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담자 평가의 과제와 방향

        임성택 한국상담평가학회 2008 상담평가연구 Vol.1 No.2

        이 논문은 상담의 효과와 관련된 상담자의 특성들을 탐색할 목적에서 기술되었다. 효과적인 상담자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예일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사회인지이론이 검토되었다. 예일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통하여 내담자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상담자의 특성으로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뢰성, 매력성 요인 고려되었고, 사회인지이론을 통하여 상담자의 효과적 특성요인으로서 상담자효능감이 고려되었다. 이러한 상담자의 특성요인들이 상담의 효과를 제고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내용 분석

        문수원,이봉은,천성문 한국상담평가학회 2013 상담평가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과정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였고, 최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활동들의 내용과 활용빈도를 확인함으로써 추후 다양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형식적 분석을 하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 하는 것이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을 포함한 5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요약정리를 통해 분석의 기초인 활동의 범주를 설정하였고 나머지 프로그램을 모두 목표에 따라 요약 정리하여 결정된 활동의 수는 83개이다. 결정된 활동을 선행연구의 범주를 참고하여 14개의 하위범주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를 구성요소 5가지(도입,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마무리)에 따라 분류하여 각 요소에 따른 활용빈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2003년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가 차츰 하락세를 보이며 연구의 수도 줄어들고 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기수용, 자기이해, 마무리, 도입, 자기개방 순서로 비중을 두고 활용되고 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 중에서는 도입에서는 자기소개하기, 자기이해에서는 나는 누구인가. 자기수용에서는 가치관 경매와 장단점 알기, 자기개방에서는 자신의 가장 큰 고민거리, 마무리에서는 소감나누기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지속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미 한국상담평가학회 2009 상담평가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의 탈락률을 최소화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개인적인 배경적 특성 중 연령, 교육정도, 종교, 가족의 지지도과 자아존중감에 따라 상담봉사활동 지속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춘천시 교육청과 강원도 교육과학연구원 소속 학생상담자원봉사자 143명이었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배경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와 자아존중감검사를 실시하여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지속성 관련요인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력이 높을수록 주당 봉사활동 시간은 증가하는 경향성은 있었으나 적극성은 비슷했으며 만족도는 낮았고 학력이 낮은 봉사자들은 적극적인 활동성을 통해 만족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지속기간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종교에 따른 봉사활동 지속성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성이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의 선정․교육의 과정에서 봉사자들의 배경적 특성이나 자아존중감 수준의 차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의지를 높여주는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것을 통해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봉사활동을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안을 하였다.

      •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 한권

        주동범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2

        최근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편승하여 평가의 개념, 평가의 이론, 평가의 방법 등에 대한 많은 문헌이 출판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평가를 시행하는 평가자에 대한 문헌은 많은 편이 아니다. 평가에서 평가의 다양한 기법도 중요하지만 평가를 시행하는 평가자의 능력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평가자에 따라 평가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가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는 것 또한 매우 귀중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출판된 하나의 서적은 평가자를 이해하고 평가자의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그 서적은 Darlene Russ-Eft, Marcie J. Bober, Lleana de la Teja, Marguerite J. Foxon, and Tiffany A. Koszalka에 의해 2008년 Jossey-Bass 출판사에 출판된 “Evaluator Competencies: Standards for the Practice of Evaluation in Organizations"라는 책이 다.

      • 평생교육사의 네트워크 과업 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

        조정현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현장에 종사하는 평생교육사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네트워크과업 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전국의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평생교육사를 대상으로 On-line 및 Off-line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25부의 유효 부수로 SPSSWIN(version1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Scheffe-test를 통해 차이가 있는 집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목적은 정보수집과 성공적인 사업 수행이 가장 많았고, 상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소속기관 내 직원들과 가장 많은 네트워크 활동을 하였다. 네트워크 갈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친숙하지 않은 상대방과 네트워크 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왔다. 둘째, 네트워크 수행능력을 활발히 하는 사람은 동료와의 관계가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부분에서 각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하며, 이것은 네트워크과업 수행능력이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에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평생교육 기관이 지역평생교육의 거점으로 효율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자질과 역량을 가진 사람이 평생교육 업무를 담당해야 하며, 평생교육사의 네트워크 과업 직무를 체계화하고 전문화하여 평생교육사들이 만족스럽게 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중학교 여학생의 대인갈등 대처 양식에 미치는 효과

        신봉호 한국상담평가학회 2008 상담평가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대인갈등 대처 양식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실시할 수 있는 이론적 뒷받침을 마련하고 동시에 가족관계 및 교우관계 등에서 심한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갈등 대처를 도와주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의 의사소통 훈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받은 학생들은 대인갈등 대처양식에서 강요 정도와 회피 정도가 감소할 것이며, 순응 정도와 타협 정도 및 협력 정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양시에 소재한 K여자중학교 3학년 한 학급 3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90분씩 8주간 8회의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Thomas와 Kilmann이 제작한 측정도구로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t검증을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은 대인갈등 대처방식의 강요 정도와 회피 정도를 줄이는 효과와 협력 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순응 정도와 타협 정도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인갈등을 많이 겪게 되는 중학생들에게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여 부모, 교사, 친구 등과의 갈등을 줄이고 관계를 원만히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현재 겪고 있는 대인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삶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돕는 것으로서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리더십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정의숙,조붕환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M초등학교의 3학년이며,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사전검사 결과가 동질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5주간 총 10회기의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만 실시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인 학습능력, 의사결정, 집단활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성취동기의 하위영역인 과업지향성, 자신감, 미래지향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에게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이재명 한국상담평가학회 2009 상담평가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설명력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적응상담을 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05명과 여학생 252명, 총 457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정서표현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못하고, 정서표현갈등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갈등,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갈등 중에는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일반적인 효능감이 낮은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설명력을 살펴보면, 일반적 효능감, 긍정적 정서표현갈등, 사회적 효능감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를 잘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보다는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부족한 학생이 대학생활을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