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층을 위한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 연구조사 : 청년층 거주 행위 특징 중심으로

        진원(Chen, Yu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청년층의 대부분은 사회 초년생이기에,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 속한다. 하지만, 도시의 집값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주택난이 청년층 저소득층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은 현재의 시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로 인하여, 청년층은 주거 장소로 소형 주택 공간을 선택해야 했고, “개미족”, “판자촌”, “하우스푸어” 등은 사회 초년생들의 대명사가 되었다. 소형 주택은 주로 보금자리주택사업 중인 저렴한 임대주택과 일부 면적이 작은 일반분양주택이 해당된다. 이것은 시대의 발전에 순응하여 생겨난 일종의 신형 주택 형식으로, 주로 마주하는 대부분의 세대는 80, 90년대의 청년층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소형 주택은 공간의 제한, 단일화된 형식, 공간의 레이어드(층위감)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고, 제한적인 공간은 문화의 파생적인 교류를 저해한다. 동시에, 청년층의 주거용 주택 기능에 대한 만족에 있어, 소형 주택에는 일정한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청년층의 개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청년층의 주거 행위 습관과 심리적 특징을 조사 · 분석하고, 소형 주택에 대한 기능적인 수요를 이해하고, 소형 주택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위주로 주거 습관과 주거 환경에 대한 기능적 수요를 결합하여, 소형 주택의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와 같은 소형 주택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주택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선 소형 주택의 개념, 이론 연구와 주거 행위에 대한 문헌 자료를 통해 진행되었다. 다음 단계로 19~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 설문지 271건을 발췌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청년층의 소형 주택에 대한 주거 행위 특징, 공간 수요, 취미 선호도를 살펴보았고, 나아가 청년층의 주거 공간 기능에 대한 수요와 생활 방식을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국가별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소형 주택의 특징과 공간 구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능 복합, 회로 공간, 수직 공간, 모듈 공간의 네 가지 측면에서 소형 아파트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디자인 기능의 다양화에 유의하였다. 또한, 세부 설계를 중시하여, 주택 공간을 최적화하여, 주택 공간의 쾌적함을 제공하고, 청년층의 소형 주택의 디자인 요구의 목적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후에 시작될 연구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Most of the young people are newcomers to society, so they generally belong to the low-income class. However, it cannot be overlooked at this point that housing shortages are putting a serious burden on young people and low-income families as housing prices in cities are on a high march. For this reason, young people had to choose a small housing space as their residential area, and ant , shantytown , and house poor became synonymous with newcomers to society. Small houses mainly include cheap rental housing in the Bogeumjari housing business and general pre-sale housing with a small area. This is a kind of new type of housing created by adap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most of the households encountered are young people in the 80s and 90s. However, through previous studies, problems such as space limitation, unified form, and lack of layered (level sense) of space were found in existing small houses, and limited spaces hinder cultural derivative exchanges. At the same time, since there are certain problems in small houses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housing function of young people,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of young people cannot be satisfied. Therefore,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housing behavior habi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understands the functional demand for small houses, and suggests ways to optimize and improve the design of small houses by combining residential habits and functional demand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small house design as it is today, it is important to study small house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goals, this study was first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data on the concept of small housing, theoretical research, and residential behavior. As the next ste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ople in their 19s and 30s, and 271 valid questionnair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surve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behavior, space demand, and hobby preferences of young people for small houses were examined, and furthermore, the demand and lifestyle for residential space functions of young people were clarifi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urrent small housing space design by country,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mall housing were sought. Finally, in the process of proposing the design of small apartments in four aspects: functional complex, circuit space, vertical space, and module space,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s and diversification of design functions. In addition, detailed design was emphasized, housing space was optimized to provide comfort for housing space, and to focus on the purpose of the design needs of small houses for young peopl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평생교육기관 청년층 취업프로그램 수강자의 취업 성취욕구에 관한 연구

        진서현,박찬수,채영일,이흥연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기관의 취업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실증조사를 토대로 청년층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취업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평생교육기관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청년층의 취업성취욕구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청년층의 실업률이 타 연령층에 비해 높고 경제 불황이 깊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청년들의 경우 아직까지 취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 치열한 경쟁이나 높은 취업장벽을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가 유지되고 있는 만큼 프로그램이 개선될 경우 청년층의 프로그램 수강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평생교육기관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청년층의 성별, 연령, 학년, 주관적 생활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취업 성취욕구 수준에 차이가 있어 20대 후반의 취업 성취욕구 수준이 가장 높고, 졸업생이나 휴학생의 취업 성취욕구 수준이 가장 높고, 주관적 생활수준에서는 중위 수준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취업 성취욕구 수준이 가장 높으며, 취업 준비기간에서도 1년 이상 취업을 준비한 청년층의 취업 성취욕구 수준이 가장 높은 만큼 프로그램 분야나 내용 심화수준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년층의 성별, 연령, 학년 등에 따라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청년층의 수강기간에 따라 취업 성취욕구가 증가되고 현재 수강하고 있는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취업 성취욕구에 차이가 있는 만큼 프로그램 기간을 장기적으로 진행하거나 청년층의 취업 성취욕구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프로그램을 특화하여 많은 평생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서울・경기도권에 제한되어 있고 참여자 수도 일부에 국한되어 있는 만큼 본 연구의 결과를 전 지역에 걸쳐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employment programs offered for youth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actual investigation on students enrolled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mployment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irst, despite the comparably high unemployment rate among youth age groups and the worsening economic depression, the level of needs for employment remains consistent among youths enrolled in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Thus, improving the employment training programs would increase the rate of program enrollment among youths. Secondly, various factors affect the rate of needs for employment among youths enrolled in the programs (gender, age, grade, subjective living conditions, duration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other suc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u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field of study or level of program intensity according to the gender, age, grade, etc. of the youths enrolled in the programs. Thirdly, the duration of enrollment and the program type affect the rate of needs for employment among youths enrolled in programs. Thu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ong-term programs or specialized programs designed to encourage the needs for employment among youths in man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please note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do regio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localized in the capital area.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ts difficulties for a generalized application for all Korean regions.

      • KCI등재후보

        지역 간 특성차이가 서울시 청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리영(Kim , Leeyoung)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2

        생애주기단계에서 청년층은 그 사회적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는 연령대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주택시장요인을 포함한 지역특성요인과 청년층 인구이동의 관계를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이동은 거리와 일자리는 중요한 이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내 개별지역과 이동의 기원지간의 전세가격과 같은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주택공급 차이가 커질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순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일자리의 경우, 청년층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어 고용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서울시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 공급이 지속된다면, 서울시 청년층 전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young generation in life cycle that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can increase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in Seoul. As the results,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commuting distance and location of jobs as the gravity model has suggested. In addition, housing supply and housing price (or Jeonse pri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e price gap such as Jeonse price and housing supply gap are increased, the more out-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in Seoul is increased. However, the housing demand of young generation in employment centers will be increased because job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inflow of young people. Therefore, the policies of central and Seoul government that supply housing in job rich and high accessibility areas are needed for young generation. In addition, if public housing and affordable housing are supplied in the other areas,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out-migration of young people in Seoul.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연구 동향 분석

        최지원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of vocation and employment research for youth in labor market by network text analysis. The research sample were collected by using key words such as ‘youth’, ‘labor market’, ‘university graduates’, ‘college graduates’, and ‘highschool graduates’ etc. from RISS database published 2010~2015. A total of 250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ocation and employment research for youth has been published covering 14 core subject such as youth, graduate students, getting a job, employment, labor market, job, first-job, preparation process for transition, education, university, labor market performance, wage. Second, ‘school to work phenomenon’ theme has been dealt with vocation and employment research for youth in labor market(represented by sub-network 1). The research has covered employment options that youth can be with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Third, ‘labor market instability for university graduates’ theme has been dealt with vocation and employment research for youth in labor market(represented by sub-network 2). The research has covered variety of struggles that university graduates can be faced with the micro and macroscopic point of view. Fourth, ‘process and performance of getting job’ theme has been dealt with vocation and employment research for youth in labor market(represented by sub-network 3). The research has covered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properties, working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s and benefits from work.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2010~2015년에 발간된 250편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연구는 14개의 주제(청년층, 대졸자, 취업, 고용, 노동시장, 일자리, 첫일자리, 취업준비, 교육, 대학, 전공, 노동시장 성과, 임금)가 중심주제로서 주축을 이루며 수행되어왔다. 둘째,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연구는‘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현상’에 대한 연구가 세부적으로 수행되어 왔다(하위집단 네트워크 1). 이 연구들은 청년층이 노동시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와 상태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거시적·구조적 차원의 연구 경향을 가지고 있다. 셋째,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연구는‘대졸자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세부적으로 수행되어 왔다(하위집단 네트워크 2). 이 연구들은 대졸자가 노동시장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부정적 현상을 미시적·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연구 경향을 가지고 있다. 넷째, 노동시장에서의 청년층 직업 및 고용 연구는‘청년층의 구직 활동과 성과’에 대한 연구가 세부적으로 수행되어 왔다(하위집단 네트워크 3). 이 연구들은 청년층 개인이 보유한 특성이나 속성에 따라 입직 이후 어떠한 환경에 놓이고 처우를 받는지에 대한 영향관계 등이 연구되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청년층 가구의 소득 및 자가전환 변화 분석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 -

        황관석,이수욱 한국부동산연구원 2016 부동산연구 Vol.26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income, savings, assets, liabilities and homeownerhip of young generation househol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ith a cohort effects. Using the Korea Labor Panel Survey, We analyzed that four years’ change of young generation (25-39) and middle-aged (40-54) between 2003 to 2007 and 2008 to 2012. And we extracted the change of young generation’s cohort effects controlled age effects and time effects by apply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method. We found that incomes and savings of young generation in 2008 cohort were each 8.3%p and 13.7%p lower than in 2003 cohort. Although assets were no significant, but liabilities were decreased 37.5%p in 2008 cohort, which was expected to result from reduced purchase of housing. And the ratio of the transition from rent to homeownership was reduced 16.3%p in 25-29 ag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ome and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young generation should be enhanced. 본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5-39세 청년층 가구의 소득, 자가전환 등의 변화를 코호트 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하여 2003년의 청년층 가구와 2008년의 청년층 가구에 대해 각각 4년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중장년층(40~54세)을 비교그룹으로 설정하여 이중차분법을 적용함으로써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를 제어한 코호트 효과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2008년 청년층 가구는 2003년 청년층 가구와 비교하여 소득은 8.3%p(연간 2.1%p) 낮았으며, 저축 또한 13.7%p(연간 3.4%p)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산의 경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부채는 2008년 청년층에서 37.5%p(연간 9.4%p)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택구입 감소 등으로 대출이 감소했던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가전환비율은 25~29세에서의 하락폭이 두드러져 16.3%p(연간 4.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가구의 소득 및 저축, 자가전환비율의 감소를 통해 볼 때 청년층을 위해서 양질의 일자리를 통한 소득 확대 뿐 아니라 주거지원대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에서 Co-creation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홍순구(Soon-Goo Hong),이현미(Hyun-Mi Lee),한세억(Se-Eok Han),김종원(Jong-Weon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1

        2000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 성장세는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으며, 저성장 기조에 따른 고용창출 역량도 같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성장정체와 고용창출 역량의 부족으로 인해 청년층 일자리 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 co-creation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와 관련된 최근 1년간의 신문기사 자료를 수집하여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여 청년층 일자리 창출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세스과정 요소, IT기술의 활용 및 지역 특성, 문화 등의 환경적 요소, 법적?행정 및 제도적 요소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 청년층 일자리 창출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를 근거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질적 연구의 확대에 기여하였고, 실무적으로는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has continuously declined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employment creation opportunity. Futhermore, these circumstances are aggravating the youth job cre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creation approach for solving the youth job creation problem.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n recent newspapers for a year, the study proposes a paradigm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Based upon this result, the study creates the conceptual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which includes three factors such as process, environment, and institu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xtension of qualitative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in research, but also to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youth job creation in practice.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임준형,최인영,박혜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Recently,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on the increase in Korea, expected to reach 34.6% in 2035. Among the single-person households, Young single family households are facing greater difficulties due to high house prices in Korea. The government is expanding its support to Young single family, executing various policies such as public lease housings, private lease housings for youth, youth dormitory,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act housing requirement of Young single family households who have different lifestyles with other age groups and provide base line data for youth house planning which will be in use later on. Study methods are shown below. First, this research studi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single family households by looking into literature. Second, by studying previous studies concerned with life style and housing preferences of youth, the tool for investigating preferences and needs of housing environment by Young single family households was composed. Third, survey on characterstics of space usage, preferences and needs on flat composition, and preferences of interior design were conducted based on lifestyle of Young single family-households.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using SNS for 150 Young single family holds from the age of 20 and 39, including students and office workers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Looking into the space usag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at various activities other than basic functions take place in bedroom and living room of small-sized Young single family households, we need to consider this additionally when planning the housing. (2) Looking into the preferences and composite needs of flat composition, the subjects demand separate bed room and more living room space, and also demand expansion of living room space where various activities take place and additional storage such as dress room in bed room (3) The preferences toward interior design show preferences toward modern style and achromatic color, a representative color. The subjects also prefer floor finishing materials normally used for living spaces, and indirect, soft lighting that uses wall. Also,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terior design preferences between students (20's) and office workers(30's) due to their different lifestyles. Research is needed to propose practical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plans through a case study of actual public rental housing and a wider range of users.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 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 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 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 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 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 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 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 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 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 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 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 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 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⑴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⑵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 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 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⑶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 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 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 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 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 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 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임광현(林光鉉)(Kwang-Hyun Im),한상우(韓尙祐)(Sang Woo Han)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3

        세계적인 IT 강국에 살고 있는 한국의 청년층은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어데서 구할까? 정보 사회가 도래한 1990년대 이래 청년층은 일상생활의 상당 시간을 웹사이트에서 보내고 있다는 관련 자료 분석결과를 살펴볼 때 취업관련 정보 역시 on-line에서 구할 것이라는 전제를 할 수 있다. 특히 2008년 이후 글로벌경제위기 도래에 따른 청년층 고용위기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상황 하에서 고용증대 없는 경제성장이 몇 년째 계속되고 있는 한국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실업률이 심각한 수준에 있는 청년층은 구직에 도움이 되는 취업정보 제공 관련 웹사이트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그리고 여기에서 얻게 된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지? 취업관련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청년층 실업률 해소에 대한 효과성, 그리고 청년층들의 정보에 대한 접근, 그리고 활용 측면에서 과연 얼마나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고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물음에 대하여 답을 얻기 위해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웹사이트 가운데 사전조사를 통해 선정된 웹사이트에 대하여 전문계 고교 2,3학년과 전문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관련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파악된 웹사이트 평가지표와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지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정보접근성 및 활동도 제고를 통한 청년층 고용증진부분에서는 정보접근성 측면에서 관계당국의 정책지원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정보활용성 측면에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공히 제공 되어지는 정보의 이용도 보다는 정보의 질이 향상되어야 비전 있는 지속가능한 제도 및 정책 수립과 함께 명실 공히 청년층 고용시장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이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study how the youth being at a job crisis world would look out for a job information through the web site and think about the digital divide including the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use after the service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from 2001. Particularly, after the e_Government period comes, there have been many kinds of digital divide among the poorly youth. In this study some variables were used such as social background of individual, physical approach, support of contents, education and policy, quality of utilization(degree of goal achievement), scope of use(the degree of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the perspective of digital divide. The three hypotheses were set up and tested for analysis through the statistical methodology such as factor analysis, ANOVA, F-test, regression(for beta test) etc. for analysis. These hypotheses were totally accepted at the level of 5%.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can conclude next; Firstly, the youth would expect that they prefer the increase of information and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use to the qualitative support of information, and through it the bridging digital divide would be accomplished. Secondly, they might recognize that the digital divide could be bridged by the intensification of physical access through the expansion of governmental support, and by the educational support of use technology. Finally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ing policy and research concerned.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정미나,임영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factors directly related to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about labor market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based o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t is used to predict variables about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by ‘decision tree analysis’ an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mportant predictors of college graduat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such as salary, job stability), a major field of study. Especially, it indicates that the most predictable factor is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hen it comes to starting work. Second, factors which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have directly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entry. Thir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 Fourth, although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indirect effect on colleg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ith specifying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as parameters, the results a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proper policy to decreas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o solve socioeconomic structural problems. And individual efforts for pre-employment are needed as well. Second, a solution can be developed to redress un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he youth labor market due to the surplus of graduates. Third, Career education for adolescent should be prepared vi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인과적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노동시장 이동경로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경력자들의 안정적 안착 기간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대졸 청년층과 비진입한 대졸 청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으로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변인을 예측하였고,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변인 간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예측하는 변인은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예컨대, 급여, 고용 안정성 등)의 중요도, 전공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노동시장 진입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있어,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가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와 구직 조건의 중요도를 매개로 하여 노동시장 진입에 간접효과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직자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정책적으로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유휴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급자 및 수요자 측면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청년층 장애인 일자리 특성 및 취업 결정요인

        박자경,김종진 한국직업재활학회 2017 職業再活硏究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activities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facilitate their job finding. Although there are serious problems with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there isn't yet careful concern about their problems in Korean society, and it's specifically meant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economic activities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se people and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employ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n't economically active enough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the entire generation of the same age groups, and their jobs weren't good enough, either. As a result of analyzing what factors affected their job finding, that was under the influence of age, academic credential, whether to be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or not, whether to be a householder or not, and the type of disability. Older ages led to a higher job-finding probability. As for academic credential, the middle-school graduates and the high-school graduates were less likely to get a job than those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The young adults who we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were less likely to find a job than the others who weren't, and the householders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e non-householders. Concerning the type of disability, the you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 were more likely to get a job than those with internal physical handicap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how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층 장애인의 실업문제가 매우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은부족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청년층 장애인의 경제활동 특성들을 살펴보고 적절한 고용대책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층 장애인의 경제활동, 일자리 특성 그리고 취업 영향요인을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 장애인의 경제활동은 전체 청년층보다 취약하며 일자리 역시 열악한것으로 드러났다. 청년층 장애인의 취업에는 연령, 학력, 기초생활수급여부, 가구주여부, 장애유형이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높을수록 취업확률이 높아지며, 학력의 경우는 중졸이하와고졸자는 대졸이상의 학력자보다 취업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는 비수급자에 비해 취업확률이 낮았으며 가구주인 경우는 비가구주에 비해 취업확률이 높았다. 장애유형과 관련해서는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확률이 신체내부 장애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