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유승훈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4

        해양심층수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 깊은 곳의 바닷물을 말한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해양심층수를 수산, 식품, 음료, 화장품,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해양심층수의 산업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3가지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해양심층수 산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 및 해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함으로써 해양심층수 제품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한다. 20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해양심층수 산업의 시장규모는 5,694억원이며,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는 각각 1조 556억원, 4,379억원, 9,311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심층수 산업화를 위한 정책결정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ep sea water (DSW), accounting for 95% of all sea water, generally refers to sea water from a depth of more than 200m. Recently, the utilization of DSW is receiving much attention due to its high productivity, large quantity, and potential for recycling energy. The Unites States and Japan have already utilized DSW in various areas such as fishing, food, beverage, cosmetics, and medicine. Moreover, Korea is about to launch DSW products in marke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industrializing the DSW on national economy. More specifically,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explored. The study pays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DSW products sector by taking the sector as exogenous and then investigating economic impacts of it. The market size of the DSW products in 2010 is estimated as 56.9 billion won, an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industrializing the DSW are measured to be 1,055.6 billion won, 437.9 billion won, and 9,311 persons, respectively. These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olicy-making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DSW.

      • 동해 해양심층수의 수질안정성에 관한 연구

        어재선,김용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본 연구는 동해(울릉도) 해양심층수의 수질안정성에 관한 연구로 해역의 수층별 실시간 모니터링과 채수를 한 데이터를 기초 로 하여 실험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심층수의 개발에 따른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 해양심층수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개발 해역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취수해역 지정 지역의 해양환경 관리를 하고자 하였다. 해양 심층수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국민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질을 확보하고, 해양심층수 자원의 체계적 이용과 관리를 통한 지속적 성장과 해양심층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강화를 위하여, 2018년 동해(울릉도) 해양심층수 3개 해역인 울릉군 태하, 현포, 저동해역에 대하여 연 4회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해양심층수 취수해역에 대한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 해양심층수 에너지자원 이용 타당성 분석 연구

        김정협,김광태,박세헌,오위영,김현주,Kim, Jeong-Hyop,Kim, Gwang-Tae,Park, Se-Hun,Oh, Wee-Yeong,Kim, Hyeon-J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15 No.1

        우리나라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세계적으로 상위권에 속해 있으며,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화력발전의 비중이 높아 $CO_2$의 배출량도 세계 10위이다. 이에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기술 확보 및 실용화에 주안을 두고 있으며, 에너지 공급의 탈 화석화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중이다. 신재생 에너지의 하나인 해양심층수 열에너지의 자원화 기술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해양자원의 다각적 이용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자원 확보와 환경개선을 위해 국내 외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해양심층수 에너지의 해양온도차 발전과 냉난방 이용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개발의 경제성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1MW급 온도차발전 플랜트에서 해양심층수 및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경우 경제성은 미흡하나 연구개발을 통해 상용화 규모로 개발하면 전기의 생산 뿐 아니라 식수 및 탄소배출권 등을 고려할 때 경제성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000RT급을 대상으로 해양심층수의 냉난방 이용은 경제성은 양호한편이며 특히 탄소배출권을 고려한다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 가능하다. 이를 해양온도차 발전, 담수화, 농수산 이용 등과 연계하여 이용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질 것으로 판단되어, 조기 실용화 및 보급 확산을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Annual power consumption of our country is positioned in the upper percentile in the world, and because the proportion of fossil power generation is high, which ranks the 10th $CO_2$ emission country. In this regard,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is implementing the National Energy Basic Plan to realize to get out of fossilization in energy supply while focusing on securing the technology for renewable energy as well as its commercialization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Resource recovery technology for deep seawater thermal energy which is one of renewable energies is newly getting attention domestically as well as in overseas for securing resource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s a core technology for multilateral use of marine resources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s follows on the use of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and seawater air conditioning. First, in the case of power generation using deep seawater and warm discharge water from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lant of 1MW level, it is judged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is insufficient but the feasibility will be significantly improved if we consider not only power generation but also drinking water and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by developing the power plant to the size for commercialization. Second, the economic feasibility for the use of deep seawater as air conditioning for the power plant of 1,000RT level turned out to be very good. Especially, when we consid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When we use it in connection with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water conversion and agricultural and fishery use, it is judged that economic ripple effect will be significant an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early commercializ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deep seawater energy.

      • 해수열원을 이용한 냉방 히트펌프의 성능특성

        이호생(H.S. Lee),김현주(H.J. Kim),문덕수(D.S. Moon),김성규(S.G.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해수 에너지원 중 해양심층수는 약 5℃ 이하의 저온성을 가지고 있어 직접냉방 및 냉방 히트펌프를 위한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건물 냉방을 할 경우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기존 냉방에 비해 에너지 절약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양심층수 취수설비를 가지고 있는 해양심층수연구센터를 대상으로 해양심층수를 열원으로 한 냉방실험을 실시하였다. 냉방 실험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직접냉방과 해양표층수와 지하해수를 이용한 냉방 히트펌프 실험을 수행하여, 해수열원에 따른 냉방 성능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또한, 해양연구센터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냉방시스템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양심층수를 열원으로 하는 해수냉방에 대한 성능을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수 냉방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periment the cooling heat pump system using seawater heat source. The deep seawater, surface seawater and ground seawater are used as the seawater heat source for this experiment. Experiments on cooling using a heat pump system were performed with various ocean waters as heat sources including the deep ocean water at 4.8 ℃, the surface ocean water at 20.1℃, and the ground ocean water at 13.2 ℃, among others.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he conventional cooling systems and the direct cooling system using the deep ocean water and cooling heat pump system using the surface seawater and ground seawater revealed that the latter saved approximately 84.7%, 14.3%, 20.6% of the integrating power.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of the deep seawater, the surface seawater and the ground seawater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76.0 ㎏CO₂, 12.8 ㎏CO₂ and 18.5 ㎏CO₂ more,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oling system.

      • KCI등재

        해양심층수 브랜드가치에 대한 잠재소비자의 특성연구 -김치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종호(주저자) ( Jong Ho Lee ),박현욱(교신저자) ( Hyeon Wook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8 No.-

        21세기 현대사회는 식수, 식량, 에너지 자원의 심각한 부족과 그 소모에 따른 환경문제와 같은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물자원의 고갈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미국에서 에너지 개발의 목적으로 시작된 해양심층수의 개발을 일본에서 음식료품 산업으로 발전했고 국내에서도 해양심층수의 다양한 기능성에 착안하여 생수, 주류, 식품 및 미용품등 다양한 가공품을 개발하여 심층수 상품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수출은 감소추세에 있으며 수입은 증가추세에 있는 우리나라의 김치 생산의 활성화를 위해 마케팅적 관점에서 김치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해양심층수라는 브랜드가치를 통해 해양심층수 김치산업의 시장 타당성을 알아보고 해양심층수 김치제품에 대한 시장진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해양심층수 제품 관련 의식 조사, 김치구매자의 구매생태학적 특징 및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김치제품 관련 의식조사를 통해 해양심층수 김치브랜드의 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적방안을 연구하였다. The society of the 21st century has been threatened by severe shortages of drinking water, food and energy as well as those environmental issues that had been caused by consumption of those resources. In particular, the depletion of water is considered to have an immediate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mankind and that being so, plans on how to deal with the problem must be established. This development of deep sea water which the USA first conducted to come up with a new energy was eventually applied to the industry of food and beverage in Japan and even in South Korea, a variety of ideas on functions of deep sea water have developed, and they are being actively used in the market of deep sea water products as they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ll those different processed products, such as drinking water, liquors, food and cosmetics. In order to revive the kimchi production in South Korea, from a marketing aspect,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targeting consumers of kimchi and looked into the validity of the market of the deep sea water kimchi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 brand value of deep sea water. Since the mid-2000, the export of kimchi of South Korea has been decreasing while the import has been on the rise. The study, then, examined how the consumers think about deep sea water products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would help deep sea water kimchi products to enter the market, and through the survey on the purchas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mchi consumers as well as the consumers’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kimchi products depending on their dietary styles, the study discussed strategic plans on how to introduce deep sea water kimchi brands to the market.

      • KCI등재

        국내 최초의 육상형 해양심층수 취, 급, 배수시설 건설

        정동호(Jung Dong Ho),김현주(Kim Hyeon Ju),문덕수(Moon Deok Soo),맹주영(Mang Joo You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3B

        국내 최초의 육상형 해양심층수 개발시스템이 건설되었다. 수심 300m와 500 m로부터 해양심층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해저면 위 혹은 아래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였으며, 경제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해저면 예인법, 해수면 예인법, 부선선법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부설하였다. 취수관의 끝단은 항상 해저면으로부터 5m 이상 위치할 수 있도록 취수구 구조물을 설치하여 청정한 해양심층수가 유입되도록 하였다. 배수시설은 해조장 조성을 위하여 수심 7m 지점의 암반 위에 설치되었으며, 정온해역 상태를 선택하여 해수면 예인법에 의하여 부설되었다. 취수관을 통해 유입된 해양심층수는 사이펀 원리에 기초하여 자연낙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펌프피트를 DL (-) 4.8 깊이에 건설하였다. 현재 취,급,배수시설은 시운전 중이며 1000 ton/day 이상의 해양심층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해양심층수 개발을 위한 건설 기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struction for Deep ocean water development in land-based system was carried ou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pipe reinforced with wire rope or steep pipe under or on the seabed was installed in order to intake DOW at the water depth of 300m and 500m by hybrid installation method which uses the bottom pulling method in shallow water and surface tow method and laying ship method in deep water. The intake point of pipeline can be kept up at the 5m above seabed in order to intake fresh DOW with a intake frame structure. The pipeline for discharging DOW including even nutrition was installed with the surface tow method. The pump pit was constructed at the DL (-) 4.8 depth for a natural head of water. It is on a trial operation for stable pumping, and 1000 ton/day of DOW can be intake with the developed system.

      • KCI등재

        지역연고산업정책 사례 분석: 해양심층수 산업을 중심으로

        김수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by analyzing Deep Sea Water(DSW) industry in Korea which is still in the introduction stage. DSW industry in Korea, which is on the threshold of entering the growth stage, started in 2000. Based on the legislation of related laws, the authority has been pursuing diverse policies in accordance with ‘master plan for Deep Sea Water’. However, the Korean DSW industry has remained stagnant in the initial and growing stages for years, and now appears to need new pla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In order to revitalize deep sea water industry and to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deep sea water, the strategical plans should include premium drinkable water, diversification of DSW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value-added products. Also organic networks between participants of related clusters should be built up.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set of guideline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b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n DSW industry. First,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should be the phased rollouts in accordance with the master plan. Second, to effectively promot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complex ecosystem should be developed by combining the physical infrastructure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skilled manpower. It represents an evolutionary development system which is rooted in the value chain of main industry, the business networks amongst enterprises, and the innovative resources and activities such as university, research center, business support center, etc. within certain geographical area. Finally, to form a complete value chain of proper industry, it is needed higher level of interdependence amongst related clusters and a cluster hub, which will lead to the maximization of an economic ripple effect. 본 연구는 지역연고 산업으로서 해양심층수 산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성장기로의 진입을 앞둔 해당 산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역산업 정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한 지역연고산업 중 강원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기 산업단계인 해양심층수 산업은 2000년 시작되어 2007년 관련 법률의 제정을 기반으로 주무부처에서 2008년부터 수립해 온 ‘해양심층수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 제3차 해양심층수 기본계획이 발표된 바 있다. 해양심층수 산업이 발달된 미국, 일본, 대만과 달리 국내 해양심층수 산업은 성장기로의 진입을 앞둔 상황으로, 먹는 물 제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를 다각화 하고 산·학·연·관의 협업체계를 명확하게 구축하여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해양심층수 산업을 통해 도출된 지역연고산업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연고산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장기적 안목으로 마스터 플랜을 구축한 후 단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연고산업이 실질적인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물리적 인프라 집적과 더불어 전문인력 양성 등 소프트 인프라가 결합된 복합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연고산업이 완결형 가치사슬을 형성하여 지역산업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지역 내 산업발전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중소 클러스터 구축 → 중소 클러스터 간 연계 →광역 단위의 클러스터 허브와 연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역상품브랜드의 자산구성 요인에 관한 기초연구 - 고성군 해양심층수 비누제품 포지셔닝에 관하여 -

        최문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2

        90년대 이후, 지방자치가 시작되면서 지역이 스스로 발전계획을 세우고, 인재를 개발하고, 계획을 실행해야 하는 ‘지방의 시대’가 왔다. 본격적 지방화 시대가 열린 이래 각 지역들은 지역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그 지역만의 특징적 아이덴티티를 마케팅에 접목시켜 경제적 수익과 부가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란 바다 깊은 곳에서 뽑아 올린 물로서 병원균이 거의 없고 깨끗하며, 미네랄이 풍부한 바다자원이다고성군은 해양심층수를 브랜드화 하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문화 및 관광 경제활동으로 연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이 될 수 있는 산업으로 특화 개발 하고 있다. 해양심층수 비누 사용에 따른 효능에 대한 조사 결과 주로 미용적 기능과, 의료적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를 부드럽고 매끈하게 하는 미용적 기능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적 기능은 어린이 아토피 효과에는 82%의 다수가 강력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에 의하면 해양심층수 비누는 주로 의료적인 견지에서 수용자에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업무진행에서는 어린이 아토피 개선에 관심이 많은 부모세대에게 포지셔닝하는 것이 마케팅적으로 유리하다고 추론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자원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자산 개발에 필요한 탐색과정에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The 1990, after the start of the local government area is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pla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plan should be executed and that 'region self-government'. Since each region were held in the era of earnest localization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ased on its own identity, its distinct features, combined with marketing and economic revenue and added value at the same time seeking to create a strategic plan. Deep ocean water off the marine birds are sometimes raised almost no clear, mineral-rich ocean resources. Branding is a continuous and long-term development fund Goseong maritime culture and tourism, economic activity could be the key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hall specialized industries. Deep ocean water soap used to fund health benefits for the marine survey results primarily beauty culture and functions primarily used. Specifically, the skin gentle beauty culture strongly aware of the astronauts said. Atopic children feature is especially medical effects include 82 percent of the majority is strongly aware of a recent survey. Therefore, relating to the ongoing work to improve children's atopic parents interested in a lot of marketing, positioning, it will deduce that the glas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se regional resources required to expl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 brand equity on the basis of data provided for the purposes of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