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계층분석(AHP)을 통한 현대무용수 역량의 우선순위 탐색: 무용공연 수행을 중심으로

        신민혜 ( Shin Min Hye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7 무용예술학연구 Vol.66 No.4

        본 연구는 현대무용수의 공연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각 역량의 정량적인 우선순위를 탐색하고자 계층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전문가적’ 무용수의 움직임과 테크닉이라는 요소가 다른 요소들보다 더욱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무용수의 테크닉에 더해 어떠한 다른 역량이 공연수행에 필요한가를 우선순위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거쳐 무용공연 수행에서의 중요한 역량과 역량의 하위요소를 조사한 후, 계층분석을 통해 해당 역량과 하위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 계층분석은 쌍대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역량과 하위요소는 일관성지수(CI<.1)와 일관성비율(CR<.1)의 기준을 적용하여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무용테크닉(.351)’, ‘예술적 민감성과 표현(.210)’, ‘체형 및 체력(.165)’, ‘창의성(.152)’, ‘인내(.123)’의 순으로 무용공연수행에서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끝으로 무용창작 과정에서의 안무가와 무용수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창의성 향상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성공적인 무용공연 수행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A Historiography of Dance Film: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Art, Academe, and Film in the Early 20th Century American Dance Field

        정옥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11 무용예술학연구 Vol.32 No.-

        . 본 연구는 20세기 초 예술로서의 무용과 학문으로서의 무용개념이 형성되던 미국무용계의 맥락 속에서 무용필름의 역사를 재조명한다. 기존의 무용필름 연구에서“비디오댄스”와 디지털 테크놀로지 등 미디어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무용필름에 대한 역사적 관점은“누가 무엇을 언제 처음으로 만들었는가”를 나열하는 연대기적 접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최초“와“선구자”중심의 역사관은 매우 제한적으로 현상을 조명할 뿐 아니라 이를 가능케 한 문화적 맥락을 소외시킨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 초 미국무용계에서 형성된 네 가지 움직임, 즉 예술로서의 무용관, 학문으로서의 무용관, 무용저널리즘, 그리고 동영상 매체를 통한 무용재현의 시작이라는 맥락에서 무용필름의 초기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예술과 학문으로서의 무용개념이 당시 미국무용계의 테제를 이루었다면, 헐리우드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한 대중적인 무용필름 현상은 이의 안티테제를 구성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무용필름 담론은 급격히 변화하는 무용개념에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이에 영향을 받았다. 발레와 현대무용으로 대표되는 극장예술무용, 대학교육으로서의 무용, 대중무용과 헐리우드 필름산업, 무용매체의 등장과 전문적 저널리즘의 형성, 그리고 학문으로서의 무용이라는 이질적 담론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무용을 지성화,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무용필름은 단지 창작작업 및 무용교육의 도구나 부산물이 아니라 무용담론 형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구성체로 작용하였음을 강조한다. 특징으로는 기존 무용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대중문화 현상인 헐리우드 뮤지컬 영화를 출발점으로 삼아, 뮤지컬 장르의 맥락에서 형성된 무용필름 담론과 예술무용의 맥락에서 형성된 무용필름 담론간의 다층적 긴장관계를 중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적 전략을 사용한다. 미국 주요대학의 도서관 및 뉴욕공공도서관에 마이크로필름으로 소장된 초기 무용잡지들을 모두 훑어서 방대하고 구체적인 사료를 통해 미국무용계의 형성과정을 생생하게 제시하려 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발레 및 현대무용 중심으로 하는 고전적 무용역사관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시각에서 무용필름의 역사쓰기를시도한다. 뮤지컬 영화에 출연하던 코러스 걸 무용수들이 발레리나와 현대 무용가로 대변되는 예술무용이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징적 대척점 역할을 했다면, 뮤지컬 영화에서 무용장면을 담당했던 무용 감독들의 존재와 담론역시 이후 무용계 내에서 무용필름 담론이 형성하는데 대척점이 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들 무용 감독들이 무용 필름이 무대 무용보다 우월하다고 개념화했다면, 이후 무용계에서는 무대 무용이 무용필름보다 우월하다는 주장이 더 우세를 띈다는 점이다. 이처럼 무용 필름과 무대무용이 정반대의 논리를 껴안으면서 구별되어 왔다는 점은 무용필름 담론이 필름 매체에 내재된 고유한 특성에 연유하는 것이 아니라 맥락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것 임을 증명한다. 예술이자 학문으로서의 무용 개념을 오랜 기간에 걸쳐 자기반성적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갑작스럽게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한국무용계의 맥락에서는 특히 무용담론이 서서히 변화하는 메커니즘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무용필름에 ...

      • KCI등재

        Critical Reconsiderations of Dance Media Archives II: The Case of the George Balanchine Foundation Video Archives

        정옥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12 무용예술학연구 Vol.35 No.-

        본 고는 <무용예술학연구> 34집에 실린 “춤 미디어 아카이브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미국 뉴욕공립도서관의 제롬 로빈스 무용분과를 중심으로”의 후속연구이자 무용수의 경험 및 작품의 질적 요소를 강조하는 춤 미디어 아카이브의 최근 경향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조지 발란신 재단 비디오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소실된 안무 아카이브”와 “해석자의 아카이브”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에 담긴 보존 담론 및 역사적 전제들을 분석함으로써 이것이 기존의 전통적인 아카이브 모델과 실질적으로 다른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구술사가 유용한 역사적 연구방법론으로 대두한 것과 미국 초기 현대무용가들의 무용단의 세대교체 과정에서 스타일의 보존이 급선무된 것에 영향 받아 1990년대 중반에 성립된 발란신 아카이브는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뉴욕 공립도서관의 무용분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춤 미디어 아카이브와 구별된다. 첫째, 전통적 아카이브가 모든 춤의 모든 기록물을 무차별적으로 보존하는 무한확장적 경향이 있다면, 발란신 아카이브는 특정안무가의 작품세계에서도 특히 초연 무용수의 생경험과 주관적 해석을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둘째, 완성된 작품의 안무구조를 재공연할 목적으로 보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발란신 아카이브는 연습실에서 이루어지는 춤의 창작과정에 주목하여 무용수와 코치의 즉각적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특징이다. 소실된 안무를 복원하고, 초연에 출연한 무용수의 해석을 중점적으로 파고든다는 점에서 기존의 무용 아카이브와는 차별 짓는 발란신 아카이브는 무용 보존 및 역사적 전제에 대한 다양한 논쟁거리를 제공한다. “소실”된 안무를 안무가의 의도와 상관없이 복원하는 것이 옳은가, 무용수의 기억에 의존하는 복원이 신뢰할 만한가, 기록이 작품의 일시적 양상을 고정시키는 것이라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작품의 정체성과 충돌할 수 밖에 없는가, 초연 무용수의 해석을 기록하는 것이 과연 그 무용수에게 주체성을 부여하는 것인가 아니면 안무가의 의도를 더욱 파악하기 위한 수단일 뿐인가, 초연 무용수에 대한 존중은 오늘날의 무용수의 소외효과를 가져오지는 않는가, 스타일을 유의미한 춤 지식으로 추구하는 것은 기존 안무중심의 춤 지식개념에 안티테제를 이루는가, 무용수와 코치의 상호과정을 소극적으로 기록하는 것은 객관적 관찰자라 할 수 있는가?이상과 같은 논쟁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자는 발란신 아카이브가 내세우는 과정중심, 해석중심의 보존담론이 전통적인 보존담론에 대한 실질적 대안이나 유의미한 패러다임의 변화라기보다는 그 확장이자 강화라고 보았다. 발란신의 작품들이 조지 발란신 재단이나 조지 발란신 트러스트에 의해 이미 철저히 기록되고 관리되는 상황에서 그 위에 비로소 이루어지는 스타일의 추구는, 비록 안무구조보다 더 큰 존재론적 의미가 부여될 지라도 실질적인 대안이라 할 수는 없다. 나아가 스타일에 대한 집착은 춤 지식이 안무구조에서 스타일, 해석, 사회적 함의 등으로 점점 확장되어가는 과정을 드러낸다. 또한 안무가-초연무용수-현재의 무용수 간의 서열이 공고해짐에 따라 오늘날의 무용수는 단지 안무구조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 외에도 춤에 대한 해석마저 초연 무용가들에게 의존해야 하는 “역사의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과거의 ...

      • KCI등재

        몸, 미(美), 그리고 예(禮): 카라밧지오 시대 미술과 무용 비평 언어를 중심으로

        김수인 ( Sue In Kim ) 한국무용예술학회 2006 무용예술학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카라밧지오(1573-1610)의 예술을 중심으로 16, 17세기 미술과 무용의 이론가, 평론가, 역사학자들의 언어를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많은 카라밧지오의 그림은 여러 미술 평론가들로부터‘예의 없는, 천격한’ (indecorous)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당시의 예의와 미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미술에 대한, 그리고 무용과 매너에 대한 원문들에서 드러나는지 살펴보고 그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카라밧지오의 예술에 대한 묘사와 해석에 나타난 예의와 미의 개념은 무용과 예의범절에 관한 글에서 나타나는 신체 자세, 차림새, 제스쳐, 포즈와 일치한다. 앞으로 내밀어진 맨발은 가장 예의바르지 못한 요소로 간주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 부도덕의 표시로 생각되어진다.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자세는 바람직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이집트로의 탈출」의 천사가 취하고 있는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자세는 아름다운 신체와 품행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아르보와 카스틸리오네의 글에서 역시 예의와 아름다움에 대한 동일한 묘사를 볼 수 있다. 무용의 움직임 구조뿐 아니라 움직임 특질 또한 카라밧지오 예술의 묘사, 해석, 평가에서 되풀이 되는 일정한 미와 예의의 개념을 충족시킨다. 두 예술-- 무용과 시각예술-- 은 그 중심에 인간을 위치시킨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적으로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논의에서 밝힌 바와 같이, 두 예술의 텍스트는 서로를 비추는 거울이 된다. 한편으로 Fermor는 미술사가들의 이야기는 댄스 마스터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Fermor가 언급했듯이, ‘움직임에 대한 논의와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에의 적용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들’은‘미술작품 속의 움직임에 대한 묘사, 그리고 가장 주목할 만한 Vasari의 『미술가 열전』’에서 나타난다. 다른 한편에는 사람들이 시각 예술로부터 무엇이 ‘미’인가를 배운다는 사실을 인지한 아르보가 있다. 무용과 그림에 대한 비평적 언어들은 매우 밀접하게 상호 의존성을 드러낸다. 그러기에 미술과 무용에 대한 보다 나은 시각을 가지기 위해서 뿐 아니라 그 중심에 서 있는 인간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두 예술의 서로에 대한 관심과 탐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탈춤의 무용/동작 치료(Dance/Movement Therapy)적 요소

        이경희 ( Kyung Hee Lee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2 무용예술학연구 Vol.37 No.-

        역사적으로, 서민들을 위해 추어왔던 한국 탈춤은 상징적인 탈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하는 표현예술이다. 탈춤은 서민들에 의해 추어져온 가장 극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고, 춤을 추는 과정에서 공연자들은 즉흥적인 동작을 통해 관객들과 동시성과 정신적인 단결성을 통해 그룹적인 리듬을 유도하고, 관객들은 공연자들의 즉흥적인 춤, 연기, 그리고 노래에 몰입을 하게 된다. 때로는 관객은 탈춤을 통해 개인적인 사건을 감정이입 시키고 반영한다. 이러한 자신 내면의 적극적인 감정이입과 반영의 경험은 결과적으로 자신의 문제와 사건들에 대한 감정을 해소시키고 방출시키는 기회를 갖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공연자는 즉흥(Improvisation)을 통해 그때 상황에 맞는 춤사위와 대사로 관객들과 소통한다는 점이다. 공연자는 적극적인 관객참여를 끌어 들임으로써 관객들과 하나가 되는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하고, 그 순간 관객들은 자신의 문제를 방출시키고(Empathic Reflection), 모든 스트레스로부터 잠시 해방감을 맛보는 치유적인 정서를 가지게 된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공연자와 관객과의 단결성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동시성과 단결성(Synchrony & Cohesion)은 무용/동작 치료의 선구자 마리안 체이스(Marian Chace)의 치료적 방법에서 그룹 활동(group activity)과 일맥상통하는데, 즉 내담자와 치료사 사이에 즉흥적인 움직임을 통해 분위기가 고조되고 점점 하나의 공동체 의식으로 전환되면서 동시성과 정신적인 단결성(Synchrony and Cohesion)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지지받는다는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진정성 있는 자기반영(emotional reflection)을 표출함으로써 자기문제를 해소하는 치료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탈춤은 무용/동작치료에서 주요 치료적 요소인 즉흥성, 상징성, 동시성, 단결성 그리고 자기반영이라는 것과 동일시된다. 특히, 한국 탈춤의 즉흥적 움직임을 통한 관객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무용/동작 치료에서 본질적으로 다루고 있는 무의식적 움직임에서 인간의 내적 태도의 단서를 찾아내고, 그것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근간을 제공한다. 탈춤은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잘 알려진 공연예술 분야에 하나일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인 탈춤이 지니는 무용/동작치료(Dance/Movement Therapy)적인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전통적인 춤, 즉 탈춤에 대해 좀 더 광범위한 학문적 자료로서 제공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