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이재명 한국상담평가학회 2009 상담평가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설명력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적응상담을 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05명과 여학생 252명, 총 457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정서표현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못하고, 정서표현갈등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갈등,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갈등 중에는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일반적인 효능감이 낮은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설명력을 살펴보면, 일반적 효능감, 긍정적 정서표현갈등, 사회적 효능감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를 잘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보다는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부족한 학생이 대학생활을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 및 정서표현갈등간의 관계

        조수경 西江大學校 學生生活相談硏究所 2009 人間理解 Vol.30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정서표현갈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고등학생 303명과 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정서표현갈등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고·저 집단에 따라 정서표현갈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정서표현갈등은 높았다. 둘째, 대학생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 고·저 집단에 따라 정서표현갈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높을수록 정서표현갈등은 낮았다. 셋째, 대학 3, 4학년에서 정서표현갈등에 대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친구 지지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이더라도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높으면 정서표현갈등을 덜 일으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의 발달 심리적 관점에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ocial suppor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levels in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condly, a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s in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irdly, as for the third year and fourth year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friends' support ov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hile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dysfunctional,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could be low if perceived social support would be high.

      • KCI등재

        의사소통유형과 정서조절방략이 정서표현갈등에 미치는 영향

        김옥경,황경열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의사소통 유형이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로 정서표현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8세 이상의 남, 여 4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5.0과 AMOS 7.0을 활용 다중회귀분석, 경로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유형 중 회유형, 비난형, 일치형의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회유형과 일치형수준이 높을수록 재해석 조절방략을 매개로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사소통유형과 정서표현갈등에 대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결과를 통해, 의사소통유형과 정서표현갈등을 매개하는 정서조절방략들로는 부정적 정서의 표현갈등에는 ‘인식과 이해’와 ‘재해석’ 방략이었으며, 긍정적 정서의 표현갈등에는 ‘회피분산’과 ‘능동대처’ 방략이 매개하였다. 의사소통유형이 정서표현갈등에 대부분의 영향을 직ㆍ간접적으로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사소통유형이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로 하여 정서표현갈등 대부분에 영향을 직ㆍ간접적으로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본 연구가 지닌 한계점을 고려하여 이해되어야 하며, 후속적인 제언이 논의되었다. Communication types had direct effects 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as the levels of conciliation, criticism, and agreement grew, while having indirect effects 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as the levels of conciliation and agreement grew by the medium of reinterpretation regulation strategy. From the results of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communication type and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ing communication type and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included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ation” as expression conflict of negative emotion, and “avoidant distraction” and “active coping” as expression conflict of positive emotion. However, the mediation effects of such parameters were relatively lower, and communication type had mostl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to complement the results.

      • KCI등재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 정서표현억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권민혜(Kwon, Minhye),이지연(Lee, Jeeyon),김혜원(Kim, Hyewe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6 university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eater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maladaptive conflict coping. In addition,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were related to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did not necessarily lead to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Rather,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led to university students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in turn predicted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ovid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과 현재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1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많이 보였고, 정서표현억제를 많이 할수록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사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대인관계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이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높이고,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보일수록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구조와 기능

        최해연,민경환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on inhibition of emotional expression. In preliminary study, we developed 15 items scale by cont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rm 2 factor structure; ‘Instrumental- conventional beliefs’ and ‘emotive-relational beliefs’. It not only includes beliefs former theoretical results cover- self protective, prosocial beliefs, but also beliefs like power-work oriented, conventional impress managing beliefs. the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al expression significantly explained ambivalenc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low expressiveness together with low emotional awareness. it also show significant co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t means that the scale is reliable and valid and c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Belief on Emotional Expression could be antecedent that make ambivalence and suppression on expression, active supersession could affect emotional adaptiveness. 본 연구는 정서표현의 억제를 동기화하는 내적 기제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이 작용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서표현의 결과나 기능을 어떻게 표상하는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15문항을 최종 선별하여 2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정서표현의 신념 척도는 ‘도구-관습적 신념’과 ‘정서-관계적 신념’의 2요인 구조로,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자기보호와 친사회성 관련 신념 외에 파워나 인상 유지와 관련된 넓은 범위의 도구적이고 관습적인 신념들을 포함하였다. 상관 및 회귀 분석 결과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 높은 정서표현갈등, 낮은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우울과 불안의 적응지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낮은 표현성 자체가 병리적인 것이 아니라, 정서에 대한 부정적 신념이 선행요인으로 작용하여 정서표현의 갈등이나 억제를 유발하고 부적응 지표와 연결됨을 설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의 방향 및 척도의 보완점들은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 KCI등재

        여고생의 정서표현 갈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윤희옥,이인숙,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shame on their loneliness, which has a huge influence on their psychological maladap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 total of 705 girls'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hame, and lonelines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Shame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In short, it is apparent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can have noticeable indirect effects upon loneliness via shame in addition to direct effects. This suggests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to help girls' high school students deal with interpersonal loneliness. Also this results could suggest to understand their individu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nal sham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loneliness. Such counseling interventions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potential combined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shame on their lonelines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정서표현 갈등과 외로움, 그리고 수치심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표현 갈등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외로움으로 부적응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여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관분석에서 정서표현 갈등과 수치심 하위변인은 중간정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표현 갈등과 외로움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는 정서표현 갈등과 친밀감 부족이 중간 정도의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사회적 관계 지지망 부족과 소속감 부족과는 낮은 정도의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모형검증 과정에서 수치심은 정서표현 갈등과 외로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표현 갈등은 외로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수치심을 통해 외로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는 청소년의 외로움을 심화시키는 심리내적 변인으로서 정서표현 갈등과 수치심에 주목하여, 외로움을 더욱 더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의 확장을 모색하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오충광,정남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1

        A trustworthy counseling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an effective counseling progression and counseling goal achiev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unselor perception on working alliance. Objects of this study were clients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counseling centers for adolescents and private counseling institutes. Clients were asked to answer a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 counselor perception questionnaire and a working alliance questionnaire. Total 97 cas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analysed by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ing alliance. However, counselor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ing alliance. That is, the more positively counselors were perceived, the better working alliance was. Effects of counselor perception's sub-factors on working alliance were also found; attractive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ing alliance but trustworthiness and expertness were not. An interact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unselor perception on working alliance was also significant. As for those clients who were high a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orking alliance was increased in case they had positive counselor perception. In conclusion, it is not personality factors but that counselor perception that makes the difference in working alliance. 본 연구는 개인적 어려움과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정서 표현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들이 상담장면에서 보이는 모습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청소년상담실, 사설 상담 기관에서 상담을 받고 있는 97명의 내담자들이였고, 측정도구는 정서표현갈등 질문지, 상담자 평가 질문지, 작업동맹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갈등은 작업동맹과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상담자 지각은 작업동맹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상담자 지각이 긍정적일수록 작업동맹이 더 잘 형성되었다. 상담자 지각의 하위요인들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호감도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고, 전문성은 유의미한 경향성이 있었으나, 신뢰성은 관련이 없었다. 작업동맹에 대한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정서표현갈등이 높은 내담자는 상담자 지각이 긍정적인 경우에 작업동맹이 더 잘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표현갈등이라는 성격적 요인보다는 상담자를 어떻게 지각하느냐가 작업동맹과 관련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하창순(Ha, Chang-soon),박주하(Park, Ju-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정서표현갈등이 한국문화의 맥락에서는 다른 의미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갈등의 동기에 따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년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갈등 척도(AEQ-K),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주관적 안녕감 척도인 생활만족도 척도(SWLS)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반면, 정서표현갈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갈등을 한국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기 위해 정서표현갈등의 동기에 따른 하위 요인들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ing. To achieve this, a survey of 592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AEQ-K), the standards of social evasion and uneasiness(SADS), and the living satisfaction standards (SWLS), which is th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Data a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ttentive interrelationship amo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personal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interrelationship showed a slight decline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results verify a parametric effect of interpersonal anxiety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ubordinate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To look into Korean emotional ambivalence in a cultural context, interpersonal anxiety self-defense ambivalence and well-being indicates a partial- parameter, and interpersonal anxiety relation-involvement ambivalence and well-being indicates a complete-parameter.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ossible follow-up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개별성-관계성과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의 관계에서 공적자의식의 매개효과

        이시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개별성-관계성과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의 관계에 대한 공적자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개별성-관계성이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37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김동직과 한성열(1998)이 개발한 개별성-관계성 척도, Fenigstein, Scheier, 그리고 Buss(1975)가 개발한 자의식 척도(Self-Consciousness Scale: SCS), King과 Emmons(1990)의 정서표현갈등 질문지(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성은 남녀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공적자의식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성은 남학생 집단에서는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대하여 공적자의식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이 나타난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에 대하여 직접효과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학생 내담자들의 부정적 정서표현갈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conflicts in expressing negative emotion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among them. For this study, 374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three measures were employed: (a) individuality - relatedness scale, (b) self-consciousness scale, and (c)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Individuality influenced directly the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directly through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in both gender groups. Whereas the relatedness only influenced indirectly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rough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in the male, relatedness influenced directly ambivalence o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female group. We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college students having problems of conflicts in expressing negative 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