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 및 사회인지 요인 분석

        전은혜,조영남,정재훈,오태형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cognition affe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ethods: 32 MCI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CSOA), and we administered a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Social Skills Scale(SSS), and the Independent Living Skill Survey(ILSS) for collecting data on social cognition and Korean Activity Card Sort(K-ACS)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data analysis, we implemented a descriptive statistic,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correlates with Full scale IQ(FIQ), Basic IQ(BIQ), Executive IQ(EIQ), Working Memory Index(WMI), Visuospatial Function Index(VFI), Memory Function Index (MFI),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1(MMSE-K1). EIQ and FIQ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other cognitive functions. In social cognition, we found that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correlates with the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SSS, and the ILSS. Emotion recogn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Conclusions: Interven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in MCI patients is needed to systematic approach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cognition. In particular EIQ, FIQ, emotion recogn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considered. 목적: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사회인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대구지역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32명을 대상으로 노인용 인지검사(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를 이용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Faces test, Picture sequencing test, 사회생활기술 척도(Social Skill Scale; SSS), 대인관계기능 척도(Independent Living Skill Survey; ILSS)로 사회인지를 검사하였다. 대상자의 사회참여는 한국형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의 사회활동 항목을 이용하였다. 사회참여와 인지기능 및 사회인지와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사회인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중 전체지능, 기초지능, 관리기능, 작업기억, 시공간력, 기억기능,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1: MMSE-K1)가 사회참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관리기능과 전체지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인지의 모든 검사가 사회참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중 정서재인과 대인관계기능이 사회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사회참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인지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며, 이를 위해 관리기능, 전체지능, 정서재인, 대인관계기능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와 중재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Ⅰ. 1차 연구

        권정혜,고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ed by Kwon(2000).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helping schizophrenic patients perceive social situations accurately, understand the interpersonal implications of given social situations, and express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s which are socially appropriate. Four clinical trial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on schizophrenic patients' soci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s. Fo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dministration, participants were five, eight, six, and six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respectively, who were attend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center. They attended ten weekly 60-min-sessions of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who were institutionalized chronic schizophrenia was compared to the third and fourth treatment group. Both group were administered and rated on the picture arragemenet subtest of KEDI-WISC, Social skills inventory, Interpersonal functioning Inventory, and Social percept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of covaria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skills, but not in enhancing social cogn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형에 대한 고찰

        홍영근(Young-Keun Ho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형들을 종합 정리하고,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자료조사를 위해 인터넷 검색을 실시하였고, ‘Model of social anxiety disroder’,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형’ 등을키워드로 하여 검색한 결과 12가지의 사회불안장애 관련 모델이 있었으며, 그 중 5개가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5개의 모델은 Beck, Emery, Greenberg(1985)의 모형, Clark과Wells(1995)의 인지모형, Rapee와 Heimberg(1997)의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형, Hoffman(2007)의 인지모형, Clark과 Beck(2011)의 사회불안장애의 인지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5개의 모형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장애가일어나는 인지적 과정을 살펴보고, 각 모델의 공통점과 차이점,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시사점과 의미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tosummarize it, and to identify improvements. Internet 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data.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he cognitive modelof social anxiety disorder’ with keywords, there were a total of 12 models related to socialanxiety disorder, and 5 of them were related to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There were Beck, Emery and Greenberg(1985)’s a cognitive model, Clark and Wells(1995)’s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Rapee and Heimberg(1997)’s a cognitive-behavioral modelof anxiety in social phobia, Hoffman(2007)’s a cognitive behavioral model of social anxietydisorder, and Clark and Beck(2011)’s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the five models. In this study, the cognitive process of social anxiety disorder in each selected model wasexamined, and th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improvements of each model wereexamined.

      • KCI등재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민문경,이나빈,안현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4

        This purpose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y on social justice commitment from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Specifically, we examined how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affect social justice commitment through social justice self-efficacy, social justice outcome expectation, and social justice interest which represent a social-cognitive path of behavior. Based on the self-report survey sample of 537 people in their twenties, we first controlled social desirability, and then analyzed the measurement and structure model using Structure Estimate Modeling(SEM).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directly affected social justice commitment through the path of the social-cognitive model. However, affective empathy had a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cognitive empathy.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competence has an effect on not only general altruistic behavior as known before but also social justice behavior which include the value of 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Finally, ways for facilitating social justice commitment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사회 정의 자기 효능감, 사회 정의 결과 기대, 사회 정의 관심이라는 사회 인지적 기제를 통해 사회 정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53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 질문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한국어판 공감 지수 척도를 포함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뒤 연구 모형을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공감에 비해 정서적 공감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인 모두 사회 정의 실천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특별히 사회 인지적 기제를 거쳐 간접적으로 사회 정의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능력이 일반적인 이타행동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의 개념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실천 역시 예측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서적 또는 인지적 공감의 측면에서 사회 정의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생의 인터넷 중독 성향에 따른 사회인지능력: 정신건강, 지능발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신초희 ( Cho-hee Shin ),이경숙 ( Kyung-sook Lee ),변종석 ( Jong-seok Byu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아동의 사회인지능력, 정신건강, 지능발달을 측정하여, 일반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중독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신건강, 지능발달이 사회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중 중독아동 13명과 일반아동 27명으로 총 40명이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일반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집단 간 차이는 t-검증으로, 변수간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는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사회인지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의 하위요인을 비교해 보면, 중독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사회성이 낮고, 과잉행동 문제, 또래문제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능발달의 하위요인에서는 주의집중 요인에서 중독아동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아동의 인터넷 중독 성향 중 가상적 대인관계 지향성과 일탈행동이 사회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아동의 정신건강 중 품행문제가 사회인지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독아동의 정신건강 중 사회성이 사회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중독아동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social cognition abiliti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addicted to the Internet by Happe's Strange Stories Test, and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et use habits, mental health,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on social cognition abilitie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fifth and six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 of addiction to the Internet: the addicted group of 13 children and the normal group of 27 childre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dicted children showed a lower level of social cognition abilities than normal children. In the sub-domain of mental health, addicted children showed a lower level of pro-social behaviors and a higher level of problems in hyperactivity and peer relations than normal children. They also showed a lower level of attention in the sub-domain of intellectual development than normal children.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Internet use habits on social cognition abilities, deviant behaviors and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ognition. Thir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ehavioral problems and social cognition abilities. Fourth, no signifi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ro-social behaviors and social cognitio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s findings contribute to in-depth understanding of children addicted to the Internet use.

      • KCI등재

        ERP시스템 사용자 인지가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신근(Song, Sin Geun),원지영(Won, Ji Yo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ERP시스템 사용 전 사용자 인지가 사용 후 사용자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 후 사용자 인지가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 전 사용자 인지와 사용 후 사용자 인지 간의 관계에서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조절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 사용 전 인지에 유용성 기대와 태도를, 매개변수로 사용 후 인지에 기대일치와 사후 유용성, 종속변수로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절변수로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용 전 인지 중 유용성 기대는 사용 후 인지 변수 중 사후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기대일치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 후 인지는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전 인지와 사용 후 인지 간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기대일치에 대해 시스템 상호작용만 태도와 정(+)의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대일치, 사후 유용성,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직접효과 분석을 위한 추가분석에서 기대일치와 사후 유용성에 대해서는 사용 전 사용자 인지보다 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대해서는 시스템 상호작용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아주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RP시스템의 사용 전 초기단계의 인지인 유용성 기대와 태도가 사용 후 후기 단계의 인지인 기대일치 및 유용성에 대한 확인과정을 통해서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를 결정하게 하는 기준점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사용 후 사용자 인지는 사용 전 사용자 인지보다 시스템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도 이들 변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사용자들의 업무편의성을 지닌 ERP시스템 도입과 ERP시스템 활용 조직문화의 정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RP system pre-usage user"s cognition on post-usage user"s cognition and the effects of post-usage user"s cognition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also analyze that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have moderat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usage user"s cognition and post-usage user"s cognition. Pre-usage cognition, usefulness expectation and attitude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post-usage cogniti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ost-usefulness are used as parameter, and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are used as moderat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fulness expectation has effect on post-usefulness, attitude has effect 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ost-usage cognition has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nly system interaction has positive moderate effect with the attitude to expectation confirmation. In terms of additional analysis for the direct effect analysis of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on expectation confirmation, post-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for the expectation conformance and post-usefulness had more significantly effects than pre-usage user"s cognition. Fo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system interaction had significantly effect. It shows that the usefulness expectation and attitude perform a role of reference point to decid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ss for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usefulness. However, the post-usage user"s cognition is influenced by the system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rather than the pre-usage user"s cognition. And also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re seriously affected by these variabl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useful ERP system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stablishing ERP systems are most important.

      • KCI등재

        조현병 환자를 위한 마음이론 향상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김신향,이원혜,권정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2 No.3

        People with schizophrenia show major deficits in social cognition, especially theory of mind (ToM). Social cognitive deficits are promising treatment targets for new interventions to improve functional outcome in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Social-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This program was modified from the original version, developed by Kwon (2003) and verified by Choi and Kwon (2006), especially for improvement of theory of mind. The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was composed of 16 sessions, including 14 sessions dealing with faux pas, hidden intentions and emotions and one session each for orientation and ending. The aim of the program was to help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to enhance social cognition including theory of mind and ultimately to promote daily social skills and interpersonal ability. The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was compared with treatment as usual within a two group pre-post design in 52 people with schizophrenia in the community. Theory of mind, social cognition and functional outcom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eight week training phase. Pati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ory of mind and social skill abilities after the program, but not in general social cognition and interpersonal abilitie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theory of mind could be improved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by implementation of a social 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focused on theory of mind. Conduct of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enhanced theory of mind will have an effect on general social cognition.

      • KCI등재

        사회인지 관점에서 본 연극치료의 역할 경험 : 대인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정은선(Jung, Eun Sun)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인지심리학의 대인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연극치료 역할 경험의 사회인지적 요소를 살펴보고 연극치료가 내담자의 사회인지의 발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극치료의 사회인지 관점의 필요성을 점검하고, 사회인지의 의미와 범주화, 대응추론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인정보처리 모델 중 이중처리 모델과 연속체모델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또한 연극치료 분야의 역할 모델과 연극치료 과정에서 역할 경험에 내포된 사회인지적 요소를 연극치료 사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연극치료가 내담자의 사회인지적 발달이나 회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극치료는 내담자에게 극적 역할 즉, 현실의 역할을 극적 은유로 치환한 새로운 범주를 제시하여 자신과 타인의 각각의 속성과 관계성을 새롭게 각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역할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재범주화, 역할 구현을 통한 사회적 범주의 활용, 극적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대상 인지의 정교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극치료는 사회인지의 발달이 촉진될 필요가 있는 내담자에게 치료적으로 조직화된 극적 환경을 제공하여 부족한 사회적 경험을 효율적으로 경험하고 평가하여 사회인지를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social cognitive element of drama therapy role experience based on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and to explore how the drama therapy contributes to the counselee 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For thi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needs of drama therapy s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and observed the social cognitive meaning and categorization and the concept of correspondent inference. And the researcher observed in brief the dual process theory and continuum model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Also, observing through the drama therapy case the social cognitive element implied in the role experience in the role model and drama therapy process, the researcher explored how the drama therapy contribute to counselee 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or recovery. The drama therapy presents to the counselee the new category that replaced the dramatic role, namely the reality role in dramatic metaphor,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hat can awaken each property of his and of the other, and its relationship. This is made by the objective cognitive elaboration process through the social recategorization based on the role, the utilization of social category through the role realization and the interaction of dramatic situation. The drama therapy provides the dramatic setting therapeutically organized to the counselee who should promote the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so that he could experience and evaluate efficiently the deficient social experience, and reorganize the social cognitive.

      • KCI등재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향군의 사회인지 결함

        윤민혁,이종환,임종민,곽호완,장문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cognition defici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both K-MASC which is an integrative measuring tool for social cognition and SCORS-G using TAT, retesting the conflicting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 group of participant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ies (n=37) and a control group (n=38) were selected based on PAIANT scores, after carrying out a survey that consisting of PAI and TCI among 494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SCORS-G using TAT and K-MASC was administered and social cognitive ability was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Thereafter,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through a MANCOVA,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isoci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social cognition.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endencies displayed an overall deficit in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social cognitive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after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ly in the cognitive aspect of social cognitive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endencies are likely to display an overall deficit in social cognitive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cognitive aspect of this ability is the core deficit related to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KCI등재후보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수용의 매개효과 및 자기자비 처치효과 탐색

        백소영,하현주,권석만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being self-compassionate on social anxiety. For this, we investigated whether self-compassion would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whether the efficacy of self-compassionate imagery treatment was efficacious in reducing one’s social anxiety levels. In study 1, self-repor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36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and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 higher self-compassion score was related to a lower social anxiety score.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self-compassion could have an impact on social anxiety by facilitating social anxiety acceptance. Study 2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mpassionate imagery treatment on relieving social anxiety relative to one that focuses on cognitive-restructuring. Thirty-two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with social anxiet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self-compassion or cognitive-restructuring) and practiced each treatment for a week. As a result, the self-compassion group showed a reduction in social anxiety, albeit a non-significant one. On the other hand, the cognitive-restructuring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nxiety about being observed and performing in front of others. After these two groups were comb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elf-compassion and change in social anxiety was analyzed, these two values were negatively related. Thus,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social anxiety and whether a brief self-compassion intervention was efficacious in improving self-compassion and relieving the symptoms of soci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자비 심상 처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여 자기자비가 사회불안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자비가 사회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자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사회불안수용이 매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 32명을 자기자비 조건 또는 인지재구성 조건에 무선 할당하여 해당 처치를 일주일 동안 연습하게 하였다. 처치 후, 인지재구성 집단은 두 종류의 사회불안(관찰되거나 수행하는 상황에 대한 사회불안과 상호작용 상황에 대한 사회불안) 중 관찰되거나 수행하는 상황에 대한 사회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기자비 집단은 두 종류의 사회불안 모두 감소 경향성만을 보였다. 두 집단을 통합하여 사전-사후 변화량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자비의 변화량과 사회불안수용의 변화량이 사회불안의 변화량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