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 유치원 또래 관계에 대한 단일사례 연구

        강성리,이병인 한국웰니스학회 200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with other peer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setting using a qualitative analy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 delay and a group of twenty-five peers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of a kindergarten with inclusive setting in Seoul. The study was processed from March 10, 2008 through November 21, 2008. During the study, investigator's observatory note,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The results collected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presented a five-step of participation process. Second,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presented some types of interaction such as isolation and denial, acceptance and reaction, cooperative and self-expression, and sharing of feeling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role representing the change of proc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 with??evelopmental delays with peer group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suggest a practical importance and possible implications to the early childhood inclusive setting.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aimed at promoting ECSE teachers’ competence to play instruction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 teachers’ knowledge, efficacy in play instructio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model and following the process of reviewing of research, the survey of teachers’ needs, and designing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 total of 10 sessions us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teachers’ knowledge and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goal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lay instruction and acquiring knowledge about the play valu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earning play intervention and strategies’ and ‘Promoting beliefs and efficacy in play instruction’. The detail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lay’, ‘Play development theory’, ‘Pla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rategies for play interven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lay’, ‘Support for peer play’, ‘Modify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lay material’, and ‘Cooperation with assistant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d the knowledge and efficacy of play instruction of ECSE teachers.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resources for the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 체제 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문헌분석,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설계의 과정을 통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0회기에 걸쳐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고, 개념도 분석을 통한 놀이 지도에 대한 지식과 놀이교수 효능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놀이 지도의 중요성 인식 및 장애 유아 놀이 가치에 대한 지식획득, 놀이개입 및 전략의 습득, 놀이 지도에 대한 신념 및 효능감 증진을 목표로 하였으며,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은 놀이의 의미 이해, 놀이와 놀이발달이론, 장애 유아의 놀이특성, 놀이 개입전략, 놀이관찰 및 평가, 또래놀이지원, 물리적 환경 및 교재교구 수정, 보조인력 협력 및 가정연계전략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놀이 지도에 대한 지식은 상위개념의 수, 종속개념의 수, 밀도, 위계수준의 모든 측면에서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전후의 놀이교수 효능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t=-5.15, p<.0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실천적인 연구라는 측면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놀이 지도와 관련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강성리,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lay instruction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and to understand the support need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regarding ECSE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 total of 98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free choice activity play instruction according to with or without inclusive environ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of free choice activit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fficulty in play interaction and play instruction, efforts of class preparation for play instruction, and need for play intervention and guidance. (2)The ECSE teachers hold needs that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lay instruction is necessary. And the teachers demanded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er intervention and guidance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lay a bas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teachers.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특수교사가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총 98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을 통합 환경 유무에 따라 살펴본 결과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놀이 상호작용 및 놀이 지도의 어려움, 놀이지도를 위한 수업 준비의 노력, 놀이 개입 및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 운영 및 놀이지도에 대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이 매우 필요하다고 요구하였으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응답에서는 장애유아의 놀이 개입과 지도전략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특수교육현장의 수업 운영과 관련된 교사들의 실제적인 인식과 지원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지원과 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지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전략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강성리,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 학급의 유아특수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도한 경험을 토대로,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놀이지도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접근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9명의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들을 단계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작업을 거쳐 귀납적으로 이론을 통합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60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범주 간 관련성을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는 ‘원인 단계: 놀이지도의 필요성 인식’,‘결과 단계: 놀이지도 실행의 어려움’, ‘해결 단계: 놀이지도 전략 모색 및 적용’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이 ‘놀이지도의 힘겨움’을 해결해나가는 핵심범주는 ‘놀이지도를 위한 노력과 시행착오 거듭하기’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의 상황 모형과 개인, 기관, 사회 측면의 놀이지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들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이해와 놀이지도 전략의 교육현장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전략 탐색 :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강성리,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cess of play instruction and to suggest play instruction strategies through play instruction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in inclusive class. To solve research purpose, grounded theory approach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1996) was used. The data for analysis were obtained mainly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fter passing through coding and conditional matrix work wit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ory indu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related to teachers’ play instructions experience, it elicited totally 132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Second, the process of teachers’ play instruction was indicated to stages such as ‘recognition on necessity of play instruction’, ‘difficulty of implementation’ and ‘strategy & application of play instruction’. Third, the core categories in the selective coding were indicated to be ‘repeating effort and trial-error for play instruction’. And as a result of utilizing conditional matrix for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each of categories was indicated to be different, respectively,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society. Finally, the strategies, which were elicit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y instruction strategie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 학급을 담당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지도 경험을 토대로, 놀이지도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자유선택활동 지도 과정을 분석하고, 놀이지도 전략을 제시하여 자유선택활동 지도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특정 주제나현상에 대해 귀납적 분석으로 하나의 이론적 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Strauss와Corbin(1990/1996)의 근거이론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9명의 통합학급 유 아특수교사들을 단계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 작업을 거쳐 귀납적으로 이론을 통합하는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은 60개 의 하위범주와 16개의 대범주로 분석되었으며, 근거이론에 절차에 따라 도출된 유아특수 교사들의 놀이 지도 과정은 ‘놀이지도의 필요성 인식’, ‘놀이지도 실행의 어려움’, ‘놀이지 도 전략 모색 및 적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 의 핵심범주는 ‘놀이지도를 위한 노력과 시행착오 거듭하기’로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자 유선택활동 지도 전략은 ‘놀이개입전략’, ‘가정연계전략’, ‘또래놀이지원전략’, ‘물리적 환경 구조화 및 교재교구 수정 전략’, ‘교육과정 수정 적용 및 놀이 개발 전략’, ‘놀이지도 관련 연수 및 보조인력 배치’의 6가지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유선택활동 지도 전략에 관한 최종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 과정 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내적ㆍ외적요인들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아특수교사들이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도 전략과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of “the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the PBL teaching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by the PBL. In the course a mixture of lecture-style classes and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was used. The PBL course is consisted of 3 written problems and completed in 9 weeks.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a reflective journal, a researcher’s journal,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discu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PBL based course’ was derived from the sub-contents of ‘get used to the unfamiliar PBL method’, ‘expand knowledge through activeness and immersion’, and ‘indirectly experience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the support strategy for inclusive education 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flecting observ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indergarten daily activities’, ‘supporting the composition of environment’,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family connection’ and ‘supporting problem behavior’ were derived. Third,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was derived as ‘inclusion into time meaningfu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on into time with friends’, and ‘inclusion into time for teachers to cooperat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s data that can be used for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과 통합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은 강의식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문제중심 학습은 3개의 PBL 문제로 구성하여총 9주간 진행하였다.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성적 저널, 개방식 질문지, 토론자료, 연구자의 저널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Miles와 Hubernam(1984)의 자료 추리기(data reduction), 자료 배열(data display), 결론 도출(conclusion)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PBL 과정 체험하기는‘낯선 PBL 방식에 익숙해지기’, ‘능동성과 몰입을 통한 지식의 확장’, ‘통합교육 현장 간접 경험하기’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통합교육의 내용과 교사의 지원전략은 ‘장애유아의 특성반영하기’, ‘장애유아 관찰 내용 반영하기’, ‘유치원 일과 내 활동에 장애유아의 참여 지원하기’, ‘물리적 환경 구성 지원하기’, ‘가정 연계의 필요성 이해하기’, ‘문제행동지원하기’의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통합교육의 의미 찾기는 ‘장애유아에게 의미 있는 시간으로 통합하기’, ‘친구와 함께 있는 시간으로 통합하기’, ‘교사가 협력하는 시간으로 통합하기’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예비유아교사 및 예비유아특수교사를 위한 교원양성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서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play participation and teacher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practicu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deriving major concepts through semantic unit analysis and categorizing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9 main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5 upper categories were analyzed, an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play by teachers is as follows: ‘The story of play that is specially created and disappears’, ‘The power that makes play possible: external conditions of play’, ‘Searching for various ways to support play’,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play-centered curriculum’, ‘New changes needed: suggestions for teacher training course’. This stud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pport for play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eacher training cours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과정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와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의미단위분석을 통하여 주요 개념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49개의 주요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상위범주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는 ‘특별하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놀이 이야기’, ‘놀이를 가능하게 하는 힘: 놀이의 외적 조건’, ‘놀이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하기’,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재발견하기’,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 교원양성과정에 제언’이라는 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2019 개정누리과정 운영과 놀이 지원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정서⋅행동장애아 교육’ 수업 설계 적용 사례 연구

        강성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의 수업 참여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 39명이다. PBL 기반 수업은 이론 강의와 PBL 교수법을 혼합으로 사용하였고, PBL 문제는 2개의 문제로 구성하여 7주간 운영하였다. PBL 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참여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PBL결과물 중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Miles와 Hubernam(1984)의 방법에 따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향상시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참여 경험은 ‘PBL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성찰(실제적인 유아 행동 지원 과정 경험하기, 학습의 주도성 경험, 지식의 확장, 교사의 태도와 자세 숙고하기)’과 ‘PBL 과정을 통한 행동지원 전략 탐색 내용(정서행동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한 이해, 행동중재의 전략 탐색, 가족-학교-지역사회 지원전략)’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 1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원양성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ducation clas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and teaching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class on teach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PBL-based class used a mixture of theoretical lectures and PBL teaching methods, and the PBL problem consisted of two problems and was operated for 7 weeks. A pre-pos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BL-based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flection journals to find ou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ass impro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revention strategies (t=-6.53, p<.001) and positive response strategies (t=-8.51, p<.001) among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ass impro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0.66, p<.001). Third,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room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jor categori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ons" and "content of exploring behavior support strategies," with seven subcategories and 19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코로나19(COVID-19) 상황 특수교육 대상 유아의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 및 유아특수교육전문가들을 위한 지원 요구

        강성리,허계형,Jane J. Lee,Hollie Hix-Small,Elizabeth Steed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s provided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An online questionnaire developed by foreign and Korea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as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who provide education, childcare, and therapeutic services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ationwide. A total of 10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answering method were used for multiple choices, and categorizing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on the open-ended answers. Results of the study present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intervention and special educa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ive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professionals during a pandemic situation are discussed. Additio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has been followed.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국내 유아특수교육전문가의 장애 영․유아대상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와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장애 영․유아 대상 교육 및 보육,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아특수교육전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 유아특수교육분야 연구진들이 개발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하였다. 총 105개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 실태에 대한 빈도분석, 다중응답 방법 분석, 개방형 문항에 대한 분류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특수교육전문가가 제공하는 조기중재 및 유아특수교육 서비스 실태와 어려움, 재난 상황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난 상황에서 특수교육 대상 유아들을 위해 요구되는 조기중재 서비스와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을 위한 지원 요구 방안을 논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에 대하여 추가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clusive setting during COVID-19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qualitative data, curriculum documents, and researcher's no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ory flow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derived as ‘The chaos that came with change,’ ‘New Attempt,’ ‘Un-tact education,’ ‘Inclusion available only through meeting,’ ‘From institution-centered programs to home-centered programs,’ ‘Relationships to support, relationships to cooperat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sive setting during COVID-19 and to prepare a plan to support them.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자료, 교육문서, 연구자 노트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이야기 줄거리는 ‘변화와 함께 찾아온 혼란’, ‘새로운 시도, 언택트 교육’, ‘만남으로 가능한 통합교육’, ‘기관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가정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지원해야 할 관계, 협력해야 할 관계’로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