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영국 선교사와 외교관이 주도한 근대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Korean Branch 분석을 중심으로

        육영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1

        The article aims to reappraise the characteristics and legacy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RASKB) and its official Journal,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in the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studies. By analysing its membership, interpreting the contents/subject-matters, and examining the new mode of writing strategies of the Transactions published from 1900 to 1940, the author is very convinced that both RASKB and Transactions had played a critical and indispensable role in professionalizing and systematiz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Transactions, a forum dominated by British 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diplomats, demonstrates the maturity of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us standing at the apex of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Imperial Japanese scholars imitated and appropriated the Western-made First Wave and had established “the First and Half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legitimizing colonialization of Korea. And “the Second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during the 1930s, which emphasized the Korean Studies by Koreans and for Koreans, was to a certain degree the extended and reinvented outcome founded on the previous two Waves. The author concludes that modern Korean studies is a hybrid (re)production of multiple nationalities and that transnational perspectives would shed an alternative light to disclose non-nationalist and post-colonial peculiarities of ‘Knowledge/Power’ usually known as ‘the discourse on Korea.’ 이 글은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와 그 학술지가 1900-1940년 사이에 한국학 담론 창출과 전문화에 기여한 성과와 영향력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에 한국학을 주도했던 프랑스 선교사들이 퇴조하고 영국과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학 담론을 지배했다. 둘째,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와 비교하면 트랜잭션 은 참고문헌을 밝히고 이미지 자료를 활용하는 등 좀 더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학문적 포럼이었다. 셋째, 생태환경사와 같은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고 미래 한국학 학자를 키우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했다. 필자는 근대한국학의 계보를 객관적·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식 네트워크의 트랜스내셔널 뒤엉킴에 특별히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 서양선교사들이 19세기말을 전후로 발명·국제화하고 20세기 초반에 심화했던 한국학의 제1의 물결, 일본제국이 한국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고 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구하려는 의도로 재생산한 한국학의 제1.5 물결, 그 사이 공간에서 등장한 한국인의,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학의 제2물결―이런 세 갈래 물결이 부딪히고 뒤섞이며 서로를 밀고 당기며 상승하여 한국학의 역동적인 무늬와 다양한 색채를 만들었다고 필자는 강조한다.

      • KCI등재

        미국의 한국학 교육 현황의 역사성: 역사적 맥락에서 하버드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LA)의 한국학 프로그램의 비교

        김지원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2

        Ever since the University of St. Petersburg opened Korean language class in 1897, overseas Korean studies have been expanded in numbers of researchers and students.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Korea and world-wide had promoted overseas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the Harvard University and UCLA has been supporting overseas Korean studies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examine what has been done and to propose what will have to be done to promote overseas Korean studies, centered on programs and activities of Harvard University and UCLA. This study examin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 apply Korean studies of two representative universities, which might be a sort of standard table of evaluation for major institutions in the U.S. Korean Studies program at Harvard University since 1952 was characterized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to fulfill the professional and academic objectives of students from the world. Although the program has provided the maximum amount of education to learn diverse subjects of Korea, few students except Koreans are interested in traditional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While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UCLA since 1993 has greatly developed around West Coast areas which was characterized of diversity of courses and pre-modern period. Nevertheless,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Harvard university and UCLA ne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its students by offering diverse classes of art, cine.ma, and visual studies 1897년 최초로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에 한국학 과목이 개설된 후 지난 100년 동안 한국학은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한국학은 급격히 성장했는데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대학에 한국학 과정이 늘어났고, 많은 교수직이 추가되었다. 역사와 문학에 사회과학과 시각문화에 관한 새로운 강좌가 부가되었고, 한국학 관련 수업을 받는 대학원생의 수도 점진적으로 늘어났다. 해외 대학의 한국학 발전의 동향을 어떤 기준에 의해 평가할 것인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한국정부의 지원정책 및 해당지역의 학문적 기반과 특성에 따라 여건이 다르므로 수평적인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해외의 대학을 비교했을 때 그 차이점과 기관들의 특징을 구분해 볼 수도 있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해외 한국학의 특성과 흐름을 교육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깊을 것이다. 1990년 이후 한국학의 개념, 방법론, 그리고 진흥방안 등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학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해 온 해외 대학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은 거의 부재했다. 교육적 분석은 한국학 발전 동향과 역사적 고찰에 관한 나름대로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척도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동부지역의 대표적인 한국학 기관인 하버드 대학과 서부지역에서 한국학 진흥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한국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원과 흐름을 살펴보면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미국의 시기별 한국학 발전 현황을 간략히 검토하고 그러한 역사적 맥락 안에서 두 대학의 한국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시작년도, 개설강좌, 그리고 교원 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할 것이다. 또한 한국학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최근에 두 대학이 추진하는 전략 및 동향도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한국 컬렉션: 수집, 전시, 운영의 시기별 변화 연구

        김수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4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the Korean collection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 in New York, which is distinguished as a “universal” museum. The trans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exhibition, and management of the Korean collection from its early stage to the presen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t’s achievement of its mission statement and South Korean cultural institutions’ practices. Transition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allery in 1998 and the presence of a diverse range of its collections in further exhibitions we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completion of the museum’s global universality from the Met’s perspective. The achievement of the Met’s mission reflects a remarkable shift that can open up the development of Korean collection in universal space. As a part of world culture and history, the study alludes to a suggestive way to expand the investigation of Korean art and culture in world cultural history. 세계적 컬렉션을 세계의 관람객을 위해 수집, 전시, 보존, 교육하는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은 미션(설립취지)을 통해 세계 보편적 미술관의 가치와 운영의 지향점을 표명해왔다. 본 연구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 한국 컬렉션이 아시아 컬렉션의 일부로서 주목받지 못한 채 수집 및 보관되었던 20세기 중반까지의 컬렉션 형성 초기 단계, 한국미술 해외 순회전시가 열리고 자체 컬렉션 구입이 증가한 20세기 중후반, 문화기관의 후원과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 대여로 1998년 개관한 상설 전시실 설립의 전환적 시기, 그 이후 다양한 특별전시를 운영하는 현재 시기까지의 한국 컬렉션의 운영상 변화를 조명한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아카이브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 컬렉션의 형성, 전시, 운영의 변화 양상을 탐구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세계사 및 세계문화 속 한국 문화사를 들여다보는 확장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글로벌히스토리(Global History)의 수용과 변용 - 중국, 러시아, 한국 사례에 대한 비교연구 -

        최덕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problems of Global History established as a new historical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iphery. This is because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lthough the key to success of Global History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studies and related studies,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there has been almost no conversation, the co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success or failur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he convergence study depends on the convers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relevant sectors, there are few studies about it. Thus,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ollowing issues by examining Global History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process in China, Russia and Korea, periphery countries located in the outer area of the western world around the U.S and U.K. We are to analyze 1) why the historical particularities of individual countries experience confrontation and conflict without converging in Global History and 2) to examine why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versation between individual countries and civilization forming the framework of Global History establishment is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y are to find the 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universality inherent in Global History and distinctiveness of the individual country’s history in the miscommunication arising from the absence of dialogue. 3) A moral problem of whether European imperialist countries can escape from moral responsibility or sins while not bringing up the relationship of coercion and exploitation in the past when terms of connection, access, comparison replacing the concept of conquest, exploitation, domination in the traditional world history are used in Global History is also the target of analysis. Because resistance to Globalization is getting stronger in the global studies of China, Russia, Korea and this tendency is not unrelated to this problem. 이 글은 새로운 역사연구 방법론으로 자리 잡은 글로벌히스토리의 문제점들을 중국, 러시아, 한국의 시각에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글로벌히스토리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미국과 영국이 아니라, 그 주변부의 시각에서 새로운 세계사의 과제들을 고찰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과 영국이 주도한 글로벌화의 변방에 있는 중국, 러시아, 한국에서 글로벌히스토리의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논의들을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과 접경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는 글로벌히스토리의 수용과 역사교육 분야에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중국은 2000년 포머란츠의 저작 『대분기』 발간 이후, 유럽과 중국이 대등한 비교대상이 됨으로써 글로벌히스토리의 수용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러시아와 한국에서는 글로벌히스토리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위축되어가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러시아의 경우, 마르크스-레닌주의 역사학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히스토리의 수용과정은 민족주의가 점차 득세하면서 서구 수입학문인 글로벌히스토리에 대한 저항이 강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유럽중심주의는 자본권력의 담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판은 자본권력에 대한 비판이 중심이 되어야함에도 상호의존과 교류를 강조하는 글로벌히스토리의 한계를 지적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한․중․러의 글로벌히스토리 수용을 둘러싼 논쟁들을 공통점과 차이점별로 비교, 정리하는 작업은 한국 서양사학계의 주요과제 중의 하나인 유럽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U.S. Korea Policy, 1942-1950: Vacillating Formative Period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0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19

        본고는 1940년대 미국의 초기 대한정책의 특징을 논한 글이다.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은 1942년부터 전후 세계질서 문제를 영국, 소련 등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인본의 식민지였던 한국문제도 언급되었다. 한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주로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주도적으로 제시되었고 영국과 소련이 동의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전후 강대국에 의한 한반도의 신탁통치 합의도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반도 신탁통치 구상은 미국의 최초의 한국정책이었다. 그 정책은 한반도 분단의 기원이 되었지만 한반도의 역사적․정치적 상황과는 전혀 무관한 동기에 의해 결정되었다. 루즈벨트는 소련의 태평양 전쟁 참여를 유도하고, 소련과 전후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통치에 소련의 참여를 허용하였던 것이다. 즉 미국의 핵심적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 소련을 배제하는 데 따른 소련의 반발과 미국의 부담을 비교적 덜 중요한 한반도에서 해결하려는 정책적 구상의 결과였던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미국의 한국정책은 트루먼 정부에서 또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 루즈벨트의 대소련 유화정책 대신에 강경한 봉쇄정책을 채택한 트루먼은 한반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들게 이어가고 있던 미소공동위원회의 협상에서 유연성을 제거하였으며 미국의 의지와 조건이 관철되지 않는다면 협상은 없다고 선언하였다. 국제정치적 고려에서 성립된 일시적 분단이 반영구적으로 고착화되는 길을 걷게 된 것이다. 한반도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전쟁 이전까지 국제정치에 대한 미국의 정책변화에 따라 무원칙하고 변화무쌍하게 한반도 정책이 바뀌면서 미국의 필요에 따라 한반도가 둘로 분할되기도 하고 그 분단이 고착화되었으며, 남한정부 수립으로 미국에 떠안게 된 정치적 부담을 UN으로 이전시켰고, 주한미군을 철수시킴으로써 군사적 부담도 벗어났고, 미의회의 남한원조 예산 대폭 삭감으로 경제적 부담도 벗어남으로써 한반도를 고립무원의 상태로 만들었던 것이다. 분단, 분단 고착화, 한반도 포기라는 무책임하고 우유부단한 미국의 초기 대한정책은 한국전쟁에서 그 대가를 비싸게 치르게 된다.

      • KCI등재

        냉전과 제3세계 - 상호관계와 역사성 -

        김정배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0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world order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by revisit the established concepts of the Cold War, and explore correlations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Third World. There may be two reasons for that. Firstly, the concept of the Cold War, an epic struggle for power, influence, and ideological supremacy erupted between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their respective allies, was not based on historical facts but on particular 'belief' or 'myth'. And the Cold War compassed two aspect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Especially in the Vietnamese War, the most important example of the wars in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nderstood and consult their respective positions. There are many cases about 'complice' between two great powers. Secondly, The rise of a decolonized Third World and the United States policies on them was a dialect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Western colonialism's last stage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ical causes and successes. The Third World accepted any type among the models of the United States, or the Soviet Union, and their independent ways. Therefore, the 'global Cod War,' or the 'Cold War in the Third World' approaches were more probable to overvalued the Cold War and distorted interrelations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Third World. To sum it up, it is most important to hierarchize the correlations of imperialism and decolonization, the two superpowers' foreign policy and models, the Third World project. 기존의 냉전체제 개념으로는 20세기 후반 국제질서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구사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크다. 미국과 소련의, 혹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이념적 제도적 팽창 경쟁이라는 냉전 혹은 냉전체제 개념은 역사적 사실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믿음’에 기초한 것이다. 미국과 소련이 세력 팽창을 기도하고 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가나 세력을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한 것도 핵무기를 비롯하여 무기 경쟁을 일삼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두 나라는 경쟁만 한 것이 아니라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놓고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속내를 터놓고 협력하기도 했다. 물론 경쟁과 적대를 중심에 놓는다면 협력은 부차적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 그리고 두 진영 사이의 대결이라고 선전되었던 베트남전쟁의 경우 양국의 협력은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더구나 미국과 소련이 다른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협력했다면 냉전의 개념과 이미지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제3세계의 ‘역사성’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 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제3세계는 미국과 소련의 세력 확대 대상으로서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제3세계 국가들이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하려는 주체적이고 공세적인 일종의 프로젝트였다.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빈국을 망라하는 제3세계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국주의 국가들의 지배와 수탈을 경험하거나 제국주의 지배 이후 빈곤과 혼란을 공통으로 겪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에 공감했다. 냉전 시기는 16세기 이래 제국주의 역사의 마지막 단계에 속하며, 식민지를 경험한 세계 인민들이 독립과 탈식민지, 그리고 근대국가 건설 과업을 추진해간 과정과 맞물린 시기였다. 제3세계 앞에 놓인 모델은 소련식과 미국식, 그리고 그들 스스로 내세운 독자적이고 중립적인 것이었다. 특히 비동맹운동은 독립, 평등, 평화, 정의, 번영 등 유럽의 근대성 모델들이 담을 수 없었던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대의를 추구했다. 그러나 그 대의는 유럽과 여타 세계, 혹은 부국과 빈국 사이의 힘의 차이, 그리고 역사적 이상과 현실의 벽에 부딪쳐 좌절되고 말았다. 냉전체제 이해든 새로운 지구사 모색이든 기존의 강대국 중심, 혹은 냉전 중심의 접근방식으로는 문제가 있다.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와 탈식민주의, 소련식 혹은 미국식 팽창주의, 제3세계의 기획과 선택 등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위계’ 지을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 KCI등재

        글로벌 히스토리에 관한 단상-한국에서 수용과 발전 그리고 가능성-

        최영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5

        Before and after 2002, it was the New scholasticism in our academic discourse on global history. This New scholasticism has found a lot of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achievements led to the formation of the Society. Theoretical discussion was introduced by a large role in the global history in Korea and was also translated into many foreign books. In Korea, I saw agreement on a certain point of global history is oriented through various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the term feature of global history. Unification of the terminology used among researchers does not to lead the way to a global agreement in history has achieved a certain degree of consensus-oriented. First, most researchers considered the vision and methodology of trying to get away from the discourse of Western Europe will be the center of attention. Then we will make it a single global study pre-modern world interested in trying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world in a closely related with the ongoing globalization. Also it tries to set a prime posi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istorical study This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concrete achievements above about the global history of Korea, researchers are not so much. Professor Kim, Won-soo and Professor Yook, Young-soo were trying to refocus the Korean history from a global perspective by the professors. While Professor Kang, Seon-ju in history education emphasized the 'principle of mutual relevance' of world history as a major alternative education, we must understand the history in the framework of world history.   Global history is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framework is not yet concrete rea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our academic reality, nothing could be achieved undergoing specific research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However, to understand the world from another perspective, it would not be more than creating a whole image by interpreting the world. 2002년을 전후해서 우리 학계에 새로운 열풍이었던 것이 글로벌 히스토리에 관한 담론이다. 이러한 열풍은 학회의 결성이라는 결과로 이어졌고 많은 논의와 성과를 냈다. 이론적 논의는 글로벌 히스토리를 한국에 소개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고 그와 함께 이와 관련된 많은 외국의 연구서가 번역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는 글로벌 히스토리의 용어의 정의와 의미, 특징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통해 어느 정도 글로벌 히스토리가 지향하는 점에 대해서는 합의를 보았다. 즉, 연구자들은 ‘세계사’, ‘새로운 세계사’, ‘지구 규모의 역사’, ‘글로벌 역사’, ‘글로벌 히스토리’, ‘지구사’, ‘글로벌 히스토리’, ‘글로벌 역사’, ‘전 지구적 역사’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하였다. 연구자들 간에 용어 사용의 통일은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였으나 글로벌 히스토리가 지향하는 방향에서는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루었다. 먼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서유럽 중심주의의 담론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노력의 시각과 방법론으로 간주하였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구를 단일한 연구대상으로 삼고 근대이전의 세계에도 관심을 가졌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화와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세계를 파악하고 이해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연을 역사 연구 대상의 주요한 위치에 설정하고 이해하려고 하였다. 한국 연구자들의 이러한 글로벌 히스토리에 대한 위와 같은 이론적 이해와 현실적으로 구체적 성과물은 그렇게 많지 않다. 김원수 교수와 육영수가 교수가 글로벌한 시각에서 한국사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역사교육 분야에서 강선주 교수가 세계사 교육의 주요한 대안으로 ‘상호관련성의 원리’를 강조하면서 우리 역사를 세계사적 틀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글로벌 히스토리가 이론적 구성이나 틀이 아직 구체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우리 학계에서는 이론적인 논의에 거치고 구체적 연구가 이루지지 못한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세계를 또 다른 시각에서 이해, 해석함으로써 보다 세계의 전체적인 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 대하소설 『혼불』에 재현된 세시의례를 중심으로 -

        김형민,이재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The roman-fleuve Honbul, written by Myung-Hee Choi,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her wide and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In Honbul the author Myung-Hee Choi restored and reproduced forgotten and forgetting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with her keen powers of observation, creative words, elaborative and fine writing style, delicate and multi-layered description etc. based on thorough cultural-historical research. Honbul differs greatly from the majority of other Korean epic novels in that it didn’t completely dissolve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into narrative events, but reproduced them in their own way. In this work Myung-Hee Choi restored various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such as birth rites, coming-of-age rites, wedding rites, funeral rites, ancestral rites, food, clothing, shelter, status system, feng shui, shamanism, things Korean, play, myth, legend etc. In this sense Honbul is estimated to open a new literary genre of ethnographic novel. We, the researchers, have an ultimate goal to extract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represented in Honbul according to lifetime rites, seasonal customs rites, territory rites and so on, and to develop extracted materials into cultural contents by designing them afresh and creatively, to reform developed cultural contents into items of cultural industry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our eventual objective a series of advanced works are, however, required. As one of such advanced works our study is planned. This paper focuses on the extraction of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concerning seasonal customs rites represented in Honbul through a deconstructive reading of ethnographic novel.(Sogang University/Soongsil University) 최명희의 대하소설『혼불』은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과 풍속에 대한 작가의 해박한 지식이 특히 두드러진다. 작가 최명희는 이 작품 속에서 잊힌 그리고 잊히고 있는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철저하게 문화사적으로 고증하여, 그것들을 예리한 관찰력, 창의적인 언어, 정교하고 수려한 문체, 섬세하고 다층적인 기술로 복원하고 재현했다.『혼불』은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문화 요소들을 서사적 사건과 서사적 상황 속으로 완전히 용해하지 않고, 그것들 자체를 독자적으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다른 대하소설과 큰 차이를 보인다. 최명희는 이 작품 속에서 출산의례, 관례, 혼인의례, 상례, 제례, 세시의례, 의식주 생활, 신분제, 풍수, 무속신앙, 풍물, 놀이, 신화, 전설 등 다양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자료들을 복원했다. 그래서 『혼불』이 ‘민속지적 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열었다는 평가가 있다. 본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혼불』에 재현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평생의례, 세시의례, 영역의례 등 영역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민속·문화 요소들을 새롭고 창의적으로 기획하여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개발된 문화콘텐츠를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걸맞게 문화산업의 아이템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우리의 최종 목표를 위해서는 일련의 사전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 사전 작업 중 하나로서 본 연구가 기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지적 소설의 해체 읽기 작업을 통해 세시의례와 관련하여『혼불』에서 재현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에 집중한다.

      • KCI등재

        안중근의 서양 인식

        신운용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Before joining the Catholic Church in January 1897, Ahn Jung-geun had a Confucian world view. Since joining the Catholic Church, his outlook on life and world has changed a lot. Although he became a Catholic, he did not necessarily follow Catholicism. He accepted Catholicism Rationally. This is the result of Ahn's self-learning of Catholicism. Ahn's perception of the West was formed through The western Catholic Missionaries such as Gustave-Charles-Marie Mutel, and the media such as Hwangseong Newspaper. The civilization and civil rights consciousness he advocated was formed in the influence of Catholicism and the tide at that time. His national consciousness was acquired through clashes with Western Catholic Missionaries . In particular, he recognized the reality of the world as the 'national world.' As such, Ahn has expanded and developed civil rights and national consciousness, focusing on civil rights and peoples. Ahn's "ethnic world" of the time means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mpete for the benefit of the homeland. Therefore, Korea should also compete with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putting the interests of the Korean people first. He also called for the unity of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basis of absolute independence to prevent Western aggression. In this regard, his "Eastern Peace Theory," based on his religious character, is regarded as a concrete measure to ensure Oriental peace, free from Western fallen morally. Ahn's perception of the West is also evaluated in terms of racial perspective. However, it is not conclusive that the Pope recognized the West from a racist point of view, given that he presented the peace conference as a guarantor. Rather, it should be said that they recognized and evaluated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moral world." As such, he clearly grasped the imperial character of the West and suggested a way for the East to go (building a moral world and settling peace). Park Eun-sik's assessment that Ahn Jung-geun has eyes that penetrate the East and the West is largely based on his Western perception. 1897년 1월 천주교에 입교 이전 안중근은 주교 성리학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천주교에 입교한 이후 그의 인생관과 세계관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는 주체적으로 학습하여 천주교를 수용하였다. 안중근의 서양 인식은 주창한 문명과 민권의식은 천주교의 영향과 『황성신문』 등 당시 조류 속에서 형성되었다. 특히 그는 세계의 현실을 ‘민족 세계’로 인식하였다. 안중근은 세계를 서양과 동양으로 구분하고 서양을 침략세력으로 동양을 평화세력으로 보았다. 이 점에서 종교성을 바탕으로 한 그의 「동양평화론」은 도덕적으로 몰락한 서양의 침략에서 벗어나 동양평화를 담보할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평가된다. 안중근의 서양 인식은 인종론에 따른 시각에서 평가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평화회의를 담보할 주체로 로마 교황을 제시하였다. 이 점에서 그가 인종론적 시각에서 서양을 인식하였다고는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그는 ‘도덕 세계’ 구축이라는 철학에서 서양을 인식하고 평가하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현대사와 박물관 전시 -전시와 ‘한국근현대사’ 시점 넘어 보기-

        김인덕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5

        Museum of contemporary history should b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place is for understanding wider flow of history where asking questions at the same time. Principal for the museum should be human being and for those working in the museum. Historical exhibition in Korea yet focus mainly on historical composition. Museum should be altered its exhibit shape from Contemporary to Modern history. By the idea of this, it is necessary that giving attention to following elements to actualize Korean modern history’s exhibition. First of all, under an attempt to construct various view of study, the Korean modern history exhibition should accept the points of variety of progressive positions on the basis of discussion. Particularly, Academic research is the starting point of popularization, which should form the framework of the exhibition, and the richness of the scenario would be required.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cenario will require the opinions of curators, education experts, exhibition designers and other members of the art room. Second, both educational and enjoyable element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visitors'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Korean modern history at the same time. In fact, in many cases, historical exhibitions at museum sites have not been completed by exhibitions alone. Therefore, I think understanding by educational program is a way to double the effect of the necessary exhibition. In general, the Museum of History is an easy place to become familiar with educational program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istory through exhibition is to create a specific historical image based on the original data, and to make the process of making history a program itself is easier to improve efficiency than any other exhibition spac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the case of modern Korean history, the public interest is higher than any other times, so the educational curriculum may be higher. Third,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modern history exhibition needs to be operated in harmony. Significance of this is that the viewer's position and curiosity should be noticed. In addition, benefits of art exhibitions and science development should be the start of modern history exhibition. Also, modern Korean history exhibition should be prepared by harmonized intentions and effects. The important thing in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that role of the curator who reflect status of Korea’s consensus and peace community. 현대사박물관은 소통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역사에 물을 수 있는 공간으로 역사학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이곳의 주체는 사람이고,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의 공간이도 하다. 한국에서의 역사 전시는 역사상의 구성에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국근현대사에서 한국현대사로 역사인식 틀의 전환을 통한 전시의 새로운 틀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 아래 한국현대사의 전시 방향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현대사 전시는 선행 연구를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시도 아래, 다양한 진행의 입장의 논점을 논의에 기초해 수용하고 이를 전시를 통해 반영해야 한다. 둘째, 한국현대사의 다양성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를 증진하는데 교육적 요소와 함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동시에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역사 전시와 현대사 전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화롭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