was derived through AHP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Korea, the importance of eco packaging design was revealed by the information factor of packaging design, followed by visual factors of packaging design, and copying of formative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layout and eco design of the formative elements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in terms of reproduction and reuse. In the case of China, formative elements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eco design and packaging design. In detail, modeling copy was the highest, modeling layout, and packaging information. Analyzing the results of Korea and China, Korea cites its faithfulness to packaging, while China cites plasticity as its first priority.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pproaching approach to packaging design. Next, both Korea and China derived eco-design as the second rank, but the figures show that China is almost equal to eco-packaging.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Korea has a little more interest in eco than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nvironment friendly factors have not ye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packaging design. However,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when you think that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are added to the packaging design, evalua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co-packaging design factors objectively because it is judged that existing checklists tend to be somewhat subjective and limited to reflect eco friendly factors. Therefore, the eco package design evaluation tool can be produced by the research and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proposed AHP. We expect that this methodology will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packaging design. 본 연구는 국내 기존 포장디자인 관련 연구 분야에서 아직 미성숙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에코포장디자인에 대한 실질적인 정의와 이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한・중 에코포장의 디자인 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관련 문헌 고찰을 토대로 에코포장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AHP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경우 에코포장 디자인의 중요도는 포장디자인의 정보요인이 각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포장디자인의 시각요인, 조형적 요소의 카피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형적 요소의 레이아웃과 에코디자인의 재생, 재사용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조형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나왔으며, 에코 디자인, 포장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조형-카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형-레이아웃, 포장-정보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한국은 포장에 충실한 것을 꼽은 반면 중국은 조형적인 요소를 우선으로 꼽았다. 이는 포장디자인에 대한 접근 시각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 에코 디자인을 2순위로 도출하였으나, 수치를 살펴보면 중국은 에코와 포장을 거의 동일시하게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경우 중국보다 에코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포장디자인이라는 분야에서 아직까지는 친환경적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포장 디자인에 친환경적인 요소가 가미된다고 했을 때 친환경 요소를 반영한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 사용되고 있는 체크리스트가 다소 주관적이며, 친환경적 요인을 반영하는 것에 대해 제한적이라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통해 에코포장디자인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제조업의 ESG 강화를 위한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 제안

        손효인,정재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ESG는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아직까지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 및 전체 시스템의 본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ESG 가치를 접목하는 산업디자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본 연구는 제조업의 혁신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ESG 평가 지표를 접목한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조업의 ESG 평가체계와 제조 프로세스별 ESG 평가 지표를 살펴보고, 친환경 디자인 전략과 디자인 툴킷에 대한 선행연구를조사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ESG 기반 친환경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작한 후, 산업디자이너 15명을대상으로 툴킷의 사용자 경험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은1) ESG 친환경 현황분석, 2) 친환경 전략 8R 활용 아이디어 도출, 3) 아이디어 평가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기업의 ESG 현황과 산업디자인 이슈를 파악하고, 이슈에 따라 8가지 친환경 전략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한 후, 고객 가치와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은 ESG의 구체적인 평가 지표에 맞춰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돕는다. 본 연구는 ESG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기업에서 활용가능한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다양한 ESG 툴킷의개발과 활용을 통해 ESG 가치가 접목된 제품이 더욱적극적으로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SG has become a paradigm for corporate management, but no real and fundamental changes have yet occurred. 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products, services, and overall system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panies, industrial design approaches that incorporate ESG values are needed.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incorporating ESG evaluation indicators as a wa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we look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s ESG evaluation system and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manufacturing process, and investigated prior research on eco-friendly design strategies and design toolki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 developed an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and verified the user experience of the toolkit with 15 industrial designers. The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ages: ESG environmental status analysis, idea generation using 8R of eco-friendly design strategies, and idea evaluation. First, we identify the company’s ESG status and industrial design issues, derive ideas for the issues using eight eco-friendly strategies, and then determine priorities based on customer value and feasibility. The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proposed in this study helps generate various idea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ESG evaluation indi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and verified an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that can be used by companies based on ESG evaluation indicators. We hope that products incorporating ESG values can be developed more actively through the various ESG toolkits.

      • 중학교 미술교육의 친환경디자인 개념 연구

        유부미 ( Boo Mee Yoo ) 상명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디자인硏究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교육의 친환경디자인 개념을 정립하여 친환경디자인을 교육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친환경디자인은 자연의 보호와 순환을 위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제는 국가 단위를 넘어서 전 세계적인 환경의 보존과 에너지를 논하는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산업사회 중심적인 디자인의 개념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과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디자인에 관한 개념으로, 디자인 가치에 대한 의식의 변혁이 요구된다. 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디자인은 자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으로 집약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계획, 설계를 포함하는 개발과정을 거쳐서 유지 보수 및 폐기 그리고 재사용이나 재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친환경디자인은 최종 산물에 필요한 재료와 공정에 관한 문제에 책임 있는 선택을 하는 것으로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을 통한 친환경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안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우리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해결방법을 찾아보도록 한다. 거시적 관점에서 친환경디자인을 이해함으로써 친환경디자인의 가치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디자인 교육을 통한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n eco-friendly design concept for arts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uch education in eco-friendly design. The purpose of eco-friendly design lies in the realization of a society that conserves natural resources and respects the natural cycle, and has developed to such a level in which the entire world and not merely a single nation is involved in address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nergy issues. It requires revolutionizing our awareness of the value of design from an industry-oriented one into one that is centered on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ourselves. Design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may be summarized as one that minimizes the use of nature and energy. It also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ntire course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ing design planning and layout, maintenance, and disposal, as well as reuse and recycling. An eco-friendly design entails the responsible selection of material and processes necessary for the final product. Establishing its goal, therefore, is a prerequisite to the implementation of eco-friendly design.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rrect view of eco-friendly design through education. Accordingly, solutions to such an issue will be first approached by identifying the issues we currently face. It is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design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will help recognize the value of eco-friendly design with social ripple effects through consistent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인테리어 타일 자재 기업의 친환경 경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미영,조현덕,차향랑,김미진,김하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기업의 친환경 경영은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한 구매의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이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하여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의 친환경 경영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친환경 디자인, 친환경 인증, 친환경 캠페인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인테리어 타일 자재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고, 가설의 검정을 위해서 SmartPLS 4.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친환경 디자인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친환경 인증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친환경 캠페인은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친환경 디자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친환경 인증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친환경 캠페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기업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경영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와 가치 제고를 통해 더 나은 기업 경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rporate eco-friendly management plays an effective role in enhanc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co-friendly man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Eco-friendly design, eco-friendly certification, and eco-friendly campaigns are the three categories of variables that establish a company's eco-friendly management. This study surveyed the general public who had experience or were interested in using interior tile materials. SPSS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and SmartPLS 4.0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co-friendly desig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rporate image. Second, eco-friendly certif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rporate image. Third, eco-friendly campaig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rporate image. Fourth, eco-friendly desig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image. Fifth, eco-friendly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image. Sixth, the eco-friendly campaig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image. Seventh, the corporate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brand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corporate management through positive effects on eco-friendly management and value enhance.

      • KCI등재후보

        친환경 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KIDP 굿 디자인 선정제도 심사기준의 개선방안

        박보연(Park, boyean),김면(Kim, Myo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1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무역 규제가 강화되고, 새로운 환경정책들이 국제 협약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 그린비즈니스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관심은 높은 편이지만 실제로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신뢰와 만족은 높지 않다. 이에 친환경 제품 구매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친환경 굿 디자인 제도의 개선을 통해 친환경 디자인 제품 개발과 소비자의 친환경 디자인에 대한 신뢰와 관심제고를 유도하여 그린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한 생산ㆍ소비 구축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친환경 인증 제도와 국내외 굿 디자인 어워드들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고, 친환경 디자인 평가 요소를 기준으로 리뷰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친환경 시장의 규모와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친환경 제품의 구매 현황과 한계점을 분석하여 친환경 디자인 제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독일, 일본, 미국 등 해외 굿 디자인 심사기준의 평가요소와 친환경 평가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 요소를 KIDP 굿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친환경 굿 디자인의 인증 기준을 굿 디자인의 필수요소와 친환경 필수요소로 분류하여 종합평가하고, 친환경 굿 디자인의 4R(Recycle, Reuse, Reduce, Replacement)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친환경 굿 디자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Trade regulations are heightened about the environment in worldwide, and new environmental policies are implemented by international agreements. In the market of green business, interests of consumers in purchasing eco-friendly goods tend to be increased, however, in fact, their trusts and satisfactions to the purchased goods are not so high. So, as an approach for stimulating purchases of green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reen business by inducing development of, and consumers’trust and enhanced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design products, by improving eco-friendly Good Design system. The scope of research sets limits to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currently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good design awards for research objects amid environment-friendly paradigm change, which were reviewed based on eco-friendly design evaluation factors as a criterion. For research methods, drawn was the necessity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systems by investigating a size of environment-friendly market and consumers’ awareness on it and analyzing purchase status on environment-friendly product and its limitation. Based on this, measures were sought that environment-friendly factors can be applied to KIDP Good Design by analyzing screening criterion evaluation factors and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factors on overseas good design such as Germany, Japan, and the U.S. In conclusion, synthesis evaluation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certification criteria of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into essential factors of good design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and measures were studied for invigorated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by suggesting cases to which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is 4R(Recycle, Reuse, Reduce, Replacement) app 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