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인 극작가 김해운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성 -『장화와 홍련』을 중심으로

        조규익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After Tashkent Chosun Theater closed, Kim Hae-woon and his wife moved to Sakhalin Chosun Theater with several actors, playwrights, and directors, where Janghwa and Hongryeon was adapted in 1956. In 1954, North Korea's Lee Geun-young annotated an old novel titled "Janghwa Hongryeonjeon", and this work by Kim Hae-woon was adapted from Lee Geun-young's annotated version. Based on the acceptance pattern leading to the old novel Janghwa Hongryeonjeon, Lee Geun-young's annotated version, and Kim Hae-woon's adaptation version, we were able to confirm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Kim Hae-woon reflected into the work. Lee Keun-young's note and publication on the old novel Janghwa Hongryeonjeon in North Korea intended to ‘maintain the national form,’ and the reflection of class struggle consciousness in the work was intended to "add socialist content." In addition, Kim Hae-woon's adaptation of Lee Geun-young's text into Janghwa and Hongryeon was intended to "maintain and confirm the national form," and his reflection of the class struggle consciousness was intended to "reaffirm socialist content." This is the ideological homogeneity of Kim Hae-woon’s text and Lee Geun-young’s. Despite this homogeneity,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key motif that formed the climax or reversal of the old novel Janghwa Hongryeonjeon and Lee Geun-young's text is "Janghwa and Hongryeon who committed suicide due to the wicked plan of their stepmother Heo and became a ghost and met the newly-appointed governor," but in Kim Hae-woon’ text, it is changed to "Janghwa and Hongryeon who was caught in the wicked plan of stepmother Heo but survived with the help of the people under control and met the newly-appointed governor." The original version and Lee Geun-young's text only embodied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Samgang Oryun[the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and Gwonseonjingak[encouraging the good and punishing the evil] through illusions or irrational devices, but Kim Hae-woon’s text was able to attract great interest from the audience by introducing rational devices to amplify the sense of reality in class confrontation and struggle. Kim Hae-woon faithfully follows the guidelines for creating culture and arts emphasized by Lenin and Kim Il-sung by bringing an old novel[Janghwa Hongryeonjeon]as a national form, but filling the contents with socialist ones. Catching two rabbits: ethnicity and socialist ideology. That was the desire and dream of Kim Hae-woon not easy to achieve found in his text Janghwa and Hongryeon.

      • KCI등재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衛正斥邪) 정신

        이향배 ( Lee Hyang-b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김영근은 중암 김평묵과 오남 김한섭의 제자로서 화서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 평생동안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사상을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천부적으로 시재가 있었으며 수많은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시에는 향토성이 짙은 작품이 많으며 자신의 포부와 위정척사의 의리 정신이 관철되어 있었다. 본고는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 정신을 살펴보았다. 첫째로 구한말에 김영근이 서양열강과 일본의 계략적으로 침탈당하는 나라의 현실을 걱정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그는 국난을 구제해줄 영웅이 나타나주기를 바랬고, 외세에 맞서 싸워 일본과 서양세력을 척결하려는 위정척사의 정신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외세에 대한 적극적인 배척은 도학의 존망이 달려 있다는 화이론적 관점에서 위기의식의 발로였다. 둘째로 을사늑약 이후에 김영근이 한반도를 유람하면서 일본이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조선을 침탈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분개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일본군 병참이 설치되고 일본인들이 조선 경제를 침탈하는 모습을 보고 나라가 장차 처할 운명에 대해 걱정했다. 그래서 그는 의병을 통해 척결하려는 의기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셋째로 김영근이 일제치하에서 사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고향을 떠나 해외로 가려고 한 사실을 분석하였다. 조선의 선비로서 일본의 백성으로 살아가기를 거부한 그는 고향을 떠나려고 했지만 노모 때문에 떠나지 못하고 부끄러움을 견디며 살아갔다. 결국 노모가 세상을 떠난 뒤에 가족을 거느리고 간도에 갔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1년 만에 돌아와서는 은둔하여 제자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탐구하며 광복을 기다렸다. 넷째로 김영근이 서구 문화 유입으로 일어난 세태 변화에 대한 비판과 사도를 고수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일본 관리가 부자들의 횡포를 방관하고 양반출신 여자들이 장사에 나서는 세태에 대해 비판했으며, 이혼가정이 늘고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등 전통적 가족 제도가 무너지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래서 금수 사회로 떨어진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교적 질서의 회복을 강조했으며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 실천을 통해 사도(斯道)를 고수하였다. 이와 같이 김영근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의 정신은 그가 철저하게 화서학파의 의리사상을 실천하며 살아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의 한시 세계는 일제 강점기를 살아 가야만 했던 전통지식인들의 삶과 고뇌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As a scholar he was indoctrinated in the ways of Hwa-seo School, student to Jungam Kim Phyeong-Muk and Onam Kim Han-Seob, Kim Young-Geun is someone who practiced the principle of Zongfa-yangi, righteous austerity in thought, his whole life. He was a poetic genius and left us many Korean poems. Much of his poetry is flavored with the local context of things happening around him while being heavily influenced by the principles he believed in, righteousness thought of Wijeongchuksa.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this poetry. First, this study analyzed Kim Young-Geun`s work demonstrating his concerns in response to the arrival of Western influence and the invasion of Japan. He wanted to inspire his followers during a time of national crisis, in hopes that the spirit of Wijeongchuksa would aid them in the fight against western influence foreign powers and to defeat Japan. The aggressive denunciation foreign power was an expression of awareness of a crisis from a perspective of Hwairon (a theory ascribing Civility to one group and Barbarism to the rest) which later gave way to Dohak. Second, this study focused on Kim Young-Geun work depicting his observations of Japan`s financial and military invasion and the outrage he felt while he traveled Korea follow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He was concerned for his country`s future welfare as he witnessed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ir (the Japanese`s) immersion into the Korean economy. Kim Young-Geun went on to express the need to fight through a Righteous Army. Third, this study analyzed how Kim Young-Geun considered it grossly humiliating to liv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his attempts to escape. As a scholar of Joseon, he refused to live as Japanese citizen and tried to leave his hometown. However, he was forced to live in shame as he could not abandon his elderly mother.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he went to Gan-do with his family, but was unable to settle down. After a year, he came back, deciding to live in seclusion while teaching students, studying, and waiting for the liberation. Forth, the study focused on how Kim Young-Geun openly criticized society`s departure from Confucianism following its exposure to Western culture. He criticized how Japanese officials just sat and watched the tyranny of the rich, especially when women from noble classes tried to do business. Moreover, he spoke out against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resulting in of divorces and failure to care for elderly parents. Thus, in hopes of raising society from failing morally, he emphasized a restoration of Confucian ideals and did his best to practice the precepts of righteous thinking daily. And so we see how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Kim Young-Geun`s Korean poetry is the evidence that he lived practicing the Zongfa-yangi of the Hwa-Su School. His Korean poetry is meaningful as it portrays the life and agony of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had to endu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1907년 강화도 기독교인 김동수 형제의 순국 과정

        한규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6

        강화의 기독교인 김동수 3형제는 이동휘와 함께 계몽운동에 참여했으며, 1907년 7월 헤이그밀사사건으로 일진회가 고종의 퇴위를 요구하고‘어가동도설’이 유포되자 일진회 강화지회와 갈등을 빚기 시작했다. 그리고 1907년 3월 대한자강회 강화지회를 결성한 이동휘는 7월 20일경 이후김동수 등과 수차례 집회를 열고 군중에게 배일사상을 고취시켰으며, 이과정에서 일진회와의 관계도 더욱 악화되었다. 이동휘가 강화를 떠난 이후인 8월 9일 강화의 진위대원 및 주민이 합세하여 의병투쟁에 나섰지만 8월 10일 일병이 강화를 장악했다. 그리고서울의 일진회원이 강화에 들어와 강화의 일진회원과 함께 일병을 도우며 의병봉기에 가담한 주민을 색출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들은 평소감정이 좋지 않던 주민을 일병에게 무고했으며, 여기에 김동수 3형제 등이 포함되었다. 일병이 이들을 구금한 이유는 표면적으로는 의병봉기에가담했다는 것이었다. 일병은 김동수 3형제 등 7명을 서울로 압송한다면서 중도에 사살했다. 명분은 이들이 도주를 시도하며 저항했다는 것이지만 실제 이유는 이들의 의병봉기 가담 혐의를 입증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의병봉기를주도한 진위대원을 한명도 체포하지 못한 상태였기에 일병으로서는 주1907년 강화도 기독교인 김동수 형제의 순국 과정 39 도자 검거 실적이 필요했고, 김동수 3형제 등 7명은 이같은 일병의 계책에 희생되었다. 현재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어 있는 ‘金東秀’는 ‘군인 김동수’가 아닌 ‘교인 김동수’이다. 하지만 후손이 신청한 것이 아니며, 후손과는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이다. 김남수와 김영구, 김근식 등도 독립유공자로 서훈될만한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 The brothers of Ganghwa's Christianity Kim Dong-Soo participated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with Lee Dong-Hwi, and in July 1907, when the Iljinhoe demanded Empire Gojong's abdication and the rumor of his bound for Japan spread, conflict began with the Ganghwa branch of the Iljinhoe. In addition, Lee Dong-Hwi, who formed the Ganghwa Branch of the Daehanjaganghoe in March 1907, held several rallies with Kim Dong-Soo and others after around July 20 to promote anti-Japanese ideology to the crowd, and in this process, relations with Iljinhoe worsened. On August 9, after Lee Dong-Hwi left Ganghwa, soldiers and residents of Ganghwa joined forces to fight for the righteous army, but on August 10, Japanese soldiers took control of Ganghwa. In addition, members of the Seoul Iljinhoe entered Ganghwa and helped Japanese soldiers with the members of the Ganghwa Iljinhoe to find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uprising. And in the process, they innocent residents who were usually in bad mood to Japanese soldiers, including three brothers Kim Dong-Soo. The reason why Japanese soldiers detained them was that they ostensib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uprising. Kim Dong-Soo and two other brothers were sent to Seoul and killed in the middle. The justification was that they resisted by trying to escape, but the actual reason was that they could not prove their participation in the righteous army uprising. In fact, since none of the Jinwi members who led the righteous army uprising were arrested, it was necessary for the private to arrest the leader, and seven people, including three Kim Dong-soo brothers, were victimized by their plan. Kim Dong-Soo, who is currently honored as an independence meritorious man, is not a soldier Kim Dong-Soo, but a christian Kim Dong-Soo. However, the descendants did not apply, and they are unable to contact the descendants. Kim Nam-Soo, Kim Young-Gu, and Kim Geun-Sik also have sufficient requirements to be awarded as independence meritorious man.

      • KCI등재

        김영근(金泳根)의 <금강산졀긔 동유록>에 나타난 서술방법(敍述方法)과 의식세계(意識世界) 연구(硏究)

        정영문(鄭英文) ( Joung Young-m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조선 시대에도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하였는데, 그 여행지를 대표하는 공간이 금강산이다. 금강산을 유람한 유람객은 산수유람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강원도 관찰사는 관할 지역을 순력(巡歷)하는 여정에 금강산에 이르는 노정을 포함하기도 했다. 근대이전의 금강산 유람객은 대부분 당대의 지식인이었고, 자신의 여행 체험과 견문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다. 1863년(철종 14)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영근(金泳根)은 순력과 근친(覲親)하러 오는 아들과의 만남을 목적으로 8월 6일 원주 감영을 출발한 후 9월 4일 감영으로 복귀하였다. 이때의 견문과 체험을 기록한 것이 <금강산졀긔 동유록>이다. 이 기록은 한글로 기록한 일기체 유산록(遊山錄)으로 19세기 유람록이 지닌 특징을 보여준다. 문학적 표현(表現)보다는 사실적 재현(再現)에 집중하고 있으며, 잡록(雜錄)의 글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김영근은 순력, 제명, 전설을 통해 자신의 인식을 드러내었다. 관할 지역을 순시하면서 지방관으로서의 소명의식, 제명을 하면서 가족의식을 드러내었다.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설화를 기록하는 등 금강산의 장소적 특성과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Many people traveled eve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space representing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Geumgang. The tourists who visited Mt. Geumgang aimed at landscape sightseeing, but the Gangwon-do governor also included a route to Mt. Geumgang in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Before the modern era, most of the tourists visiting Mt. Geumgang were intellectuals of the era, and they recorded their travel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Chinese characters. Kim Young-geun, who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in Gangwon-do in 1863 (14th year of King Cheoljong), left his Wonju government office on August 6 for the purpose of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and also meeting his son visiting him for filial piety, and returned to his office on September 4. The record of his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this time is <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 < Dongyurok > is a diary type record of playing in the mountain written in Korean language and has an incomplete composition, bu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excursion record. It focuses on realis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literary expression, and is mainly composed of miscellaneous written records. Kim Young-geun revealed his own perception through supervisory journe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and old story. As he toured his jurisdiction, he revealed his sense of vocation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his family and family consciousness b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While recording the old story, he newly recognized the place value and meaning of Mt. Geumgang.

      • KCI등재

        1950년대(1953∼59) 『조선문학』에 게재된 전후(戰後) 북한 대표 단편소설 연구 - 인물 형상화의 서사적 개연성을 중심으로 -

        오태호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1950s, including four works: Byun Hee-geun’s “Shining Prospect,” Kim Man-sun’s “Taebong Ryeonggam,” Lee Geun-young’s “They Did Not Give in,” and Hwang Geon’s “Do-Rae-Goop-Yi,”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literary history since the 1950s. These works correspond to texts in whic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works is conducted in the contemporary period of the 1950s. However, since these have either been rewritten or exclu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negativity has been reduced or deleted, and only positive aspects are highlighted, and are referred to as the epitome of contemporary literature. By reviewing the meaning of such literary history selection and exclusion, the schematic trend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can be critically analyzed. Byun Hee-geun’s “Shining Prospect” is a representative short 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1950s, and the characters of wife Hye-sook and husband Yun-ho are judged to secure the typicality of the times and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In Lee Geun-young’s “They Did Not Give in,” in the conversation between Man-sul and his wife, the narrative aesthetics of the work are captured in the form of realistic dialogue statements. In Kim Man-sun’s “Taebong Ryeonggam,” the negative nature of Taebong’s behavior of not hiding his private desires is part of the character’s liveliness. In Hwang Gun’s “Do-Rae-Goop-Yi,” the epic reality stands out in the part where Jung-ok agonizes over his feelings for ‘boyfriend’ Myung-hoon, who lost his sight in the war while psychologically conflicting in “Between Friendship and Love.”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s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in the 1950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deviate from the single-oriented dogma implied by socialist realism and party literature as three-dimensional evaluations by various commentators progressed.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the characters are not only immersed in the sense of purpose for the socialist construction task in the post-war restoration construction period, but are embodied as beings who own three-dimensional landscapes surrounding themselves and the world. 본고는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북한의 대표 단편소설 중 변희근의 「빛나는 전망」, 김만선의 「태봉령감」, 이근영의 「그들은 굴하지 않았다」, 황건의 「도래굽 이」 등 네 작품을 선정하여 인물 형상화의 서사적 개연성을 중심으로 북한문학 의 리얼리티를 해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작품들은 1950년대 동시대에는 작품 에 대한 입체적 평가가 진행되는 텍스트들에 해당한다. 그러나 앞의 세 작품은 문학사에 기입되면서부터 부정성은 축소되고 긍정적인 측면만이 부각되면서 당 대적 문예의 전형으로 호명된다. 반면에 황건의 작품은 문학사에서 배제되면서 언급 자체가 사라진다. 이러한 문학사적 선택과 배제의 의미를 검토함으로써 1950년대 북한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독해할 수 있었다. 변희근의 「빛나는 전망」은 부부인 혜숙과 윤호의 캐릭터가 시대적 전형성과 인물의 입체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리근영의 「그들은 굴하지 않았다」 는 만술과 아내의 대화 등에서 드러나듯 실감 나는 대화적 진술의 형상화에서 작품의 서사적 미학이 포착된다. 김만선의 「태봉 령감」은 부정적 인물인 태봉 영감이 자신의 사적 욕망을 숨기지 않으려는 행태를 적극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인물의 생동감을 보여준다. 황건의 「도래굽이」는 정옥이가 ‘우정과 사랑 사이’에 서 심리적으로 갈등하면서 전쟁통에 실명(失明)한 명훈이에 대한 연애 감정을 고뇌하는 대목에서 서사적 리얼리티가 돋보인다.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북한의 대표 단편소설들은 다양한 논자들의 입체적 평가가 진행되면서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기반으로 당문학이 표방하는 단일적 지 향의 도그마로부터 벗어나 있다. 특히 등장인물들이 전후 복구 건설 시기에 당 면한 사회주의 건설 과업에 대한 목적의식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세 계를 둘러싼 현실을 마주하며 입체적인 내면 풍경을 소유한 존재들로 형상화되 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캐릭터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경회 김영근의 삶과 시세계 - 영물시를 중심으로 -

        김기림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8 No.-

        본 논문은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초의 강진 유림이었던 景晦 金永根이 남긴 영물시를 고찰하였다. 경회는 1865년 강진에서 태어났다. 吾南 金漢燮과 重菴 金平默을 사사했다. 이들은 華西 李恒老의 衛正斥邪 정신을 계승하였는데 경회도 이를 적극 받아들여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는 정신으로 삼았다. 을사늑약 및 한일합방이 이루어진 후 이주 목적 또는 항일 활동 목적으로 간도에 갔으나 잠시 머물렀을 뿐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신흥리에 학사를 열고 후학을 가르쳤다. 한편 人道公義所 와 같이 유교 부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모임에 적극 참여했다. 경회가 이런 활동을 한 것은 유림으로 자처하며 유교를 수호하고 유학적 소양을 지닌 후학을 양성하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시는 모두 1,527수이고 그 중 약 140여 수가 영물시이다. 그의 詠物詩는 서양과 일본을 배척하는 위정척사 정신과 존화 의식을 담고 있다. 또한 당시 조선을 배반하고 참혹한 백성들의 삶에 고통을 가중하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하여 자신들의 책임을 放棄했던 조선 대신과 지방 목민관들을 준엄하게 비판하였다. 더 나아가 서양 및 일본에 의해 夷化하여 윤리가 타락하고 이익 추구가 만연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 의식, 자각, 분별력 없는 일반인들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경회는 사회, 세태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자신에게도 엄격하게 적용하여 세상에 도움이 되지 못했고,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자신을 비판하면서 부끄러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유림으로서의 정체성을 견지하기 위한 자기 警戒 및 단속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러한 경회 영물시는 영물시 영역 안에 위정척사와 존화 정신 및 자기 반성 등의 내용을 확장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척사 정신을 읊음으로써 당시 유희적, 친일적인 한시 풍조에 저항했고, 오랑캐 공간으로 변한 조선 사회에 대한 문학적 저항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speculated on 'Youngmul' Poetry by Gyeonghoi Kim Young-Geun who was a Confucian scholar in Gangjin during the flowering time and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Gyeonghoi was born in Gangjin in 1865. He was taught by Onam Kim Han-Seop and Jungam Kim Pyong-Mook. The teachers succeeded to the Wijung Chuksa(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developed by Hwaseo Lee Hyang-Ro and Gyeonghoi accepted it actively and considered it as a lifelong motto. After the Eulsaneukyak an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ere completed, he moved to Gando for migration or anti-Japanese movement, but he stayed there for a while and came back to his hometown. Then, he opened an academy to teach junior scholars. Meanwhile,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roup which was aimed at rehabilitation of Confucianism. It was derived from this intention to protect Confucianism and nurture junior scholars with Confucian knowledge. He wrote a total of 1,527 poems of which about 140 were verses on natural things. His 'Youngmul' Poetry was intended to expel western power and Japan and preserve Wijung Chuksa and Chinese civilization. Also the verses criticized federal ministers and local governors who betrayed Joseon, imposed pain on the tragic life of people and abandoned their responsibility to care the people. Furthermore, he criticized the society which abandoned ethics and pursued only profit and the common people who were unaware of terrible social condition without critical mind. Gyeonghoi stuck to strict standards of criticism against society and the prevailing state of society and was ashamed of himself as he was not helpful for society and did not anything for society. Therefor, he firmly controlled himself to maintain his identity as a Confucian scholar. His 'Youngmul' Poetry has meaning in that it contains Wijung Chuksa, respect for Chinese civilization and self-reflection in his poetry. As he recited the Wijung Chuksa mind to resist against the trend of pro-Japanese Chinese poetry, he was also considered as a literary resistant against Joseon society which was changed into barbarian space.

      • KCI등재

        특집 : 평화와 통일의 사건사;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앙상블을 위하여

        양무진 ( Moo Jin Y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이 글의 목적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좌절들을 고찰하면서 현실적인함의를 찾는 것이다. 고찰의 주요 대상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이지만 북핵20년의 역사적 인문학적 고찰이라는 점에서 김영삼 정부와 박근혜 정부도 포함시켰다. 김영삼 정부는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감성에서 출발하였지만 핵을 가진자와 악수할 수 없다는 강경노선으로 변화함으로서 통미봉남을 자초하였다. 노무현정부는 북핵불용이라는 원칙하에 북핵문제를 남북관계 차원에서 풀려고 노력했지만 ‘핵은 남쪽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는 북한의 대미협상 선호논리에 막혀 가다 서다를 반복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비핵·개방·3000’ 구상을 내세웠지만 모든 대화와 교류협력의 단절로 비핵화도 이루지 못하고 남북관계도 진전시키지 못한 최악의 한반도 상황을 이끌었다. 박근혜 정부는 핵을 머리에 이고 살 순 없다는 강력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은 하겠다는 유연한 입장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정책이행이 주목된다. 북핵20년사는 한반도문제가 남북한의 문제이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이중성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중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련국들의 공동노력을 통한 조화로운 앙상블이 요구된다. 북핵문제와 남북문제 해결의 선순환관계, 한미공조와 한중협력의 균형적 발전, 평화통일을 위한 내외의 합의기반조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속에서도 한반도문제와 관련된 모든 연주자들이 조화롭고 협력적인 앙상블을 가하는 순간 한반도 통일은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우리 곁에 다가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discussing the efforts and frustrations behind this subject.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is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20 years of the nuclear issue from the Kim Young-sam to the incumbent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although the main focus is on Lee Myung-bak 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Kim Young-sam government departed from the sentiment of “Blood is thicker than water,“ but it ended up as a hardliner policy from its firm position that it will not hold hands with a nuclear state. This eventually led to North Korea`s policy of “Talk to the US, Isolate the South.” Roh Moo-hyun government took the approach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Korean relations under the principle of intolerance for nuclear weapons, but North Korea retorted with the argument that ``nuclear arsenals`` were not aimed for the South and North-South relations repeated the stop-and-go from North`s preference to talk with the US.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Vision 3000 or “denuclearization, openness, and 3000” policy resulted in all dialogue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the North to come to a complete halt, unsuccessful in achieving denuclearization or improving relations resulting in the worst inter-Korean relations in histor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lso is endorsing a strong ambition of denucle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a rather flexible attitude to continue humanitarian assistance regardless of political situation. The 20 years of the nuclear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indicates such duality- one that it is both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concern.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ty, it requires harmonious ensemble with the major actors in the region to join in efforts and overcome challenges. The main tasks at hand is to turn the current inter-Korean relations to a virtuous cycle, balanced development of US-Korea and South Korea-China cooperation, and seek consensus-based resolution towar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duet of conflict and cooperation, all the players involved with the Korean Peninsula should attempt to form harmonious and cooperative ensemble in order to head toward the direction we want in reunification.

      • KCI등재

        모방과 필연: 1950-60년대 한국 미술비평의 쟁점

        신정훈 ( Chunghoon Sh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9 No.-

        20세기 한국미술이 원본이 아니라 해외사조를 모델로 하고 있다는 지적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흔히 `이식`이나 `모방`이라 통칭되는 사태는 손쉬운 비판이나 폄하의 대상이었고, 이는 한국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절하로 이어지곤 했다. 그러나 전문적인 미술담론의 장에서 그 사태를 다루는 방식은 보다 미묘했다. 원론적으로는 용납하지 않았지만, 현실적으로는 고려될 수 있었고 때에 따라서는 요청되기도 했다. 분명 소망스러운 일도 최종목표도 아니었지만, 효과적인 학습의 방법으로, 더 나아가 추격의 전략으로 권장되기도 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미술 비평의 문제는 모방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었다. 대신 모방이 어떻게 창조의 도정이 될 수 있는지 고민하는 일이었다. `필연` 혹은 `필연성`이라는 생각은 특정 서구모델이 한국의 조건과 맞아 뿌리를 내리고 결실을 맺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즉 1950년대 말 `앵포르멜`이건 1960년대 말 `팝`, `옵`, `해프닝`이건 그 모델들이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우리의 조건으로부터 말미암고 그것에 착근된 미술실천이 될 수 있는지를 따져보는 일이 진행되었다. 이경성, 방근택, 김영주, 이일 등의 평론에 초점을 맞춘 이 글은 한국미술의 제도와 담론이 형성되던 1950-1960년대 한국미술의 논의를, 당대 부상하는 미술운동들이 단순한 모방인지 아니면 필연적 발생인지를 놓고 벌어지는 입장의 경합으로 다시 쓰는 시도이다. The accusation of “imitation” was the most severe form of criticism within modernist aesthetics that uphold the principle of “creation”, “invention”, and “originality.” In the 20th century Korean art, there were no exceptions to this tendency. Positioning themselves as a non-Western latecomer to modernism, however, Korean artists and critics did not adopt a uniform attitude towards imitation. Indeed, although largely denigrated, imitation was deemed particularly in the 1950s and 1960s as the effective way for Korean art as a (late-) latecomer to initially learn and finally catch up the West. And yet behind the mimetic endeavor actually lay a self-critical questioning of which foreign models were likely to be rooted in the Korean context and which were just imitative. In tackling the question, the idea of “necessity” (pilyeon or pilyeonseong in Korean) served as a yardstick for the evaluation of imitation as a path to creativity. According to the idea, the selection, transposition, and incorporation of foreign models should be motivated directly by the demands of “our” reality. Examining works by Korean art critics, including Lee Kyungsung, Kim Young-ju, Bang Geun-taek, and Lee Yil, this essay offers a more nuanced approach to the vexing issue of imitation in Korean art, with a special focus on the idea of “necessity,” one that has been largely ignored in the literature but still works in the artists` mind-set in the Korean art field.

      • KCI등재

        김택영의 안중근 형상화 검토

        최영옥(Choi, Young-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5 No.-

        Kim Taek-young showed a deep concern for An Jung-geun, which is appeared in An Jung-geun jeon and other works. His An Jung-geun jeon was written in 1910 based on the report of Chinese newspaper at first, and extensively adapted after the report of Park Eun-sik in 1916. I aim to research the change of Kim Taek-young’s recognition appeared by the figuration of An Jung-geun through the aspect of adapting An Jung-geun jeon included in his anthology in this article. The works in Gyeongsulnyeon(1910) and Byeongjinnyeon(1916) are composed by same structure as “About Person-Activity-Trial Process-editor's judgement” but show some differences on selecting detailed motifs of each paragraph.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s is that the motif related to ‘Catholic’ was unselected in Byeongjinnyeon work. This is the special character of Kim Taek-young’s work compare to the works of Park Eun-sik and Lee Kun-seung. It is a reflection of Kim Taek-young’s recognition as a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garded the recovery of the Confucian order as a solution for a actual problem. In the works in Byeongjinnyeon, ‘An Jung-geun’ the way an individual chooses to focus on and omitted a motif about ‘Kando’ region in the works in Gyeongsulnyeon( 1910). This is attributed to differences of the basic materials. The works in Gyeongsulnyeon is reflect the tone of Chinese newspapers that exposed Japanese ambition to make Manchuria for the base of aggressing China so waking up Chinese. In the other side, the works in Byeongjinnyeon was relied on Park Eun-sik’s An Jung-geun. The people around An Jung-geun was deleted and some motives are added in order to highlight An Jung-geun’s extraordinary heroism. In particular, motives about the conciliatory and persuasive of Japan repeatedly presented. So An Jung-geun was figured as a a patriot, patriotic martyr, and leader of the righteous armies of Chosun and stand out as representative of nation through the motif of overseas Korean’s support in addition. Kim Taek-young’s adaption of An Jung-geun jeon was based on the work of Park Eun-sik and shows connectivities to Lee Kun-seung’s An Jung-geun jeon. The process of Kim Taek-young’s adaption of An Jung-geun jeon shows the change of his recognition. Furthermore, it gives us a clue how Confucian intellectual in China make An Jung-geun embodied by the hero of the nation in addition. 김택영은 안중근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안중근전」을 비롯한 여러 작품으로 나타난다. 그의 「안중근전」은 1910년 중국 신문의 보도를 근거로 처음 저술되었고, 이후 1916년 박은식의 저술을 보고 대대적인 개작이 가해졌다. 이 글은 김택영 문집에 수록된 「안중근전」의 개작양상을 통해 ‘안중근’ 형상화에 나타난 김택영 인식의 변화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술년(1910)작과 병진년(1916)작은 ‘인물소개-활동-재판과정-논찬’이라는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각 단락의 세부적인 화소의 취사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가장 특징적인 면모는 병진년작에서 안중근의 ‘천주교’관련 화소가 산삭되었다는 점이다. 기초자료로 삼은 박은식의 저술과 이후 이건승의 저술에도 나타난 천주교 관련 부분이 산삭된 것은 김택영 작만의 특징으로, 이는 유교질서의 회복을 현실문제의 타결책으로 여겼던 유교지식인 김택영의 의식이 반영된 부분이라 하겠다. 그리고 경술년작에서 비중 있게 다룬 ‘간도’지역에 대한 화소가 생략되고 병진년작에서는 ‘안중근’ 한 개인에 집중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는 기초자료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써, 경술년작이 만주를 중국진출을 위한 기지로 삼으려는 일본의 야욕을 폭로하고 중국인들을 각성시키려는 중국언론의 논조가 반영된 것이라면, 병진년작은 박은식의 『안중근』에 기대어 있다. 안중근의 비범함과 영웅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주변인들에 대한 모습은 산삭되는 한편 경술년작에서는 없던 화소들이 추가된다. 특히 일제의 회유와 설득에 대한 화소를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志士ㆍ烈士, 대한의 의병장으로 안중근을 형상화하고, 아울러 해외 한인들의 지지를 보여주는 화소를 통해 한 개인이 아니라 민족을 대표하는 인물로 부각시켰다. 김택영의 「안중근전」 개작은 박은식의 저술을 기초로 하였고, 이는 다시 이건승의 「안중근전」과도 연계성을 보인다. 즉 김택영의 「안중근전」 개작과정은 단지 김택영의 인식변화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으로 망명한 재중 유교지식인이 안중근을 어떻게 민족의 영웅으로 형상화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초 역할을 하고 있다.

      • KCI등재

        1950년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올리버 트위스트』의 번역 양상

        조윤정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이 논문은 찰스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가 1950년대 한국에 아동문학으로 번역된 정치・문화적 배경을 살피고, 이호근과 김수영의 번역본이 지닌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올리버 트위스트』는 전후 서구문학 열풍 속에서 출판사들이 앞다투어 내놓은 세계명작소설전집이나 문고본 시리즈에 포함되어 번역되었다. 1955년 영문학자 이호근에 의해 한국에 처음 번역되었으며, 1959년에는 시인 김수영에 의해서도 번역되었다. 이호근은 원작에서 악인의 행동과 심리를 반영하려 노력했으며, 김수영은 공권력을 풍자하고 조력자의 역할을 강조한 경향이 있다. 다만, 디킨스의 소설이 아동문학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축약, 영국식 구빈제도가 낯설었던 한국 지식인의 상황 탓에 작품은 올리버가 당한 학대, 구원자의 등장, 범죄자 소탕, 올리버의 가족 찾기로 단순화되었다. 그 결과 독자는 서사에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되었으나 산업화의 폐해, 영국의 구빈법과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작가의 비판의식은 많은 부분 생략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남한의 사회문화적 현실과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영국의 범죄소설 『올리버 트위스트』가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은 아동문학으로 요약 번역되는 방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이후 고아와 부랑아는 국가 재건을 방해하고 범죄자 집단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고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관리하고 교화해야 할 대상이 되었다. 또한 1950년대 간행되었던 세계문학전집에는 모험소설과 범죄소설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같은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한국 번역가들은 『올리버 트위스트』를 번역하며 고아원 관리자의 범죄, 페이긴 일당의 복잡한 심리보다 올리버가 경험한 역경, 올리버의 순수함, 고아를 교화하고 가족을 찾아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러한 양상은 문교부의 출판 정책, 교훈주의와 순수주의를 표방했던 당대 아동문학의 한계, 남한사회에서 강조했던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둔다. 1950년대 디킨스 소설의 번역상 특성은 당대 아동문학의 본원적 한계뿐 아니라 전후 고아 문제를 아동과 조력자의 심성 교화 차원에서 다루고자 했던 정치적 의도를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Oliver Twist was translated as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 meaning of it,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how Lee Ho-geun and Kim Soo-young translated this novel. This novel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English literature scholar Lee Ho-geun and poet Kim Soo-young in the mid- to late 1950s. Oliver Twist was translated as part of the collections of world classic novels or paperback series that publishers all rushed to publish in the midst of the Western literature craze. Lee Ho-geun tried to reflect the behavior and psychology of the villain, while Kim Soo-young tended to satirize public authorities and emphasize the role of helpers in the original. The translated version focuses on Oliver being abused at the workhouse, the misdeeds of Fagin’s gang, and the salvation narrative by Brownlow and Rose Maylie. As a result, readers can be absorbed in Oliver’s ordeals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in the simple narrative. However, Dickens’s criticism of the harmful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the English Poor Laws, and social injustice in the novel is largely omitted. South Korea’s social conditions affected the direction of the abbreviati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British crime fiction Oliver Twist into children’s literatu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facing difficulties in protecting juvenile vagrants due to foreign aid suspensions around the time this novel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raised domestic relief funds to build a camp for juvenile vagra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Oliver Twist could be read as a text that alerts readers to juvenile vagrants that would turn into criminal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ublic authority to reform or control them.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a helper like Brownlow who welcomes Oliver into his family might have been accepted as an extremely convincing narrative in Korean society that is used to the normal family ideology. This implies the intention to frame the issue of juvenile vagrants in South Korea as a matter of the inner moral disposition of orphans or helpers, rather than a social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