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케팅수단으로서의 캐릭터가 갖는 속성 요인과 소비자 선호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오동욱,최인혁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9 No.1

        This study classifies the factors related to the major attributes of character and the level of consumers' involvement in the character and considers the major attributes of character in an exploratory way, as the character affects the consumer pre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sumers' involvement in it which is getting increasing important recently as a way of powerful communication for companies and services to reinforce the familiarity, overall personality, identity, and memory.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major attributes of character on the consumer preference indicates that two factors like the visual uniqueness factor and emotional sympathy factor which belonged to the major attributes of character affected the consumer preference, and the emotional sympathy factor had a greater effect on the preference of customer for character. The effect of inter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volvement was analyzed to validate whether the major attribute of character had different effect on the consumer pre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involvement in the character. It turned out that emotional sympathy factor, emotional involvement and interaction of perceptional involve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 preference, which implies the effect on the consumer preferenc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emotional involvement.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이나 서비스에 대한 친근감, 정체성 정립, 기억력을 높이는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캐릭터의 주요속성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주요속성과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여차원 요인들을 유형화하고, 캐릭터에 대한 관여차원별로 소비자의 선호도에 미치는 주요속성의 영향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연구 결과, 캐릭터의 주요속성 요인은 시각적 독창성 요인, 정서적 공감성 요인 등 2개의 요인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주요속성 요인이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한 결과, 시각적 독창성 요인, 정서적 공감성 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정서적 공감성 요인이 소비자의 캐릭터 선호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캐릭터 관여차원(정서적 관여, 인지적 관여)에 따라 캐릭터의 주요속성이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를 검증하기 위해 관여차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공감성 요인과 정서적 관여 및 인지적 관여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 관여가 높은 경우에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짐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중등 체육수업 관여의 구성요인 및 측정구조 탐색

        이준호(Junho Lee),성창훈(Changhoon Seong),우명식(Myongsik Woo),서민석(Minsuk Se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학습관여 이론을 기반으로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관여 특성과 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체육수업 관여를 측정할 수 있는 최적 모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587명이 개방형 설문과 구조적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설문을 통해 625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정서적 관여, 인지적 관여, 행동적 관여, 주도적 관여로 수렴되는 23개의 주제 영역이 발견되었다. 이어서 체육수업 관여를 측정할 수 있는 64문항의 예비척도를 제작하였으며, 일련의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체육수업 관여의 최적 측정 구조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체육수업 관여는 상대적으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관여의 3요인 12문항 구조가 모형 적합도 수치가 높았으나 주도적 관여를 포함하는 4요인 16문항 구조 또한 타당한 측정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4요인 16문항 구조는 측정동일성 검증을 통해 성별과 학교급(중,고)에 관계없이 활용할 수 있는 타당한 구조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 관여의 측정이 갖는 의의와 후속 연구의 방향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an optimal model for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PE) through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udent engagement in PE class situation based on the theory of learning. To this end, 587 secondary(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participated in open and structural surveys.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conducted on 625 pieces of source material collected from the open survey identified 23 subject areas converging on 4 factors of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proactive engagement. Based on the open survey results and pilot study scales on leaner engagement, preliminary scales with 64 questions were constructed to measure student engagement in PE. A serie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es were then conducted to verify optimal measurement structure for student engagement in PE.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 engagement had relatively high model acceptance for 3 factor 12 question structure of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However, through a measurement invariance test, the 4 factor 16 question structure that includes proactive engagement in addition was also identified as a valid measurement structure of utility regardless of gender and (middle or high school) grade. The results were then further discussed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PE, and also in the aspect of follow-up research.

      •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조직 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 변수간의 관계

        김원형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4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몰입이 어떠한 선행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지와 직무 관여, 수행, 이직 의도와 같은 조직 결과 변수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인과 모형을 고찰함으로서 조직 몰입의 세 성분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몰입의 선행 변수와 결과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대기업 사원1420 명을 대상으로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직무 만족, 동료 만족, 직무 도전성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둘 다에 영향을 미치고있었으며 임금 만족, 상사만족, 절차 공정성은 정서적 몰입에, 인력 개발 효용성은 규범적 몰입에 독자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타산적 몰입에는 임금 만족만이 정적 영향력을 가진 반면 직무 만족, 동료 만족, 직무 도전성, 절차 공정성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직무 관여와 수행에는 정적 영향력을 가진 반면 타산적 몰입은 직무 관여와 수행 모두에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예언대로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반면 타산적 몰입에 이직 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경영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에서 제시했다.

      • KCI등재

        정서적 이슈와 디지털 액티비즘 연구: 이슈 관여와 유발 경로를 중심으로

        이준희,차희원 한국광고학회 2022 광고학연구 Vol.33 No.4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issue characteristics activate the level of cognitive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affective involvement differently, and the public is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volvement. Through this study, I focused on affective involvement, away from cognitive involvement-oriented research, and the path was confirmed that the affective issue in which the level of affective involvement is predominantly activated and the level of cognitive involvement is less activated induce digital activism. In this process, various variables influencing the path of digital activism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affective issue, as predi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ausal influence from emotional factors to cognitive factors appe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factors had a major influence on digital activism. The triggering factor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digital activism. 본 연구에서는 이슈 특성이 공중에게 활성화하는 인지적 관여와 정서적 관여의 수준에 따라 공중 행동이 다르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으며, 인지적 관여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정서적 관여에 집중하였다. 연구를 통해 정서적 관여 수준이 우세하게 활성화되고, 인지적 관여 수 준이 덜 활성화 되는 정서적 이슈가 디지털 액티비즘을 유발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 서 디지털 액티비즘 유발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분노, 불안과 같은 감정 요인과 주관적 규범, 태도, 효능감, 경제적 효용과 같은 인지 요인, 그리고 편향, 열망, 사회적 동조, 공감 과 참여효능감 같은 촉발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온라인 설문조사 형식을 통해 245명의 피 험자를 대상으로 준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이슈에서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예 측한 바와 같이 감정 요인에서 인지 요인으로의 인과적 영향 관계가 나타났으며, 디지털 액티비 즘에 감정 요인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촉발 요인들 또한 감정 요인, 인지 요인과 디지털 액티비즘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로그라인분석을 통한 여행사 영상광고의 중심경로, 주변경로, 유지시연, 정교화시연이 인지적 관여, 정서적 관여에 미치는 영향

        최인묵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3

        Petty & Cacioppo(1983)의 정교화가능성모델이 발표 된지 40여년이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관광분야는 관련 연구가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교화가능성모델을 중심으로 정보처리과정의 주의 단계인 광고노출 이후 개인적 관련성을 알아보는 여행관여도와 더불어 적극적 정보처리가 이루어질 때 장기기억으로의 전환을 돕는 시연방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여행상품과 같은 서비스상품은 영상광고의 경우 제품광고와 달리 여행지 소개자체만으로는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때문에 광고의 소구전략이 중요해지는데 출연배우의 지명도, 텍스트, 타이틀, 배경음악 그리고 나래이션의 기술적 자원배분이 소구를 위한 부호화 방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요소가 된다. 분석결과 경로와 관련하여 중심경로가 정서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주변경로가 인지와 정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시연과 관련하여 정교화시연이 인지적 관여에, 반면 유지시연은 정서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분석방법으로 부분최소자승법(PLS)에 의한 경로모형을 시도하였으며, 과정품질을 위한 투입요소분석을 위해 로그라인(Logline) 분석법을 제안하고 이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로그라인분석법은 여행서비스와 같은 무형성이 강조되는 영상광고의 분석과 광고소구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관계: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

        정진솔,황해인,송경희,이승연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7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 집단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정적 관계를 완화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남학생 1,174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덕적 이탈, 정서적 학교 관여, 훈육 구조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정적 관계는 정서적 학교 관여가 높을수록 약했는데, 정서적 학교 관여의 보호효과는 학교의 훈육 구조가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상위 13.29%의 남학생들에서만 나타났다. 즉, 학교의 훈육이 일관되고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남학생의 경우, 학교와의 정서적 유대가 강할수록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에 대한 도덕적 이탈의 영향은 약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에 있어 도덕적 이탈과 같은 개인의 인지적인 특성뿐 아니라 학교와의 정서적 유대감, 그리고 공정한 학교 규칙 적용 등 학교의 환경적 특성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disciplinary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perpetration among male adolescents. Self-reported data on 1,174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3. Results showed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moral disengagement,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disciplinary structure. Specifically,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perpetration was weakened for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a high level of school disciplinary structure. Specifically, the buffering effect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top 13.29% of students who perceived the school discipline to be fair.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work together to explain bullying perpetration for male adolescents.

      • KCI등재

        Predicting Continuous Usage Behavior i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Affective Commitment and Users’ Characteristics

        Park, Ji Yeon(박지연),Shin, Jong Kuk(신종국)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급증을 반영하여 지속사용행동을 보이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이용동기와 관련된 주요한 개인특성을 도출하고 개인특성과 지속사용 간의 관계에 있어 정서적 몰입의 매개적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온라인 소비자행동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서적, 관계적 차원에서 만족 및 신뢰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소셜프레즌스, 관여도, 그리고 플로우를 도출하여 이 세가지 개인특성 요인이 정서적 몰입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 경상권 대학교 3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3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써 첫째, 소셜프레즌스와 관여도는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이 밝혀졌다. 반면, 플로우는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소비자들의 지속사용행동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적으로 정서적 몰입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단순히 높은 몰입의 상태를 이끄는 온라인 환경의 설계보다는 사용자의 인지적, 관계적 특성에 기반한 정서적 몰입과 애착을 이끄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Purpose] Although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en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have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the reasons why those people continually use have not adequately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social presence, involvement, and flow as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relational gratifications for SNS a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which is posited to affect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under this environment. [Methodology]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s of 193 SNS users from three universities in Korea. Quantitative analysis employed by testing the proposed model with seven hypothese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Findings] The main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presence and involve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or, affective commit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flow is not significant on both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urthermore,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presence exerts a greater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an involvement does, which also impact on the increase of continuance usage behavior. [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SNS providers to consider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of uses to foster affective commitment when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ly interacting features in SNS, not just focusing on providing the chance of high flow.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컴퓨터 기반 정서 분석을 활용한 정치엔터테인먼트의 정서적 소비와 정치 참여의 관계 연구

        유경한(You, Kyung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7

        이 연구는 정보와 오락이 결합된 독특한 크로스오버 장르인 정치엔터테인먼트의 특징에 주목하여, 정치엔터테인먼트의 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관여가 이들의 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정서적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미디어 수용자의 정서적 관여가 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분석 개념으로 상대적 정치엔터테인먼트 선호도(RPP) 지표를 활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컴퓨터 기반 감정 분석과 수용자 설문조사를 결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엔터테인먼트에 출현된 정서를 비교한 결과, <썰전>에서는 긍정적 정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 비해, <강적들>에서는 부정적 정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출현된 정서는 유형과 강도(intensity)에 따라 정치지식의 습득과 태도, 정치냉소와 정치참여의 증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특정 후보자의 출현 정서가 정치지식을 증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정치효능감은 정서 유형에 따라 증진과 감소가 각기 다르게 관찰되었다. 셋째,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미디어 이용은 영향력이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정치엔터테인먼트와 상대적 정치엔터테인먼트 선호도(RPP)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19대 대선의 상황적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선거의 참여나 학습, 태도의 형성에 미디어 이용 자체 미치는 영향을 과거에 비해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넷째, 정치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정서가 수용자의 정서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수용자의 정치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정서적 전이는 수용자의 엔터테인먼트 성향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정서의 유형과 강도에 따라 그 효과의 방향과 정도가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emotional involvement in the acceptance of political entertainment on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entertainment that is a unique crossover genre that combine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he study emphasizes that previous research had som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emotional mechanisms of entertainment programs; uses relative political entertainment preference (RPP) as an analytical indicator to effectively analyze the impact of media inmates emotional involvement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mbines computer-based emotional analysis with audience survey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emotions that appeared in political entertainment revealed that the ratio of positive emotions in “Sseoljeon” is relatively high, while the ratio of negative emotions in “Gangjeokdeul” is relatively high. Second, the emerging sentiment had differential effects on improving political attitude and political learning, decreasing political cynicism, and promoting political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types and intensities of emotions. Third, media use, which was regarded as a factor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in previous research, was found to have little influence, and political entertainment and relative political entertainment preference (RPP) were observ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media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learning, and attitudes is limited compared to the past. Fourth,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olitical entertainment programs influence the political involvement of inmates by inducing an emotional response. However, these emotional responses varied by the direction and the extent of the effects,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s on political entertain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 사회 참여 활동과 지역 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사회 관여도와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지역 매체를 포함한 대중 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관여도가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이나 사교성의 친목활동 모두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유대감에 따른 지역 사회 활동은 사교성의 친목 활동에만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 관여도와는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남성 보다는 여성의 지역사회 내에서 사교성 친목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과 친목 활동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 장년층의 지역 사회 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지역 사회활동은 사회, 교육 분야 등 대외적 지역 활동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고학력자일수록 개인적 사교 모임 보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는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지역사회에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사회 활동 면에서는 대외적 지역활동이나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활동이 다양할수록 지역 매체 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많았으며, 지역 사회 활동 중에는 사교적 친목 활동이 많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식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SNS 활용도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것은 지역 활동 중 사교성의 친목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매체를 포함한 SNS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적 지역 활동 보다는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on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th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nnection to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as posi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age,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e aged group has the diverse and acti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s of a sens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media use shows that the mor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local media use. It also shows that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local media use, which means that th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encourage the local media use. In contras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more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interaction on the use of S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