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탈/국가의 영화적 공간 -<민족과 운명>, <무산일기>, <두만강>을 중심으로
김선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현대영화연구 Vol.8 No.2
This essay compares North Korean cinema’s 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nation-state with the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 in other transnational cinemas such as South Korean refugee and Korean Chinese (Chosun-jok) films. North Korea is an ethnocentric country whose slogan is “Our Nation, the First (Uri Minjok Jeiljuyui)” and that refuses transnational capitalism as well as post-communism, unlike Russia or China. However those who have been repressed by the idea of ethnicity,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for the ethnocentric nation, return from outside of North Korea to interrupt ethnic sentiment. They appear here and there in various films such as Korean Chinese cinema, North Korean refugee cinema, and Korean Japanese cinema. Here, what is important is the gaze of the outsider. This parallax view offers semantic value to the cinematic imagery that circulates around the nation called North Korea. This viewpoint neglected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 offers one possible approach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North and South Korean cinema. For this purpose, we need to explore the specificities of North Korean films, which distinguish them as ‘North Korean’cinema. We need to examine the national ideology pervading the North Korean film ar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deology and aesthetics. Such a visual topography of nation-state in North Korean cinema is the substructure for post and anti-national cinemas of minorities derived from and scattered by that topography itself. Following this discussion, I will develop the analog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inematic frame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North Korea through two key film examples; The Journal of Moosan, The Dooman River. The movement into the nation-state and deviation out of it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rhetoric of ‘on screen’ and ‘off screen.’
융복합교육에서 미술의 역할과 특성: 교사 FGI를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1
In consideration of a range of existing discourses in regard to convergence educa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that would distinguish art in relation with other subject matter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wa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art as the thinking tool that could assist creativity and imaginative learning. To connect the conceptual discussion with the field, Focus Group Interviews that consiste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As the result, the theme of ‘visual tool’ and ‘chain link’ was generated. The result manifested that the teachers’ description of what they would expect from art in convergence education reflected the creative thinking tools that various literature had proposed.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language that could facilitate the discussions between art teachers and teachers of other subject matter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lay the ground in which art could be used a valuable thinking tool in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in schools. 본 연구는 다양한 융합의 담론 속에서 타 교과와의 관계 속에서 구별되는 미술의 역할과 특성을 중심으로 융복합 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역할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과상상력의 학습을 돕는 사고의 도구로서 미술의 특성을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이 교사들의 경험과 언어 속에서 어떻게 서술되고 사용되는가를 파악하기위하여 융복합교육에 경험이 있는 초·중등 교사로 구성된 집단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융복합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로 시각적 사고와 연결 고리라는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는 창의적 사고 도구로서 미술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융복합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상이한 교과교사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미술에 관한 이해와 언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현장에서 실행됨에 있어 미술이 보다 가치 있는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디자인 교육의 의미와 핵심 개념 탐색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3
In order to generate positive synergy in collaborative relation between artsubject and arts education for schools, there should be the extended research onthe pedagogy of each art genre from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starts with the acknowledgment of the importance of providing in-depth aestheticexperience in schools by developing the domai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andmethods of different ar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design education, which isclosely intertwined with art subje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actice ofdesign education,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schools. In consideration ofthe National Art Curriculum,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at differs fromthe design units included in art textbooks is searc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literatures 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literature review, the model of design educ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proposed so as to provide the framework that artist teachers can use in developingtheir own design program in schools. 미술교과와 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있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이라는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각 분야의 예술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이 각 해당 장르의 특성에 기초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안에서 교과 교육과 차별화되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미적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 교과와 관련성이 깊은 디자인 분야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미술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디자인 교육의 범위와 내용을 고려하여 디자이너로서 예술강사가 이와 차별화된 디자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맥락에 대한 다양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학교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그램의 핵심 개념과 디자인 수업의 필수학습요소를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7
Since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officially announced, the social need for self-directed learning has increased. It also has expanded the significance of interpreting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and of developing the practical methods for implementa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prima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it sheded light on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be student and the teacher. In addition, the art educational meanings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constructed in association with the shifted meaning of ‘learner’ i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conceptualization was to open the avenue for placing the student at the center of meaning making and cultural participa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3 principl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content design; multi-layered scaffolding in instructional design; the focus on meta cognition in assess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the conceptual ground on which the strategies and methods for self-directed learning would be developed in art education.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 후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교과의 맥락에서 해석하고 적절하게 구현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자기주도학습의 특징과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에 국한되지 않은 학습자-교사 간의 상호작용적, 관계적 시각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의 핵심적 논의를 미술 교과의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구성주의의 개념에 기초하여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원리를 탐색하고, 전통적인 아동중심의 학습자관을 학습자 중심, 즉 사고하고 참여하는 문화적 주체로 전환할 수 있는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최근 미술교육의 담론에 기초하여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원리를 통합적 내용구성, 다면적 스캐폴딩 제공, 그리고 메타인지 강조의 3가지로 제안하였다. 이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미술 수업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평가를 조직하기 위한 원리로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의 주도성을 강조하는 최근의 교육적 요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을 수업에서 구현하여야 하는 교사나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하는 연구자 모두에게 도전과 기회를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수업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구조를 고안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 연구와 수업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융복합 교육을 위한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문화 다양성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4
This study starts on the premise that convergence education aims at creative knowledge form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Additionally, the emphasis is given 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as curriculum designer and meaning maker. In this regard,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and developing curriculum through an art teacher’s stories by focusing on narrative inqui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of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the concepts of narrative thinking and curriculum design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s, the cultural diversity unit of a high school art teacher is represented as a case study of narrative curriculum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attempt to propose a concrete process of narrative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narrative inquiry. 본 연구는 미술 교사가 의미 있는 융복합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융복합 교육의 지향점이 교사와 학생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학생들의 주도적인 참여에 기초한 창의적 지식 창출이라면, 교사가 수업상황과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구성의 이론적 틀로서 내러티브 탐구에 주목하여, 융복합 교육과 접목함으로써 미술 교사가 자신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개념과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융복합 교육의 맥락에서 내러티브적 사고와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위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의 개념과 요소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미술 교사의 문화 다양성 수업을 융복합 교육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하나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융복합 교육과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적 토대 위에서 실제적인 교육과정 재구성의 과정들을 조명함으로써,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회통합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저소득층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0
Due to global migration, cultural, racial, religious, and economic differences have become fundamental elements of a society.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based on the diversity rather than the cohesiveness of the same group has become a challenge for most societi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for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expects actual change in various minority groups by being provided not only at the poli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but also at the private and local level.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rt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which is deepened by the social polariza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nflict due to differences in our society can not be overlooked. To this end, this study conceptualize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s an alternative to respect for individual cultural diversity and pursue democratic social change.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purported to draw on the meaning of the artistically gifted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The research problems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ditions and approaches of social integration required in the present age? Second, how can integrated art education be conceptualized?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that can be embodied through the artistically gifted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gration in situational and contextual perspect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at it conceptualized the discussion of social integration in art education and elaborate its concepts by linking theory and practice. 지구촌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이제 문화적,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 차이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되었다. 즉 동일 집단으로서의 결속력이 아닌 다양성을 전제로 한 공동체의 형성이 대부분의 사회에 던져진 당면 과제가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법제적, 제도적 측면에서 다루어짐과 동시에 민간 및 지역 단위에서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소수 집단에서 실제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외부에 서 유입되는 문화적 배경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차이로 인한 갈등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회양극화로 인해 심화되는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미술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인의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민주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사회통합 미술교육을 개념화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저소 득층을 대상으로 한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의미를 조명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시대에 요구되는 사회통합의 조건과 접근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사회통합 미술교육은 어떻게 개념화될 수 있는가? 셋째, 저소득층 대상 미술교육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사회통합 미술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에 대한 이론적 담론을 시작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제안하고자 하는 미술교육의 개념이 ‘지금 여기’의 실행에 관한 어떤 설명력을 가지는지를 함께 논의하였다. 저소득층 대상 미술영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상황적, 맥락적 관점 에서 사회통합의 실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사회통합의 논의를 미술교육 안에서 재개념화 하고 이론과 실제의 연결을 통해 그 개념을 상세화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교과서는 수업을 돕는 교재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이 온 힘을 다해 암기하는 지식의 총체이기도 하다. 미술교사는 교과서를 가르치지는 않을지라도, 교과서를 통하여 구체화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자신의 교육 목표를 비교하여 점검하는 데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교과서는 보편적인 진리와 확실한 사실만을 담은 확고부동한것이 아닌, 이를 검정하고 교육과정을 제정하는 국가의 요구와, 교실 현장에서 해석하고 사용하는 교사의 시각, 그리고 교과서를 통하여 교과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게 되는 학습자의 시각들이 여러 가지 수준에서 작용하는, 하나의 문화적 산물이자 상징물이다. 이처럼 교과서는 다양한 기능과 다면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어느 방향에서 교과서를 논의하느냐에 따라 그 결론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를 지식 전달이나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도구적 관점에서 전환하여, 사회ㆍ문화적 시각에서 교과서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맥락적 시각에서 교과서를 바라보는 것은 이를 통하여 지식이 어떤 의미를 지니며, 교과서가 사회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사회와 문화의 어떠한 변화를 반영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In this study textbooks are dealt not as the transmitter of objective truth or indisputable facts, but as a cultural entity or symbol through which multi-faceted perspectives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textbook conveys the needs of the nation, which develop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uthorizes textbooks;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who interpret the textbook also shape the actual content of textbooks; and the students draw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ubject as they study the textbook. For the analysis of textbooks, the conceptual background was drawn in association with critical theory and multiculturalism. By examining three aspects that affect the content of art textbooks, such as National Art Curriculum, Arts and Culture Education movement, and the notion of tradition, this study seeks a way of viewing the textbook as a channel of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s a guide for constructing students' art experienc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nd various social? cultural changes, and reviews literature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critical and reflective discourses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extbooks in society should precede the microscopic improvement of art textbooks and art education.
패션브랜드 신뢰가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인지정도의 조절효과
김선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A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fashion brands and loyalty behavio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brand tru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rand recognition. The subjects surveyed were consumers that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clothing goods and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5th 2020 to July 30th 2020. As a result, the data from 288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The trust for fashion brands were classified into expertise, favorableness and honesty.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ti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loyalty behavior while the favorableness displayed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in financial loyalty behavior and social loyalty behavior. Additionally, honesty did not show any influenti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ulation effects of brand trust, it was found that expertise and honesty appeared to display control ac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yalty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effective direction to stably construct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through trust in fashion brands within this rapidly changing and competitive environment.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충성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브랜드 인지 정도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의류제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이며, 2020년 7월 15일부터 2020년 7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88부의 응답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1.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패션 브랜드 신뢰는 전문성, 호의성, 정직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문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직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과 사회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영향 관계를 보였다. 호의성은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않았다. 브랜드 인지 정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해 본결과 전문성과 정직성은 사회적 충성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패션 브랜드에대한 신뢰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술과 초임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개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0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scribe and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by the in-depth analysis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that a novice art teacher had experienced through the first year of teaching. Using the methods of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process of PCK development as well as on finding art teaching competency, which would emerge from the actual interaction with the school context and students. In order to look closely at novice teacher’s experiences in school, data collection had been conducted over 2 yea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document analysis. As the result, the novice teacher’s narrative on the first year’s adjustment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3 dimensional space of narrative. Three dimensions us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participant’s PCK development consisted of time, place, and interaction. These factors, involved in the novice teacher’s experience of learning to teach, would have implications on art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shed light on teacher’s actual experiences and voice. 본 연구는 미술과 초임교사가 교직생활을 시작하면서 경험하는 교사발달 과정을 내용교수지식(PCK)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서술하고 분석하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교육과정 및 교사 연구에 있어 내러티브 탐구 이론을 고찰하고,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교사의 경험과 실천적 지식에 초점을 두는 미술과 PCK의 개념과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임교사 1인과의 심층인터뷰, 수업관찰, 문서자료 수집 등을 실시하고,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의 개념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시간, 장소, 상호작용의 세 가지 차원에서 초임교사의 내러티브를 재구성하고 학교 현장에서 미술교사가 PCK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서술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임교사의경험과 목소리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미술교육의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실제적인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