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대 한국 정치적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승민 ( Lee Seung-min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9 No.-

        본 논문은 2017년 현재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경향에 주목한다. 태생부터 정치적인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는 정치 사회적 정세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 글은 그 어느 시기보다 역동적인 시간을 보낸 2016년과 2017년대 등장한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정치성 혹은 정치적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은 정동과 탐사보도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두고 이 시기 정치적 다큐멘터리영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동시대를 다루는 시론적 연구로 인해, 전체를 매핑하는 작업은 시기상조로 보고, 개별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흐름을 역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새로운 패러다임은 생탁노동자를 다룬 <깨어난 침묵>, 구로동맹파업을 다룬 <빨간 벽돌>, 용산참사 이후를 다룬 <공동정범>을 사례로, 정동과 조우하는 정치적 다큐멘터리 영화를 분석한다. 이들 작품은 공동체 내부 인물 중심의 인물 다큐멘터리 영화이지만, 과거와 달리 개인과 사회를 분화하지 않고 사회 속 개인이라는 하부적 분류가 인물자체에 주목해 인물에 새겨진 역사를 사적이고 내밀한 호흐풀어내면서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한다. 일상 속에 스며있는 정치를 담아낸다. 현실의 기록을 지시적 특성보다 정동적 측면으로 접근하고 사용한다. 두 번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는 국정원 간첩조작사건을 다룬 <자백>과 18대 대선 부정투표 의혹을 제기한 <더 플랜>을 통해, 탐사보도 스릴러 형식의 고발과 폭로를 담은 정치적 다큐멘터리를 살펴본다. 이들 영화는 방송의 포맷이자 극영화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차용해 진실을 추적한다. 정동과 탐사보도 형식은 비단 정치적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뿐 아니라 동시대 영화와 시각예술에서도 적극적으로 등장하는 키워드이기도 하다. 동시대 관객과 소통하는 키워드가 정치적 다큐멘터리 영화의 경향속에 스며든 지점은 분명 의미심장한 부분이다. Korean Documentary reflects the specificity of Korean history and politics. This a thesis focused on current independent documentary trend in Korea. Documentaries are closely tied with the changes in politics. In this thesis we will look into year 2016 to 2017. We will focus on the new paradigms set mainly by two keywords, `reporting (thriller)` and `affection`. First we will analyze "After Breaking the Silence", "Red Brick" and "The Remnants". Secondly we will focus on "Confession" and "The Plan".In 2017, Korean Political Documentary has two tendencies. One is the affection and the other is the thriller structure.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정치적 공간담론을 통해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 속 공간의 정치적 함의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1978년 중국 개혁 개방 이후 달라진 정치-경제적 양상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대표적 감독인 지아장커(贾樟柯)의 영화에 내포된 정치적 함의를 밝혀내고자 한다. 영화는 정치에 의해서 창작되고 정치적인 것은 영화를 통해서 구현된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 기능은 바로 영화적 공간(화면)을 통해서 실현된다. 따라서 지아장커의 영화적 공간의 정치적 함의에 대해 논리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정치적 공간’개념을 내세운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정치적 공간담론을 본 논문의 이론적 토대로 선정한다. 본 논문에서 르페브르가 논의하는 국가권력과 폭력으로서 ‘추상공간’과 정치-자본 이데올로기로서 ‘계획 공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 입각해 지아장커가 1998년부터 2018년까지 20년 동안 만들었던 12편의 장편의 영화에 내포된 정치적 함의를 밝혀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상공간의 측면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이 기념물과 상징물, 그리고 매체들을 통해서 재현된 국가권력과 폭력, 그리고 민중들에 대한 통제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계획 공간의 측면에서는 지아장커 감독이 영화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세계(世界)> (2004)에서 보여준 국가 계획 공간으로서의 싼샤댐(三峽大壩)과 세계공원(世界公園)에 드러난 폭력성과 억압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통해 지아장커의 영화적 공간에 대해 새로운 정치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In this paper, I seeks to shed light on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China's sixth-generation representative director Jia Zhang-ke, who coldly records the political-economic aspects that have changed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1978. Film is created by politics, and politics is realized through film. The political function of a film is realized through the cinematic space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logically discus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Jia Zhang-ke's cinematic space, Henri Lefebvre's political spatial discourse, who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political space’, is select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paper. Based on the two aspects of ‘abstract space’ as the state power and violence that Lefebvre discusses in this paper, and ‘planning space’ as a political-capital ideology, the 12 feature films that Jia Zhang-ke made over 20 years from 1998 to 2018 It reveale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film.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abstract space, director Jia Zhang-ke specifically analyzed the state power, violence, and control over the people reproduced through monuments, symbols, and media. In terms of planning space, director Jia Zhang-ke logically examined the violence and oppression revealed in the ‘Sanxia Dam(三峽大壩)’ and ‘World Park(世界公園)’ as national planning spaces shown in the films < Dong(東) >(2006), < Steel Life(三峽好人) >(2006) and < The World(世界) > (2004).

      • KCI등재후보

        청년 세대 영화의 정치적 상상력

        김선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It is said that South Korean films were the most political in the 1980s. The films and film criticisms made by the young generation had manifested the break with the previous South Korean cinema and constructed the discourse of cinema always related to people’s realities and struggle against oppression for a political revolution. The Night before the Strike (Paukgeonya, 1990) that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films by the young generation bringing out the turbulent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e young generation’s films of the 80s were called "non-institutional films", "independent films" or "non- commercial films" in terms of maintaining the resistance and responses opposed to commercial cinema. The independent cinema by the young generation's revolutionary waves of the 80s became a sort of an infrastructure of "Korean New Wave"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which has been considered progressive and unprecedented movements in the institutional and commercial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ilms of the new young generation of the ’90s and the 2000s, which emerged after the Korean New Wave led by the young generation that dominated Korean cinema in terms of the institution and industry since the 80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the new young generation's films and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political interpretations. Self-reflexivity as well as a sense of irony towards the society and the ’80s non-institutional films or Korean New Wave Cinema ar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young generation's films, such as My Generation(2003) or Milky Way Liberation Front(Eunha-habang-jeonseon, 2007). The new young generation tends to make u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its film genres treat the films of the ‘80s young generation as incomplete amateur and coarse films in terms of aesthetics and ideology. The films of the new young generation usually use self- reflexivity to express "ugly feelings" of individuals living in a post-capitalist society. It contemplates society as hyper-real and spectacular. As long as the new young generation does not fall victim to cynical irony and is not exhausted with the biased ideas of the former generation who just considered cinema to be a political weapon, the young generation's films today might be more political than ever. 한국영화가 가장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한 시기는 80년대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청년세대는 이전의 한국영화와 단절을 선언하면서 영화와 혁명과 민중을 함께 이야기했다. <파업전야>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청년세대 영화일 것이다. 청년세대의 문화는 ‘특정한 역사와 문화의 시기에 지배 문화에 대한 대응과 저항을 보여주는 특정 하위문화의 연령, 스타일, 그리고 행동’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시의 청년세대 영화는 지배적인 상업영화에 대한 저항과 대응을 한국영화 역사상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준 바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영화가 변방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던 90년대를 거쳐 주류 영화가 된 후 현재의 새로운 청년 세대의 영화가 등장한다. 본 논문은 독립영화에서 코리안 뉴 웨이브로 이어지는 과거의 청년 영화가 아니라 현재, 정확하게 2000년대 이후의 청년 세대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청년세대의 영화는 과거 80년대 청년 세대의 영화를 엄숙주의와 아마추어리즘으로 규정하고 단절하면서 동시에 기존 상업영화의 기술과 장르를 흡수하는 모순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모순적 움직임 속에서 청년 세대 영화는 이전과는 다른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민중과 혁명을 위한 청년 영화가 상상했던 ‘그 정치’가 아니라 사회와 영화 매체에 대한 ‘자의식성’을 바탕으로 한 아이러니한 영화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청년 세대는 영화를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사회적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 영화에서 영화라는 매체는 자본주의 아래에서의 인간의 ‘못난 감정’을 표현하는 기계 장치이다. 청년 세대 영화는 또한 이전의 정치적인 무기로 영화를 고려했던 청년 세대의 영화보다 훨씬 더 다층적이면서도 보다 자의식적인 미학을 통해 영화 매체를 난국에 처해있는 개인의 감정이 공적으로 보편화되는 접합의 장소에 놓고 있다. 과거 청년 세대가 보여줬던 정치적 영화에 대한 피로감을 드러내면서 냉소적 아이러니로 빠지거나, 현실과 장르간의 변증법적 관계에 놓인 장르영화가 아닌 현실을 과잉현실화한 장르영화에 매몰되지 않는다면 오늘날 젊은 감독들의 영화는 삶이 아닌 영화 미학을 정치적인 표현의 토대로 삼은 새로운 세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화와 ‘정치적 올바름’에 관한 논쟁 : <캡틴 마블>과 <어벤져스: 엔드게임>, <인어공주>를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이효민(Hyomi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2

        이 연구는 지난 2019년 화두가 되었던 디즈니 영화를 둘러싼 ‘정치적 올바름’ 논쟁을 살펴보고, 동시대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캡틴 마블>(2019), <어벤져스: 엔드 게임>(2019), <인어공주>(개봉 예정)에 대한 전문가 비평과 대중 반응을 함께 분석한 결과, 각각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찬성과 거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가 담론 속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문화예술 생산자들이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로 논의되었던 반면, 대중 담론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치부된다. 이때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는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 팬들에 대한 기만, 역차별 담론 등이 동원되었으며 그 논리적 귀결은 원작 근본주의와 예술 지상주의이다. 원작 근본주의 및 예술 지상주의는 문화 영역에서 촉발된 ‘정치적 올바름’ 논쟁이 반지성주의와 조우하게 되는 지점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정치적 올바름을 지지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정치적 올바름과 예술적 가치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양자 사이에 위계를 상정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치적 올바름이냐, 아니냐’ 또는 ‘도덕이냐, 예술이냐’와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일조하는 전문가 담론 역시 한계가 명백하다.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반격과 좌파들의 비판적 지지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른 방식의 사유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정치적 올바름이란 무엇인지, 대중 예술에서 정치적 올바름의 활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첨예하게 고민하고 성찰할 때라야 비로소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over Disney films that became a hot topic in 2019, and critically discusses the way ‘Political Correctness’ is imagin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pert criticism and public reactions to <Captain Marvel>(2019), <Avengers: Endgame>(2019), and <The Little Mermaid>(to be released), a certain difference was found in that each was mainly for and against Political Correctness. While ‘Political Correctness’ was discussed in expert discourse as a value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ducers must pursue, in public discourse, ‘Political Correctness’ was regarded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value of the film. At this point, anti-feminism, deception against fans, and counterdiscrimination discourse were used as the basis for justifying the criticism of Political Correctness, and the logical conclusion was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are also the points at which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sparked in the realm of culture comes into contact with ‘Anti-Intellectualism.’ This is not because they do not support Political Correctness, but because they reg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Aesthetic as incompatible and place a hierarchy between those. In this regard, experts’ discourse, which contributes to consumptive debates such as “Political Correctness or not” or “Ethics or Aesthetics” is also limited. With conservatives’ counterattacks tow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critical support from the Left at odds, we argue that we need to elicit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sharply considering and reflecting on what Political Correctness is and how it should be used in popular art.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 상업영화에서 나타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양극성: 영화교육의 관점에서

        류훈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2

        영화는 감독들이 세상을 향해 펼치는 창이다. 관객들은 감독이 열어둔 창문을 통해 외부 풍경을 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이념이다. 다시말해, 감독이 제공한 프레임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감독은 그 창을 만들어야 한다. 어디에, 어떻게, 어떤 모양으로, 어떤 색과 재료로,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이것이 감독이 수행해야하는가장 중요한 일이다. 한국 영화가 1990년대에 이르러 급속하게 산업화되면서, 감독들은 이전 시대와 달리 주제와 테마의 구속과 검열에서 해방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의 군사정권에 의해 표현의 자유가 철저히 억압되었고 이러한 탄압과 검열 시대가 종료되면서, 영화인들은 오랫동안 억압된 세계관을 자유롭게 펼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수많은 영화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색채를 드러내는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다른 나라 영화와 비교하여 한국 영화가 갖는 가장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의심의 여지가 없이 '좌우 이데올로기를 활용한 정치적 이념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사실일 것이다. 좌우이념 간의 날카로운 대립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다. 이 문화는 한국의 독특한 역사에서 비롯된것으로 보이며, 이는 영화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가끔은 감독의 세계관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가 단순히 2023년 말에 시작된 <서울의 봄> 증후군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다. 물론 2000년대 이전에도 반공 이념을 옹호하는 많은 영화가 있었지만, 직접적인 정부 개입이 없는 자유 시장 경제에서의 정치적 이념의 출현은 2000년대 이후의 영화산업화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역사적 사실을 중요하게 다루는 영화, 역사적 배경에 기반한가상의 인물을 다루는 영화, 역사적 인물을 다루는 영화, 현대 한국 사회를 정치적 시각에서 해석하는 영화 등을 중심으로, 2000년대 이후 개봉된 영화를 분석하여 그 이념의 특징과 함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영화를 교육하는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세계와 사회를 보는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Films are windows opened by directors to the world. Audiences see the landscape outside through the window in the direction and size the director has opened it. This is ideology. The frame provided by the director. Now the director has to create that window. Where, how, in what shape, with what colors and materials, how to make it. That is the director's biggest task. As Korean cinema industrialized rapidly in the 1990s, directors were liberated from the confines of subject matter and themes. With the end of the era of suppression and censorship that thoroughly oppressed freedom of expression under military regimes such as Park Chung-hee, Chun Doo-hwan, and Roh Tae-woo from the 1960s to the 1980s, filmmakers were able to freely unfold their worldview that had been suppressed for so long. Consequently, numerous filmmakers produced films revealing their political colors. If asked to name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cinem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t would undoubtedly be 'political ideology marketing.' The sharp confrontation between left and right ideologies still persists in Korean society. This culture, seemingly stemming from the unique history of Korea, is directly applied to films. Sometimes used as a tool to express the director's worldview and sometimes as a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for the success of a film, this culture didn't start with the syndrome that started at the end of 2023 with <12.12: THE DAY>. Of course, even before the 2000s, there were many films that championed anti-communist ideologies, but the emergence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free market economy without direct government interven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industrialization of cinema after the 2000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ypes of films showing political ideology by examining films released after the 2000s that deal prominently with historical facts, fictional characters against historical backgrounds, films featuring historical figures, and films interpreting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ose ideologies. Additionally, through this research, I aim to provide students with a perspective on viewing the world and society as a professor teaching film.

      • KCI등재

        기억, 풍경, 육체의 우화들 - 1960~70년대 ‘문예영화’의 몇몇 변곡점을 중심으로 -

        박현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It is the literary films (Munye Younghwa) that reveals the moment of encountering the cinematic and the literary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critical discourse of literary films, which was formulated through the 1960s and 1970s, and illuminates allegorical aesthetics of literary films as an aesthetics of politics in the process of Cold War urban modernization. Especially, underlining the critical framework that goes beyond the dichotomous set of narrative and image, the paper argues that the literary films articulate the notion of “film fable,” that is coined by Jacques Rancière. Literary films as the film fable ask crucial questions of how visuality and narrative work dialectically in order to present less the media-oriented meaning but the aesthetical politics particularly concerning the allegorical forms such as memory, landscape, and body. Even if the 1960s literary films and the 1970s literary films have their own start in different origins, different generations, and different discourse, the paper redistribute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way of presenting interiority and corporeality. The history of these allegorical fables is intertwined with the violent experience of the war, urban modernity, and industrialization. Focusing on the literary films in the 1960s and 1970s, including Kim Suyong’s Mist (1967), Lee Manhee’s The Road to Sampo (1975), and Kim Hosun’s Youngja’s Heyday (1975), the paper probes into the critical trajectory of allegorical fables regarding traumatic memories, interior landscape, and corporeal violence in rapidly modernizing postwar South Korea. 한국영화의 역사에서 ‘문예영화’는 문학적인 것과 영화적인 것이 조우하는 순간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는 형식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그 부흥기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문예영화들에서 문학과 영화의 절합이 만들어낸 새로운 비평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전후 도시근대화의 정치적 미학으로서 이 시기 문예영화들이 산포시킨 우화적 알레고리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과 영화의 이원론적 대립을 벗어나기 위한 비평적 프레임으로서 본 논문이 주목한 것은 다양한 감각을 실어 나르는 정치적 미학으로서 문학/영화의 결절점들이었다. 즉, 내용과 형식의 차원이 아니라 감각과 정치의 차원에서 두 매체가 서로 상호의존하고 교차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 것이다. 특히 ‘영화 우화’라는 개념을 통해서 문예영화가 어떻게 가시성과 서사성의 두 시학이 엇갈리게 구성하며 형성되는가 질문하고, 1960-70년대 한국의 문예영화가 드러내는 비평적 지평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매체특정성의 차원이 아니라 정치적 미학의 차원에서 문학과 영화의 관계를 재형상화하고 기억, 풍경과 육체라는 우화적 형식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1960년대의 문예영화와 1970년대의 문예영화가 다른 기원, 다른 세대, 다른 담론장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두 국면의 문예영화들을 예술적, 혹은 도덕적 기준에서 차별화하기보다는 ‘모랄 없는 우화들’로서 새롭게 재배치하고, 보이지 않는 연속성으로 형성된다고 본다. 20세기 한국 문화에서 정치적, 미학적 담론으로서 내면성과 육체가 출현하고 중첩되는 방식은 근대성의 경험(폭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마치 근대성의 경험이 사유와 형식을 요구한다고 했을 때, 시대적 국면마다 문학과 영화, 내면과 풍경, 이미지와 육체의 절합이 발생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김수용의 <안개>(1967)와 이만희의 <삼포로 가는 길>(1975), 김호선의 <영자의 전성시대>(1975)를 통해서, 내면적 풍경과 육체성의 알레고리들이 어떻게 한국전쟁의 트라우마적 기억에서 출발해 산업근대화 이데올로기의 음영으로 연결되는 우화적 형식으로 기능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ㆍ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김민수(KIM, Min-Soo),한화성(Han, Hwa-Sung),김건(Kim, G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2

        200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천만 관객 동원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성공에 힘입어 산업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의 소재로 남북한 분단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역사, 정치, 사회문제 등의 다양한 소재가 다루어지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도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영화산업의 외형적 규모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상업영화의 발전은 문화소비로서의 대중문화 속성과 다양한 대중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든 웰메이드(well made)영화 그리고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적 현상이 주원인일 것이다. 한국 대중영화가 영화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며 자연스럽게 미디어 매체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많은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대중영화의 파급력을 인지한 미디어 매체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사회․정치적으로 변화를 이끌기도 하지만 이데올로기의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왜냐하면 대중문화 연구와 관련된 이데올로기적 의미는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이거나 작가(예술가) 자신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언제나 세상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재현하거나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1990년대 말부터 한국영화가 대중영화로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요인과 계기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2000년대 들어서 더욱 빈번한 정치, 사회, 역사에 대한 수많은 담론들을 형성한 대중영화와 미디어 그리고 소셜 미디어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논의는 대중영화의 폭과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편향적인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사회․정치적인 영화보기나 읽기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자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the 2000s, Korean cinema maintained the industrial growth on the strength of 10 million audiences and the successful Korean blockbuster. A variety of film materials such as history, politics, social issues, and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deology were addressed in the movies, and one of the movies based on a true story was popular. Accordingly, external size of the film industry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Korean public movies have a firm position in the film market, and a diversity of discussion is made as the movies spontaneously get attention. Also,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nd media which recognized far-reaching powers of public films causes a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ut it also provokes ideology controversy.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first to discuss factors and initiating causes that Korean movies have firmly settled as public movies since late 1990s. Secondly, this study considers relation among media, social media. and Korean public film that aroused more arguments on politics, society, and history in 2000s. The powerful influence of films on society not only leads political change but also affects awareness change of audience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 봉준호 영화의 장르 연구: <살인의 추억>과 <괴물>을 중심으로

        김경욱 한국영화학회 2022 Vol.0 No.94

        2019 wa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Korean films have achieved remarkable industrial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and are widely known internationally. As the Korean film industry developed with Hollywood as a model, films influenced by the Hollywood genre wer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ox office success of Korean films. As a result, in the 2000s, most of the directors who were successful at the box offic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work were able to catch two rabbits by utilizing the genre. In this study, I try to examine Bong Joon-ho’s film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focusing on Memories of Murder(2003) and The Host(2006). Genre films tend to have conservative attributes as they aim to appeal to the public and succeed at the box office. In the case of detective films and monster films in which normal social order is disturbed by crimes or monsters, the protagonist eventually eliminates the cause of the problem. In this way, the threat of criminals and monsters, albeit temporary, is resolved in the end and society is restored to a normal state. However, the protagonists of Memories of Murder and The Host do not achieve their goals and end in failure. Although both films are genre films, they are skeptical about the restoration of social order. In addition, if the points that deviated from the convention of the genre are a symptom of the tex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2000s as well as the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way, Bong Joon-ho’s films reveal the reality of history through the signs of text under the cover of genre. This is the result of the transition from the unconscious to the conscious and from the implicit to the explici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necessity. If Frederick Jameson valued literature as the most important form of mediation in modern society, Bong Joon-ho’s film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as an mediating form that reveal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by using genres, Bong Joon-ho has secured ‘popularity’ so that audiences familiar with Hollywood films and foreign film officials can approach his films in a familiar wa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genre and the symptoms of the text,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Korean society from the 1980s to the 2000s was supported. Through the use of genre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Korean society, Bong Joon-Ho's films achieved great success in terms of box office success and evaluation of the work. In this way, it can be evaluated that it greatly contribu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ccess of Korean films in the 2000s. 2019년은 한국영화사 100주년의 해였다. 한국영화는 지난 20여 년간 산업적으로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할리우드를 모델로 한국영화 산업이 전개되면서, 한국영화 흥행의 중심에 할리우드 장르의 영향을 받은영화가 자리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00년대에는 흥행에도 성공하고 작품으로도평가를 받은 감독 대다수가 장르의 활용을 통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봉준호 영화를<살인의 추억>(2003)과 <괴물>(2006)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장르 영화는대중에게 어필해서 흥행에 성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보수적인 속성을 갖기마련이다. 범죄 또는 괴물에 의해 정상적인 사회질서가 교란되는 형사영화와 괴수영화 장르의 경우, 주인공은 결국 문제를 일으킨 원인을 제거한다. 그럼으로써범죄자와 괴물의 위협은 비록 일시적이라고 해도 결말에서는 해소되고 사회는정상 상태로 복원된다. 그러나 <살인의 추억>과 <괴물>의 주인공은 끝내 목표를이루지 못하고 실패하는 결말에 이른다. 두 편 모두 장르 영화인데도 불구하고사회질서의 복원에 회의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와 더불어 장르의 컨벤션에서벗어난 지점들이 텍스트의 징후라고 한다면, 권위주의 정권 시대의 한국사회 뿐만 아니라 200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봉준호 영화는 장르의 외피 아래 텍스트의 징후를 통해 역사의 실재를 드러낸다. 이것은 역사적 필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내포적인 것에서 명시적인 것으로 이행한 결과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이 문학을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매개 형식으로 중요시했다면, 봉준호 영화는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매개 형식으로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봉준호는 장르를 활용함으로써 할리우드 영화에 익숙한 관객들과 해외 영화관계자들이 그의 영화를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성’을 확보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르의 변형과 텍스트의 징후를 통해, 1980년대 이후200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 무의식을 담지해냈다. 장르의 활용과 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 봉준호 영화는 흥행 성공과 작품의 평가라는 대대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그럼으로써 2000년대 한국영화의 양적, 질적 성공에 크게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치적 올바름’ 주의와 변종 MCU의 탄생—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을 중심으로

        진성희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5 No.-

        This paper analyzes how the ‘political correctnism’, an issue of the recent popular art discourse, is reflected in films and considers how it is imagined between the subject producing culture and arts and the public, around the film Shang-Chi and the Legend of the Ten Rings(2021). An analysis on expert circles’ criticism about and Eastern and Western masses’ responses to the Shang-Chi by analyzing the formal aesthetics and narrative of it shows that the film’s discourse is largely formed based on the pros and cons on its pursuit of ‘political correctness’. Moreover,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the phenomenon that the subject creating the film devalues the film by carelessly pursuing the ‘political correctness’, in order not to defy the culture market’s trends. Shang-Chi, one of the MCU series produced by Marvel Studios, a giant culture company which has converted its product keynotes in sensitive response to the ‘political correctism’ for recent years, becomes the film of topical interest, in that it initially features an Asian hero. Marvel Studios, however, created what is called a Marvel variant which disrupts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MCU, as it cannot give up its stereotype toward Asia, in reorganizing the story about the new hero. Although North American audiences may perceive the specialty of Shang-Chi as a fresh factor, Eastern ones probably recognize that it deviates from MCU’s own characteristics. The political disposition of culture and art producers can be freely expressed. The unconditional pursuit of pluralism, however, is not a key to solving all issues. The objective for pursuing the diversity and extending plural awareness would be achieved, only if how the ‘political correctness’ should be used is more critically considered, under the cultural circumstance in which the Marvel hero creates a sensation, as he is from a ‘minority’ and the description of his history and background is still specially recognized. 이 글은 최근의 대중예술 담론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정치적 올바름’ 주의가 영화에 반영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문화예술을 생산하는 주체와 대중 사이 ‘정치적 올바름’ 주의가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지에 대해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2021)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에 <샹치>의 형식 미학과 서사를 분석함과 동시에 영화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비평과 동서양 관객들의 호응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영화의 ‘정치적 올바름’ 추구에 대한 찬반론을 중심으로 담론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더하여 영화 창작 주체 입장에서 문화시장의 트렌드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섣불리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해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현상에 대해서도 볼 수 있었다. <샹치>는 최근 몇 년간 ‘정치적 올바름’ 주의에 민감하게 반응해 제작 기조를 전향하고 있는 거대 문화 기업 마블 스튜디오의 MCU 시리즈 중 하나로 아시아인 영웅이 최초로 등장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된 영화다. 그런데 마블 스튜디오는 새로운 영웅의 스토리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를 향한 스테레오 타입을 여전히 버리지 못해 MCU의 유기성을 헤치는 소위 변종 마블을 탄생시켰다. 북미의 관객들에게 <샹치>의 특별함은 신선함으로 여겨졌으나 동양의 대중들에게는 MCU의 고유한 특성에서 벗어난 영화로 인식되었다. 문화예술 생산자의 정치성은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무조건적인 다원주의의 추구가 모든 쟁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아니다. 마블 시리즈의 영웅이 ‘마이너’ 출신이기에 화제를 낳고 그의 역사와 환경을 묘사한 것이 여전히 특수하게 인식되는 문화적 환경하에서 ‘정치적 올바름’의 추구는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더욱 첨예하게 고민할 때 비로소 다양성 추구와 다원적 의식 확산을 향한 목표는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 2010년대를 중심으로

        한송희(Songhee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연구는 2010년대 한국 재난영화의 등장 및 흥행을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간주하고 사회와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분석한 글이다. 최근에 일었던 한국 재난영화의 강세는 ‘글로벌 위험사회’가 핵심 키워드가 된 보편의 역사와 재난영화를 더 이상 오락적 대상으로 소비할 수 없는 한국의 특수한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겨난 문화현상이다. 또한 동시에 이들 영화는 스펙터클 이미지를 전면에 배치하고 할리우드 전통의 재난 관습을 따르면서도, 한국 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압축적으로 표상해 지정학적 특수성을 깊이 새기고 있는 징후적 텍스트다. 따라서 재난 서사의 흥행이라는 문화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재난영화를 동시대 한국 사회라는 역사적 지평 속에 위치시키고 그 재현체계를 맥락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2010년대에 개봉한 일곱 편의 한국 재난영화-<연가시>(2012), <타워>(2012), <더 테러 라이브>(2013), <감기>(2013), <부산행>(2016), <터널>(2016), <판도라>(2016) 등-를 알레고리적으로 독해하고 이들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을 탐구한다. 한국 재난영화는 여러 종류의 유토피아적 충동을 드러냄으로써 다양한 논의를 이끌 수 있는 정치적 무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이런 소원 충족적 판타지는 텍스트의 억압에 의해 표면에 드러나지 못한 채 단지 무의식의 형태로서만 존재할 뿐이며 이를 비판의식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개입해 적극적으로 해석할 관객의 존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한국 재난영화가 시대적·사회적 상흔을 새기고 있는 문화 텍스트로 간주되어 다층적인 해석이 활발히 이루어질 때 새로운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earance and success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analyzed them in close relation to society. The popularity of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2010s is a cultural phenomenon aris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global context in which the ‘Global Risk Society’ has become a keyword in terms of Liquid Modernity and late capitalism, and of the specific local condition that can no longer consume disaster movies as entertainment. Also these films are a symptomatic text that place the spectacle images at the front and follows the style of Hollywood’s Disaster films, and are engraved with the geopolitical specificity by presenting a reality of Korean society compressively at the same time.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disaster themes’ hit, we need to take places Korean Disaster Films in the historical horizon of recent Korean society and reconstructs the representation systems contextually.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study analyzes seven disaster films released in the 2010sᐨDeranged(2012), Tower(2012), The Terror Live(2013), The Flu(2013), Train to Busan(2016), Tunnel(2016), Pandora(2016)ᐨallegorically and then explore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se films. Korean Disaster Films have ‘the Political Unconscious’ that can lead to various discussions by revealing different kinds of utopian impulses. However, such wishᐨfulfilling fantasies exist only as a form of unconscious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urface by the suppression of the text. Therefore to transform it into criticism by drawing it out to the surface,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to intervene in the text and interpret it actively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ultimately suggest that new discussion can be initiated only when Korean disaster films are regarded as a cultural text that engraved with historical and social scars and a multiᐨlayered interpretation is a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