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버지의 양성평등한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영아기 자녀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김유미,Kim, KyungHee,Kim, Yumi 한국보육지원학회 202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8 No.5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fathers and to promote play-participation with children and father-Infants Intimacy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a father's belief concerning gender-equal parental role and the mother's roles as a gatekeep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1 fathers who had infants ranging from 1-36 months of age and were living in Seoul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4.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s, livelihood keeper-father beliefs, importance of father rearing,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affect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Thi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gender roles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imacy between the father and the infa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athers' belief in gender-equal parenting and mothers' encouragement through opening the door as gatekeepers affect the formation of intimacy between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infancy, and are factors that influence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적극적 조치의 민간부문으로의 확대방안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희(Kyunghee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5 여성연구 Vol.68 No.-

        이 연구는 성차별 개선을 위한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공공부문에 만 제한적으로 실행되고 있어 실효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해서, 적극적 조치 실행사례를 분석하여 이 제도를 민간부문에 확대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를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적극적 조치는 국내에서 공공부문에서부터 도입되어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 여교수 채용목표제, 여성과학기술인 채용목표제가 실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민간부문에 적극적 조치를 도입하는 방안의 하나로 정부조달계약제도의 도입이 논의되면서 이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적극적 조치 실행사례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이 제도가 여성고용 확대 뿐 아니라 성별 불균형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확대 적용되기 위한 정책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우선 직종과 직급별로 여성의 고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고용평등통계 양식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업이 적극적 조치 계획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통계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한 정부의 기술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적극적 조치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기구의 법적 권한이 강화되어야 한다. 정부기구가 차별구제를 요청하는 당사자를 위해 법적 소송의 주체가 되거나 지원할 수 있도록 제소권의 신설이 필요하며 정부계약준수제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적극적 조치는 소수집단에 대한 간접차별을 적극 시정할 뿐 아니라 인력관리의 다양성 차원에서 기업경영을 위해 긍정적인 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적극적 조치의 확대가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홍보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at suggesting policies for introducing affirmative action into the private sector where most women wor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the implementation of affirmative action and increasing its effectiveness. Since 1996, Korea has introduced affirmative action in the public sector, in government officer positions and in public university-level teaching staff. Recently, the interest in federal contract compliance (the proposed method for implementing affirmative action in companies) has been increasing through discussion on how to expand and develop it to reduce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Cases involving the implementation of affirmative ac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in order to find alternatives for expanding it to into the private sector. Statistical forms showing the sexual segregation in different occupations must be prepared. Companies must draw up affirmative action programs to decrease the under-utilization of women. Also,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in the form of an organization that is demanded by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legal authority of this government organization must be strengthened so an individual is capable to fight against a company within their legal rights. Above all, the federal contract compliance programs have to be introduced with the intent of expanding affirmative action within companies. Affirmative action has been evaluated as a viable method for reducing the indirect discrimination toward women and minorities as well as for making more diverse human management possibl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ffirmative action as a tool for bringing about gender equality.

      • KCI등재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양보 구문 대조 분석

        김경희 ( Kim Kyunghe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구 한국서어서문학회) 2020 스페인어문학 Vol.0 No.96

        In this work we approach the concessive constructions of both languages from diverse perspectives: formal, categorial, cognitive and empirical. Regarding concessive markers, while Spanish has conjunctions or conjunctive phrases such as aunque, a pesar de (que), pese a (que), (aun) así, (aun) cuando, si bien, incluso si, y eso que, etc., Korean uses verb endings such as -ado∕-eodo, -deorado, -(eu)rjirado, -(eu)ndeul, -(eu)rmangjeong, -(eu)rjieonjeong, etc. Consecutively, their respective constructions require quite different categorial components and a contrastive analysis is extremely complex. Yet if cognitive criteria are applied, it seems possible to explain what is commonly expressed through concessive constructions. The first type of concessive construction denies expectations and objectively or subjectively describes a given situation, like in “Aunque tengo dinero, no compraré un coche.” The second type exaggerates prepositive conditions and focuses on the given situation, like in “Digan lo que digan, pienso hacer ese viaje.” However, the cognitive equivalence of both languages is not always observed in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parallel corpus. This shows that there are contextual factors that condition the interpretations of concrete constructions as concessive in respective languages.

      • KCI등재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20대 청년들의 삶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김경희 ( Kim Kyungh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20대 청년들의 삶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IPA)이다. Smith 외(2009)가 제안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여 상실의 내용, 회복의 과정, 그리고 그 결과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했다. 연구에는 3명의 청년이 참여했으며,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원자료를 구성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65개의 개별주제와 16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나타난 본질적 주제들을 Glaser(1978)의 6C 모델로 재배열하여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한 경험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상실과 회복의 경험에서 가장 본질적이고 중심적인 주제는 ‘아버지의 재현’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상실은 존재 성숙의 계기, 가족의 죽음 이후 의사소통과 같은 새로운 적응 양식의 구성, 아버지를 대신한 가장의 역할 떠맡기, 상실에 대한 자기성찰 작업과 회복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This study is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life among twenties losing fathers in adolescence. The contents of loss, the process of restoration, and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were described by using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Smith et al.(2009). Three participants who are in twen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Raw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65 individual topics and 16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This study presented the structure of participants’ experience of losing father by rearranging the 16 essential topics based on Glaser(1978)’s 6C model. The most essential and central topic of the participants’ loss and restoration process was ‘father's reappear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nce of being a mature human through losing father’, ‘the construction of new adaptation process such as communication after the death of family members’, ‘taking on the role of the head of household on behalf of father’, ‘self-introspection process about loss’, and ‘restor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불문학번역에서의 인명 번역에 관한 고찰

        김경희 ( Kim Kyung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6 프랑스어문교육 Vol.53 No.-

        Il existe deux sortes de noms de personnes : ceux que l'on peut traduire en simple transcription, et ceux qui nécessitent une explication supplémentaire parce qu'ils possèdent une connotation. Par convention, on appellera les premiers les noms de personne simples et les deuxièmes, les noms de personne culturels, que nous nous proposons d'examiner dans cet article. Nous avons observé 44 oeuvres littéraires coréennes traduites en français et relevé 68 noms de personne culturels coréens. En principe, les traducteurs doivent les traduire afin que les lecteurs du texte traduit aient la même connotation que ceux du texte original. Pour les traduire, les traducteurs ont opté pour quatre stratégies : transcription, insertion de notes du traducteur, ajout d'explication et remplacement par une interprétation. Dans nos corpus, les traducteurs adoptent le plus souvent la stratégie de la transcription, malgré le risque que cela représente pour la transmission de la connotation. La deuxième stratégie la plus employée est celle de l'insertion de notes du traducteur. En ce qui concerne l'ajout d'explication, nous en avons relevé sept exemples. Seuls deux équipes de traducteurs ont recouru au remplacement par une interprétation. L'analyse de la traduction de ces noms de personne nous montre trois points problématiques : transcriptions erronées, transcriptions différentes pour un nom de personne culturel donné et insertion de notes du traducteur trop longues. Lorsque le lecteur du texte traduit peut comprendre la connotation du nom de personne culturel par le contexte, il suffit de le transcrire mais dans le cas contraire, le traducteur peut, en plus de la transcription, insérer une note ou ajouter une explication dans le texte à condition qu'elles ne sont pas trop longues.

      • KCI등재

        기본 능력으로서의 수리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김경희(Kim, Kyunghee),조성민(Cho, Seongmin),장현진(Jang, Hyunji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4차 산업혁명, 기능정보화 사회 등으로 설명되는 사회적 변화로 인해 역량 교육이 학교교육의 중요한 화두로 자리매김하면서, 역량을 뒷받침하는 기본 능력에 대한 논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본 능력은 역량의 자원과 같은 의미를 가지면서 동시에 전통적인 3R’s를 넘어선 역량 교육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학교교육에서 학습을 위한 기본 능력 중 한 가지로 인식되어 온 수리력(numeracy)에 대하여 기본 능력의 관점에서 개념을 재정립하고, 학교수학에서 관련된 성취기준을 선정한 후 예시 문항을 개발하여 111명을 대상으로 현장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대부분이 수리력 평가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 적합성 검토 시행 후 학생들의 오류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의 수정 방안을 탐색하고, 수리력 관련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e wake of social changes driven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nctional information society, as competency education has become the key word, basic competence that support competencie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in school education. Basic competence means the grounds to nurture competences and the starting point of competency education to advance beyond the traditional 3R’s. This study was to redefine the concept of numeracy,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competences in school education for a long time. Sample items were developed after establishing the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in school mathematics, 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on 111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re applicable for numeracy evaluation. Meanwhi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n errors from the sample items, methods to correct the items was explor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a follow-up studies related to numeracy.

      • KCI등재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초ㆍ중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종단분석과 예측

        김경희(Kim, Kyunghee),임은영(Lim, EunYoung),신진아(Shin, JinAh)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전수평가를 기반으로 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정의적 특성을 예측하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선, 정의적 특성의 종단분석을 위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고, 정의적 성취 우수 학교의 특성을 예측하는 교육맥락변인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사 관계 및 교우관계의 정의적 특성은 연도별로 감소 추세가 보였지만 수업태도와 관련된 정의적 특성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09년에 부정 응답한 학생들이 2012년에 긍정 응답으로 전환된 비율이 높았고, 긍정 응답으로 전환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부정 응답을 유지하는 학생들에 비해 더 향상되었다. 둘째, 정의적 성취 우수학교, 즉 2년 연속 상위에 속한 학교를 예측하는 변인은 초등학교에서는 학업성취도, 학부모풍토, 교우관계, 학교풍토, 수업태도, 부모와의 대화 정도, 가족과의 취미생활 정도, 동아리 수, 공모제교장 여부, 국ㆍ공립학교, 교장의 성별이었고, 중학교에서는 학업성취도, 학교풍토, 수업태도, 가족과의 취미생활 정도, 동아리 수, 학부모 풍토, 남학교, 여학교, 학생풍토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explor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rade 6 and grade 12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irst, the trends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2009-2012 were analyzed using cohort data and panel data.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context variables to predict positive or negative schools in terms of affective domain for two consecutive years,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across 4 years show that the affective domain related to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teachers declined, but the affective domain related to class or subject attitude seems to have increased. In addition, of students who responded negatively in 2009, there were more students who converted their negative response to a positive response by 2012 than there were students who maintained the negative response. Second, the number of prediction variables for the positive schools is larger than that of the negativ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