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 감정 기부 광고와 혼합 감정 기부 광고의 효과에 대한 변증법적 사고의 조절 역할: 텍스트마이닝과 실험연구

        황은진 ( Hwang Eunjin ),안형준 ( Ahn Hyung Jun ),윤나라 ( Youn Nara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4

        광고 속 감정은 사람들의 관심을 일으키고 제품과 광고에 대한 태도를 호의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설득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많은 기부 광고가 감정에 호소하여 소비자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기부 광고 속 감정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크라우드 펀딩 웹사이트에서 수집한 텍스트 자료의 분석과 두 개의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실제 크라우드 펀딩 웹사이트의 기부 광고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일 감정이 사용되었을 때에는 부정적인 감정(슬픔)을 활용하여 소구하는 것이 긍정적인 감정(행복)을 활용하는 것보다 모금액이 더 높음을 보였다. 또한, 기부 광고 텍스트에 감정의 순차적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기부 메시지가 긍정적인 감정에서 부정적인 감정으로 변하는 경우 부정적인 감정에서 긍정적인 감정으로 변하는 경우보다 모금액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와 3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토대로 통제된 실험을 통해 (1) 단일 감정일 경우 부정적 감정이, 순차적 감정일 경우 긍정적 감정에서 부정적 감정으로 감정이 변하는 광고가 친사회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2) 이 관계를 공감과 관심이 매개한다는 것, (3) 그리고 이 때 작용하는 변증법적 사고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변증법적 사고는 모호함에 대한 관용과 총체적 사고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2에서는 기부 광고의 배경 음악을 사용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고 이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감정이 공감을 매개로하여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모호함에 대한 관용이 높은 사람일수록 공감이 커짐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기부 광고 메시지의 내용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조작하여 기부 메시지 내 순차적인 감정의 변화와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감정에서 부정적 감정으로의 감정 변화를 내포한 기부 광고 메시지가 관심을 증폭시켜 친사회적 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때 총체적 사고가 높을수록 효과가 큰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일 감정으로는 슬픈 감정이, 감정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행복한 감정에서 슬픈 감정으로 감정이 변화하는 기부 광고가 공감과 관심을 일으켜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의 변증법적 사고가 슬픈 감정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를 기부 광고 메시지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Emotion embedded in advertising campaign brings out interests and generates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featured products and advertising itself, which makes it an effective tool for persuasion. Thus, many charity advertisements use emotional appeal to induce the intended pro-social behavior.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simple emotional or sequentially emotional appeals on pro-social behavior using text-mining a field dataset collected from crowd-funding site and two experimental data from controlled lab-experiments. In Study 1, text-mining the charity advocacy posted on a crowd-funding site revealed that when the charity message appeals through a single emotion, negative emotion led to higher donation amount than positive emotion, whereas when the emotional appeal sequentially changes its valence, the charity message ending with negative emotion raised more funding than that ending with positive emotion. Through controlled lab-experiments, Study 2 and 3 further supported the findings from Study 1 by unveiling the mediators and moderator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imple negative emotion and sequential change to negative emotion and pro-social behavior. Specifically, after eliciting negative or positive emotion using background music of charity advertisements, Study 2 looked at the emotion's impact on pro-social behaviors. The result showed that sadness (vs. happiness) induced more empathy as a mediator which in turn led to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Participants with higher tolerance of ambiguity, the moderator, felt more empathy than those with lower tolerance of ambiguity when exposed to sad emotional stimuli. Study 3 manipulated sequential emotional change using the front end and the last end of the text in charity advertising messag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quential change of emotion on pro-social behavior. As a result, emotional change from happiness to sadness (vs. sadness, happiness, or emotional change from sadness to happiness) induced concern (another measure of empathy used as a mediator in our study) which in turn significantly enhanced pro-social behavior. Study 3 also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holistic thinking style, another measure of dialectic thinking in addition to the tolerance of ambiguity used in Study 2.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sadness, when single emotional appeal is embedded in charity advocacy, or sad ending, when sequential emotional change is applied, elicited empathy and concern which in turn induced more 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individuals' dialectic thinking moderated the effect of sadness or sad ending on pro-social behavior, which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funding managers to enhance persuasiveness of charity campaign.

      • KCI등재

        우리는 사랑을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 하는가?

        김경호 ( Kyung Ho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이 글은 복잡미묘하여 그 실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사랑의 특성을 ‘애매모호하다’고 잠정적으로 규정하고 논의를 시작한다. ‘사랑이라고 명명된 것들’의 총체를 형성하는 ‘어떤 것’은 그것을 인지하는 방식과 체감하는 정서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경험세계를 구성한다. 이 글은 애매모호하고 불분명하지만 우리의 사소하면서도 농밀한 일상을 구성하고 있는 사랑의 문제에 대해서 탐구한다. 이 글에서 제기하는 핵심적인 물음은 두 가지이다. 우리는 어떻게 사랑을 경험하고, 어떻게 의미화 하는가이다. 첫 번째, 사랑의 경험에 대한 물음은 사랑이 무엇인지, 그 사랑의 정체를 요구한다. 즉 사랑은 신체반응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사랑의 감정을 의미하는가? 그것도 아니면 사랑은 감정에 수반하는 관계나 경향성, 혹은 태도를 말하는가를 묻는다. 여기에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관계로서의 사랑을 포함한다. 두 번째, 사랑의 의미화에 대한 물음은 사랑은 어떠한 정서적이고 인지적인 개념화 과정을 거쳐서 의미를 담보하게 되는가를 묻는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사랑이 ‘애매모호한 어떤 것’이기는 하지만 ‘신체화된 감정(embodied emotion)’의 한 계열로 파악한다. 나아가 이 사랑의 감정은 신경생물학적인 층위에서 표출되는 개인적인 감정이면서도 사회적인 관계망에서 사랑으로 총칭되는 사회적 감정과 관계성을 구성하는 역량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사랑의 경험과 의미화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필자는 사랑이란 고정된 어떤 것으로 규정될 수 없으며, 삶의 형식을 통해 발견되고 의미화 되어 구축되어야 할 ‘좋음에 대한 지향’이라고 제안한다. This article assumes that ``love`` is too complex and ambiguous for us to understand its real aspects. It is because the emotion called as ``love`` exists in a different situations or forms whether we recognize it or not. Therefore, I want to focus on how we experience the emotion of love and give a meaning to it instead of suggesting a definition of it. The question about "how we experience love" requires us to ask "what love is." Is ``love`` a physical reaction, emotion, or a relation, or tendency or attitude accompanying an emotion? In addition, the question of "how we signify love" leads us to another issue "how love is conceptualized and acquires a meaning?" The concept and meaning of love is related to a complex process of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blending. I shall reveal that the emotion of love is ambiguous, but is basically an embodied emotion. I shall also discuss that the emotion of love appears in a neuro-biological level and is composed of actions or attitudes attendant on the emotion in terms of its phenomena. I shall argue that the emotion of love is not fixed, but is constructed by means of our finding and signifying it in our life, and suggest that it is our orientation toward the good.

      • KCI등재

        전후 초월주의의 그늘과 그 극복

        박현수(Park Hyun-S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박재삼은 전후 남한 문학의 중심적 기류로 형성된 초월주의의 영향을 전범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후시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고찰하여야 할 시인이다. 그는 전후 초월주의의 중요 특성, 즉 전통성, 미학성, 초월성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자신의 시적 자양분으로 삼았다. 박재삼은 초월주의의 강력한 영향권 내에 있었다. 전통성은 그의 시에 나타나는 ‘한’과 연계된 정서의 적극적 표현이나 춘향전이나 흥부전과 같은 고전 작품의 의도적 인유에서 드러난다. 미학성은 생경한 현실 인식을 철저하게 여과시켜 개인적인 정서로 변용시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초월성은 개별적인 존재가 죽음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존재의 탄생과 연계되어 지속성을 지닌다는 생각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박재삼은 초월주의의 영향과 길항하며 자신의 창조적인 공간을 마련하였다. 그의 창조성이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지점은 그의 시에 나타나는 두 가지 불투명성이다. 하나는 불투명한 정서이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한 구문론이다. 전자에서는 전후의 서정적 동일성에 대한 고민과 그 극복을 확인할 수 있고, 후자에서는 새로운 매체에 안착한 새로운 서정시의 방향에 대한 적극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Park Jaesam is one of the important poets in postwar Korean poets. He accepted the ideology of postwar transcendentalism, the ideology of Cheongmunhyup(Korean Youth Writer's Association; leaded by Kim Dongli, Jo Yonhyun and Seo Jungju). The ideology has three features; traditionality(the approval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emotion), transcendentality (transcendental identifying self with the universe) and aestheticism(the exclusion of political issues from poems). But Park ha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that ideology and overcame its problems creatively. First, When he accepted traditional elements by the rhetoric of temporality, he controlled a subject matter in his poems by reducing risks of the distortion of emotion to the minimum. Secondly, he wrote new lyric poems by the strategy of opaque, that is, the strategy of intentional ambiguity. Park used intentionally two kinds of ambiguity, one is the ambiguity of emotion(an ambiguous emotion), the other is that of grammar. This ambiguity made his poems new lyric poems, by keeping his poems away from the plain repetition of old lyric poems. Park's lyric poems are not only traditional but also modern. He succeeded to Korean traditional lyric poetry. At the same time, he made an effort to write postwar modern poems.

      • KCI등재

        시 텍스트 감상에서 독자 정동의 교육적 접근 방향 탐색

        김금내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5

        This study focused on affect in order to use learning reader emotion as a major resource for appreciating poetry text. Affect is the latent state and emotional image of emotions with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In appreciation of poetry text, reader affect accepts the ambiguity of poetry text as an aesthetic quality, form a sensory relationship with poetry text, and promote the penetration of poetic emotions into the reader's life. In order to analyze the manifestation of learning reader affect, <Songs Are Curves to the Best of Their Best> was selected as the target text, and poetry classes were conducted on 23 fifth-grade learning readers of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ression pattern of learning reader affect was found to be strengthening the sense of vitality to poetic emotions, cracking emotions through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relations, and recognition of practical value of poetic emotions. Based on this, three directions for the educational approach of learning reader affect waw presented. First, the appreciation text should be converted to a cumulative form so that the learning reader can specifically express the process connected to the emotional response of other learning read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reading community by expanding poetic communi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allow learning readers to variably organize poetic situations and reflect on emotional differences. 이 연구는 학습독자 정서를 시 텍스트 감상의 주요한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동에 주목하였다. 정동은 신체적이고 감각적인 성질을 지닌 정서의 잠재태이자 정서적 이미지이다. 시 텍스트 감상에서 독자 정동은 시 텍스트의 애매성을 미적 자질로 수용하게 하며 시 텍스트와 감각적 관계를 형성하고 독자의 삶에 시적 정서가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다. 학습독자 정동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노래들은 최선을 다해 곡선이다>를 대상 텍스트로 선정하여 서울 G 초등학교 5학년 학습독자 23명에게 시 수업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독자 정동의 발현 양상은 시적 정서에 대한 생동감 강화, 소통 관계의 다각화를 통한 정서의 균열, 시적 정서의 실천적 가치 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독자 정동의 교육적 접근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독자가 다른 학습독자의 정서적 반응과 연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감상 텍스트를 누적적 형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시적 소통을 확장하여 독서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학습독자가 시적 상황을 가변적으로 구성하며 정서 차이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고갈의 매개효과 및 역할정체성과 심리적의미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영관,우주연,김민정,곽원준,이상호 한국생산성학회 2022 生産性論集 Vol.36 No.1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role ambiguity 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Moreover we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ir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identity and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orkers working at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and other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used for an analysis of this study after receiving significant response from 160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ollowing assumptions on the basis of prior study. First, role ambiguity affects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emotional exhaustion mediates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performance, and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role identity moderates a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a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moderates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Moreover, we confirmed that emotional exhaus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role identity moderates the impact of role ambiguity on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psychological meaningfulness does not moderate task performance but moderates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contextual performa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inal conclusions present suggestions fo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the research.

      • KCI등재

        서정주 초기 시에 나타난 감정어의 활용과 그 의미 - 『화사집(花蛇集)』을 중심으로 -

        이경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etic consciousness of Seo Jung-ju(徐廷柱) in his early poems with a focus on the ways that he used emotion word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ways that shyness, grief, sorrow, and laughter, the emotion words of high frequency, were used in his early poems, Hwasajip(花蛇集) and also their meanings. The subjects and objects of shyness were depicted vaguely, and the meanings of shyness, which include shame and bashfulness, were used in a dual fashion, which predicts the poet's ambiguous attitude toward reality. Grief and sorrow were the emotion words of overwhelming presence in his poems. While grief was embodied as a cursed body, sorrow was painted in red color senses. Those emotion words were contributing to the arousal of intense images. Laughter is the most characteristic for it being accompanied by sound or beasts. The emotion of laughter made a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animal primitiveness. 이 논문의 목적은 서정주 초기 시에 나타난 시의식을 감정어의 활용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화사집』에 수록된 24편의 시에서 사용된 감정어는 44개이며 출현 빈도수는 82회이다. 품사는 달라도 같은 유형의 감정들을 하나의 감정어로 다루면 『화사집』 수록시에 사용된 감정어의 종류는 30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 중 출현 빈도수가 높은 감정어 부끄러움, 슬픔, 설움, 웃음이 서정주의 초기 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부끄러움은 감정의 주체와 대상이 모호하게 그려지고 수치심과 수줍음이라는 부끄러움의 의미도 이중적으로 쓰였는데, 이는 현실에 대한 서정주의 모호한 태도를 예비한다. 슬픔과 설움은 서정주의 시에 압도적으로 등장하는 감정어로 슬픔은 저주받은 몸으로 형상화되고 설움은 붉은 색채 감각으로 형용되었다. 이 감정어들은 강렬한 이미지를 환기하는 데 기여한다. 웃음은 소리나 짐승을 동반한다는 점이 가장 특징적인데, 웃음은 서정주의 초기 시에서 동물적인 원시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서정주 초기 시에 높은 빈도로 등장하는 감정어들은 원시적이고 신비한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사회 현실에 대해서는 모호한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일제 말기 시인의 친일 행보를 예견케 한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 근로자들의 모호한 감정노동과 고객친화적 서비스행동의 관계:역할모호성에 대한 적응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슬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3 行政論叢 Vol.61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individual worker responses to 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labor and service behavior in the unique context of emotional labor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As a key finding, this study found that service orientation, as a behavior coping with role ambigu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behavior. Specifically, workers with a personalization orientation who try to eliminate role ambiguity by fully adapting to user needs have lower levels of perceived (subjective) role ambiguity, but the negativ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service behavior is magnified by the rapid depletion of emotion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workers with a depersonalization (standardization) orientation generally perceive high levels of role ambiguity in service situations, but they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service behavior by protecting their emotional resources through coping behaviors such as refusing excessive demands from service users or persuasion.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 직업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장홍영,노승덕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ports coa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190 surveys targeting sports coa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working at sports associ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rehabilitation sports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dissonance, a sub-factor of emotional labor, affects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in job stress. The expression diversity, a sub-factor of emotional labor, had an impact on publicity, us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hich were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dissonance affects the autonomy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role ambiguity, a sub-factor of job stress, had an effect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that role overload had an effect on publicity and autonomy. As a follow-up, a detailed in-depth study including perceptions and thoughts on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of sports coa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according to national regions and categories other than metropolitan area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스포츠지도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전문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수도권 지역의 장애인체육회, 재활스포츠센터,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스포츠지도자를 대상으로 19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감정부조화는 직무 스트레스의 역할모호성과 역할과다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고,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현 다양성은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요인인 공공성, 전문조직활용, 소명의식에영향을 미쳤으며, 감정부조화는 전문직 정체성의 자율성,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은 전문직 정체성의 영향을 미쳤으며, 역할과다는 공공성과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 이외의 전국 지역과 종목별에 따른 장애인스포츠지도자 감정노동 유형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인식과 생각을 포함한 심층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중소 E-Business 기업 근로자의 역할 특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

        오주연,김영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4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conflict (β =. 001, ρ <.01), LMX (β =. 022, ρ <.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age and gender were analyzed and had a quite substantial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n employees had a good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ambiguity (β =. 000, ρ <.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rsonalization. LMX(β=.000, ρ<.05) was analyzed to have a influence on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personal accomplishment with relation to LMX.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LMX가 직무소진과 역할특성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갈등(β=.001, ρ<.01), LMX(β=.022, ρ<.05)이 정서적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 변수 중 성별과 연령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좀 더 정서적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ρ<.05, .081, ρ<.10). 역할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LMX에 따라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5, ρ<.10, .092, ρ<.10).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모호성(β=.000, ρ<.01)이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역할갈등과 LMX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β=.000, ρ<.05)이 개인적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역할모호성이 LMX에 따라 개인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ρ<.05).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 높을수록 개인성취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