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홍선주,김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nline instruc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for it. Considering that the previous efforts to develop instruc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urned out to be fragmentary and impractical in a certain way, this study strive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To do so, we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viewed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al methods or techniques found in the related studies. Furthermore, we incorporated the research result conducted on the issue of in-practice teachers' current deman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es and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the instructional program that would be sequential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would be practically used for grades 3 through 6 in classroom.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conta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worksheets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unfolding, and finishing phases of the classroom instruction. Since common classroom instructions proceed on this sort of phases, teachers may be able to use this program as it is or reconstruct it up to their own use. This program also accompanies with ‘teachers' guide’ including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ing tips for each activity and material of this program. Fi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major sections; content relevance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ppropriateness of program as an instructional material, classroom availability, and potentiality and extent of teacher' reconstruction. The survey result highlighted that the program seems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National Curriculum, appropriate and easy to use in classroom, and flexible to modify for teachers' own interest and purpose. 본 연구는 교실 수업 맥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교육과정,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교사가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용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개발 후 시행된 평가 결과 교실 수업에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활동을 제작한 의도와 활용 지침을 담은 ‘교사용 지침서’는 개별 교사들이 개발된 프로그램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적합성이 높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함께, 교사에 의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재구성과 개발이 가능하도록 개발의 전 과정을 하나의 모델로서 정치하게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학습 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경희 ( Kyung Hee Lee ),한미정 ( Mi Jung Han ),김민정 ( Min Jeong Kim ),최병순 ( Byung Soo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부진 원인에 따라 맞춤형 지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부진의 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학습 부진아 22명을 과학 탐구능력 부족형,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램은 동일 단원과 주제로 구성했으며, 비교집단에는 기본 개념과 활동 중심 프로그램, 실험집단에는 원인 유형별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15주 동안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검사,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으며, 이들 평가 결과와 함께 학생활동지, 연구 일지, 수업 전사내용, 학생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에 투입된 맞춤형 프로그램은 세 가지 부진 유형 집단별로 탐구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각각 향상되어 부진 원인을 해소하였고, 더불어 학업성취도도 향상되었다. 과학 학습동기 부족형과 과학 학습전략 부족형은 다른 부진 원인도 함께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과학 학습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과학 학습부진 원인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과학학습 부진아들의 부진원인 해소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s by the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For thes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and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nd classified 22 7th grade science underachievers into three different types such as lack of science process skill, lack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ack of science learning strategy. They th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structional programs treated for both groups covered the same topics and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time for 15 weeks. Eleven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treated with an activity-centered science program that dealt with basic science concepts. Unlike science underachievers in the comparative group,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After the treatment, students were administered several tests including a test on awareness of the program, science process skill tes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test, and academic science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ose tests, worksheets, daily activity report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evaluate a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 tha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se programs relieved science underachievers from the cause of poor achievement and accordingly help them achieve better performance in academics. In addition, both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nd lack of learning strategy types tended to relieve the other causes of science underachievemen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programs.

      • KCI등재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선우(Sunwoo Lee),송진주(Jinju Song),홍수민(Sumin H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수설계자 대상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교수설계자를 위한 ADDIE 모형에 따른 ChatGP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중·장년 교수설계자 36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후에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총 16명의 교수설계자가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과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연령층을 고려하여 ADDIE 모형 기반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동기 부여, 학습자와 관련성이 높은 사례 제시 등을 수행하였다. 둘째, 중·장년 교수설계자 대상 ChatGPT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측정 결과, 효능감 및 학습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중·장년 교수설계자에게 테크놀로지 이해 및 활용 역량이 요구되고 있고, ChatGPT 활용이 교수설계의 기제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역량 함양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체제개발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탐색적 시도가 기술, 대상에 따라 더욱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hatGPT-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instructional designers using the ADDIE model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 educational program for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analyses following the ADDIE model. The program involved 36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test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participation of 16 instructional designers.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the paired sample t-test and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is study presented examples of how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using ChatGPT based on the ADDIE model, such as the age group of learners, their motivation, and their relevance to learners.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ChatGPT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structional designers,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conclusion,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are need to posse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echn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교수적합화된 유아체육프로그램을 통한 통합교육활동에서 장애유아들의 신체활동 수준 분석

        송현(Song, Hyeo),전혜자(Chun, Hea J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3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유아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수적합화된 유아체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신체활동 수준을 분석하여 교수적합화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5~6월까지 충북 C시에 위치한 J유치원과 충남 C시에 위치한 M유치원 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 유아 7명(J유치원: 3명, M유치원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녹화된 각 수업의 영상을 SOFIT(신체활동수준평가도구)을 이용하여 장애유아의 신체활동수준을 분석하였으며, 각 실험단계별 신체활동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 유아체육프로그램과 교수적합화된 유아체육프로그램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작가속도계(Actigraph GT3X)를 이용하여 추출된 Activity Counts의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수적합화가 적용되지 않은 기초선 기간에는 신체활동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나 중재가 적용된 구간에서는 신체활동수준이 증가했다. 둘째, 일반유아체육프로그램과 교수적합화된 유아체육프로그램의 신체활동수준 분석에서 장애유아들은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에 앉기, 서기, 매우 활동적, 걷기, 눕기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적합화된 유아체육프로그램의 적용은 일반유아체육프로그램보다 장애유아의 신체활동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research on disabled children who are participating in children-exercise program in integrated classes of the kindergarten in order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by conducting. For the research, seven disabled children (3 from J kindergarten, 4 from M kindergarten) who were receiving integrated class instructions in special classes at J kindergarten in C city of Chungnam province and M kindergarten in C city of Chungbuk province from May to June in 2014. Physical activities level of disabled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SOFIT and recorded videos of classes. Also,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o measure physical activities of disabled children at each stage of experiment. Moreover, average activity counts extracted from accelerometer (Actigraph GT3X) were compared in order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levels of regular child exercise program and instructionally-adapted children exercise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low during initial stage when instruction-adaptaion was not applied while they increased during the stages when intervention of instruactional-adaptation was allowed. Second, in the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f regular and instructionally-adapted children-exercise program disabled children showed similar frequency distribution of sitting, standing, very active, walking and lying during both initial and intervention periods. Third, instructionally-adapted children-exercise program had more positive effect on increase in physical activities of disabled children than regular children-exercise program.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aimed at promoting ECSE teachers’ competence to play instruction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 teachers’ knowledge, efficacy in play instructio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model and following the process of reviewing of research, the survey of teachers’ needs, and designing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 total of 10 sessions us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teachers’ knowledge and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goal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lay instruction and acquiring knowledge about the play val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earning play intervention and strategies’ and ‘Promoting beliefs and efficacy in play instruction’. The detail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lay’, ‘Play development theory’, ‘Pla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rategies for play interven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lay’, ‘Support for peer play’, ‘Modify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lay material’, and ‘Cooperation with assistant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d the knowledge and efficacy of play instruction of ECSE teachers.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resources for the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 체제 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문헌분석,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설계의 과정을 통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0회기에 걸쳐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고, 개념도 분석을 통한 놀이 지도에 대한 지식과 놀이교수 효능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놀이 지도의 중요성 인식 및 장애 유아 놀이 가치에 대한 지식획득, 놀이개입 및 전략의 습득, 놀이 지도에 대한 신념 및 효능감 증진을 목표로 하였으며,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은 놀이의 의미 이해, 놀이와 놀이발달이론, 장애 유아의 놀이특성, 놀이 개입전략, 놀이관찰 및 평가, 또래놀이지원, 물리적 환경 및 교재교구 수정, 보조인력 협력 및 가정연계전략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놀이 지도에 대한 지식은 상위개념의 수, 종속개념의 수, 밀도, 위계수준의 모든 측면에서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전후의 놀이교수 효능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t=-5.15, p<.0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실천적인 연구라는 측면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놀이 지도와 관련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천문분야의 CPS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신선영,김순식,최광선,최성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creative problem-solving(CPS) program of instruction for earth science. After the earth science section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 theme of instruction was selected from the first-year uni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nd a CPS model of instruction. 32 high school sophomores and juniors who were the members of an astronomy club in the city of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y took a test in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grasp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eside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CPS program based on the CPS model of instructional for the uni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the program turned out effective at boosting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To be specific, they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validity and scientificity, but that's not the case for elaboration and originality. When their awareness of the CPS program was checked, they expected the program to spark their interest in astronomy and be beneficial to the improvement of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ut they didn'trate group activities high on the ground that the group activities weren't performed smooth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PS instructional program for the uni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based on the CPS model of instruction had a good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 원어민보조학습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金善明(Sun-myung Kim)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6 영어교육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K (English Program In Korea) program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is study were: (1)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EPIK program on primary school children, and what type of instruction do the learners prefer? (2) What effectiveness can be found on the cooperative 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an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by the native English teacher to the Korean English teachers? (3) How do the native English teachers evaluate the Korean teachers, students, an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everal steps were taken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background with empirical study: (1) The questionnaires were cre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following Lickert standard afte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2) The tested data were coded, edited, and reedited using a raw data editing program. (3) All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s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using SPSS Win PC+. Main findings provid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nglish class should be focused on the meaning rather than form and the Korean teachers should lead the English class in spite of the fluency and accuracy of the native teachers. (2) The Korean teachers who recognize the children's personality well have to charge the English class and a class of immersion program per school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need of parents and children may be accepted. (3) English training courses should be provided for Korean teachers, such as a one year program staying abroad, the English town experience, the immersion program,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for teacher's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the certifying system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primary English teacher program for the alternative of EPIK. (4) An English curriculum for cooperative teach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team teaching program of nativ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5) It should be developed that the various English learning programs such as the exchange student programs abroad through sisterhood relationship or cyber learning with the English native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대학 글쓰기센터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손민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extracurricular programs of various programs managed by a university writing center and improve problems identified in the process. Extracurricular programs hold importance in that they start with active and free thinking, which is one of intrinsic attributes of writing, compared with programs related to subject domains and are capable of accepting students’ practical needs fast and converting them into educational activities. Most of previous studies, however, focused on introducing programs managed by the writing center of each university and presenting their achievements like a report. The present study was organized to analyze extracurricular programs at Dongguk University(Gyeongju Campus), Keimyung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Chosun University where they ran a writing center relatively actively and make a proposal to improve problems identified in them. Extracurricular programs managed by the writing centers of the four univers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counseling and instruction for writing, special lectures on writing, tutor education, and writing contests. Counseling and instruction for writing covered online and offline counseling, connections with the writing subject, and limits on the types of writing eligible for counseling and instruction. Special lectures on writing covered the basic content of writing, self-introductions reflecting demands from students, and reports. Tutor education, which all of the four universities put a serious focus on, provided seminars and workshops to reinforce education for counseling experts. Writing contests usually had essays on light topics submitted, trying to motivate students to write.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managed by the writing centers of the four universities including the lack of foundation for counseling and instruction for writing, similar extracurricular programs among the universities, special lectures and seminars as one-time programs, lack of follow-up counseling and instruction for writing, no discriminating points in the level and content of learning from the subject of basic writing, and evalu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utcomes based on short-term indicators. The study proposed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including enough budgets allocated to a writing center, supports of authority and finance to recruit and educate tutors, development of distinctive program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substantial special lectures and seminars based on long-term plan instead of one-time programs, follow-up counseling and instruction as extracurricular programs after a semester, develop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with discriminating features from the subject of basic writing, and evaluation of students’ actual qualitative outcomes in a long run rather than evaluation with short-term outcome indicators. 이 연구는 대학의 글쓰기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중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교과 영역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비해 글쓰기가 가진 본래적 속성인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사고에서 출발한다는 점과 학생들의 실질적 요구를 빠르게 수용하여 이를 교육 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각 대학의 글쓰기센터에서 운영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성과를 제시하는 보고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글쓰기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동국대(경주), 계명대, 서강대, 조선대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속에 나타난 문제점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구성되었다. 4개 대학 글쓰기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크게 글쓰기 상담지도, 글쓰기 관련 특강, 튜터 교육, 글쓰기 공모전 등이 있다. 글쓰기 상담지도는 온라인 상담과 오프라인 상담, 글쓰기 교과와 연계, 상담 지도하는 글의 종류에 제한 유무 등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관련 특강은 글쓰기의 기초적 내용과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한 자기소개서, 리포트 쓰기 등이 있다. 튜터 교육은 4개 대학 모두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미나나 워크숍을 통해 글쓰기 상담 전문가로서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글쓰기 공모전은 주로 가벼운 주제의 에세이를 공모하여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개 대학 글쓰기센터 비교과 프로그램에 나타난 문제점은 글쓰기 상담지도를 위한 기반이 부족하다는 점, 대학들이 서로 비슷한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 특강이나 세미나가 일회성 프로그램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 사후 글쓰기 상담지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 기초 글쓰기 교과와의 수준이나 학습 내용에서 변별점이 분명하지 않다는 점, 비교과 프로그램의 결과가 단기간 나타나는 지표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등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센터의 예산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튜터를 선발하고 교육할 수 있는 권한과 재정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개성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 일회성에 그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장기적 계획 속에 내실 있는 특강과 세미나가 되어야 할 것, 학기가 끝난 뒤에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서 사후 상담지도가 필요하다는 점, 기초 글쓰기 교과와 변별력을 가진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 단기간의 성과 지표 중심의 평가를 지양하고 학생들이 실제 어느 정도 질적 성과를 얻을 수 있었는지를 장기적 안목에서 평가하여야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혜진,김귀옥,김용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이 가능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내부 연구진, 교수설계 전문가, 내용 전문가의 검토 및 수정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디자인 및 계획 세우기, 놀이 공간 모형 만들기, 전시회 준비 및 작품 감상하기의 총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 공간을 또래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세웠다. 개발된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충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본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포함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놀이교육 및 프로젝트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SD). To achieve the goal, play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Internal researchers, teaching design experts, and subject matter expert reviewed, modified, and developed play and education programs having three modules: design and scheduling, making a model, and preparing an exhibition. Students set up a program to realize the play space they wa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ir peers. The program was applied to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ju for verification of the play and education program. At the end of the play education program, the FGI was conducted on 13 students to measure the overall value of the play education program, including its sustainability. Through these processes, we drew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play education program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play education and projec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SDGs 연계 ESD 수업모델 콘텐츠 맵 개발에 관한 연구

        조영철,이상원,김영순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SD contents-map connected with SDGs by analyzing the linkage between SDGs and the ESD instructional model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 learning goal, activity contents of the developed ESD instructional model program and examined the connection with SDGs. First, the ESD instructional model program was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social problem solving type, using natural simulation technology, and global citizen education program. To this e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and a new SDGs-ESD achievement standard was developed. In addition, curriculum and ESD achievement standards, as well as content elements of the developed ESD instructional model program were analyzed. Research found that the linkage with the SDGs was verified while matching the SDGs-ESD achievement standards. The developed SDGs-ESD contents-map was provided to school field teachers such as ESD researchers' teachers in order to disseminate ESD instructional practice connected with SDGs. The SDGs-ESG contents-map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map showing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ESD content elements, and SDGs core goals of the developed ESD instructional model program. 이 연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 및 ESD 교사연구회를 통해 개발된 수업모델을 SDGs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SDGs 연계 ESD 수업모델 프로그램 콘텐츠 맵을 개발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기 개발된 ESD 수업모델의 교과, 주제, 학습목표, 활동내용 등을 분석하여 SDGs와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 개발된 ESD 수업모델 프로그램을 사회문제해결형, 자연모사 기술 활용, 세계시민교육 연계 프로그램이라는 3개 주제로 범주화 하여 SDGs와의 연계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새롭게 SDGs-ESD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기 개발된 ESD 수업모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ESD 성취기준 및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SDGs와의 연계성을 검증하여 SDGs-ESD 성취기준과 매칭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SDGs 연계 ESD 수업모델 콘텐츠 맵은 SDGs 연계 ESD 수업 실천의 확산을 위해 ESD 연구회 교사 등 학교 현장 교사들에게 제공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SDGs 연계 ESD 수업모델 콘텐츠 맵은 기 개발된 ESD 수업모델의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ESD 내용요소, SDGs 핵심목표를 보여주는 맵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 교사의 SDGs 연계 ESD 수업 실천 및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