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영근(金泳根)의 <금강산졀긔 동유록>에 나타난 서술방법(敍述方法)과 의식세계(意識世界) 연구(硏究)

        정영문(鄭英文) ( Joung Young-m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조선 시대에도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하였는데, 그 여행지를 대표하는 공간이 금강산이다. 금강산을 유람한 유람객은 산수유람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강원도 관찰사는 관할 지역을 순력(巡歷)하는 여정에 금강산에 이르는 노정을 포함하기도 했다. 근대이전의 금강산 유람객은 대부분 당대의 지식인이었고, 자신의 여행 체험과 견문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다. 1863년(철종 14)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영근(金泳根)은 순력과 근친(覲親)하러 오는 아들과의 만남을 목적으로 8월 6일 원주 감영을 출발한 후 9월 4일 감영으로 복귀하였다. 이때의 견문과 체험을 기록한 것이 <금강산졀긔 동유록>이다. 이 기록은 한글로 기록한 일기체 유산록(遊山錄)으로 19세기 유람록이 지닌 특징을 보여준다. 문학적 표현(表現)보다는 사실적 재현(再現)에 집중하고 있으며, 잡록(雜錄)의 글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김영근은 순력, 제명, 전설을 통해 자신의 인식을 드러내었다. 관할 지역을 순시하면서 지방관으로서의 소명의식, 제명을 하면서 가족의식을 드러내었다.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설화를 기록하는 등 금강산의 장소적 특성과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Many people traveled eve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space representing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Geumgang. The tourists who visited Mt. Geumgang aimed at landscape sightseeing, but the Gangwon-do governor also included a route to Mt. Geumgang in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Before the modern era, most of the tourists visiting Mt. Geumgang were intellectuals of the era, and they recorded their travel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Chinese characters. Kim Young-geun, who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in Gangwon-do in 1863 (14th year of King Cheoljong), left his Wonju government office on August 6 for the purpose of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and also meeting his son visiting him for filial piety, and returned to his office on September 4. The record of his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this time is <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 < Dongyurok > is a diary type record of playing in the mountain written in Korean language and has an incomplete composition, bu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excursion record. It focuses on realis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literary expression, and is mainly composed of miscellaneous written records. Kim Young-geun revealed his own perception through supervisory journe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and old story. As he toured his jurisdiction, he revealed his sense of vocation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his family and family consciousness b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While recording the old story, he newly recognized the place value and meaning of Mt. Geumgang.

      • KCI등재

        송환기의 〈동유일기〉 연구

        정영문(Joung, Young-m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7 No.-

        본 논문은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성담집』의 〈동유일기〉를 텍스트로 하여 관동지역을 유람한 송환기(宋煥箕)의 체험과 〈동유일기〉의 서술적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송환기는 송시열(宋時烈)의 5대 후손으로 18세기 인물이며, 〈동유일기〉은 송환기 자신의 관동팔경과 금강산 유람을 기록한 유산록(遊山錄)이다. 18세기는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명산과 관동지역을 유람하는 사람들과 유산록이 증가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의 유산록은 의론(議論)이 약해지고, 객관적 사실을 충실히 기록하려는 사실적 경향이 강해졌다. 〈동유일기〉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기록되었다. 금강산과 관동지역은 조선조 지식인에게 유람지(遊覽地), 순력(巡歷)의 장소, 와유(臥遊)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여행자들은 그보다 앞서 여행했던 사람들이 남긴 기록을 참고하거나 그 노정을 답습하려고 했다. 송환기도 김창협의 〈동유기〉를 참고하면서 여행하였고, 강원도 지역의 역사, 인문지리(人文地理), 풍속, 문화유산 등을 견문하고 기록하였다. 이러한 기록의 밑바탕에는 “기록한 사찰의 전말이 모두 허망하여 믿을 수 없다.”는 성리학적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체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고증(考證)을 통해 객관화(客觀化)하였고, 유람에서 얻은 한시는 별도(別途)로 기록하였다. 〈동유일기〉에는 경(景)ㆍ정(情)ㆍ의(議)의 유기(遊記)형식이 사용되었고, 노론(老論)의 일원인 송환기의 자긍심과 백성에 대한 연민의 정이 기록되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Dongyu Ilgi〉 and Song Hwanki"s perception of the Kwandong region and 〈Dongyu Ilgi〉 using 〈Dongyu Ilgi〉 in the 『Sungdamjip(Collection)』 included in the 『Korean Literary Collection』 as a text. Song Hwanki(宋煥箕) was the fifth descendant of Song Siyeol(宋時烈) and was a figure from the 18th century, and 〈Dongyu Ilgi〉 is travel lyrics(遊山錄) recording the tours of eight famous spots in Eastern Korea and Mt. Geumgang.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number of people traveling in the famous mountains and the Kwandong regions and travel lyrics increased with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In this period’s travel lyrics, the debate was weakened, and the tendency trying to record objective facts faithfully became stronger. The 〈Dongyu Ilgi〉 was also recorded under such a situation of the times. Mt. Geumgang and the Kwandong regions were recognized b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as a place of excursions, a place for supervisory journey, and a space of wayu (meaning to lie down and enjoy watching pictures of scenic spots at home). On the other hand, travelers tried to follow the travel path or refer to the records left by those who had traveled before them. Song Hwanki traveled while referring to Kim Changhyup"s 〈Dong Yugi〉, and recorded the history, human geography, customs,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Gangwon-do region. At the base of these records, there is the Neo-Confucian perception that "the whole stories of the recorded temple are vain and unbelievable." He objectified the information on the place he had experienced through a testimony, and recorded the poems obtained from the excursions separately. In the 〈Dongyu Ilgi〉, the form of a travel record of Kyung(scenery), Jeong(feeling), and Ui(debate) was recorded, and his pride as a Noron and sympathy for the people were also recorded.

      • KCI등재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의 놀이문화 고찰

        정영문(Joung, Young-m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한양은 설계할 때부터 궁궐, 관서, 시정 등의 공간을 계획하여 완성한 계획도시이다. 이 도시는 1394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6백여 년 동안 다른 지역과는 구별되는 위치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생활에서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 특징은 변모되었지만, 19세기 한양의 면모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 <한양가>(1844년 기록)를 통해 당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한산거사’로 알려진 <한양가>의 작가는 한양 시정의 풍속을 기록하면서 당시 한양사람들의 놀이문화도 포함하여 기록하였다. <한양가>에는 신분에 따라 놀이 공간이 달라졌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때의 놀이는 서민들의 민속놀이와는 다른 것이다. 한양에서의 놀이는 누각과 정자, 계곡 등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이루어지지만, 놀이가 펼쳐지면 그 공간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성’을 지니게 된다. 작가는 다양한 연희와 국가행사를 관람하였다. 그가 관람한 놀이는 신분에 따라 놀이 주체가 달라졌고, 주체와 객체의 관람 태도도 ‘참여’과 ‘관람’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가 중인들의 대표적인 놀이로 제시한 것은 <승전노름>이고, 양반들의 놀이로 제시한 것은 <유가>였다. 국가적인 행사로는 국왕이 幸行하는 <陵幸>과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였다. 연희와 능행을 관람하기 위해 한양사람들이 모여 들었고, 작가도 관객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Hanyang is a planned city that was completed by planning spaces such as palaces, government offices, and municipal administrations from the time of its design. This city has unique characteristics not only in life but also culturally because it has been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for more than 600 years from 1394 to the present time in 2020. Although its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through 〈Hanyangga〉 (recorded in 1844), which faithfully reflects the aspects of Hanyang in the 19th century, we can see what it was at that time. ‘Hansan Geosa’ who was known as the author of 〈Hanyangga〉 recorded the customs of Hanyang"s municipal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play culture of Hanyang people at that time. In 〈Hanyangga〉, it is recorded that the play spac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and the play at that time was different from the folk games of the common people. Play in Hanyang took place in everyday life spaces such as palaces, pavilions, and valleys, but when the play was held, the space had the sense of place with a special meaning. The author observed various performances and national events. In the play that he watched, the subject of the pla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nd the viewing attitudes of the subject and object also appeared differently as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What he suggested as a representative game of the public was 〈Seungjeon Noreum〉, and the one that he presented as the game of the noblemen was 〈Yuga〉. As a national event, he record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king’s 〈Neunghaeng: visit to kings’ tombs〉. People of Hanyang gathered to watch performances and the king’s visit to kings’ tombs, and the author also actively participated as an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