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 중등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방향

        김일환 ( I. W. Kim ),윤언배 ( U. B. Yoon ) 한국민족연구원 2011 민족연구 Vol.0 No.47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get understood the facts about education for people with multi-cultural identity in the secondary schools and, with this, to offer guidelines for proper instructions toward students with various racial backgrounds. For this, polic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Offices of Education of each city and province and related contents of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is, prosp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s g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policies on education and curricula for students with various cultures, it must be fair to say that, in the mid of its transformation into the multi-cultural, multi-racial and globalized society, Korea has been actively dealing with those students with great interest. With these polici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has been fairly well-balanced and stabilized. But things like below cannot be neglected.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s have highly been narrowed down to passive ones; for adapting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of schools or for increasing comprehension on students with parents from different races.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s have been centered on extra-curricula activities rather than on regular curriculum and not systematized yet.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relatively been put more emphasis on primary education than secondary ones, which is somewhat worrisome, given the fact that many multi-cultural students have gone to secondary schools. And finally, chances are students` national identities might be unsettled due to too much weight o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ll these facts considered, a few suggestions must be made below. First of all, rather than just adaptation to schools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ble to encourage multi-cultural students` strong points, and also, their self-esteems. Second.

      • KCI등재후보

        무용프로그램이 다문화가족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은자,김현정 한국무용예술학회 2010 무용예술학연구 Vol.31 No.-

        Today, the Korean society is fast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view of this, it is not ideal for Korea to pursue a single-race nation. A multi-cultural society aims at unity, which can be accomplished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not unilateral absorption, helping immigrants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Culture is composed of various areas while a language is only one of them. Besides a language,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how to approach other areas as well. At present, educational programs for a multi-cultural family provided in Korea are mainly focused on teaching Korean culture in a unilateral way. Thus, this study suggests an interactive danc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change such educational trends. Of various areas helping one understand culture, dance is worthy of notice. In terms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n be done not only through voices or letters but also through gesture, and a language of such gesture is dance.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dance has always reflected cultures of times and thus significantly helps one understand societies. Supposing that proble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rise from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and effectiveness of dance education for communication. Comprehensive effects of the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ance program could offer an opportunity for cultural exchange. Second, the problem of lack of communication could be solved through the joy obtained from participating in the dance class. Meanwhile, there were secondary effects as well. First, the participants could change their previous ideas on dance. Second, the Korean dance and musical instruments (e.g. Janggu, Sogo) could renew their perspective on Korean culture. Third, children who were excessively timid or overreacting could develop positive and cheerful personalities through the dance class.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is rapidly rising, which increases the potential of a cultural clash, art education for such a family is highly valuable and effective. Nevertheless, the following problems are present as obstacles to the popularization of these educational programs. First, the number of art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for multi-cultural families is not sufficient and they are operated only by a few organizations with limited coverage. Second, there is lack of diversified efforts to operate the programs. Along with individual efforts, there should be an infrastructure to share research and study materials on various cultures, and those majoring in art should be able to receive more practical cultur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ird, there is lack of those majoring in art that are equipped with multi-cultural capabilities. Fourth, limited human resources make it difficult to meet various needs of participants. Based on an analysis of this study, it suggests several solutions. First,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 and academic organizations. They should make a cooperative effort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so that more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nefit from the programs. This would include establishing more public and easily accessible facilities to increase coverage. Second, int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foster lecturers equipped with multi-cultural capabilities through practical curricula on multi-cultural dance. More studies and education materials are also required. Particularly, such efforts should be made by universities, for those majoring in da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as lecturers. Third,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put into operation of art education programs by families. A cultural clash may occur from a relationship with a spouse or parents-in-law. Thus, operation of the programs at a family level can help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영성교육

        박은혜,조은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Modern society is multi-cultural.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education and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s that multi-culturalsituation is the same, but the content of education is different. The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knowledge, recognition, andattitude about other cultures.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dealswith more broad and deeper content of education that is needed inmulti-cultural society than in the Christian perspective. This study deals with multi-academic foundations-philosophical,psycholog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It also deals with theapproach of public church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Christian education. To insis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spirituality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efinesmodern concept of spirituality and explains post-modern culture, criticalreflection of education, the discussion about religious education inschools, and negative images of Christianity in Korean society. Four elements of spirituality education are described from theoreticalfoundations: multi-cultural self, reflection and praxis, spirituality ofcommunity, and spirituality of participational in the society. First, a multi-cultural self that is post conventional with a strong identity ofhis/her own but accepts others as they are and knows to yield authorityas a leader to approach at an equal level. Second, showing his/herrelationship with God by reflecting and practicing in everyday life. Third, restoring and seeking God’s kingdom by always fulfilling others’and nature’s needs in life and bringing justice to the community. Lastly,is overcoming the formal spirituality by being more participational withGod’s vision in society. With these four elements, this study suggestsseveral considerations to develop a concrete spiritual education programfor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현대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살고 있다.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은다문화적인 상황은 같지만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등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삼고 있다. 기독교교육에서 다루는 다문화 교육의 가르치는 내용은 다문화 상황에 필요한보다 넓고 깊은 내용들을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특정 다문화를 넘어서는 내용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교육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기초를 세우기 위해 다학문적 기초-철학적 접근으로 타자성의 철학, 심리학적 접근으로 후 인습적 자아 정체성, 성서적 접근으로 구약과 신약의 다문화인에 대한 태도, 신학적 접근으로 볼프의 포용의 신학-와 기독교교육의 공교회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영성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 현대의 영성 개념을 일상의 삶에서 나타나는 실천적인 총체적 변화를 의미하는 기독교적 영성과 특정 종교를 넘어선 영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사회에서 영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포스트모던문화, 일반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학교의 종교교육의 방향,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론적 기초를 통해 얻은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한 영성교육의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후 인습적 성숙한 자아로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은 있지만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주체로서의 권위를 포기하고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에게 다가감을 위해 필요한 다문화적 자아이다. 둘째, 하나님과의 관계가 실생활에서 살아 있고 실제로 경험되는 성찰과 실천적 영성이다. 셋째, 여러 관계 속에서 자연과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 주고, 사회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파괴된 하나님의 세계의 회복과 조화를 위해 추구하는 공동체적 영성이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가지고 세상을향해 제도화된 형식적인 종교적 영성을 초월하여 공적 영역에서 책임적 역할을 수행하게하는 사회참여적 영성이다. 이 네 가지 요소를 가지고 여러 사역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 시 고려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와 기독교교육: 오순절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임애경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1 영산신학저널 Vol.21 No.-

        As the world is getting localized, the whole world is proceeding with becom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Even in a country that had been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beginning, a problem of harmonizing the variety and the unity is remaining as uneasy task. Korean society is approach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a sense of being distinguished from other western societies. Furthermore, the dangerous myth called a single-race nation makes it difficult for the consciousness demanded by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be connected to the practice. Nevertheless, th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ven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what contains the valu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writing suggested direction to which the Christianity education will need to proceed with advanc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Under the theme as saying that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based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a concep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 examined how the multi-cultual based situation and the care for second-class citizens, which were indicated in the Bible, are being addressed. Especially, through The Holy Spirit’s descent at Pentecost, the value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iscovered. And, it specified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Didache, Koinonia, and Diakonia in the dimension of the educational ministry curriculum with the application of Christianity education. In brief, the Pentecostal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come education that keeps alive in a care for all people, who are under alienation,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or a reason of ‘distinction’ and ‘difference.’ 세계가 지역화 되어 가면서 전 세계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시작부터 다문화 사회였던 나라에서도 다양성과 통일성을 조화시키는 문제는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 사회는 다른 서구 사회와는 구별되는 점에서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더구나 단일민족이라는 위험한 신화는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의식이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육은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기독교교육 또한 다문화교육의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은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주제 아래, 다문화 사회의 특징과 한국의 다문화적 특징,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확인하였고, 성서에서 나타난 다문화적 상황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돌봄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을 통해서 다문화교육적 가치관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적인 적용으로서 교육목회 커리큘럼의 차원에서, 디다케,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의 사역을 중심으로 구체화 하였다. 요컨대, 다문화 사회에서의 오순절적 기독교교육은‘차이’‘, 다름’이라는 이유로소외, 억압, 차별 아래 놓여 있는 모든 사람들을 향한 돌봄이 살아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경남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분석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최문성,김순자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4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commended “refl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in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hrough「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lan for children's education」in 2006, it made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cluded concept of multi-cultural in the subject of general curriculum in 2007.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8 implemented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nfrastructur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 expansion including teacher training. Although the implem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so far, in fact it faces many problems now. Therefore, in such a situation, it is necessary that we not only analyz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conducted well but also suggest an altern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s a diagnosis multi-cultural education being conducted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as the model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s the desirable model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set standard of analysis based on inter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well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According to the analysis presented in chapter 2, in chapter 3, diagnosed a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s, Gyeongnam, and in chapter 4 this study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urrently being implem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e general direction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education curriculum composition and teaching methodology from the view of intercultural education.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통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요소 반영”할 것을 권고한 이후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개념을 범교과 주제에 포함시켰으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교육 기반 구축”, “교사 연수 등 다문화교육 저변 확대”를 통해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동안 시행된 이러한 다문화교육이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 것도 사실이나 이와 더불어 현재 많은 문제에 당면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를 통한 한국 다문화교육이 과연 잘 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의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상호문화교육모형에서 진단하고 바람직한 다문화교육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는 경남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제 2장에서 제시된 분석기준에 의거하여 현재 경남의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진단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현재 경남의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경남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일반적인 방향, 교육내용, 교육과정구성, 교수학습방법 등을 상호문화교육의 수준에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의 다문화교육 평가도구 개발

        이륜,장경원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2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다문화교육 평가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 및 정책사례 분석 후 21명의 다문화교육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1~3차 델파이(Delphi) 기법을 활용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의 다문화교육 평가도구를 6개의 상위영역, 16개의 중위영역과 51개의 평가요소로 구성하였다. 6개의 상위영역은 시스템,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다문화 역량, 다문화 프로그램, 다문화 가족 지원, 평가 및 모니터링이며, 16개의 중위영역은 인적, 물리적, 지역연계, 교육과정, 수업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자료, 학생평가, 연수, 학교문화, 인식개선,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직접적 지원, 간접적 지원, 만족도, 교육평가로 구성되었다. 평가요소는 담당교사 배정, 강사확보, 예산편성, 운영메뉴얼 구축, 내용 게시, 공동협의체 구축, 학교협의체 구축, 편성, 재구성, 요구반영, 개별화 교육과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학교의 다문화교육 평가도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보완하고 있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책적인 근거를 마련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청, 학교, 센터 등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기관들의 효과적·효율적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In order to derive assessment facto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elphi technique over three times by organizing 21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olicy cases. Findings/Results: Based on Delphi survey results, 6 upper domains, 16 intermediate domains, and 51 assessment factors were specified for a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assessment tool. The six upper domains were system, method and assessment of education content, multi-cultural capability, multi-cultural progra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ssessment and monitoring. The sixteen intermediate domains were composed of personal, physical, regional association, curriculum, clas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education material, student assessment, training, school culture, cognitive improvement,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direct support, indirect support, satisfaction, and education assessment. Assessment factors consisted of teacher assignments, lecturer arrangements, budget compilation, operation manual establishment, contents posting, establishment of joint consultative groups, establishment of school consultative groups, organization, reconstitution, reflection of demand, and individualized curriculum. Valu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uld complemen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vide a policy basi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this research could provide a guideline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on of institut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schools, and centers.

      • 초등ㆍ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최항석(Choi, Hang-Seok),차미정(Cha, Mi-Je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이 논문은 현장교사의 운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초등ㆍ중등교사들에 대하여 다문화교육 중요성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련된 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위한 실제지도와 자녀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태도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문제에서는, 초등ㆍ중등교사들 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조사를 통해 학교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을 알아보고자 초등ㆍ중등 교사의 다문화교육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를 파악하였다. 결과에서는 첫째, 초등ㆍ중등교사들의 경우 교사경력 별,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 유ㆍ무에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경우 교사연수 유ㆍ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중등교사의 경우는 교사연수 유ㆍ무가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에 대해서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일 전담교사로 적합한 사람을 선정한다변, 다문화가정에 대해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자원봉사자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알맞은 교재ㆍ교수 학습자료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해서는 학교에 적응하고 친구를 만들 수 있는 방법들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ncludes a research of how teachers(elementary and midd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also states several ways to efficiently prepar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ost desired way of education. This paper made a diagnosis of teachers' current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get a thorough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This includes checking the instructors' awareness of the possible clash between children of a multi-culture family and a children from a local family, which cannot be ignored for a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proces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instructors experienc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ot. Most teachers were not experienced of getting edu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y showed a thorough recognition and a high potential efficienc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is the most important instructor for foreign children. An appropriate teacher in charge for such students appeared to be instructors who deeply understands and care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amilies. In order for students from other culture to adapt well, the education system must not exclude such students, and should provide not only administrative but also financial support. The education system should prepare appropriate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especially the plans to help make harmony between local and foreign students. Foreign students must be guaranteed of easy access of such support, and moreover the system should give the instructors more chance to get educated of multi-cultural teachings. The teachers need education first in order for them to teach better. Also, for Korean society to adjust itself well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the educator, and the citizens must understand multi-culture well and they all must work as a team. This requires sustain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eachers must get educated before they educate, and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as one should form a respectful atmosphere for foreigners.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에 [도덕과] 교육의 과제

        최문기 ( Moon Ki Choi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시대에 [도덕과] 교육이 추구해야 할 역할이나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세계 각국을 빈번하게 옮겨 다니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인종, 종족, 언어 등과 관계없이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할 것을 요구한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주의를 토대로 하면서 다문화에 관한 이해, 신념, 태도 등을 촉진하고자 한다. 외국 근로자, 국제결혼 등에 의한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도 1990년대 이후 다문화 사회에로 진입하고 있다. 이에 우리도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도덕과] 교육의 역할이나 과제를 진지하게 모색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연구자의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 1) 오늘날 우리에게 다문화 사회가 왜 문제인가?, 2) 다문화 교육의 이론적 토대는 무엇이고,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주요 외국의 사례들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3)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을 수용하여, [도덕과] 교육이 추구해야 할 역할이나 과제는 무엇인가? 이다. 두 번째 물음과 관련해서 도출한 시사점은 호주, 캐나다,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은 공통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지원하는 법적, 제도적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을 통해 접근한다는 점이다. 이에 우리도 법적 및 제도적 지원체계의 확립, 교육과정의 구비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세 번째 물음과 관련해서 연구자는 네 가지 역할이나 과제를 제시하였다: 1) 학교 내에서 [도덕과] 교육을 담당하는 우리만의 다문화 교육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하고, 2)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다문화 교육 활동에 제공할 수 있는 보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3)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이념적 관점을 정립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다문화주의와 민족주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간의 이념적 조화를 모색하는 것이다. 4) 다문화 교육의 윤리적 토대나 원리를 배려윤리, 타자윤리, 도덕심리학, 사회심리학, 시민교육 등에서 찾아 정립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하나의 가능한 예로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기초하여 간-문화 혹은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세 가지 윤리적 원리들을 소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the role or tasks of mo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With globalization, many people move among the world frequently. Multi-culturalism advocates respect for the cultural diversity regardless of race, ethnicity, language etc. Multi-cultural education accommodates multi- culturalism, and promot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erception, belief, attitude. Owing to the increasing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our country has also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1990. So we need to seek for the role or tasks of moral education suitable to multi-cultural society. My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as follows: 1) Why is multi-cultural society an issue to us nowadays?, 2) What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main countries` educational cases?, and 3) What are the role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in our situations. Related to the 2nd question, the main countries(Australia, Canada, U.S.A., Germany, France, and Japan) on the one hand have establish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s, on the other have approached through the educational curriculum. We also need to look for two solutions :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s; educational curriculum. Related the 3rd question, I suggest the important role or tasks : 1) to make our own(moral educational) curriculum inside the school education; 2) to make the supplementary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3) to balanc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example,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nationalism,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4) to set up the ethical foundation or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care ethics, others ethics, moral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civic education etc. As an example, I introduce three ethical principles for inter-cultural o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based upon communication theory.

      • KCI등재

        연구논문 :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배현주 ( Hyeon Ju B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1

        한국이 다문화사회에 접어들면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맞춰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은 미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의 특수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대상과 교육내용 역시 특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교육’의 차원이 아닌 ‘복지’의 차원이라는 것이다. 한국의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이 부재한 현실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은 한국 다문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은 수업의 주요 교수자료를 미디어로 하며, 미디어의 내용을 활용하여 수업내용을 구성한다. 교육방법으로는 전통적 교육방법과 구성주의적 교육방법을 통합한 Whitehead의 ‘교육의 리듬’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특성과 교육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 효과 사이에서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의 자료로 활용 가능한 양질의 미디어 콘텐츠를 계속해서 제작해야하며,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를 생산하여 학습자의 연령과 성별, 국적, 지식 척도에 맞춰 선택할 수있게 해야 한다. The necessity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emphasized as Korea becam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at various research about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process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processing now in Korea got the influence from America. So, a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which Korea marches into the multi-culture society was not considered, as the same time, the content and objec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stricted.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Korea of th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welfare`` not to be ``the education``. The situation without suitable to Korea actual circumstance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pply the media presents new direction of Korea educati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pply the media is processed around the media, a education content is composed of the media content. The education method uses Whitehead`s ``Rhythm of Education``, which is to integrate constructional education method with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It is interac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education which the media has and the education effectiveness to get through the education method effects to aim. But we wish if we should continu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pply the media, wo must do that a media contents development of the good quality which can use to an education data and we must make the media of various many quantity and kind to care the age, the sex, the nationality, and a knowledge level of the learner.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박물관의 역할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최문성 ( Moon Seong Choi ),김순자 ( Sun Za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교육은 형식적인 학교교육과 비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통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요소 반영"할 것을 권고한 이후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개념을 범교과 주제에 포함시켰으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교육 기반 구축", "교사 연수 등 다문화교육 저변 확대"를 통해 다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동안 시행된 이러한 다문화교육이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 것도 사실이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인 박물관과연계할 것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교육과 연계된 박물관을 통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체험"을 통해 인간과 문화를 체험하고 다문화사회에 요구되는 더불어 더 잘 살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는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더불어 더잘 살 수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교육의 역할에 관해 탐색 해보는 것이다. 먼저,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의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에 반영된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문화」,「다양성」,「정체성」,「평등」,「반편견」,「협력」의 6가지 분석 준거로 분석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박물관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제 3장에서는 지구촌 민속교육박물관의 전시와 연계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분석.논의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박물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을 위한 박물관연계교육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것이다. Integrated education is happening through formal schoo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Although that implem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many positive effects until n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useum,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schoo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useum connected with school education can give the opportunityof an experience of human being and culture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e attitude and ability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which are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Thus,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which can be described as multi-cultural museum, and explores on the role of museum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living a better life together. First of all, we will analyzed criterions of 「culture」, 「diversity」, 「identity」, 「equality」, 「anti-prejudice」, and「cooperation」for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reflected in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iscusses the transi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ed to museum-associated education. Chapter 3 analyzes and debates the exhibition of Folk Education Museum of Global Village and museum -associated - education program. Chapter 4 presents the role of desirable muse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analyzes and discussion in chapter 3.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ble to give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museum-associated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