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타지는 어떻게 텔레비전 장르가 되었나 판타지 드라마의 장르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정아 ( Jeoung-ah Park ),원용진 ( Yong-jin Won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9 언론문화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한국 텔레비전의 판타지 드라마가 장르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1961년 본격적인 텔레비전 시대의 개막이래 방영되었던 전체 드라마에서 판타지 드라마 정의에 부합하는 163편을 추출해 냈다. 판타지 장르에서 두드러지는 세 개의 판타지소와 10개의 하위 판타지소에 맞추어 추출된 드라마를 재분류했다. ‘인간’ 판타지소를 활용한 드라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시간’ 판타지소에서는 ‘환생’과 ‘타임슬립’이 가장 많았다. ‘환생’은 시대별로 골고루 분포된 반면, ‘타임슬립’은 2010년 이후에 급속도로 증가했다. ‘공간’ 판타지소는 매우 드물게 활용되고 있었다. 시기별로 구분한 결과, 1971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판타지 드라마는 세 단계-잠재기, 계발기, 정착기-를 거치고 있었다. 잠재기(1971∼1993년)에는 27편의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 시기엔 독립 장르가 아닌 <전설의 고향>에서처럼 전설과 설화를 다루어 주로 공포심을 조장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었다. 계발기(1994∼2009년)에는 42편이 포함되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장르와 판타지가 결합하기 시작했다. 판타지소가 ‘시간’과 ‘공간’으로 확장되었고, 컴퓨터그래픽의 도입으로 환상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켰다. PC통신 세대인 신세대들의 적극적인 판타지 장르 수용은 대중의 인식 변화에 기여했다. 정착기(2010∼2018년)에는 94편이 방영되어 양적으로 급성장했다. 판타지소의 다양화로 장르의 폭을 넓혔으며, 특히 로맨스와 수사 · 추리 장르가 판타지와 결합하는 경향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정착기에 이른 한국판타지 드라마는 ‘인간’ 판타지소에 치중되어 있고 현실에 밀착한 판타지 세계를 구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공간’ 판타지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은 점은 장르의 미완성이라기보다는 한국 판타지 드라마의 특성으로, 또한 앞으로 장르 확장의 가능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o analyze the types of fantasy dramas by making a comprehensive list of Korean television fantasy dramas,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fantasy genre formation in TV drama. This research suggested the lists of 163 fantasy dramas that aired between the launch of KBS in 1961 and 2018. ‘Fantasemes’ that characterize the fantasy genre include three core fantasemes - time, space, humans- and ten sub - fantasemes -reincarnation, timeslip, timeleaf, timewarp/independent secondary world, coexistent secondary world/superhuman human, transformed human, non-human, and super-human. The most used fantasemes was ‘human’, which was set up in 118 out of 163, and ‘reincarnation’ and ‘time slip’ were most common in ‘time’ fantasemes. ‘reincarnation’ was evenly distributed by age, while ‘timeslip’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The implementation of the ‘space’ fantasemes was very rare and there was no ‘independent second world’ fantasy drama. KBS < Simcheongjeon >, which was aired in 1971, is the first drama to introduce the fantasy world and fantasy drama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 latency, development, and expansion- until 2018. In the latency period(1971ᐨ1993), there were 27 dramas and set as devices that fostered fear in legends such as < Hometown of Legend >, not the independent genres. There were 42 dramas in the development period (1994∼2009), and there was an attempt to combine fantasy in various genres. Fantasemes has been extended to “time” and “space”, and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graphics has enhanced the effect of fantasy. At that time,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fantasy genre by the New Generation, the generation of PC communications,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public perception of the fantasy genre. In the settlement period (2010ᐨ2018), 94 dramas aired, quantitatively growing, and widening the genr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fantasemes. In the romance and crime drama genre, the combination with fantas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ntasy dramas were focused on ‘human’ fantasemes, and built a fantasy world that was closely related to reality. The lack of active use of the ‘space’ fantasemes compared to the ‘human’ and ‘time’ means that the genre can be seen as an incompleteness of the genre but at the same time has the potential to expand further.

      • KCI등재후보

        판타지는 어떻게 텔레비전 장르가 되었나 : 판타지 드라마의 장르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정아,원용진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9 언론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s a study to analyze the types of fantasy dramas by making a comprehensive list of Korean television fantasy dramas,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fantasy genre formation in TV drama. This research suggested the lists of 163 fantasy dramas that aired between the launch of KBS in 1961 and 2018. ‘Fantasemes’ that characterize the fantasy genre include three core fantasemes - time, space, humans- and ten sub - fantasemes -reincarnation, timeslip, timeleaf, timewarp/independent secondary world, coexistent secondary world/superhuman human, transformed human, non-human, and super-human. The most used fantasemes was ‘human’, which was set up in 118 out of 163, and ‘reincarnation’ and ‘time slip’ were most common in ‘time’ fantasemes. ‘reincarnation’ was evenly distributed by age, while ‘timeslip’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The implementation of the ‘space’ fantasemes was very rare and there was no ‘independent second world’ fantasy drama. KBS <Simcheongjeon>, which was aired in 1971, is the first drama to introduce the fantasy world and fantasy drama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 latency, development, and expansion- until 2018. In the latency period(1971ᐨ1993), there were 27 dramas and set as devices that fostered fear in legends such as < Hometown of Legend>, not the independent genres. There were 42 dramas in the development period (1994∼2009), and there was an attempt to combine fantasy in various genres. Fantasemes has been extended to “time” and “space”, and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graphics has enhanced the effect of fantasy. At that time,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fantasy genre by the New Generation, the generation of PC communications,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public perception of the fantasy genre. In the settlement period (2010ᐨ2018), 94 dramas aired, quantitatively growing, and widening the genr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fantasemes. In the romance and crime drama genre, the combination with fantas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ntasy dramas were focused on ‘human’ fantasemes, and built a fantasy world that was closely related to reality. The lack of active use of the ‘space’ fantasemes compared to the ‘human’ and ‘time’ means that the genre can be seen as an incompleteness of the genre but at the same time has the potential to expand further. 이 논문은 한국 텔레비전의 판타지 드라마가 장르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1961년 본격적인 텔레비전 시대의 개막이래 방영되었던 전체 드라마에서 판타지 드라마 정의에 부합하는 163편을 추출해 냈다. 판타지 장르에서 두드러지는 세 개의 판타지소와 10개의 하위 판타지소에 맞추어 추출된 드라마를 재분류했다. ‘인간’ 판타지소를 활용한 드라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시간’ 판타지소에서는 ‘환생’과 ‘타임슬립’이 가장 많았다. ‘환생’은 시대별로 골고루 분포된 반면, ‘타임슬립’은 2010년 이후에 급속도로 증가했다. ‘공간’ 판타지소는 매우 드물게 활용되고 있었다. 시기별로 구분한 결과, 1971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판타지 드라마는 세 단계-잠재기, 계발기, 정착기-를 거치고 있었다. 잠재기(1971∼1993년)에는 27편의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 시기엔 독립 장르가 아닌 <전설의 고향>에서처럼 전설과 설화를 다루어 주로 공포심을 조장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었다. 계발기(1994∼2009년)에는 42편이 포함되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장르와 판타지가 결합하기 시작했다. 판타지소가 ‘시간’과 ‘공간’으로 확장되었고, 컴퓨터그래픽의 도입으로 환상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켰다. PC통신 세대인 신세대들의 적극적인 판타지 장르 수용은 대중의 인식 변화에 기여했다. 정착기(2010∼2018년)에는 94편이 방영되어 양적으로 급성장했다. 판타지소의 다양화로 장르의 폭을 넓혔으며, 특히 로맨스와 수사 · 추리 장르가 판타지와 결합하는 경향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정착기에 이른 한국 판타지 드라마는 ‘인간’ 판타지소에 치중되어 있고 현실에 밀착한 판타지 세계를 구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공간’ 판타지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은 점은 장르의 미완성이라기보다는 한국 판타지 드라마의 특성으로, 또한 앞으로 장르 확장의 가능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환상성-1990년대 이후의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은 비현실적 세계의 시청각적 재현으로 성립한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는 환상물은 크게 1990년대를 기점으로 갈린다. 1980년대까지는 주로 기담괴설에 기댄 <전설의 고향>이 텔레비전을 통해 마주할 수 있는 거의 유일무이한 한국적 환상물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 텔레비전에는 다른 국적의 환상물이 엄존하고 있었다. 그것은 미국으로 대표되는 일련의 외화 시리즈이다. 1980~90년대의 외국 드라마는 현실적인 것과 환상적인 것을 막론하고 한국 드라마의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 일종의 참고서와도 같았다. 외국의 드라마가 현란하게 재현하는 극적 사건과 세계에 대한 학습은 곧 한국 드라마 스펙트럼의 확장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의 추이는 실험(1990년대)과 안착(2000년대)과 확산(2010년대)으로 요약된다. 이는 1980년대까지의 레퍼토리를 저본으로 한 혼융, 즉 <전설의 고향>을 요체로 하는 동양적/고전적 환상의 ‘계승’과 일련의 외화 시리즈에 대한 학습을 거친 서양적/현대적 환상의 ‘모방’이라는 문화적 혼종의 결과였다. 이러한 계승과 모방을 통해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은 < M >이 방영된 1994년으로부터 <미스터 백>이 방영되고 있는 2014년 현재에 이르는 20여 년 동안 미니시리즈 51편과 단막극 시리즈 8편 등이 제작되고 방영되었다. 총 59편에 달하는 1990년대 이후의 환상물 연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이 지닌 몇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① 지상파와 케이블을 망라한 환상물의 보편화, ② 환상의 화소로서 ‘인간’과 ‘시간’에 대한 유다른 선호, ③ 유형으로서의 ‘초능력’과 ‘타임슬립’의 강세, ④ 현실과 전혀 다른 2차 세계의 부재 등이 그것이다. 한국의 환상물은 창작과 제작 그리고 방영과 시청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난제로 인해 생면부지의 환상이라고 할 수 있는 2차 세계의 창조보다는 현실 세계의 인간과 시간을 통해 발생하는 국지적 환상의 창출에 주력해 온 셈이다. 그럼에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 환영은 현실의 부재와 상실을 치유하는 극적 상상으로서 현실에서 면면히 환영받고 있다. Fantasy creation in television dramas are produced by an audiovisual representation of unrealistic world. Fantasy creation which corresponds to such a defini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s largely divided from the base point of the 1990s. Hometown of legend, which focused on weird stories and strange rumors happened until the 1980s was an almost unique Korean-style fantasy creation that could be watched in television. However, such a creation from other nationalities existed really in television during such a period. It was a set of foreign film serie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Foreign dramas in the 1980s and 1990s were like a sort of reference book in producing and consuming Korean dramas regardless of realistic or fantastic because dramatic events brilliantly reproduced in foreign dramas and learning of the world led to the extended spectrum of Korean drama. The trends in fantasy crea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since the 1990s can be summed up into experiment(1990s), safe arrival(2000s), and spread(2010s). This was a result of mixed-melting of the repertoires created till the 1980s as original script, in other words, cultural mixing of ‘succession’ of oriental/classical fantasy starting with Hometown of legend and ‘imitation’ of western/modern fantasy that went through the learning of a series of foreign film. Through such a succession and imitation, fantasy crea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re manufactured and broadcasted including 51 mini-series and 8 one-act-play series from the year of 1994 when M was broadcast to the year of 2014 when Mr. Back was aired for more than 20 years. The chronological table of fantasy creation since the 1990s amounting to a total of 59 plays shows several characteristics of fantastic things in Korean television dramas:a. universalization of fantasy creation embracing terrestial broadcasting and cable television, b. different signals of ‘human being’ and ‘time’ as fantastic picture elements, c. predominance of ‘supernatural power’ and ‘time slip’ as pattern, and d. lack of the 2nd world totally different from the reality. Fantasy creation in Korea has focused on creating local fantasy occurred through human being and time of the real world rather than creating the 2nd world which can be called as unknown fantasy due to various difficulties accompanied by creation, manufacturing, broadcasting, and watching. Nevertheless, fantastic illus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s welcomed ceaselessly as dramatic imagination that heals the lack and loss of reali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 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박신영 ( Shin Young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수용에 시청자의 성향적 특징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청자의 성향 요인으로는 현실도피성향, 판타지 성향, 판타지 욕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드라마 수용에 대해서는 이용 동기 유형, 장르 선호도, 몰입 정도를 측정하였다. 총 538명의 대학생 시청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현실도피성향과 판타지 성향, 판타지 욕구는 드라마 이용에 있어 판타지 동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드라마 장르 선호도에 있어 현실도피, 판타지성향 및 욕구가 높을수록 로맨틱 드라마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실도피, 판타지성향 및 욕구는 드라마에 대한 몰입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실도피성향, 판타지 성향, 판타지 욕구는 선형적 인과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성향 요인은 판타지 이용 동기, 로맨틱 드라마 선호, 드라마 몰입 경험 간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현실도피와 판타지는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이유나 동기이기 이전에 수용자들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유성향이며, 텔레비전 드라마의 선택과 수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cape disposition, fantasy disposition, fantasy needs on drama use motives, genre preference, flow experience. The subjects were 538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ch variable was measurem d using 5-point or 7-point Likert scale. Several results were found. First, escape disposition, fantasy disposition and fantasy needs had effect on fantasy motives in TV drama viewing. Second, in the case of drama genre preference the viewer with high escape disposition, fantasy disposition, and fantasy needs were highly preferred romantic drama. Third, escape disposition, fantasy disposition, and fantasy needs were heightened flow experience. Fourth, escape disposition, fantasy disposition, and fantasy needs were in the relation of linear causation. These dispositional factors had a causal effect on fantasy motives, romantic drama preference, and flow experience. This study revealed that escape disposition and fantasy are fundamental predisposition of the audience and they are variables which is able to affect television drama viewing.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의 국민국가에 대한 전근대적 ‘판타지’ - <더킹 투하츠>를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9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reality and illusion hidden in the work by reading the TV drama The King 2 Hearts from the viewpoint of the alternative history. Alternative history is a genre that overthrows reality by making history self-conscious. Therefore, if we deal with the reality and fantasy of The King 2 Hearts through alternative history, we can understand one aspect of reality perception through TV drama. The TV drama The King 2 Hearts is somewhat problematic as a popular theater that can grasp reality recognition. The first is to use alternative history to construct a new melodrama. It is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of the melodrama of the royal family of South Korea and the female military officer of the North with regard to the setting of the particip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Joseon royal family continuously. But, their love affair is not merely an individual problem, but rather a distinction from other types of melodrama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roblems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ese narratives consist of a contradiction between the 'royal' fantasy and 'division' reality. If the royal family of South Korea is a result of fantasy as an alternative history, the problem of division of the two Koreas is a real reality. However, this real problem can not be overturned in the fact that reality is distorted due to the unrealistic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power. The TV drama The King 2 Hearts deals with our reality through a rather popular technique called alternative history. But the combination of reality and fantasy has faded the merits of fantasy. This is because the illusion has not been utilized in the way of overturn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reality. Thus, The King 2 Hearts takes a conservative stance that conceals reality through fantasy and reveals a desire for a strong nation. 이 글은 텔레비전드라마 <더킹 투하츠>를 대체역사물의 관점에서 읽어냄으로써 작품에 숨겨진 현실과 판타지의 문제를 다루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체역사는 역사의 자의성을 전경화시킴으로써 현실을 전복시키는 장르이다. 따라서 대체역사를 통해 <더킹 투하츠>가 가지고 있는 현실과 판타지의 문제를 다룬다면,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드러나는 현실 인식의 한 단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실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대중 장르로서 텔레비전드라마인 <더킹 투하츠>는 다소 문제적이다. 가장 먼저 새로운 멜로드라마의 구성을 위해 대체역사를 활용하고 있다. 조선 왕실의 계속된 독립운동 참여가 있었다는 설정과 함께, 남한 왕족과 북한 여군 장교의 멜로드라마를 서사의 중심에 두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애정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국민의 문제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른 멜로드라마와는 구별된다. 또한 이러한 서사는 ‘왕실’ 판타지와 ‘분단’ 리얼리티가 모순적으로 절합되어 구성된다. 남한 사회의 왕실은 대체역사로서 판타지의 결과물이라면, 남북한의 분단 문제는 실제적인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문제는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의 비현실적인 관계로 현실이 왜곡된다는 점에서 현실의 문제를 전복적으로 다루지는 못한다. 텔레비전드라마 <더킹 투하츠>는 대체역사를 활용하여 우리의 현실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판타지가 가질 수 있는 장점은 퇴색되었다. 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현실을 전복하는 방식으로 판타지가 활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더킹 투하츠>는 판타지를 통해 오히려 현실을 은폐하고 강한 국가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는 전근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환상(성) - 환상적인 것’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Television drama is dominated by the time of ‘daily life’ and the space of ‘family’. It is natural that the circularity of ‘daily life’ and the openness of ‘family’ influence the fictional world in television drama. This is why, among the reality and fantasy as material, television drama prefers reality, unlike movie. Movie is a short-term gaze toward one-time or single text, but television drama is a long-term glance at many time or multiple texts. This makes continuous immersion and continuity difficult to be elicited. Therefore, the world implemented in television screen shares time sense and space sense with the real world largely outside the screen. It is overwhelming that the television drama in Korea prefers reality. However, from the late 1990s up to now, especially in 2010,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n Korea shows a clear increase enough to be called as one flow.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fantasy’ in television drama can be foun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surrounding television. If an internal factor is an expansion of human and physical conditions accompanied with dominating videos of this ‘fantasy,’ an external factor can be said as an overflow of the desire of the public who want to peep at beyond the reality of ‘being skeptical of the reality.’ The recent preference for the reality to come as well as the back side of reality conversely exposes the fatigue of the public against the reality now and here.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s largely based on two conditions. It is to a. establish unrealistic conditions (phenomenon) or worlds while based on the reality and indicates that b. this world will be represented audiovisually through standardization and rationalization. Fantastic world and creation that satisfy such conditions are formed when unrealistic elements of the part or the entire among the sum of human, time, and space that constitutes the world trespass. It deals with unrestricted come-and-go betwee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ime that cannot be specified, and future that did not come in addition to the past or the present and inhuman/antihuman/superhuman things appear against humans. It also draws interference of the different world's and the external world's interference with the world of reality. And this world is reborn again as the other fantastic world depending on connection with or disconnection from the reality. 텔레비전 드라마는 일상이라는 시간과 가정이라는 공간의 지배를 받는다. 자연히 일상의 순환성과 가정의 개방성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질료로서의 현실과 환상 가운데 텔레비전 드라마가 영화와 달리 유독 현실을 선호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영화는 일회․단수의 텍스트에 대한 단기적 응시이지만, 텔레비전 드라마는 다회․복수의 텍스트를 향한 장기적 흘끗보기라는 점에서 몰입의 지속과 연속을 이끌어내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텔레비전 화면 안에서 재현되는 세계는 주로 화면 밖의 실제 세계와의 시간 및 공간 감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현실 선호는 압도적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특히 201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하나의 흐름이라고 할 정도로 확연한 증가를 보인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의 등장과 확산은 텔레비전을 둘러싼 내외적 변화에서 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내적 요인이 문자에 대한 영상의 득세에 수반된 인적․물적 조건의 확장이라면, 외적 요인으로는 현실에 대한 회의 속에서 현실 너머를 훔쳐보고자 하는 대중적 욕망의 팽배를 꼽을 수 있다. 현실의 배면이자 도래할 현실로서의 환상에 대한 최근의 선호는 역으로 지금/여기의 현실에 대한 대중의 피로를 노출시켜 주는 셈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크게 두 가지 조건을 전제로 성립한다. 그것은 ① 현실을 토대로 하되 비현실적인 사건(현상)이나 세계를 마련할 것, ② 이러한 세계가 표준화와 합리화를 거쳐 시청각적으로 재현될 것을 뜻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상적 세계의 창조는 세계를 구성하는 인간․시간․공간의 총합 가운데 부분 내지는 전체에 비현실적 요소가 틈입함으로써 생성된다. 그것은 인간에 대해 비인간/반인간/초인간이 등장하고, 과거나 현재의 시간에 더해 도래하지 않은 미래, 시대를 특정할 수 없는 시기, 과거와 현재와 미래 사이의 자유로운 왕래를 다루며, 현계에 대한 이계와 외계의 간섭을 그린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는 다시 현실과의 연결 혹은 차단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환상적 세계로 탄생한다.

      • KCI등재

        TV 드라마 <태왕사신기>에 나타난 역사성 배제와 판타지 구축의 전략

        백소연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3

        Recently, the trend of producing competitively historical drama about the stories of Goguryeo has stood out as a characterized 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Such a phenomenon has been construed as nationalism of the cultural world in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However, except its marketing aspec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drama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This drama has taken strategy to minimize and call out just the widespread recognition and core image about King Gwanggaeto and the history of Goguryea, even though its background of drama is Goguryea. Of course, when dealing with the past story, it will be a matter of course to maximize imagination in order to fill the gaps of poor historical records. And, considering 'Fantasy Historical Drama' the realistic reproduction of the past is not the purpose this drama at first. Nevertheless, this drama makes an impression to minimize or eliminate the historical probability and the issues of reality from the planning stage on purpose. In the drama, history was replaced with myth. It also adopted the religion of four gods in Chung Yuan, and recreated the gods into interesting characters. It also embodied the antagonists representing generalized evil forces rather than portraying them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actual achievements of King Gwanggaeto were treated differently from the results of the fierce battles that were shown on the drama. The drama created a new fantasy world based on fertile imagination,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istorical dramas that we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limitations in terms of written history and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history. Beginning with the <Taewangsasingi>, the dramas in the late 2000 became bold in using history and active in adopting fantasy. 최근, 고구려 소재 사극의 경쟁적 제작은 한국 사회의 특징적인 문화 현상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한 문화계의 민족주의적 대응으로 의미화 되기도 했으나, 마케팅의 차원을 제외한다면, <태왕사신기>를 민족주의적 서사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일원적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이 드라마는 고구려를 배경으로는 하고 있음에도 단지, 광개토왕과 고구려 역사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핵심적 이미지만을 최소화 하여 호출해 오는 전략을 취한다. 물론 역사적 기록이 빈약한 먼 과거를 다룰 때, 극적 상상력이 극대화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판타지 사극’이라는 아이러니한 수식이 드러내듯, 과거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애초에 이 드라마가 목표한 바도 아니다. 그러나 <태왕사신기>는 역사적 개연성이나 리얼리티의 문제를, 기획 단계에서부터 의도적으로 최소화 혹은 배제했다는 인상을 풍긴다. 드라마 내 역사의 공간은 신화의 공간으로 대체되었으며, 사실(史實)에 기대어 만들어진 적대 세력보다는 보편화된 절대악과의 대결이 갈등의 중심에 놓인다. 그리하여 ‘태왕’이 이루어낸 실질적 업적은 치열하게 다루어진 드라마 내 투쟁의 결과와 분리되어 처리된다. 또한 중원의 사신(四神) 신앙과 단군 신화의 삼사(三師)를 판타지적 상상력으로 접목하여 흥미로운 캐릭터로 변형․재창조 하였다. 특히 사신 가운데 주작(朱雀)의 경우, 두 여성 인물들로 분화되어 주인공과의 멜로드라마적 구도를 형성, 극의 재미를 배가하는 데에 기여한다. <태왕사신기>는 기록된 역사의 제약과 사실감 있는 표현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던 이전 역사 소재 드라마들과 달리, 현실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상상력을 기반으로 드라마 내 새로운 판타지 세계를 구축해 냈다. 다양한 매체 환경의 변화 속에서, <태왕사신기>를 필두로, 2000년대 후반 드라마 내 역사를 활용하는 방식은 더욱 과감해졌으며, 판타지적 기법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되는 길로 나아가게 된다.

      • KCI등재

        생활세계의 경계 허물기와 공감의 소통형식 ― 판타지 드라마의 미학과 존재론

        양승국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8

        Memory and fantasy work as core materials on television dramas which build on ‘everydayness’. Among them, those with prominent fantastic characteristics can be determined as ‘fantasy dramas’. From the viewpoint of this article, which understands fantasy as the essence of artistic productions, the fantastic of fantasy in television dramas indicate its degree of being depending on each work.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aesthetics and ontology of fantasy dramas as the maximum extension of ordinary television dramas, rather than analyze and interpret fantastic properties of individual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fantasy. This article, to this end, examines how the fantastic of fantasy dramas exist and work, by means of the theory of possible worlds(‘life-world’ of Husserl comes at the head), the theory of communication proposed by Habermas, Ricœur, and Luhmann, and the ethics of the Other of Levinas. With this view, the fantastic of fantasy dramas are exposed the most in the process of destroying the boundary of life-world which we cannot transcend, by the intrusion of beings from other life-worlds. This provides us, living in the real world, an opportunity to realize that we exist as the Others as well and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Otherness is intentionality toward the Other. Transcendental beings in fantasy dramas intervene in the revelation of the totality of life-world and enable viewers’ empathy for neighbors. In this respect, fantasy dramas make beings in the real world recognize the existence of life-world anew. 본 논문은 판타지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학과 존재론을 원론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생활세계’라는 후설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실세계와 허구세계의 관련을 논하는 ‘가능세계론’, 그리고 하버마스와 리쾨르, 루만 등의 소통이론과 레비나스의 ‘타자윤리학’의 관점에서 판타지 드라마의 환상성의 존재 형식과 작동 방식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따를 때, 판타지 드라마의 환상성은 우리가 초월할 수 없는 우리 생활세계의 경계를 다른 생활세계의 존재자들의 개입에 의하여 허무는 과정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세계의 경계는 주로 우리가 일상적 삶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세계에 속하는 초월자들이 하강하여 개입하는 행위에 의해 허물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현실세계에서 살아가는 우리들 역시 타자로 존재함을 자각하고 이러한 타자성을 극복하는 길은 다른 타자에게로 지향하는 방법뿐임을 인식한다. 이 인식이 이루어졌을 때 타자는 우리의 이웃으로 존재한다. 판타지 드라마는 그 자체로 파악되기 힘든 생활세계의 총체성을 밝히는 데 개입하는 초월적 존재자들을 통하여 이웃에 대한 공감을 가능하게 도와준다. 이렇게 판타지 드라마는 현실세계의 존재자들[시청자]로 하여금 생활세계적 존재성을 재인식하게 해 준다.

      • KCI우수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의 젠더 정치, 일상의 소재에서 판타지의 영역으로

        정영희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6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are being used in television fantasy dramas. For the study,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imaginary characters in television fantasy dramas and the relationships and roles between characte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V fantasy dramas with high ratings from 2010 to 2022.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dramas using the ‘person’ fantasy story. Tex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nd roles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character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ext. The reason is that the ultimate value pursued by the drama is realized through the hero or heroi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gender stereotyp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and criticized in TV dramas based on daily life, are being reproduced in the imaginary characters of TV dramas under the name of fantasy. The reasons for leaving the domain, the ultimate goal, the capacity to adjust to a new environment, the use of superpowers,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identity is disclosed varied by gender in the case of the transcendent who is close to God. In the case of the middleman between humans and the transcendent, despite the ontological similaritie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beginning of suffering, the purpose of life, and the way of obtaining salvation. In the case of human psychics, women had in common the image of a young woman who was cute, pleasant, lively, and clumsy, and male psychics had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women according to their ag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all psychic, men and women were ontologically distinc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themselves, the beginning and goal of the adventure,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situation. As a result, the roles that each gender played in the romance partner relationship were also different. This fantasy character's portrayal can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the stereotypical gender binary that has been employed in popular culture to express heterosexual relationships. Previously repressed and marginalized, non-human creatures like werewolves, nine-tailed foxes, ghosts, and ghosts are increasingly growing the cast of characters in fantasy dramas. With the indulgence of the unreal, impractical, and non-routine, the expanded imaginary character created a space where prejudice and inequality that have been operating in human stories can naturally hide in the drama. It's interesting to note that, compared to humanoid superhumans, transcendent entities closer to God showed more pronounced gender preconceptions. It was determined that gender politics in television dramas served as a veil, drawing viewers' attention away from the characters' real lives and into the fantasy realm.

      • KCI등재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시그널〉의 시간과 역사관

        고선희(Ko, SeonHee) 한국언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학 Vol.99 No.-

        This study analyzes the humanistic value of TV genre dramas 〈Signal〉 which is the work of Kim Eunhee, who is estimated to have settled the Korean TV genre drama. The drama 〈Signal〉 is a crime investigation drama based on actual longterm unfair cases, and it adds a fantasy setting that uses timeshifting motifs. The process of connecting past and present figures and resolving longterm unfair cases is interpret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composition similar to W. Benjamin s time concept and historical philosophy. This drama emphasizes that the most important time is now, through fantasy narratives breaking the natural laws of time that lead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 is to remind W. Benjamin s philosophy about time and history that he criticized the concept of modern time that the purpose of time flow was not to return to the past that had been left in the future. The drama is d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of the justice and truth of the real world. It tells us that the justice and truth is to remember no matter how time flows,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As a result, the fantasy of this drama has not only been consumed as a new and enjoyable story while maintaining popular genre customs. It was meaningful that we were here to evoke our reality problems and to create the effect of sharing a more progressive historic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