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정서 및 행복감

        조필환,김성모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 level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and those children who did no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372, girls: 341) in Gwangju City and Chonnam. The sampling method was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PANAS-X, created by Watson & Clark (1994); and a happiness scale designed by YoungHee Park (2003).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showed higher scores for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fact, the latter showed higher negative emotion scores. Second, elementary school boys showed higher scores for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than girls who showed higher negative emotion scores. Third,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metropolitan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howed higher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 scores than children in smaller communities where higher negative emotion scores were recorded. Fifth,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 scor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participation variety. Four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d excellent sports skills and had participated in after-school sports showed higher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아동과 참여하지 않는 아동들의 정서와 행복감을 비교 분석하고 스포츠 참여자의 배경변인별로 정서와 행복감을 분석하여 방과후 체육 활동을지도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G 광역시와 C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학년 이상의 초등학생 713명(남:372, 여 : 341)을 대상으로 행복감과 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아동들이 참여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적 정서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성별간의 행복감과 정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적 정서에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년별 행복감과 정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에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거주 지역별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아동들이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적 정서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방법별 행복감과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참여 빈도, 참여시간, 운동 기간별 행복감과 정서는 참여 빈도, 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운동을 시작한 지 오래된 아동이 긍정적 정서에서만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운동 종목별 행복감과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운동 기능별 행복감과 정서는 운동 기능이 좋을수록 행복감과 긍정적 정서에서 높게 나타났고, 부적 정서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소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lement of happiness on children'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infants of kindergarten in Guri city, Gyeonggi - do.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teacher training, pre-test, physical activity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element of euphoria, followed by follow-up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lement of happiness, Sixteen times during the week.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hanges in pre-and post-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element of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lement of euphoria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happiness of the infant. The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 emoti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lement of happiness is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promoting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an outdoor physical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R유치원의 유아 40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는 유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교사훈련, 사전검사,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 구성 및 실시,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 유아들은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을, 비교집단 유아들은 실외 신체활동을 8주 동안 16회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의 사전 사후 변화량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로 또래관계, 정서,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감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실외 신체활동보다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교육방법 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Jeong-Wan G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sense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teaching but also on infa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influence their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were 264 pre-service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done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ternal happiness, inner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happines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he sense of happines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 - service teacher "s sense of happiness is a predictor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in seeking way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by enhancing the euphoria of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during school life and strengthening positive aspec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cesses of the institutions that train infant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행복감, 어머니 행복감과 양육행동, 가족환경 변인들 간의 관계 연구

        김진이(Kim, Jean-I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9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 행복감, 어머니 양육행동과 가족 기능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탐색하고 관련변인들 간의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7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1,291가구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중다 회귀분석, 경로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 행복감은 유아의 행복감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음이 발견되었고,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울러 어머니 행복감 수준이 증가할 때 가족기능은 유아의 행복감 수준을 더욱 증가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어머니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들 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어머니 우울증,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 행복감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가정의 경우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증, 어머니 결혼만족도, 지역 만족도, 사회적 지원 등이 어머니 행복감 수준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행복감 증진의 방안마련을 위한 실천에의 함의와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ve effects of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and nurturing actions as well as familial functions on a child’s feeling of happiness and seeks to examine the path of influence among related factors. To do this, it uses data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a total of 1,291 families for the final study.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24.0, particular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s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happiness of a mother and that of a child, with the benevolent nurturing actions of a mother playing a partially intermedi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s of happiness of a mother and a child. Moreover, when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increased, familial functioning proved to have the media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child’s feeling of happiness. Upon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surrounding relative factors affecting a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a mother’s depression and child care stres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the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in a low-income family; in ordinary families, a mother’s self-respect, a conflict in marriage, the mother’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and the level of community satisfaction and community support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the mother’s feeling of happines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paper presents the implications and policy plans in terms of improving a child’s happiness.

      • KCI등재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김도란(Kim Do-Ran),김정원(Kim Jung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행복감의 일반적인 양상과 유아의 행복감이 유아 자신 및 부모와 관련된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유아교육기관 8곳과 지방 소재 유아교육기관 4곳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310명과 유아들의 부모 310명 등 총 620명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유아와 부모의 행복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만 4, 5세 유아들은 행복감의 하위 요인들인 자아특성, 가정환경, 능력, 대인관계영역에서 골고루 비슷한 정도의 행복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러한 행복감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행복감은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전체적인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평균 소득, 거주지에 따라 행복감 하위영역들 중 일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은 전체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모와 유아의 다양한 행복감 하위영역들에서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if the variability of the parents or the young children themselves affects the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and that of the parents. The study surveyed 310 four to five year-old children and the 310 parents of the children, total of 620, from eigh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four child care centers in different places in Korea on the matter of happi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of age four to five were feeling similar levels of happiness from the sub-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of self, family environment, ability, and social skills, even though happines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elf was higher. Also, the happiness regarding the sub-categories mentioned did not vary by gender or age of the children. Second, the level of the happiness of the children varied from the fathers' education. Also, the levels of the children's happiness under certain sub-categories varied from the mothers' education, monthly family income, and the residency. Third, the general happiness of the children and that of the par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Also, the level of happiness of the children and that of the parents measured under the diverse sub-categories of happi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

        박수련,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아동의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향유하기가 행복 감 및 낙관성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행복감과 낙관성에 대한 향유하기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10개의 초등학 교 5, 6학년 아동 495명을 대상으로 향유하기 검사, 행복감 검사, 낙관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향유하기, 행복감, 낙관성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향유하기와 행복감 및 행복감의 하위요인 (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 유하기는 행복감의 60.70%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향유하기는 낙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향유하기는 낙관성의 66.51%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 다. 이상과 같이 향유하기와 행복감, 향유하기와 낙관성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 며, 향유하기가 행복감과 낙관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 등학생의 행복감 및 낙관성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서의 향유하기의 중요성을 시사 하는 것으로, 아동의 향유하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향유하기 프로그램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와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의 이중매개효과

        이경열 ( Lee Kyeoung Yul ),신보원 ( Shin Bowo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이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 한국 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5.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은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은 유아의 행복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을 이중 매개로 하여 유아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행복감이 높아질수록 양육효능감이 더 높아지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전자기기 이용 놀이시간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유아의 행복감이 더 높아지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lectronic device play ti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s happiness. The data from the 7th year (2014) of KICC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happ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rough mothers’ parenting efficacy as a medium. Second, the mothers’ happi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electronic device play time, but the children’s electronic device play tim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hildren’s happiness. Third, mothers’ happ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lectronic device play time. Therefore the mother’s sense of happiness affects the child’s happiness through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 child’s play time using electronic devices.

      • KCI등재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에 관한 연구

        박창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factors affect happiness of the middle-aged in retirement transition period,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in 2016 was used for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740 the middle-aged between 50 and 64 years old were selected. Ordered logistic model was us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aving spouse, and education level, labor forces participation, club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hav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econd, any type of leisur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Third,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Fourth, weekday leisure time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but holiday leisure tim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Fifth,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ix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the middle-aged. Some determinants of happiness differ by age group of middle-aged as follows. First,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ge group of 50-54 years old but has no effect on happiness of age group of 55-59 years old, 60-64 years old. Second, holiday leisure tim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Third,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Four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all middle-aged group 본 연구는 은퇴 전환기 연령에 속하며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을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수집한「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 중 50~64세 중고령자 2,740명을 추출하여 순서로 짓모형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동호회 참여,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류한 어떤 종류의 여가 유형도 다른 여가 유형보다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여가 비용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평일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여가시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휴일 여가시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일보다는 여가생활에 집중하는 경우가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여가생활만족도는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 중고령자들을 3개의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연령 집단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달랐다. 첫째, 여가비용은 50~54세 중고령자 집단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의 행복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휴일 여가시간은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보다 여가에 집중하는 경우가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가생활만족도는 50~54세, 55~59세, 60~64세 중고령자 집단 모두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충동적 경험소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경과에 따른 행복감의 망각

        전주언,이은미,최한나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8

        Most people want to be happy. Recently, the new words “work-life balance” and “small but certain- happiness” have become popular as the trend of focusing on individual life and more on one's own happiness has been rising in Korea. Recent years have seen growth in consumer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rrelates of happiness. Researchers have also begu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and happiness.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more people aspire to materialistic goals, the less satisfied they are with life, and the more at risk they are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disorders. The fact that thinking about experiences places people in happier than thinking about material possessions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people’s endorsement of their experiences is not entirely due to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Previous studies on consumers' happines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and happiness has been less interested. This study dealt with an issue of whether a variety of experience consumption activities may improve people's happiness leve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on happiness by expecting that stress relief and guilt will be mediated. In addition, we examined happiness in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is reduced over tim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322 people from demographically diverse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ables adopted in this study. For overall consumption activities,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activities improved happiness in life with mediation of stress relief and gui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relief and guilt. Consumers could experience guilt while relieving stress because experience consumption is achieved on an impulse. Second, the stress relief and guilt caused by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nd this happi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experience intent.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piness over time was found after an impulsive consumption experience. That is, consumers tend to be relatively happy at early time right after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but ultimately happiness will decrease away from the time of impulsive buying. Understanding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issue is essential and something that firms should be integrating into marketing activities, as well as communication activities. Marketing managers have to understand the explicit and implicit experience goals they are making to customers. 최근 개인의 생활을 중시하고 자신의 행복에 보다 집중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워라밸(work-life balance)’과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 워라밸과 소확행이라는 키워드는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경험소비와 충동소비다. 경험소비는 재화소비와 다르게 경험 자체가 목적으로 제품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 과정을경험하는 소비 유형이다.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경험소비 후 느끼는 행복감은 재화소비 후 느끼는 행복감보다더욱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양한 소비자행복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충동적인 경험소비로부터유발되는 행복감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경험소비가 소비자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충동적으로 이루어질 경우행복감에 미치는 경로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충동적 경험소비는 일시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함과동시에 계획된 소비가 아닌 것에 대한 죄책감을 동시에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충동적 경험소비로 인한행복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망각되어 그 강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적 경험소비는 스트레스 해소와 죄책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소비가충동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소비자는 일시적인 즐거움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해소하지만 동시에 죄책감도경험하게 됨을 의미한다. 둘째, 충동적 경험소비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와 죄책감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주었고, 이러한 행복감은 재경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적 소비경험 후시간경과에 따른 행복감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충동적 경험소비 직후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행복감을 높게 인식하지만 일정 시간 지나면 이러한 행복감에 대한 인식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 보육교사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자,강은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개인 인성의 수준에 따라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인지역 영 유아보육교사 2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수거하였다. 설문도구로 Ryff(1988)가 개발하고 조명한과 차경호가 번역한 행복감 척도(PWBS)와 전재선(2011)이 개발한 교사의 인성자기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보육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설문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들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라 인성과 행복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보육교사들의 인성과 행복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들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인성과 행복감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학력, 종교여부, 연령, 기혼여부에 따라 인성과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가지 배경변인 중 학력과 경력에 따라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 인성과 행복감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성장, 삶의 목적 요인 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인성의 하위 요인 5개의 영역에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개념이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는 바람직한 인성을 가지고 긍정적인 사고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커지며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인성이 깊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성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