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액체 로켓 엔진의 터보펌프 시동 방식 분류

        이항기(Hanggi Lee),신주현(Juhyun Shin),최창호(Changho Choi) 한국추진공학회 202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액체 로켓 엔진의 시동은 추진제를 연소기에 공급하는 터보펌프의 터빈 작동에서부터 시작한다. 터빈 작동 하는 방식에 따라 수두에 의한 시동 방식, 압축 가스 공급 방식, 고체 시동기 방식, 별도의 액체 연료 시동기 및 액체 하이퍼골릭 카트리지에 의한 시동 방식으로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시동 방식에 따른 특성과 적용 엔진을 사례로 하여 특징을 조사하였다. The start-up of the liquid rocket engine begins from the turbine operation of turbopump which feeds the propellants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ways of start-up of the turbine are classified 5 types such as Head start-up, Pressurized gas start-up(spin start-up), Pyrotechnics start-up, separate liquid propellants feeding start-up and Hypergolic cartridge start-up. This paper presente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art-up way and applied engines on each type.

      • KCI등재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정신과 창업기업역량 그리고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강현,이호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1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caused structural unemployment and job shortages in many countries.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job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Korean government also actively supports the start-up of the general public by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grams on entrepreneurship, corporate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are divided into entrepreneurship support, entrepreneurial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 mentoring support program.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hypothesized these 3 support programs ha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to start-up. In addition, we hypothesized the entrepreneurship influences the R&D capability, opera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f start - up companies and hypothesized that these 3 capabilities of these start - up companies will lead to positive firm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authors surveyed the start-up compan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are currently receiving help from business start-up companies, and tenant companies of business Incubation(BI) centers, senior technology start-up centers, and techno-park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90 entrepreneurs who has been in the business at pres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hypotheses are supported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support and entrepreneurship(hypothesis 3)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hypothesis 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various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grams affected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detailed capabilities of the start-up which have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It is likely that the direction of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the support policy of the start-up can be significant. 4차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른 경제구조의 변화는 많은 국가에서 구조적인 실업과 일자리 부족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에서도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일자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기관과 지자체들로 하여금 일반인들의 창업을 적극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 정신과 창업기업의 역량 그리고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 실증연구로 창업지원사업은 크게 창업교육지원, 창업재정지원, 창업멘토링 지원으로 나누고 이러한 지원사업들이 창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또한 창업가정신은 창업기업의 연구개발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창업기업의 역량이 창업기업의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창업기업들 중 창업선도대학사업, 창업보육센터(BI), 중장년기술창업센터, 테크노파크 등의 입주기업 또는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의 도움을 현재 받고 있거나 과거에 받았던 적이 있는 190개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창업멘토링지원과 창업가정신(가설3)의 관계와 생산역량과 창업성과의 관계(가설8)을 제외한 모든 가설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정부의 다양한 창업지원사업 중 창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는 점과,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기업의 세부역량을 규명하였다는 점으로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의 방향성과 지원정책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창업 Micro Degree 비교분석 : 국내 5개 대학 창업 및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를 중심으로

        김재현(Jaehyun Kim),조세현(Sehyun Jo)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창업 및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를 분석하여 특징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창업 Micro Degree 한남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목원대학교, 인하대학교와 창업·경영융합 Micro Degree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행 살펴본 국내 Micro Degree의 시사점은 첫째, 창업 Micro Degree는 가장 낮은 수준의 학습량을 요구하는 학위지만 특징 영역에서 전문성 높은 학위라는 이중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런 특성을 갖는 창업 Micro Degree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합리적 근거 마련과 사회적 요구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내 창업 Micro Degree 추진을 위해서는 사회적 ·정책적 환경을 조성하고 공동의 목표를 도출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창업 Micro Degree의 사회적 인식 재고와 정책 환경을 마련한 이후에는 창업 Micro Degree 도입을 위한 정책 운용이 필요하며 대학 등에서 창업 Micro Degree를 구현하고 이후에 중장기적으로 학점은행제의 시스템으로 확대 및 일 경험이나 학습경험을 인증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5개 대학의 사례분석으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지만, 일반화를 도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향후 대학의 창업교육의 다양한 활성화 모델 및 지원정책 등 창업 진화적 토대 마련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icro-degrees of domestic start-up, start-up, and management convergenc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s a plan to revitalize start-up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ase analysis by selecting Start-up Micro Degrees Hannam University, Busan Catholic University, Mokwon University, Inha Universit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Start-up and Management Convergence) Micro Degrees Hanyang University. The implications of Micro Degrees in Korea, which passed through this study, are that Micro Degrees require the lowest level of learning, but they have a dual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 degrees in characteristic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basis for why Micro Degrees are needed. Second, in order to promote micro-degrees for domestic start-up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nd policy environment and derive common goals. Finally, after establishing a social awareness inventory and policy environment for start-up Micro Degrees, a step-by-step approach is needed to implement start-up Micro Degrees in universities and other universities and expand them into a credit banking system and certify and integrate work or learning experience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due to cas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t provides a framework for deriving generalization and seeks to lay the foundation for start-up evolution, including various revitalization models and support policies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 분석을 통한 대학창업발전방안 연구: D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이성호,김정음,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which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major project of recent university policy, and to present policy tasks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by analyzing problems. A survey on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about start-up was carried out from 800 students including those on leave of absence at D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about start-up was highly positive due to various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from universities, but it was survey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till low willingness to challenge start-up. Second, the biggest reason why university students avoid the start-up is 'the risk of start-up failure' at 40.8%, followed by ‘Prioritizing getting a job' at 24.9% and 'lack of knowledge on start-up' at 13.4%. Also, difficulty from those who have already started business was mainly financing at 26.9%. The second was 14.0% for securing manpower, and the third was 11.8%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ird,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in the order of 'starting-up' > 'preparing to start-up' > 'no intention to start-up'.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motivation for various career choices' with 24.8%, followed by 'acquisition of various knowledge and skills for start-up' with 23.9%. Finally, effort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for start-up policies in universities and figure out the problems of the start-up support scheme. The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should reflect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ual policy consumers, by shifting away from the method provided by existing suppliers. 본 연구는 최근 대학정책의 주요 사업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인 D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다양한 창업교육과 지원으로 인해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대학생들이 창업에 도전하려는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기피요인으로는 ‘창업실패의 위험성’이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취업 우선’(24.9%), ‘창업지식 부족’(13.4%)이며, 창업 시 애로사항으로는 1순위가 자금조달 26.9%, 2순위가 인력확보 14.0%, 3순위가 기술개발 11.8%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의 필요성은 ‘창업 중’>‘창업 준비 중’>‘창업의사 없음’순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필요이유로는 ‘다양한 진로 선택에 대한 동기부여’가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이 23.9%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 내 창업정책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 및 창업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기존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정책 수요자인 대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 KCI등재

        창업경험자에 대한 기업채용 선호도의 인식조사: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비교를 중심으로

        허제인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eference of corporate recruitment can be achieved without any difference between the start-up experiencer and the general job see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start-ups that affect the preference of job seekers for compan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related to start-ups between general job seekers and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 Third, it is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between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s and general job seek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were entrepreneurship, motivation for start-up (job search),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b seekers (founde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job preference, and the moderating variables were presented as job seekers’ classification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 vs. general job see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ersonnel managers of 100 companies with more than 5 years of establishment and 100 new companies with less than 5 years of establishmen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two types, and 189 respondents, including 101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s and 88 general job seeker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oth experienced start-up experiencers and general job seekers, only entrepreneurship had an effect on preference for recru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eekers' classification was foun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start-up and preference for employment.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tart-up experiencer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start-up, the preference for recruitment, the characteristics of founders and the preference for recrui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and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were rejected.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general job seekers showed that the motivation for job search decreased the preference for employment. The study did not provide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traditional enterprises and venture businesses due to the limitation of small examples.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tart-up experiencers either. Howev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when the start-up experiencers close their start-ups and turn their career into employment and to help them to accurate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t also provides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job seekers for the company, the preparation for successful employ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art-up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기업의 채용선호도는 창업경험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차이 없이 입사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구직자에 대한 기업의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 둘째 일반 구직자와 창업경험이 있는 구직자 간의 창업 관련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셋째 창업경험 구직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채용선호도 차이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는 기업가정신, 창업동기, 구직자특성으로 하고 종속변수로는 채용선호도로 설정하였으며, 조절변수로는 구직자 구분(창업경험자 vs 일반구직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설립 연도 5년 이상의 기업 100개, 설립년수 5년 미만의 신생기업 100개의 인사담당자이며 설문지는 총 두 종류로 배포되어 최종적으로 101명, 일반 구직자 88명 총 18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모두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정신만이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자 구분의 조절효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 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셋째, 창업경험자를 기준으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와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는 기각되었다. 넷째, 일반구직자를 기준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 구직동기가 오히려 채용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적은 표본과 다양한 업종과 전통적 기업과 벤처기업의 인식차이 결과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경험자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창업경험자가 창업을 접고 자신의 진로를 취업으로 전환하였을 때 어떠한 준비를 하면 되는지에 대하 시사점과 기업가정신의 중요성과 일반 구직자들도 기업이 선호하는 채용선호도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성공적인 취업을 준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창업 활성화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세제의 개선방안

        김철권,이상신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2

        Improvement for Start-up Small Business Tax Benefit This article is to study on improvement for start-up small business tax benefit in korea. There are many issues if it is right or not to give a tax benefit for start-up small business. But many country have given the tax benefit for start-up small business, the tax benefit will do. This article treat start-up small business tax benefit from three points, these are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investor and assistance for it. First, it study what are the tax benefits for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the tax benefits for start-up small business itself. Second, it treat investors to start-up small business. These investors are for example personal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investment company for start-up small business and so on.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the tax benefits for these investors. Third, it study assistances for start-up small business, and it present reform measures of assistances for start-up small business.

      • KCI등재

        창업교육 전후 여대생의 창업역량 변화연구

        조명기 ( Myeonggi J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 창업교육 활성화와 맞춤형 역량개발을 위해, 창업교육이 여대생들의 창업역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여대생들에게 실제 필요한 창업역량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여자대학교 교양수업 창업교과 수강생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36명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역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성취역량, 창의성역량, 개념화역량, 사회화역량 등 4개 역량 18개 항목을 가지고, 여대생들의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역량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창업교육 이전과 이후 2회에 걸쳐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창업역량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념화 역량의 경우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려워하는 부분으로 나타나 향후 대학의 창업교육이 여대생들의 역량개발에 있어 선별적으로 이뤄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창업계획대비 창업상담을 받은 여대생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창업교육에 있어서 창업상담이 반드시 동반되어 진행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revitalize start up educ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develop customized competency,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the start up education affects the start up competency and what kind of start up competencies are actually neede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255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attending the start up courses at K university as liberal arts and 13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This study measured changes of competency importance level and current competency level before and after start up education using Likert scale by examining 18 items of 4 competencies including achievemen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conceptualization competency and socialization compet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tart up competencies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ed as being important. It was shown that college start up education should be selectively carried out in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because they regarded conceptualization competency as being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It was also shown that start-up counseling must be accompanied in future start-up education because there were relatively few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start-up counseling compared to the start-up pla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창업활성화를 위한 창업 관련 법제 개선방안

        한정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아주법학 Vol.14 No.3

        Since its enactment,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stablishment Act(hereinafter "the Act")」 has been amended numerous times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national start-up policy and various the political and social needs. The Act is an important law that supports start-up businesses from its preparation stage to re-start stage, and is actually being applied throughout various stages of start-up; a number of laws concern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ite or relate to this law. The contents of the law regarding support of start-up businesses depend on policy judgment. Thus, this report deals with ①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start-up,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definition of "business start-up" and "business starter" in the Act, and ② the matter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start-up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echnology start-up to cope with the era of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reviews ③ the matters regarding promotion of start-up through improvement of start-up procedure, which corresponds to the act of registration of a private business and incorporation of a corporation. First of all, this report establishes the need for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business starter" to mean a new establishment and suggests the criteria for its judgment registration for a corporation and business license registration for a private business owner. In addition, with respect to business starters, this report provides a review on the ways of interpreting specific exceptions from start-up in the current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Next, in order to introduce the legal concept of technology start-up, this report emphasizes that categorization based on the degree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and knowledge-intensiveness must be made possible.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eed to include the current contents of the technology start-up related laws, a method of actual screening, instead of an approach based on classification of industry, must be employed. With respect to the procedure of start-up, this report suggests a way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 current provision on corporation registration by excluding seal imprint,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ffectiveness of seal imprint, which current provision on corporation registration customarily requires. 「창업지원법」은 제정이후 국가의 창업 정책 변화 및 여러 가지 정치적·사회적 개정 수요를 반영하여 수차례 개정을 거쳐 왔다. 「창업지원법」은 예비창업자부터 창업자, 재창업자를 모두 지원하는 법으로 실제 창업 전반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 법을 인용하고 있는 중소기업 관련 법령이나 그 밖의 관계 법령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중요한 법률에 해당된다. 실제 창업자에 대한 창업지원 관련 법률의 내용은 주로 정책적 판단에 따른 것이므로 ① 「창업지원법」의 창업, 창업자 정의 규정 개정에 따른 창업 인정 범위의 확대와 ② 디지털 경제체제로의 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창업 개념의 도입으로 인한 창업활성화에 관한 사항을 다루고, 실제 개인사업자 등록과 법인설립 행위에 해당하는 ③ 창업절차의 개선을 통한 창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였다. 우선 창업, 창업자 정의에 대해서는 창업을 ‘새로 설립’에 해당하는 것으로 명확히 하면서 그 판단기준을 법인인 경우 등기, 개인사업자인 경우 사업자등록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정리하였고, 창업자에 대해서는 현행 「창업지원법 시행령」의 구체적인 창업 제외사유의 해석에 대한 기준을 새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기술창업을 법적인 개념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정도, 지식집약정도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여야 한다. 현재 기술창업 관련 법령에서 포함하고 있는 내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단순히 업종의 분류에 따른 접근 방식이 아닌 실질 심사가 가능한 방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창업절차의 개선에 대해서는 법인설립 과정에서 관행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인감증명서에 대한 실효성 검토를 바탕으로 제도적 개선방식으로서 인감증명을 제외하는 법인등기 관련 규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자이너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모델 제안

        유승환 ( Yoo Seung Hwan ),유보현 ( Yoo Bo Hye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오늘날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적 사고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업의 기회가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의 다양하고 세분된 욕구를 만족시키는 디자인 창업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충분한 사전 조사와 준비가 부족한 상태로 사업 아이디어만 가지고 창업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대학교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비즈니스모델, 투자유치, 운영 등의 창업 후, 경영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취업이 어려운 오늘날의 현실에서 대학의 창업교육과 그 역할은 청년 실업 문제해결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창업을 위해 대학교 내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으로 대학교의 디자인 창업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 전공자에게 필요한 창업 지식과 기술의 차이를 확인하고 국내 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 사례와 정부 지원창업교육사업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키워드와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키워드와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디자인 전공자들을 위한 창업교육이 융합된 디자인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성공적인 디자인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디자인 창업교육을 위한 교육모델이 디자인 창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디자인 창업교육을 위한 국내 대학교의 디자인교육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oday, even in the design field, opportunities for start-ups are expanding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processes, 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design start-ups are meeting the diverse and granular needs of customers. However, designers often start their own businesses with only business ideas, lacking sufficient preliminary research and prepar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opportunity to acquire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management after starting a business model, investment attraction, and operation in the design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today's reality, where employment is difficult, the start-up education and its role are also very important for solving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llege's design start-up education program model as an alternative to what should be taught in the design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design start-ups.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start-up knowledge and technology required by design major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sign curriculum cas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government-sponsored start-up education projects, and derived keywords and necessary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through case studies, the company aims to create a foundation for successful design business by presenting a model of design curriculum that combines start-up education for design majors by deriving keywords and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start-ups.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 model for design start-up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start-ups and be used for design education at domestic universities for design start-up education.

      • KCI등재

        초기 창업기업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 조절효과

        정경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was proceed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art-up support policy as an element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arly start-ups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tart-up support policy,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future policies according to the study. To accomplish this the influence of the start-up support policy on the early start-up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collected real data of 297 start-ups of the past three yea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Initial Start-Up Package project, and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sales had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rt-up fund,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space), while start-up education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sales. In terms of employment, start-up mentoring was the only field tha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art-up’s industry and growth stage, the industr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but the interactive effect was seen in start-up education. To be more specific in terms of the sales relationship of each industry, knowledge services turned out to be helpful in improving sales, while manufactur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ales regardless of being supported with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 (space). The sales relationship regarding the start-up growth stage was ident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liminary s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roviding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funding were effective for start-up stage and growing stag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mployment did not perform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rt-up growth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the start-up support policy for early start-ups, identifies the need in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policies should be made towards.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현재의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업지원정책이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창업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선정된 최근 3년간 창업기업 297개의 실제 테이터를 수집하여, 변수 간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의 영향 관계 확인 결과, 매출은 창업자금, 창업멘토링, 창업인프라(공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반면 창업교육은 매출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고용은 창업멘토링만이 유의한 영향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업업종과 창업성장단계의 조절효과 확인 결과, 창업업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창업교육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업종별 매출 관계는 지식서비스는 창업교육이 매출향상에 도움을 주며, 제조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인프라(공간)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매출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성장단계별 매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예비단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창업단계는 창업멘토링 지원, 성장단계는 창업자금 지원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용은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대상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창업기업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