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본조통감』의 상대(上代) 기년(紀年)과 외국 사서의 수용 - 『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

        박대재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4

        Comparisons between the records in the Nihon shoki (日本書紀) and foreign history books such as Dongguk tonggam (東國通鑑) or Songshu (宋書) in Honcho tsugan (本朝通鑑) published in 1670 have naturally revealed the problems in the Nihon shoki ’s calendar era. When Dongguk tonggam was introduced in Japa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was used as a material to compare and check the calendar era of the Nihon shoki . Honcho tsugan is the first evidence to show the influence of Dongguk tonggam to the Japanese academic circle in the process of reconsidering the Nihon shoki’s calendar during the early Edo period. The method of Honcho tsugan that estimated the date by comparing the Nihon shoki and Dongguk tonggam became a groundwork for Arai Hakuseki (新井白石)’s skeptical theories about the Nihon shoki’ s calendar era. Considering that these theories evolved into Naka Michiyo (那珂通世)’s proposal to adjust the calendar (by adding two sexagenary cycles) later,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in historiography cannot be neglected. 1670년 편찬된 『본조통감』에서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이나 『송서』 등 외국사서의 기록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일본서기』 기년상의 문제점이 자연스럽게노정되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동국통감』이 일본에 전해지면서 『일본서기』 의 기년과 비교·검토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었다. 에도시대 초기 『일본서기』 의 기년을 재인식하는 과정에서 『동국통감』이 일본 학계에 미친 영향을 제일 먼저 보여준 것이 바로 『본조통감』이다.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을 비교한 『본조통감』의 기년 비정 방식은 18세기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등의 『일본서기』 기년회의론의 발판이 되었고, 19세기 말 나카 미치요[那珂通世]의 기년수정론으로 발전하였다는 데 사학사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호쓰치노오지(塩土老翁)’의 ‘오지(ヲヂ)’ 고찰

        조유미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7

        This article is a discussion of the god name “Woji” in “Shihotsuchi-no-Woji” that appears in the myth of “Nihon Shoki”. This i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god name “Woji” was given separately from “Kojiki”, and to understand what “Nihon Shoki” tried to do through this. Since “Shihotsuchi-no-Woji” appears in several stages in “Nihon Shoki”, it is considered that expectations and peculiarities for his existence are imposed. N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ji” found in the god name of “Shihotsuchi-no-Woji” in “Nihon Shoki” and the elderly, the definition of “Woji” as an old Japanese and the kanji “Old man” are changed to “Woji”. Let's look at an example that reads. Also, if the word “Woji” itself has little relevance to the elderly, what is the effect that the authors of “Nihon Shoki” can obtain by giving the title “Woji”, and what is the name of this god? The purpose is to clarify whether you tried to put it in. Also, by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reading “Woji to read” and the meaning of “Wo” written in “Woji”, the old man whose “Nihon Shoki” has deteriorated. Consider that he tried to draw as a wise god with the image of a middle ag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work to reconfir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that has recognized “Shihotsuchi-no-Woji” as the god of the elderly, and also an attempt to approach the contemporary idea of ​​recognizing “old age”. 본고는 『니혼쇼키(日本書紀)』 신화에 등장하는 ‘시호쓰치노오지(塩土老翁)’의 신명 ‘오지’에 대한 고찰이다. 이는 『고지키(古事記)』와 달리 ‘오지’라는 신명을 붙인 점에 주목하여 『니혼쇼키』가 이를 통해 무엇을 꾀하고자 하였는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시호쓰치노오지’는 『니혼쇼키』에서 여러 단에 출현을 보이기 때문에, 그의 존재에 대한 기대와 특별성이 부과되어 있다고 본다. 『니혼쇼키』 속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호쓰치노오지의 전승 속 역할을 분석하며 필수불가결의 요소로서 그의 존재를 확인해 본다. 시호쓰치노오지가 등장한 두 문헌의 전승 속 키워드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니혼쇼키』가 그를 노인으로서 그리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니혼쇼키』의 ‘시호쓰치노오지’의 신명에 보이는 ‘오지’와 노인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대어로서의 ‘오지’의 정의, 한자 ‘노옹(老翁)’을 ‘오지(ヲヂ)’로 읽는 용례 등을 살펴본다. 또한, ‘오지’라는 용어 자체에 노인과의 연관성이 희박하다면, 『니혼쇼키』 필자군이 ‘오지’라는 칭호를 붙임으로써 얻는 효과는 무엇인지, 이 신의 신명에 무엇을 담으려 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오지로 있으라’는 읽는 법이 기록되어 있는 의미, ‘오지(ヲヂ)’에 와(ワ)행의 ‘오(ヲ)’가 쓰인 의미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니혼쇼키』가 노쇠한 늙은이가 아닌 장년의 이미지를 지닌 지혜로운 신으로 그리고자 했음을 고찰한다. 이는 ‘시호쓰치노오지’를 노인 신으로서 인식해 오던 종래의 해석을 재확인하는 작업이며, 나아가 ‘늙음’을 인지하는 당대 사상에도 접근해 볼 수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사료로 본 백제 熊津시기 왕계

        박재용(Park, Jae-Yong)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1 No.-

        백제왕력과 관련된 『일본서기』 기사는 크게 120년 내려야 『삼국사기』 와 맞는 부분과 120년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일본서기』편찬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쳤음을 말해주며, 120년 차이가 나는 백제계 자료와 중국측 자료를 이용하여 왜국의 초기 대외관계기사 등에 사실성을 부여하고자 한 데서 비롯된다. 개로왕과 문주왕, 곤지의 관계는 모두 형제관계이다. 개로왕과 문주왕을 나타내는 ‘母弟’는 『일본서기』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同母弟’임을 밝혔다. 문주가 왕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개로왕 직계의 사망과 함께 곤지의 백제 국내 부재라는 배경이 있었다. 문주의 뒤를 이은 인물은 장자인 삼근왕이다. 한편 곤지는 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무령왕과 동성왕을 낳았다. 먼저 무령왕의 출자와 관련하여 『일본서기』 본문에는 개로왕의 자식으로, 분주로 인용된 『백제신찬』에는 곤지의 자식으로 나오지만, 후자가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일본서기』 본문에서 무령왕을 개로왕의 자식이라고 기록하게 된 것은 한성백제와 웅진백제 양 혈통의 정당한 계승자로서의 무령왕의 모습을 부각시키고자 백제왕씨를 비롯한 백제계 씨족(倭君씨)이 『일본서기』 편찬과정에 관여한 결과이다. 그 과정에서 당시 백제계 씨족들과 잦은 교류를 가졌던 藤原不比等의 탄생담을 모티브로 개로왕의 임신한 부인을 곤지에게 하사했다는 무령왕의 출생담이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삼근왕의 뒤를 이은 동성왕은 무령왕의 이모제였다. 동성왕은 왜국에서 태어나 자라다가 삼근왕이 사망하자 귀국하여 즉위하였다. 동성왕의 즉위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지만, 이모형인 무령왕의 모계 문제와 국내외 세력의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된다. The entries in Nihon shoki that relate to the chronology of Baekje’s kings can be divided into those chronologies which maybe matched with those in the Samguk sagi, only if the former 120 years are deducted from its chronicle and others which do not require the arrangement of 120 years. This suggests that the compilation process of Nihon shoki took many steps, since the text was intended to add factuality to the initial articles of Japanese foreign relations by using data from Baekje and Chinese texts with the interval of 120 years between them. King Gaero had sibling relationships with King Munju and Gonji. “Moje” (母弟), representing King Gaero and King Munju, was identified as “Dongmoje” (同母弟) by investigating cases included in Nihon shoki. Munju could become the king due to the death of a direct descendant of King Gaero and the absence of Gonji in Baekje. It was King Samgeun, the first born son of King Munju, who succeeded to King Munju. Meanwhile, Gonji gave birth to King Muryeong and King Dongseong, while settling in Japan. First, King Muryeong is described as a son of King Gaero in the Nihon shoki, while he appears as a child of Gonji in Baekje sinchan. The latter case is likely to be true. Nevertheless, he was recorded as a son of King Gaero in Nihon shoki, as the Baekje descent group, including the Kudaranokonikisk, was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Nihon shoki, in order to highlight the identity of King Muryeong as a valid successor of two lineages, Hanseong and Woongjin Baekje. King Muryeong’s birth tale in which King Gaero granted his pregnant wife to Gonji seem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process, with the motive of the other birth tale of Fujiwara Fuhito 藤原不比等(Fujiwara Fuhito) as Fuhito often interacted with Baekje’s clans at that time. King Dongseong, who followed King Samggeun, was Imoje of King Muryeong. He was born and raised in Japan, and then returned to Baekje and acceded to the throne when King Samgeun died. Although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Dongseong, his enthronement may have been possible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aternal line of King Muryeong, Imohyeong,and the support of domestic and foreign forces.

      • KCI등재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홍성목(Hong, Seong-Mok)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4 No.-

        本稿は『日本霊異記』の収録した説話の中に現れる「術」という表記について、『日本書紀』や『萬葉集』など上代諸文献の記述と比較、検討し古代韓日交流の痕跡を探そうとしたものである。 『日本書紀』の中の「術」の記録を調べてみると、百済と高句麗、即ち韓半島と関係のある記述のみ「人知をこえた不思議な力」という意味に使われていた。また『萬葉集』の場合にも吉田宜という百済出身の帰化人によって日本に紹介され伝えられていると思われる。『日本霊異記』でも『日本書紀』や『萬葉集』の例と同じく、「術」を「人知をこえた不思議な力」という意味で使われた場合、上巻28話、下巻38話のように、漏れなく大陸の呪法·呪術に限られている。『三国遺事』も同様であった。 すなわち『日本霊異記』の成立した9世紀初頃までは、日本の諸記録の中に「術」が使われた場合、韓半島の術、または韓半島を経由して日本に伝わったと思われる中国(道教)の術のみ「術」の文字を用いていたと思われる。これは当時の韓日交流と文化の伝達をよく表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notation “jutsu” that appears in the narratives recorded in “Nihon Ryouiki” with the descriptions in various literatures of the ancient times such as “Nihon Shoki” and “Manyoshu”, and traces of ancient Korea-Japan exchanges. Examining the record of “jutsu” in “Nihon Shoki”, only the description related to Baekje and Goguryeo, that is, the Korean Peninsula, was used to mean “mysterious power beyond human knowledge.” Also, in the case of “Manyoshu”, it seems that it was introduced to Japan by a naturalized person from Baekje named Kitta Yoshida. In “Nihon Ryouiki”, as in the examples of “Nihon Shoki” and “Manyoshu”, when “jutsu” is used to mean “mysterious power beyond human knowledge”, it is limited to continental spells and spells without omission, as in the case of the Zyokan episode 28 and the Gekan episode 38. The same was true for “Sankokuizi”. In other words, until the beginning of the 9th century, when “Nihon Ryouiki” was established, if “jutsu” was used in Japanese records, it would have been transmitted to Japan due to the mysterious power of the Korean Peninsula or via the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only the Chinese (Taoist) mysterious power used the word “jutsu”. This is thought to be a good representation of the exchange and culture of Korea and Japan at that time.

      • KCI등재

        『일본서기』 소재 ‘임나 4현 할양’기사의 재해석

        위가야 ( Wee¸ Ka-ya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8

        이 논문은 ‘임나 4현 할양’ 기사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점검하여 각각의 異見을 통해 확인된 ‘위치 비정’의 난맥상을 확인한 후, 관점을 달리하는 ‘임나 4현 할양’ 기사 이해를 시도해 보려 한 것이다. 관점을 달리한다는 것은 『일본서기』의 내용에 ‘사실’과 ‘인식’이 섞여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합적 반영의 결과가 사료의 조작이라면 그 조작 이전의 실체를 검증하고 조작이 배태된 동기를 이해할 때 비로소 사실의 복원이 가능하다는 지적 또한 중시하면서 ‘임나 4현 할양’ 기사를 재해석했다. 이러한 재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서기』에서 大伴金村大連의 실각 원인을 기술하면서 신라 방면에서의 실책이라는 실상에 덧붙여 『일본서기』 편찬 당시의 한반도관에 입각하여 임나의 멸망 또한 大伴氏의 실책에 따른 결과라는 내용을 부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일본에 전해지고 있던 임나 관련 지리적 정보에 의거하여 ‘임나 4현’의 지명이 부가되면서 513년 ‘기문·대사 분쟁’의 전제로서 ‘임나 4현 할양’이라는 가공의 사실이 창출된 것이다. 따라서 관련 지명의 비정을 통해 당시의 역사상을 복원하는 것에는 좀 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disorder in the “specification of location” identified through different view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the article “Cession of Imna Four prefectures(任那四縣)”, and comprehending the article interpre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Different perspectives mean that the content of Nihon Shoki can b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facts” and “recognition” are mixed and reflected comprehensively. This article attempts to approach the actuality of the article by placing importance on the comment that if the result of the comprehensive reflection is the falsification of historical records, the fact can be restored only when the substance before being falsified is verified and the motive that bears fabrication is understood. While describing the cause of Ohotomo no Kanamuran Omuraji(大伴金村大 連)’s downfall in Nihon Shoki,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it was a mistake of Ohotomo in the Silla region, additional content was added. The additional content is that the fall of Imna was also the result of Ohotomo’s mistake, based on the view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Nihon Shoki. The place name of “Imna Four prefectures” was added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related to Imna that was transmitted to Japan at the time, and the historical fact of “Cession of Imna’s Four Prefectures” was created as the premise of the “Gimun and Daesa dispute” in 513.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be more cautious when restoring the historical fact of the time through the specification of related place names.

      • KCI등재

        『고사기(古事記)』『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타난"나무(樹木)" -신대(神代)전승을 중심으로-

        김미선 ( Mi Sun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2

        『古事記』と『日本書紀』の神代傳承に現れている「木(樹·木)」のモチ-フは、天上世界や地上世界、地上世界や天上世界、地上や地下世界をつなぐ「疎通」や「移動」の媒介物として、そしてあるいは神たちの避難先、あるいは神や神たちが派遣する使者の神聖な初降臨地として描かれている。また「木」は、木そのままの姿で傳承に書かれている場合もあるが、柱や千木のような木材の變形形態として書かれ天上·地上·地下という、それぞれ違う世界への疎通や移動の觀念の産物としても描かれている。それは、國土の3/2が森林で、その森林と歷史を共にしてきた人-であるこそイメ-ジ化できる觀念ではないかと思う。また、上田正昭によると「日本の神觀念の特徵の-つとして去來性と遊行性が擧げられるが、日本の神は、常住不變の性格を持っているのではなく、いつも移動して崇拜されながら成長する」という。その時、神たちが移動通路のために賴る所が「木」であり、あるいはその「木」は神たちが鎭座する神木にもなる。このような「木」が、日本神話と代表されている『古事記』と『日本書紀』の神代傳承では天上·地上·地下という空間の中で神の疎通や移動のための觀念の産物としてイメ-ジ化され古代日本人たちに畏敬や崇拜の象徵的な存在となっている。 Motif of the ``tree`` described Moksin(木神) myth and Namu(樹·木) myth in the『Kojiki』and 『Nihon shoki』is medium connects between heavenly world andearthly world, earthly world and heavenly world, earthly world and undergroundworld as a bridge for communication and movement. Also, the tree is sometimesrefuge and the first scared land of gods and the messengers of god. In the myth,the tree is portrayed appearance of natural wood, however, itappears modified typesof wood as column is described product of conception for communication andmovement between heavenly world, earthly world and underground world. Thisconception can be imaged belong to their history with 2/3 forest of whole territory. Also,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nception of god (神觀念) are trading(去來性) andtraveling(遊行性). God of Japan always moves to other place and grows up throughworship of believer. At this time, the tree is a moving passage and is enshrinedgod. This tree imaged product of conception for communication and movement ofgod between heavenly world, earthly world and underground world in the 『Kojiki』and 『Nihon shoki』portrayed a symbol of reverence and worship.

      • KCI등재

        고려신사(高麗神社)와 고마이누(狛犬) - 『일본서기』의 고려(고구려) 인식과 관련해서

        김정희(Kim, Joung-he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6 No.-

        본고는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고전에서의 고(구)려 인식을 살펴보고, 현재의 ‘고려신사’ 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신사 앞 ‘고마이누(狛犬)’와의 관련성을 짚어보며 『일본서기』의 고구려 인식이 현재 일본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힌 논문이다. 첫째로 『송서(宋書)』『수서(隋書)』 광개토대왕비문의 기록에서 강대국으로서의 고구려 입지를 확인하고 『일본서기』에서 신의 자손이자 일본에 적대할 수 있는 강대국은 고구려라고 인식되고 있음을 보였다. 둘째로 고구려인들이 현재 고려신사가 있는 사이타마현에 거주하게 되었고, ‘백제군’ ‘신라군’은 헤이안 시대(794-1192)에 없어졌지만 고려군(高麗郡)과 고려신사가 다른 한반도계 마을 및 신사와 달리 사람들에게 특별하게 인식된 경위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신사 앞에 놓인 고마이누에 대한 전래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고마’의 ‘박(狛)’이라는 한자가 백제인의 고구려에 대한 멸시의 시선에서 나왔다는 점 등을 밝혀 고마이누가 고구려에서 왔을 것이라 추정했다. 신사의 수호신으로서의 당나라의 사자상과 고구려의 고마이누상은 현재 모두 ‘고마이누상’으로 부른다. 이는 고대 강대국이었던 고구려의 입지,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의 고려에 대한 멸시의 시선, 한반도의 영물이었던 ‘개’에 대한 인식의 전파, 고구려 멸망으로 인한 고려촌과 고려신사의 형성, 에도시대의 제국주의 확산 및 식민지 시대 상황 등이 맞물려 지금의 수호신으로서 ‘고마이누’가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상대 『일본서기』에 보이는 두려움과 멸시의 시선이 혼재된 고구려에 대한 인식은 시대를 지난 지금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manuscript is an article having demonstrated that Koguryeo recognition in Nihon Shoki is also currently affecting Japan while considering the recognition of Ko(gu)ryeo in classics with a focus on 『Nihon Shoki』 and touching on historical backgrounds for establishment of current ‘Koryeo shrine’ along with relationship with Komainu. First, In 『Nihon Shoki』 although Baekje is a family-like ally of Japan and amounts to a representative of Han(韓), the powerful country being a God’s offspring and capable of being hostile to Japan has been shown to be recognized as Koguryeo. Second, history has been considered where Koguryeo and Shilla came to reside in Saitama prefecture currently having Koryeo shrine, and Koryeo county and Koryeo shrine have come to be especially recognized by people unlike other villages and shrines of Korea peninsula although ‘Baekje county’ disappeared in Heian era. Third, tradition of Komainu has been considered, surmising that Komainu had originated from Koguryeo with clarification that Komainu originally had a from of having horns in forehead, was similar to ‘Haechi’ of Korea, having a nature of guardian, and particularly the chinese character of ‘Bak(狛)’ in ‘Koma’ having originated from the Baekje people’s sight of despise on Koguryeo. For the recognition of Koryeo shrine saying that worship leads to rising in the world, Gomainu as the shrine’s guardian, Ko(gu)ryeo that was once a powerful country, its influence can be viewed as still remaining in Japan as well.

      • KCI등재

        上代神名の樣相 : 古事記·日本書紀における對比的命名法を中心に

        崔建植(Choi Kun-Si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1

        This study compares aspects of contradistinctive naming of gods according to age order and monosyllabic morphemes in Kojiki and Nihon-shoki with those of contradistinctive naming of persons. It reveals the follow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First, naming of gods and persons shows a difference in contradistinctive naming according to age order. Examples of contradistinctive naming according to 「兄─弟」 are found in personal names while no such examples are found in god names since there seems to be no need to be ordered according to age or power in the god's world. Some examples using 「大─若」 are, however, found in god names. It seems that they are allowed because they are originally euphemistic expressions. Second, naming of gods shows other characteristics. Some of the god names are from their birth places or stages of action while others are from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ir mythical plots. God names that are from seasons are also found, which seems to show that the god's world and human world are closely related. Third, naming of gods and persons shows a similarity in contradistinctive naming using monosyllabic morphemes. Like personal names, God names can also be contrastively distinguished by presence and absence of certain monosyllabic morphemes, two different monosyllabic morphemes, and the two different connective particles no(の)and tu(つ)in their names.

      • KCI등재

        6세기 전반 계체왕조의 성립과 대외정책 : 近江毛野臣의 出自를 중심으로

        강은영(Eun-Young Kang)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7

        일본 고대사에서 계체왕조의 성립은 대내외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 획기적인 시대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체왕조 성립의 의의를 통해, 호족연합국가에서 대왕을 정점으로 하는 왕조국가로 변환되는 과정과 호족들에게 분산되었던 외교권이 일원화되는 과정이 어떻게 『일본서기』의 임나 내관가 인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오우미노게누노오미(近江毛野臣)’으로 대표되는 계체왕조의 지지 세력과 그 세력권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대부분이 한반도 관련기사로 되어 있는 계체기의 사료 검토를 통해 계체왕조의 성립에 국제적 계기가 중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즈쿠시노키미노 이와이(筑紫君磐井)’의 난(亂)의 진압을 계기로 미야케 제도가 실시되고 이는 임나의 ‘내관가’인식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일본서기』의 편찬자들은 계체기의 금관가야 멸망과 近江毛野臣의 도해(渡海), ‘이와이의 난’을 기축으로 ‘관가’· ‘내관가’인식을 만들어 냈고, 이를 신공황후의 삼한정벌 전승과 연결시켰던 것이다. 계체천황은 세츠(攝津) 지역을 주된 근거지로 하고, 요도가와(淀川) 수계를 따라 가와치(河內)의 구즈노미야, 기즈카와(木津川) 수역을 따라 야마시로(山背)의 즈츠키노미야, 가츠라가와(桂川) 수계를 따라 야마시로(山背)의 오토쿠니, 요도가와를 거슬러 올라간 비와호(琵琶湖) 서쪽의 요시츠미의 호족과 긴밀하게 연계했다. 특히 비와호(琵琶湖) 서쪽의 요시츠미의 호족인 ‘오우미노오미(近江臣)’을 파견하여 외교 일원화를 꾀하였다. In ancient Japanese history, establishment of Keitai Dynasty was an epoch-making event both in and outside the countr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ransition from a union of clans to a emperor-centered dynasty and the process of centralizing diplomatic power-which was dispersed among clans before-affected the perception of Imna uchitsu miyake(內官家) as shown in ‘Nihon Shoki(日本書紀).’ Also, it examines political groups that supported Keitai Dynasty, represented by ‘ominokenunoomi(近江毛野臣)’, and the scope of their power. Historic records on the Keitai period-most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suggest that international motiv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ment of Keitai Dynasty. Repression of Tsukushinikimino Iwai(筑紫君磐井) Rebellion led to a launch of the miyake system, which in turn, affected perception of uchitsu miyake. Publishers of ‘Nihon Shoki’ established concepts of miyake and uchitsu miyake based on the collapse of Geumgwan Gaya, the crossing of the sea by ominokenunoomi, the Iwai Rebellion, and linked them with Samhan conquest by Jingu Empress. The Keitai emperor was based in Setsu(攝津) region, and forged a close relationship with Kuzunomiya clan of Kawachi(河內) region along the Yodogawa(淀川) waters, Zutsukinomi of Yamashiro(山背) region along the Gizukawa(木津川) waters, Otokuni of Yamashiro(山背) region along the Gatsuragawa(桂川) waters, and Yoshitsumi on the west side of Biwa lake(琵琶湖) on the upstream of Yodogawa. The emperor sent ominoomi(近江臣), a Yoshitsumi clan on the west side of Biwa lake, in a bid to centraliz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 KCI등재

        上代人名における「中」 -「輩行ノ反名」としての「中」の諸相 -

        崔建植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This paper reveals the origins of so-called Haikō no Kemyō in Tarō, Jirō, Saburō, Shirō, Gorō etc. found in literature like Ise-monogatari since Heian Period. It also discusses the usage of naka, which is used to implies the second offspring, in the canonical Ancient literature such as Kojiki and Nihon-shoki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aka and the origin of Haikō no Kemy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