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안홍선(Ahn Hong Seon),박현주(Park Hyun Joo),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개념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 및 정의하고, 그에 대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핵심역량 및 교사의 역량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개념적 맥락에서 교사의 핵심역량을 구안하고, 이에 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인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수정하고 정교화하였다. 또한, 현직 교사와 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곤란도, 그리고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현재의 양성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수업 역량, 학생 공감 역량, 의사소통 역량, 교육공동체 형성 역량, 교사정체성 개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는 양성교육에서 여전히 교과를 가르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편중된 기능주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학교 교육과정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개정된 것과 호응하여, 교사교육에서도 교과나 직무 중심의 지식ㆍ기술교육을 벗어나 태도나 가치지향 등을 포함하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are (a) to develop and defin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b) to examine how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proposed constructs of key competenci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we reviewed extant literature about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developed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Next, initial conceptions of key competencies were revised and refined through two delphi studies. Finally, we examine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iculty in performing competencies,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s of current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to competencies. The fiv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ion competency, empathy competency, ability to build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competency.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curriculum is perceived to hold functionalistic perspective which mainly focuses on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omprehensive competency approach into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한 인식 조사

        김옥순,박현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mpetenc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important for their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and to what extent they perceive the competencies being practiced, and to test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ractice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For this purpose, 226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were selected in Seoul,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suggested by NJCLD and CE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mpetencies for education of students with LD were important, and that they were practicing parts of such competencies. (2)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 length of teaching career,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n LD, and academic background. (3)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of pract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ngth of teaching career and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n LD. (4) In the comparison of important competencies with those in practice,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practicing competencies less than they perceived important. In conclus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appropriate standards for the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D, while strengthening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eveloping more effective tools for competency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학습장애아를 교수하는데 있어 필요한 교수수행능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미국 학습장애합동위원회(NJCLD)와 특수아동학회(CEC) 기준을 참고로 우리 현실에 맞게 수정한 후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226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에 대해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실행도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간 차를 검증한 결과 실행도 인식이 중요도 인식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교직경력, 학력, 학습장애 연수경험)에 따른 학습장애아 교수수행능력의 중요도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행도 인식에서는 교직경력과 학습장애 연수경험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 및 학습장애아교육 교사들의 교수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사 자질에 대한 이미지

        김영신 ( Youngshin Kim ),조윤정 ( Yunjung Cho ),임수민 ( Soo-min L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교사의 자질은 교직에서 요구되는 기능 즉, 교수 활동뿐 아니라 생활지도, 학급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들이 원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과 기피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개방형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개념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 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학생들은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과학 교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또는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 학생들은 실험을 통해서 과학 현상과 이론,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해 주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 들은 직접적인 활동이나 체험을 선호하였다. 3) 학생들은 과학 교사의 자질에서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중요시하고 있다. 과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과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대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교사 나아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과학 교사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이미지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eache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quality of teachers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Teacher’s competencies are defined as the skills required for teaching profession, that is, the ability to perform not only in teaching activities, but also in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nt. To this end, 33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preferred science teacher's competencies and avoiding science teacher's competencies as an open questionnaire. The resulting concepts were analyz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that students prefer varied. This suggests that most students think positively about science teach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w students the positive or preferred competencies of teachers in various ways. 2) The students wanted teachers to explain the theories and concepts related to scientific phenomena through experiments. They also preferred hands-on activities and experience in science class. 3) The students put emphasis on the class-related contents in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Accordingly, the image of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itself should be enhanc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image according to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science teachers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김인곤,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school environment variables(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ulting supervision, communities of practical activities,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teacher efficacy, and job commitment of the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reviewing of literatures about the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1,398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nationwide. Among the 207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621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A total of 513 of 62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collection rate of 82.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 20.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for the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as found to be the average value 3.36. The variables investigated were the employment guidance plans, follow-up management, employment competencies identification and feedback, job matching, employment scouting and management order. The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standards of male teaches, head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private school teachers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ompetencies standards of the female teachers, subordinate teachers, less-experienced teachers and government school teachers, respectively. Seco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eacher efficacy, and job commitment of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Third, the teacher efficacy of the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of practical activitie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Fourth, the job commitment of the employment guidance teacher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eacher efficacy, and employment guidance competencie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취업지도능력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 1,398명이었다. 유층화 비율표집 방법에 따라 207개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중인 62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513부(회수율 82.6.%)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20.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 수준은 평균 3.36 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 취업지도 계획, 사후관리, 취업능력 확인 및 피드백, 취업매칭, 취업처 발굴 및 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지도능력 수준 차이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습공동체 참여, 학교-지역사회파트너십,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은 정적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습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컨설팅장학, 학습공동체 참여, 학교-지역사회파트너십, 교사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직무몰입은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어 경력 교원의 역량에 대한 탐구: ‘예비 교원 국외 실습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김춘주,조현아,송지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mmon competencie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caree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o support the overseas practicum of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an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group, name and definition. Methods We derived 21 competencies required for experienced teach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Korean language career teachers, content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for 11 Korean language caree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e-service teacher practicum project’ to secure validity for competency groups, names, and definitions. Finally, we reflected experts’ advice to confirm the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career teachers. Results Five competency groups and 19 competencie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career teachers were derived. Among them, common competencies are three groups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teacher leadership, and self-development’, and 13 competencies specialized. Then, two groups specialized for the practicum project, ‘teacher training support, and project operation’ are related and six competencies were included.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was possible to contain rich and practical opinions of experienced teachers while collecting data in various ways and using a mixed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competency of career teachers. The confirmed competencies can be used as primary factors for career teachers’ competency models and systematic capacity-building program developmen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예비 교원 국외 실습 지원 사업’에 참여한 교원을 통해 드러난 한국어 경력 교원에게 요구되는 공통역량을 구명하고, 역량군, 역량명과 역량 정의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방법 한국어 경력 교원 4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내용 분석, 문헌 연구를 통하여 경력 교원에게 필요한 21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예비 교원 실습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력 교원 11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역량군, 역량명, 역량 정의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한국어 경력 교원의 역량을 확정하였다. 결과 한국어 경력 교원에게 필요한 5개의 역량군과 19개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그중 공통 역량으로 수업 준비 및 운영, 교사 리더십, 자기 계발의 3개 역량군과 하위 13개의 역량이, 실습 사업과 관련해 특화된 역량으로 교원 실습 지원, 현장 사업 운영의 2개 역량군과 하위 6개의 역량이 선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경력 교원의 역량 구명을 위해 다각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혼합분석 방식을 활용하여 경력 교원들의 풍부하고 실제적인 의견을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도출된 역량은 향후 경력 교원 역량 모델링 및 체계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의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직무수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

        이경미(Lee, Kyouhg Me),백영숙(Paik, Young Suk),오현숙(Oh, Hyu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직무수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수업역량을 매개변인으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G시와 J도의 유아교사 377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수업역량, 직무수행효능감 검사를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고, PASW 24.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Kline(2005)의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직무수행효능감 그리고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에 의미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직무수행효능감에 의미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매개변인인 수업역량이 투입될 때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인인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에 직접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직무수행효능감, 수업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내적 동기유발 도모와 교사 가치와 열정을 높일 수 있는 워크샵, 창의적인 교수활동 지원, 교수창의성을 위한 환경 제공 등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mediating variable. Methods To this end, for 377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G city and J province, the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te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eaching competencie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4.0.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procedure of Kline (2005). Results In the study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reativity,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re mediators, and teaching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ies, which are a mediating variable, on job performance 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competencies, a mediating variable, directly medi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performance 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enhance teaching creativity,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methods such as promoting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workshops to increase teacher values and passion, supporting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nd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teaching creativ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

        백영숙(Paik, Young Suk),오현숙(Oh, Hyu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수업역량을 매개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유아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종속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 매개변인인 수업역량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도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확인한 결과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와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가 놀이에 대한 올바른 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갖추고 놀이지원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its effect when ‘teaching competencies’ as a medium.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play belief,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argeting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4.0. 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the dependent variable,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he mediating variable, teaching competencie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confirmed to hav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on pla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bove process, as for the mediating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was confirmed to be partially mediating for all of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Conclusion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support play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the right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a strategy for re-education or training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손성호 ( Sungho Son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핵심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의 생애주기를 적응기, 자립기, 성찰기 세단계로 구분하고 역량모델링과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의 연구방법의 2가지 방법을 단계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군, 상담/ 학급운영 역량군, 학교업무/ 행정 역량군, 교사소양 역량군으로 구분하였고, 생애주기별로 적응기 핵심역량 12개, 자립기 핵심역량 11개, 성찰기 핵심역량 14개, 교사소양 공통 핵심역량 5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각 핵심역량별로 역량정의와 평균 3~4개의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총 42개의 핵심역량 정의와 행동지표로 규명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필수역량과 기본역량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로 필수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개발하였는데, 적응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적응기 초·중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자립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자립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성찰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성찰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프로파일은 각 교육과정 콘텐츠별로 교육과정 정의, 대상, 해당역량, 행동지표, 역량개발 주제어(Keyword), 역량개발방법, 교육목표 등을 명세화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원평가제도, 학습연구년제, 수석교사제 등 다양한 정책적 분야에 활용됨으로써 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nd behavior indexes required in each phase of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and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consists of three phases; adaptation, independence and reflection.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ertise in curriculum & lessons, counseling & class management, school affairs & administration, and teachers` qualifications. competencies. As to each phase of teachers` career cycle, 12 key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the adaptation phase, followed by 11 competencies for the independence phase, 14 competencies for the reflection phase and 5 common, key competencies for teachers` qualifications.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3~4 behavior indexe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42 key compet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design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also for various systems such as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research sabbatical system and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reby making contributions to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key competencies.

      •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

        하문선(Moon-sun Ha)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beliefs,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ies, teacher developmental levels,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on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 beliefs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te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development level,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liefs and future teaching competenc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was found.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plan to improve future job competency by structur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첫째, 교직신념은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이해역량도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역량은 교사발달수준에, 교사발달수준은 미래교사직무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직신념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생이해역량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개인내적 특성과 관련 역량 간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미래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규녀,김소연,박기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ariables,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This will be provided as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M=3.0), and teaching efficacy (M=3.41) was found to be a bit higher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M=3.28). Upon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major had no difference while the effect of school year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lower regions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ll were above the average 3.0. Gender and school year we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global competence of key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major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had no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school year variab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r=.274) and key competencies (r=.168). Lastly, it was found that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of r=.475.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