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선군 <토방집짓기놀이>가 가지는 마당놀이로서의 성격과 개선점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This studies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held annually in Nampyeong, Jeongseon as a Madang folk performanc. A log-frame house is Korean traditional house type in mountain villages. Nampyeong showed this play at the Gangwon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Jeongseon Arirang Festival. It is studied in 3 categories. First,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Traditional Art Festival. The play didn't comply with the valuation points, the preservation of prototype and artistic quality. It looked noncommittal "Legitimate Complex Traditional Art Play." Second,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Madang folk performance. A pure Madang folk performance should be just like a scene of festival anyone can enjoy but a traditional cultural art festival should preserve a prototype and be somewhat competitive. Nampyeong play has a unified composition and its circumstance such as NongAk is focused rather than its native features should be. Third, this study compares Nampyeong play with plays of other regions. Its composition is, as a whole, same as those of the "Play of House Construction" of Hwasun, Jeolla, the "Play of Wooden Shingle House Construction" of Samcheok, and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of Hongcheon. But it's regrettable that the scenario and the Rhyme of Base-hardening became artificially modified rather than preserved. Nampyeong's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will be posted as a traditional Madang performance if it complies with the valuation points and purpose of National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keeps its indigenous aspects. 본고는 정선군 남평에서 연행하고 있는 <토방집짓기놀이>를 마당놀이 개념에서 그 성격과 구성을 통해 개선점을 살폈다. 이 논의는 한국민속예술의 보전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토방집은 귀틀집의 다른 명칭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산간가옥이다. 남평에서는 토방집이 지어지는 과정을 민속놀이로 만들어서 정선의 향토축제 정선아리랑제와 강원도민속예술축제에 출품을 하였다. 이를 본고에서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 민속예술축제 입장에서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결국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심사에 필요한 경연종목에서 벗어났고, 그리고 심사기준인 원형보존과 예술성을 잘 보여주지 못했다.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정통복합민속예술놀이’라는 어정쩡한 모습이 되었다. 둘째, 마당놀이로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순수한 마당놀이는 신명나게 즐기는 축제의 판놀음과 같은데, 민속예술축제는 원형을 살리고 경쟁을 해야 하는 구조가 더 들어가 있다. 이에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획일적 구성에 농악 등의 주변상황이 더 부각되었다. 그리고 남평 고유의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비교입장에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전라도 화순의 <집짓기놀이>, 삼척의 <너와집짓기>, 홍천의 <토방집짓기> 등과 비교결과 큰 틀에서는 다름이 없었다. 아쉬운 점은 시나리오와 터다지기소리가 고유성을 깨고 인위적인 모습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었다.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전국민속예술축제의 목적과 심사항목, 그리고 정선 남평의 고유한 모습을 잘 맞춰 간다면 남평만의 멋진 민속마당놀이로 자리를 굳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려인들의 영원한 방자와 춘향 -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양민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구소련 시기 고려극장은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사할린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에게 떠나온 역사적 조국의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마음의 고향이자 고려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다. 고려극장의 활동은 예술을 통해 고려인들의 사회주의화와 더불어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현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김해운과 그의 부인 송 타티야나는 고려인 1세대 공연예술인들로 초기 고려극장의 예술적 성향을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이들은 유일하게 연해주, 우즈베키스탄, 사할린에 소재했던 3개의 고려극장 그리고 현재 카자흐스탄에 소재하고 있는 고려극장까지 약 160년간의 고려인들의 이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총 4개의 고려극장의 활동에 모두 관여한 접경예술인들이다. 이렇듯 그들은 소련시기 여러 지역에 소재했던 모든 고려극장들을 거치며 그 역사를 몸소 겪어낸 고려극장의 전설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려인 예술사 토대연구로 구소련 시기 여러 고려극장들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는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의 활동을 그들의 이주 경로에 따라 시기별로 정리하고, 시대적·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춘향전>에서 “방자”와 “춘향”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고려인들에게 영원한 “방자”와 “춘향”으로 회자되는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은 다음과 같이 4시기로 나눌 수 있다. 1) 연해주 시기: 원동변강고려극장(1920년대 후반~1937): 극장 성립기; 2) 우즈베키스탄 시기: 타슈켄트 고려극장(1939~1950): 극장 전문화기; 3) 사할린 시기: 사할린 주립 조선순회극장(1951~1959): 북한예술 수용기; 4) 카자흐스탄 시기: 카자흐스탄 고려극장(1976~1981, 1994): 전통 전승기. 이들의 공연예술 활동의 역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해주 고려극장의 설립초기 고려인들의 민족적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에스트라다 공연 장르 확립; 둘째, 역사적 조국의 다양한 가무 전통의 재창조와 계승; 셋째, 배우로서 대체 불가한 독보적 캐릭터를 구축. 이처럼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는 역사적 조국의 예술과 거주국의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접경예술 공간이며 디아스포라 극장인 고려극장들의 예술성 확립과 설립, 중흥, 존속, 그리고 전통 전승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 KCI등재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양민아(Yang, Mina)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카자흐스탄에 소재한 국립 공화국아카데미 고려희가극 극장(이하 고려극장)은 1932년 9월 9일 연해주에서 창립되어 2022년은 창립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고려극장은 1세기 가까운 시간동안 중앙아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구심점으로 남·북한춤을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민속춤 등 다양한 춤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극장은 러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조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그들의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은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원동변강조 선극장의 탄생: 조선춤 유입기(1932~1937); 제2기 주립 고려 음악-드라마 극장: 중앙아시아와 북한춤 유입기(1937~1968); 제3기 공화국 고려 희가극 극장: 자체레퍼토리확립기(1968~1990); 제4기 국립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한국춤 유입기(1991~현재) 고려극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전 세계 한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교류하여 새로운 작품들로 재탄생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 허브, 즉 한민족 문화창조의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허브로서 유라시아한인 단체인 고려극장의 역할과 비전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북한 춤문화 교류의 교두보; 둘째, 디아스포라 예술인들의 화합의장; 셋째, 세계 한인문화예술의 멜팅팟(melting pot); 넷째, 차세대러시아 한인 예술인 양성의 인큐베이터이다.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Abbr. the Korean Theater), was founded on September 9, 1932 in Primorsky Krai, USSR. The Korean Theater had been deported to Kazakhstan in 1937, it will celebrate its 90<SUP>th</SUP> anniversary in 2022. For nearly a century, The Korean Theater as a cultural center for the Korean diaspora in the CIS countries, has various dance cultural assets, from North and South Korean dances to Russian, Kazakh and Uzbek folk dances. The Korean Theater arises the nostalgia for Korean-Russians’ historical homeland and visualizes their identity, and serves as the hometown of their hearts. The dance art activities of the Korean Theater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eriods. First, The Birth of Far East Maritime Provincial Joseon Theater: Influx of Joseon Dance (1932~1937); Second, The Regional Korean Music and Drama Theater: Central Asian and North Korean Dance Inflow (1937~1968); Third, the Republican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Establishment of its own repertoire (1968~1990); Fourth,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troduction of South Korean Dance (1991~Present) In the future, the Korean Theater should play a role as a cultural hub with an expanded concept that can freely connect and exchange the culture and art of the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created as new works, that is, a platform for creating Korean Culture. As such, the role and vision of the Korean Theater, an Eurasian Korean art organization as a cultural hub,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ur categories. First, a bridgehead for inter-Korean dance culture exchange; Second, a Field of harmony among Korean diaspora artists; Third, the melting pot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world; Fourth, an incubator for nurturing next-generation Korean-Russian artis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원철도가(京元鐵道歌)>에 나타난 무장소성 연구

        김아연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3 No.-

        Gyeongwon Railroad Song is a Railroad Song that the writer and writing time are unidentified, has represented nearby the Gyeongwon Railroa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has provided a general overview of Railroad Museum Catalog Version which is one of four versions. Based on this,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placelessness in it as ‘landscape destruction and railroad construction’, ‘uniformity of Gyeongwon Line by Japanese power’, and ‘mass communication, popular culture, and tourism standardized by Japanese power.’ This paper, therefore, has concluded that it origin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ideology, and that the Gyeongwon Railroad was a space created by the Japanese power and the eyes of the other. As a result, this paper has found that placelessness in it is effective in grasping the un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basis of it and the identity of the Gyeongwon Railroad. 작자(작사자), 창작 시기가 미상인 <경원철도가(京元鐵道歌)>는, 일제강점기 경원선 연선 주변을 재현한 철도창가이다. 이 글은 <경원철도가> 이본 4종 중 『철도박물관도록』에 수록된 <경원철도가>를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글은 <경원철도가>에 나타난 무장소성(placelessness)을 ‘경관 훼손과 철도 부설’, ‘일제 권력에 의한 경원선 연선의 획일성’, ‘매스 커뮤니케이션·대중 문화·일제 권력에 의해 규격화된 관광’으로 논구하였다. 그 결과, 이 글은 <경원철도가>의 무장소성이 일제의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배태된 것이고, 경원선 연선을 타자, 곧 일제의 권력이 작용하고 타자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규정하는 데 연관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이 글은 <경원철도가>의 무장소성은 작품의 기저에 내재된 무의식과 경원선 연선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 유효함을 알았다.

      • KCI등재

        OTT 시대의 영화 다양성에 관한 시론적 논의

        성진수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5 No.-

        The emergence of OTT, a new media based on the universal Internet, is bringing many changes to cinema.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iscusses how film diversity can be sustained in the new phase created by OTT. Film diversity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th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artistic and social value of films. However, most OTT studies have focused on business and technology, and only a few have addressed film diversity.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notable features of OT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nd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ilm diversity in the OTT environment that have not been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we found two thing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TT and film diversity. First, film diversity in OTT may be practiced in connection with the industry logic of content differentiation. Second, the long-tail effect of OTT has a positive impact on film diversity. The long tail refers to the commercial value of niche products that are favor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in online-based businesses, which is why OTTs offer more films with specific tastes. This trend i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OTTs that specialize in certain films, such as independent films, documentaries, and women's films. Film diversity is also a political value, as it challenges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in cinema and seeks novelty in subject matter and form. According to Benjamin, who noted the political function of art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cinematic art, which is inherently tied to technology, is inherently political. Therefore, this study's discussion of cinema and cinematic diversity, which is changing under the influence of new technologies, can lead to a discussion of the nature of cinema in the 21st century. 범용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인 OTT의 등장은 영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OTT가 만든 새로운 국면에서 영화 다양성이 어떤 방식으로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영화 다양성은 영화의 예술적이고 사회적인 가치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OTT 연구는 비즈니즈나 기술에 주목하였을 뿐이고, 영화 다양성을 언급하는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다양성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OTT의 특징을 검토하고, 선행 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않았던 OTT 환경에서 영화 다양성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OTT와 영화 다양성의 관계에 대하여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OTT에서 영화 다양성은 콘텐츠 차별화라는 산업 논리와 연관되어 실천될 수 있다. 둘째, OTT의 롱테일 효과는 영화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롱테일은 온라인 기반 비즈니스에서 소수가 선호하는 틈새 상품들의 상업적 가치를 의미하는데, 이는 OTT가 특정 취향의 영화를 더 많이 제공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향은 독립 영화, 다큐멘터리, 여성 영화와 같은 특정 영화를 전문으로 다루는 OTT의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화 다양성은 영화에서 나타나는 사회적ㆍ문화적 배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주제와 형식의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곧 정치적인 가치이기도 하다. 기술복제시대 예술의 정치적 기능을 주목했던 벤야민에 따르면, 태생적으로 기술과 결부된 영화 예술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의 영향 하에 변화하고 있는 영화와 영화 다양성에 관한 본 연구의 논의는, 21세기 영화의 본질에 관한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