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판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
권석만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1994 心理科學 Vol.3 No.1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Beck의 인지이론에서 우울증의 인지적 취약성으로 주장되고 있는 역기능적 신념을 측정하는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한국판을 제작하고 그의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번안된 역기능적 태도척도에 대한 자료는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결과, 한국판 역기능적 태도척도는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공존타당도와 구성타당도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과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를 반영하는 두 요인이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과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Beck's cognitive theory of depression maintains that dysfunctional beliefs represent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deprression. The Dysfunctional Attitude Scale(DAS) is known to be the most popular instrument to assess dyfunctional beliefs.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nstruct the Korean version of Dysfunctional Attitude Scale(K-DA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Subjects were 330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K-DAS has high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as well as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lity. The K-DAS was also found to have two factors which reflect 'Achievement-orientedness and Autonomy' and 'Social dependency and Affectional Desire'.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ome limitations of the DAS were discusse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Version: Examination of a Method Factor
권석만,Young-Jin Lim 한국사회과학협의회 2007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Vol.34 No.2
The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Version (STAI‐T) were examined in two college student samples in Korea. We demonstrated method effects due to the inclusion of reverse‐scored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single factor model with method factor. This indicates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I‐T (K‐STAI‐T) can be contaminated by method effects and response patterns are different between non‐reversed and reverse‐scored items. Thus, the relevance of reverse‐scored items in the K‐STAI‐T is questioned.
권석만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1998 심리학의 연구문제 Vol.- No.5
불교수행법은 고통스런 삶으로부터 해방된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불교의 주된 수행법은 팔정도, 육파라밀(六波羅蜜), 삼학, 지관법, 참선법 등으로 요약된다. 본고에서는 삼학 즉 계·정·혜에 초점을 맞추어 불교수행법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계는 수행자가 지켜야 할 행동적 실천규범으로서 욕망이 절제된 청정한 생활을 지향하고, 정은 한 대상에 의식을 집중하는 지법을 통해 고요하게 안정된 심리상태를 추구하며, 혜는 자기내면을 철저하게 관할하는 관법을 통해 인간존재의 실상에 대한 통찰을 지향한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삼학은 심리적 고통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행동적 절제, 정서적 안정, 그리고 인지적 통찰에 이르는 세 측면의 수행노력으로 이해된다. 계·정·혜 수행의 각각에 대해서 그 심리적 기능을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심리치료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