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적・보완적 교육이념으로서 화쟁의 교육이념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 Da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화쟁사상을 적용하여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해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은 체계와 내용의 부재, 이데올로기적 왜곡의 문제, 교육이념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어 온 문제가 있었으며, 교육이념이 답해야 할 새로운 시대적 요구로는 새로운 민족주의와 민주주의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 지식기반사회의 요구, 생태주의 교육의 요구 등이 있다. 둘째, 화쟁사상은 화해와 통합의 사상이라는 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깨달음의 사상이라는 점, 일심이문의 체계와 일심무애화쟁의 내용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에서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통일과 생태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주의와 다문화교육, 지식기반사회의 창의융합적 지식과 같은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도 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이념으로서의 적합성을 보여준다. 셋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하는 화쟁의 교육이념은 화쟁하는 인간, 화쟁하는 사회, 화쟁하는 교육을 추구한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화쟁의 교육이념은 교육적 원리로 조화롭게 어울리되 무조건 하나됨을 강요하지 않는 불일불이의 원리, 각각의 현상과 진리를 부정하면서 보다 높은 차원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는 긍정과 부정, 개합과 입파의 자재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ducational ideal replacing the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have problems as such: the absence of system and contents, distorted ideology,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and social conflict. Second, The ideas of HwaJaeng is that an ideas of conciliation and coordination, of overcoming a distorted ideology,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and of systemic. Because of this, the ideas of HwaJaeng can take place of the educational ideal of HongIkIngan. Also, The ideas of HwaJaeng is correspondence with unification, ecology and postmodernism that urgent questions in Korea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al ideal of HwaJaeng seeks for human, society and education to harmonize the various disputes, seeks for educational principles not adhering the two and not keeping the one, boundlessness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 KCI등재후보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 고찰

        이기명(Ki-Myung Lee),유수정(Su-Jung Yo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역사적, 본질적 관점에서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공교육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의 일치가 반드시 필요함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와 해방이후 학교교육의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어떠한 위기가 발생했으며,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 일치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는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대의 학자들은 학교가 교육이념에 어긋나는 교육을 할 때마다 개인, 학교뿐만 아니라 국가에 큰 위기를 가져온다고 인식하였으며, 본질 회복을 위해 학자들이 끊임없이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반면, 해방 이후에는 교육이념과 학교교육과의 관계를 법으로 규정하여 더욱 엄격한 이행을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는 교육이념이 사문화되고, 교육외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교육이념이 계속적으로 바뀐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불일치는 곧 교사들의 교육철학의 혼란을 가져오게 하여 교육본질회복을 위한 교육개혁이 요구될 때마다 방향을 잃어 어려움을 겪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이념 상실로 학교가 공적인 인간을 만들어 내지 못함으로 학교의 기능을 잃고 학교교육이 위기에 처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가적으로 학교는 교육이념 달성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임을 자각하고, 교사는 교육이념의 권위자가 되어 교사 스스로 끊임없이 공부해야 하는 존재임을 깨달을 때, 위기를 극복하고 학교가 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됨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purpose based on fundamental viewpoint to show that unison between the ideology and purpose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that public education faces. To support the argument, the research illustrates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of crisis faced when educational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purpose did not match during Cho-Sun period and righ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efforts put into to unity. The result of the research tells that the scholars in Cho-Sun period took any deviation of education in school from education ideology seriously considered it as a threat to the country, and they endeavored to overcome the problem. In contrast, after the liberation the education ideology has become redundant and has continuously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demands and situational needs of factors other than education, even though there was a set law that firmly establishe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purpose and school education. Such discordance subsequently resulted in a confusion of education doctrine of teachers and consequently has become a big obstacle every time when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reform for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Also, such loss of education purpose brought a mistrust of parents of students on public education and subsequently created a new form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clearly reveals that in order for school to play its proper role, school needs to aware that it exists to achieve the education ideology.

      • KCI등재

        이데올로기론에 따른 교육이념의 역사적 변천과정 분석

        안승대(An Seung-D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敎育問題硏究 Vol.0 No.27

          이 글은 이데올로기론에 따라 교육이념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교육이념은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발전주의가 결합되어 나타난다. 둘째, 한국 교육이념은 지배 이데올로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저항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셋째, 교육이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방법은 변화하고 있다. 우선 이데올로기적 활용은 부정적 왜곡형태로부터 긍정적 통합의 가치로 변화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교육이념의 단순화로부터 복잡화로의 변화이다. 마지막으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교육이념의 결합과 분리의 과정이다.<BR>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의 교육이념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교육이념의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주의’의 중요성이다. 둘째,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는 시대적 과제에 따라 새로운 교육이념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교육이념은 한국적 특수성 속에서 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국적 민주주의’의 교육이념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 idea according to ideology. The change of education idea is in relation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ecause education idea is affected by political idea.<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BR>  First, Democracy and Nationalism education idea with developmentalism had played an important roles in Korea education idea. Hongikingan(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is stipulated in the text as a comprehensive education idea, and its specific education idea is Democracy and Nationalism.<BR>  Second, There has been very close connection between Korean education idea and ruling ideology ; progressivism and American Army area·First Republic, National Charter for education, the October Renovation and the Third·Fourth Republic, Creation of the modernization of fatherland and Fifth Republic, Neo-liberalism in the 1990"s.<BR>  Third, Korean education idea has changed from negative value to positive one.<BR>  Therefore, Several suggestions are designed for as follow: the importance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with developmentalism as education ideas, new transformation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as education ideas in 21th century, combination between Korean particular value and universal value in pursuing education ideas in new era.

      • KCI등재후보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과 인간상

        김한종 역사와교육학회 2018 역사와 교육 Vol.27 No.-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ideal of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which Park Chung-hee government pursued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and then analysed to policies for accomplishing such purpose. Ideal of education reflect political purpose, bu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don’t usually specify them clearly. Nevertheless, Park Chung-hee government exposed such purpose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deal of Education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based on development education, which put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t the forefront and identified individual person and society with state.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develop human wh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state. Park Chung-Hee government tried to seek the foundation of such the logic of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logic of economical development. Park Chung-Lee government tried to internalize its own ideal of education in people’s mind. So, it made practices of ideal of education in everyday life and increased chances of encountering symbols of the ideal to achieve this purpose. Sites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was reorganized and made of educating nation people’s places. Value inquiry laid stress on more than fact inquiry, though standing 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ut the achievement of such purpose is uncertain.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by rote disturbed to pupils’ internalizing ideal of education, and such educational policies was criticized by many people. The ideal of education and pursuing human character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not begun in this time but was the same under Park Chung-Lee government, and had been regularized since late 1960s. 이 글은 제3차 교육과정기 박정희 정부의 교육이념과 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했던 인간상이 무엇이며, 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관철시키고자 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이념은 국가나정부가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지만, 국가교육과정에 이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제3차 교육과정기는 교육정책은 물론 교육과정 문서에서도 이런 의도가 상대적으로 명확히 드러난다.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은 국가의 발전을 최우선에 두고, 개인과사회, 국가를 일체화하는 발전교육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교육은 인간을 발달시키는 것이지만, 이때 인간은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간이었다. 그렇지만 경제성장의 논리와는 달리 그 기반을 전통문화와 정신에서 찾았다. ‘주체성’이나 ‘(한)국적’이라는 구호와 정치 논리가 가장 잘반영된 것이 교육 분야였다. 교수학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사실탐구 못지않게 가치탐구를 중시한 것에서도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의 이런 성격이 나타난다. 박정희 정부는 학교와 사회교육을 통해 교육이념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사회구성원에게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교육이념의 실천을 일상생활화 하고 학생이나 일반대중이 교육이념의 상징물과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최대한 늘리고자 하였다. 국난극복의 자취를 재정비하여 국민교육의현장으로 삼은 것도 그 방법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이런 교육이념이 실제로 내면화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열악한 학교교육의 환경과 주입식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이념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다. 교육이념의 일방적 전달과 주입이 오히려 정치적 목적에 순응하는 인간을 길러내려는 정권의 의도를가로막는 역설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책은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고 체제를 합리화하는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3차 교육과정기의 교육이념과 인간상이 이때 처음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 이런 교육이념은 박정희 정부 집권 이후 마찬가지였으며, 학교교육 정책에서도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이념으로서 홍익인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창호 안암교육학회 2003 한국교육학연구 Vol.9 No.1

        본고는 우리나라의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에 대해 현실교육의 측면에서 재조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과연 '홍익인간'이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서 타당한 것인지, 타당하지 않다면 어떤 대안이 필요한지에 대해 고민하며, 특히 민주주의에 기반한 대한민국 수립과 현재 21세기 지식정보화·세계화 시대에 '홍익인간'이라는 교육이념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대표적 교육학자들의 교육이념을 바라보는 관점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둘째, 일제 강점기로부터 해방 이후, 미군정기에서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에서 홍익인간이 교육이념으로 설정되는 양상과 단군신화 속에 담긴 의미를 간략히 분석하였다. 셋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이 재세이화(在世理化)의 현실적 교육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 설정되어 50여년을 지속해 오면서 한번도 바뀌지 않았는데, 이념 수립 단계에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논의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육의 이념으로서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한국'이라는 시공간적 특수성과 민주적 가치라는 인류의 보편성을 아우르는 개념을 기준으로 새로운 교육이념의 수립이 요구된다고 본다.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전라북도 정책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찬기,김이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과 관련하여 탐색적 연구로서 지방교육자치가 어느 정도 구현되었는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이념을 구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교육정책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교육행정의 자주성, 교육행정의 전문성,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 교육행정의 분권성, 교육행정의 민주성, 교육행정의 효율성)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교육자치이념을 세분화하여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정도,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을 위한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지방교육자치이념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교육감이나 교육의원의 관심과 노력증대, 교육청에 대한 중앙정부의 행·재정적 간여축소에 대한 제도적 보장, 정당, 교육단체 등 정치적 세력으로 부터의 부당한 간섭 축소, 중앙정부의 도교육청에 대한 조직, 인사, 사무, 재정권한의 지방이양, 교육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대한 학부모와 주민의 관심과 참여 제고, 지방의회의 심의, 의결에 있어서 효율성 제고가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 이념 정립을 위한 연구

        안승대(An, Seung-Dae)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념을 정립해 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은 민족 민주 평화의 세 가지 가치를 중요시해왔으며, 이는 통일교육의 3대 영역별 교육을 이끌어가는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이 통일지향적인 가치와 태도 함양, 통일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통일교육의 기본이념 핵심이념은 통일의식 형성, 통일인 양성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통일교육이념은 통일의식함양을 기본이념 핵심이념으로 하며, 이를 떠받치는 주요 영역별 교육이념으로는 민족 민주 평화의 3대 이념을 들 수 있다. 둘째, 통일교육의 기본이념인 통일(의식 함양)의 이념과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민족, 통일 무용론 내지는 폐기론은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 이해의 문제, 저항 민족주의로서 한반도 민족주의의 특성을 간과 한 점 등에서 재고되어야 하며, 민족주의는 통일을 지향한다는 점, 민족적 리비도의 부활과정이 통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이념적 자원이다. 한반도의 가장 근본적인 폭력의 원인, 비평화적 현상의 근원이 분단이라고 하였을 때, 통일은 평화의 실현과정 그 자체이며, 통일과 평화는 함께 하는 하나의 여정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통일과 민주의 이념 역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셋째, 통일교육이념은 각각의 교육을 이끄는 지도원리이자 지도이념이다. 기본이념인 통일(의식함양)의 이념은 통일형성교육을,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은 각각 통일을 위한 민족교육, 통일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통일을 위한 평화교육 을 이끌어가는 지도이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fication education has valued the three valu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which is an ideology that leads to education in the three major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given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aimed at fostering unification-oriented values and attitudes, and cultivating unification awareness, the core concepts of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as forming a sense of unification and fostering unification peopl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cor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the three major ideologi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are the major educational ideologies that support it.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unification (cultivating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each area, is as follows. Nationalism, unification uselessness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issue of a one-sided understanding of nationalism, the negl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ism as resistance nationalism, and the revival process of national libido. When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viol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ource of non-peaceful phenomena are divi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unification is a process of realizing peace itself, and unification and peace are a journey together. Th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democracy is also complementary. Third, the idea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guiding principle and guiding ideology of each education.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is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national unificati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for unification.

      • KCI등재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장기지속성 요인에 대한 시론적 고찰

        유은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이 1949년 교육법 제정 이후 지금까지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를시론적 수준에서나마 알아보는 데 있다. 본격적으로 이를 알아보기에 앞서, 홍익인간의 의미와 교육과의 연관성, 교육이념의 정의와 특성, 교육이념으로서 홍익인간이 지니는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익인간은 교육이념으로서가지는 본질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교육이념의 자리를 굳건히 지켜왔다. 본 연구는 홍익인간이 오랜 기간한국교육의 이념으로 있을 수 있었던 이유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이념의 법률 명문화는 홍익인간 교육이념의장기지속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홍익인간 이념이 법률로 명시되기 전의 자료를 살펴보면, 홍익인간은 국민들에게생소한 개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이 법률로 명문화됨으로써 홍익인간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고양되었으며, 이는 홍익인간이 교육이념 자리를 지키는 데 있어 크게 이바지한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지속성에긍정적 영향을 끼친 두 번째 요인은 홍익인간의 해석 개방성이다. 홍익인간은 양립 불가능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동시에 포괄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권의 통치이데올로기를 담아내는 역할을 해왔다. 더 나아가, 홍익인간에 대한새로운 해석의 추가는 앞으로 홍익인간이 교육이념으로 남도록 하는 데 힘을 실어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력한대안의 부재를 들 수 있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에 대한 여러 대안이 나왔지만, 여러 측면에서 홍익인간을 대체할정도로 강력하지는 않았다. 홍익인간의 대안 또한 홍익인간의 한계와 맞닿은 부분이 있으며, 대안의 의미조차도홍익인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은 홍익인간 교육이념에 대항하는 강력한 대안의 등장이 앞으로도 요원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why the educational ideal of Hongik Ingan has persist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Law of Education in 1949. Before this examination, the meaning of Hongik Ingan, its relevance to educati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educational ideal, and the limitations of Hongik Ingan as an educational ideal are explored. Despite its inherent limitations as an educational ideal, Hongik Ingan has firmly maintained its position as Korea’s educational ideal for a significant period. This study presents three reasons why Hongik Ingan has long been the Korean educational ideal. First, legislation of the educational ideal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ts longevity. Before its enactment, Hongik Ingan was a relatively unfamiliar concept. Legal recognition has elevated the public awareness of Hongik Ingan, contributing to its continuance as an educational ideal. Second, Hongik Ingan’s interpretive flexibility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its continuity. Hongik Ingan encompasses the incompatible ideologies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and encapsulates the governing ideologies of regimes. Furthermore, the potential for new interpretations of Hongik Ingan will enable this concept to remain an educational ideal in the future. Finally, the absence of compelling alternatives has contributed to Hongik Ingan’s persistence. While various alternatives to Hongik Ingan have been proposed, none has emerged as a substitute for Hongik Ingan. Moreover, these alternatives often overlap with the limitations of Hongik Ingan, and their meanings can be interpreted within this framework. This suggests that the emergence of a powerful alternative to Hongik Ingan is a long way off

      • KCI등재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지속가능발전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박휴용 ( Hyu Yo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1

        근래 들어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가 교육목표이자 이념의 하나로써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와 더불어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지속가능발전교육론(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도 또한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새로운 교육목표의 하나로써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 및 정책방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하여 본고는, 국가교육과정 이념으로써의 다문화주의와 지속가능발전교육론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첫째, 다문화주의에 대한 후기식민주의적 비판의 관점을 바탕으로 다문화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이념적 연관성을 논의 하고자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유럽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형론 (Swing, Schrievew, & Orivel, 2000)과 대조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본고는 지속가능발전교육론이 서구의 계몽주의, 엘리트주의, 그리고 실용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그 이념적 한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러한 다문화교육론과 지속가능발전교육론의 이념적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학교 교육과정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대안적 입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Following the popularity of cosmopolitanism as an educational objective, multiculturalism and ESD are emerging as additional objectives in school curriculum. Given such trends,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s national curriculum ideology. Firstly, this paper introduces a critical viewpoint on multiculturalism, and discuss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cosmopolitanism in the lens of postcolonial criticis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compares it to the models of European multicultural education (Swing, Schrievew, & Orivel, 2000). Secondly, this paper criticizes that the idea of ESD is originated in the ideology of Enlightenment, eliticism, and utilitarianism of the Western world. To overcome these limits of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and ESD,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 perspectives, such as pluralism, on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탈이념 시대에 있어 교육이념 정립의 문제와 교육철학의 과제

        유현옥 ( Hyeon Ok Yoo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20세기 후반 이후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는 탈이념 시대는 가치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강조하는 윤리적 상대주의와 주관주의 그리고 탈가치화와 함께 도덕적 무관심의 경향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교육이론과 실천에 있어서도 가치중립성의 표방 하에 가치와 이념의 문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위축되고 있다. 이 글은 탈이념 시대에 있어 나타나고 있는 탈가치화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육에 있어 이념과 가치의 문제는 가치중립적 관점에서 결코 무시되거나 배제될 수 없는 근원적인 문제이며, 가치중립성의 표방 하에 이루어지는 교육의 탈이념화와 탈가치화는 결국 교육을 교육외적 이념과 가치의 작용 하에 내맡기는 결과를 낳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탈이념 시대에 있어 교육이념의 정립을 기하기 위해서는 가치기업으로서의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환기하고,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가치 논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 이를 위한 교육철학의 과제를 논하고 있다. In the postmodern 21st century we are observing a world without ideologies or better to say the post-ideological era which typifies a trenchant moral crisis and social disintegration caused by its relativistic ethical position, in which universal foundations of values and ideals are denied. The rush to ethical relativism inevitably leads to social indifferences to the moral deliberation and value discourses on quality of life and its excellence. In post-ideological era, it seems that there are incommensurable forms of life, and thus that anything goes. Under these circumstances, what is missing in the spheres of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is earnest and continuous discourses on the value dimensions of education, especially on educational ideals or value principles. Without such educational ideals and principles, we cannot engage meaningfully in worthwhile educational practice, nor in educational efforts for redressing moral laxity and disintegration of our society. The educational ideal of a society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of its quality of life and its excellence. Education is a definitely value enterprise, for it aims to change the life of the young through pursuing intellectual and moral excellence. Thus, a keen interest in comprehensive, substantial, and justified educational ideals is fundamental to education even in the so-called post-ideological era. Without such an interest and ideals, education is inevitably exposed under the control of extrinsic values and ideals, such as economic or political ones. This paper, primarily concerned with reaffirming the demand of educational ideals in the post-ideological era, tried to articulate the primacy of values and the nature of education as a value enterprise, to discuss the need of social discourses on educational ideals and value principles. Also it argues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lead and vitalize public dialogues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al ideals in our society in the post-ideologic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